KR100913535B1 -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535B1
KR100913535B1 KR1020090039723A KR20090039723A KR100913535B1 KR 100913535 B1 KR100913535 B1 KR 100913535B1 KR 1020090039723 A KR1020090039723 A KR 1020090039723A KR 20090039723 A KR20090039723 A KR 20090039723A KR 100913535 B1 KR100913535 B1 KR 100913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al
sensing unit
case
manual mod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파코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코스(주) filed Critical 파코스(주)
Priority to KR1020090039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mounted on steering column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신뢰성 및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됨과 아울러 부피가 컴팩트화된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부에 변속 레버의 일측에 구비된 작동간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커버; 상기 홀의 후방에 배치되되, 상기 작동간의 가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메뉴얼 모드를 감지하도록 경사진 가압면을 가지며, 제1탄성수단에 의하여 탄발지지되는 메뉴얼감지부; 상기 가압면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양측부에 상기 작동간을 구속하는 구속부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간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업-다운 모드를 감지하는 업다운감지부; 및 상기 메뉴얼감지부 및 업다운감지부의 위치이동에 따른 전원의 스위칭을 위한 회로가 실장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를 제공한다.
자동차, 변속, 메뉴얼모드, 업다운모드, 접촉자

Description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manual mode switch for auto-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뢰성 및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됨과 아울러 부피가 컴팩트화된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관련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근래 시판 중인 자동차들에는 자동변속기가 내장되어 있다.
이들 자동변속기는 변속기 내 오일(oil)을 매개로 하여 동력을 전달하므로, 기어(gear)와 기어 사이의 직접적 전동 메커니즘(mechanism)을 갖는 수동변속기에 비하여 에너지 손실이 높아서 연비가 대체로 낮다. 이러한 자동변속기가 갖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변속 레버가 파킹(P)-후진(R)-중립(N)-주행(D)로 이루어지는 메인 변속부 이외에 별도의 메뉴얼 모드로서 업-다운(UP-DOWN) 방식으로 조작되는 메뉴얼 조작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자동차 운행 상황별로 변속 단수를 조절하여 최대한의 연비 향상을 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메뉴얼 조작부는 메인 변속부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변속 레버의 하단부와 연동하는 메뉴얼모드 스위치를 포함하며 그 동작 상태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자동변속기 제어부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전기 부품이다.
한편, 종래의 메뉴얼 조작부를 조작하기 위한 메뉴얼모드 스위치에 관해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105925호가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종래기술은 팁트로닉 스위치가 수평상태로 배치되어 변속 레버 주위의 공간이 협소하거나 세련된 디자인을 위하여 좌우폭을 작게 형성하여 디자인되는 경우에는 설치되기 어려운 공간상 제약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변 구조물과의 결합공차로 인하여 상기 변속 레버가 메뉴얼 조작부로 정확히 진입되지 않은 상태로 업-다운(UP-DOWN) 방식의 조작이 이루어져 메뉴얼 모드의 동작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변속 레버가 메뉴얼 조작부로 정확히 진입되었는지 여부와 업-다운(UP-DOWN) 방식의 조작 여부가 별개로 인식되어, 상기 변속 레버가 메뉴얼 조작부로 정확히 진입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업-다운(UP-DOWN) 방식의 조작을 통한 동작이 수행되리라 예상함으로 인한 불안정한 작동이 수행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신뢰성 및 안정성이 현저히 개선됨과 아울러 부피가 컴팩트화된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중앙부에 변속 레버의 일측에 구비된 작동간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커버; 상기 홀의 후방에 배치되되, 상기 작동간의 가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메뉴얼 모드를 감지하도록 경사진 가압면을 가지며, 제1탄성수단에 의하여 탄발지지되는 메뉴얼감지부; 상기 가압면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양측부에 상기 작동간을 구속하는 구속부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간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업-다운 모드를 감지하는 업다운감지부; 및 상기 메뉴얼감지부 및 업다운감지부의 위치이동에 따른 전원의 스위칭을 위한 회로가 실장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속부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면이 하측 이동시 상기 업다운감지부의 좌우이동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가압면의 경사진 형상에 대응되는 절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업다운감지부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홈에 부분적으로 매설된 제2탄성수단에 의하여 탄발지지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메뉴얼 감지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뉴얼감지부 및 업다운감지부에는 각각 상기 케이스의 회로와 선택적인 통전을 수행하는 접촉자가 구비되되, 상기 접촉자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단부에 형성된 라운드 돌출부가 상기 회로에 탄발 접촉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연장부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소 이상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변속 레버의 조작시 메뉴얼모드의 정확한 선택이 감지된 상태에서만 상기 업다운모드의 안정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므로, 변속 레버가 메뉴얼 조작부로 정확히 진입되었는지 여부와 업-다운(UP-DOWN) 방식의 조작 여부가 순차적으로 연관관계를 가지고 조작되며, 상기 변속 레버가 메뉴얼 조작부로 정확히 진입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업-다운(UP-DOWN) 방식의 조작을 통한 동작이 수행되리라 예상함으로 인한 불안정하고 위험한 작동상태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세련된 차량 내부의 인테리어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변속 레버가 설치되는 부분의 좌우폭을 좁게 하는 경우에도 상기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는 좌우방향으로 좁은 폭을 차지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조립된 외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10)는 커버(20), 메뉴얼감지부(40), 업다운감지부(30), 그리고 케이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케이스(50)는 자동차의 변속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변속 레버(도 2의 100)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되,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세련된 차량 내부의 인테리어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변속 레버(100)가 설치되는 부분의 좌우폭을 좁게 하는 경우에도 상기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10)는 세워진 상태로서 좌우방향으로 좁은 폭을 차지하도록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변속 레버(100)는 운전자에 의하여 조작되도록 하부의 차체 프레임(120)에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설치구조 하에서, 상기 커버(20)의 중앙부에는 변속 레버의 일측에 구비된 작동간(110)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홀(21)이 형성된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파킹(P)-후진(R)-중립(N)-주행(D)로 이루어지는 메인 변속부로부터 메뉴얼 모 드로서 업-다운(UP-DOWN) 방식으로 조작되는 메뉴얼 조작부로 상기 변속 레버(100)가 조작될 때, 상기 변속 레버(100)의 일측에 구비된 작동간(110)이 상기 커버(20)의 홀(21)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홀(21)의 후방에는 메뉴얼감지부(40) 및 업다운 감지부(30)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케이스(5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50)의 내면에는 상기 업다운감지부(30) 및 메뉴얼감지부(40)의 후면에 각각 고정되는 접촉자(71,72)의 슬라이딩 위치이동에 따른 전원의 스위칭을 위한 회로(51,52)가 실장됨으로써, 메뉴얼모드 및 업다운모드가 각각 감지되어 단자부(55)를 통하여 자동차의 제어부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접촉자(71,72)가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회로가 실장된 케이스(50)의 내면에는 전기적 통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미소한 수준의 전도성을 지니도록 조절된 윤활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20)와 케이스(50)는 내측에 각종 부품이 조립된 상태로 고정후크(53) 및 고정홈(23)의 조립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슬라이딩 방식의 메뉴얼 감지부(4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메뉴얼감지부(40)의 상단부에는 경사진 가압면(41)이 형성되고,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원상태에서 상기 경사진 가압면(41)은 업다운모드를 감지하는 상기 업다운 감지부(30)의 수용홈(3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상기 작동간(110)이 상기 홀(21)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메뉴얼감지부(40)의 경사진 가압면(41)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면, 상기 가압면(41)의 경사진 면 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메뉴얼감지부(40)는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그의 후면에 구비된 접촉자(72)가 상기 케이스(50)에 실장된 회로(52)와 선택적인 통전 및 절연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변속 레버(100)가 메뉴얼모드로 조작되었음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스(50)에는 상기 메뉴얼감지부(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5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압면(41)의 경사진 각도는 수평면에 대하여 대략 45°이고, 상기 작동간(110)의 단부는 부드러운 슬라이딩 접촉을 위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업다운감지부(30)에 형성된 수용홈(31)의 테두리 양측에는 상기 작동간(110)을 구속하는 구속부(32)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변속 레버(100)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조작되면 상기 작동간(110)이 상기 구속부(32)에 구속된 채로 상기 업다운감지부(30)를 좌우로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구속부(32)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압면(41)이 하측 이동시 상기 업다운감지부(30)의 좌우이동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가압면(41)의 경사진 형상에 대응되는 절개부(3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간(110)이 상기 메뉴얼감지부(40)의 가압면(41)을 하측으로 밀어 상기 수용부(31)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만, 상기 업다운감지부(30)가 작동간과 연동하여 좌우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변속 레버(100)의 조작시 메뉴얼모드의 정확한 선택이 감지된 상태에서만 상기 업다운모드의 안정적인 조작이 이루어지므로, 변속 레버(100)가 메뉴얼조작부로 정확히 진입되었는지 여부와 업-다운(UP-DOWN) 방식의 조작 여부가 순차적으로 연관관계를 가지고 조작되며, 상기 변속 레버(100)가 메뉴얼 조작부로 정확히 진입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업-다운(UP-DOWN) 방식의 조작을 통한 동작이 수행되리라 예상함으로 인한 불안정하고 위험한 동작상태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얼감지부(40)의 후면은 코일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제1탄성수단(60)에 의하여 탄발지지되며, 상기 조작간(110)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메뉴얼감지부(40)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전자에 의하여 상기 변속 레버(도 2의 100)가 메뉴얼모드 측으로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메뉴얼감지부(40)의 가압면(41)이 상기 업다운감지부(30)의 수용홈(31)에 삽입되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에는 상기 업다운감지부(30)는 조립공차 등으로 인한 별도의 오작동이 있는 경우에도 좌우이동되지 않고 원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b 및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변속 레버의 조작에 의한 작동간이 상기 가압면(41)을 가압하여 메뉴얼모드가 선택되도록 상기 메뉴얼감지부(40)가 하측으로 이동된 후, 사용자가 변속 레버를 회전시키면 상기 변속 레버의 작동간이 구속부(32)에 의하여 구속된 채로 상기 업다운감지부(30)가 대응되는 방향(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동하여 이동되면서 업모드 또는 다운모드를 각각 감지하여 단자부(55)를 통하여 제어부로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접촉자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업다운감지부(30) 및 메뉴얼감지부(40)의 하부에는 각각 상기 케이스(50)에 실장된 회로와 선택적인 통전을 수행하는 접촉자(71,7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자(71,72)는 각각 베이스(75)와, 상기 베이스(75)로부터 연장되어 단부에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돌출부(77)가 상기 회로에 탄발 접촉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연장부(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는 좌우방향으로 연결된 제1도전부(51a)와 중앙에 절연부(78)에 의하여 구획되어 이루어진 제2 및 제3 도전부(51b,5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도전부들은 각각 단자부(도 1의 55)에 전기적으로 신호연결된다.
상기 한쌍의 연장부(76) 중 하나는 제1도전부(51a)를 따라 지속적인 통전이 이루어지는 반면에, 다른 하나는 상기 메뉴얼감지부 또는 업다운감지부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제2 또는 제3 도전부(51b,51c)와 접촉되어 통전되거나 절연부(78)에 접촉되어 선택적으로 절연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변속 레버의 조작이 감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 연장부(76)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소 이상 길이 방향으로 분리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하여, 상기 연장부의 일측부재(76a)의 하측에 전기적 통전을 방해하는 이물질이 있는 경우에도 분리된 타측부재(76b)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는 전기적인 통전 내지 절연상태의 정확한 검출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유입된 이물질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감지기능이 보장될 수 있 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업다운 감지부가 제2탄성수단에 의하여 탄발지지되는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업다운감지부(30)는 상기 케이스(50)에 형성된 홈(57)에 부분적으로 매설된 제2탄성수단(65)에 의하여 탄발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업다운감지부(30)의 상부에는 제1홈(37)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50)의 상단 테두리 내주에는 제2홈(57)이 형성되되, 상기 제2탄성수단(65)은 상기 제1홈(37) 및 제2홈(57)에 각각 일부분이 걸쳐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업다운감지부(30)는 좌우이동후 외력이 해제되면 원위치로 탄성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조작하여 업다운모드의 선택을 수행한 후 외력을 해제하면,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상태가 원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조작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조립된 외관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접촉자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20: 커버
30: 업다운감지부 32: 구속부
40: 메뉴얼감지부 41: 가압면
50: 케이스 71,72: 접촉자
100: 변속 레버

Claims (5)

  1. 중앙부에 변속 레버의 일측에 구비된 작동간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 커버;
    상기 홀의 후방에 배치되되, 상기 작동간의 가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어 메뉴얼 모드를 감지하도록 경사진 가압면을 가지며, 제1탄성수단에 의하여 탄발지지되는 메뉴얼감지부;
    상기 가압면이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양측부에 상기 작동간을 구속하는 구속부가 구비되며, 상기 작동간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업-다운 모드를 감지하는 업다운감지부; 및
    상기 메뉴얼감지부 및 업다운감지부의 위치이동에 따른 전원의 스위칭을 위한 회로가 실장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의 하부에는 상기 가압면이 하측 이동시 상기 업다운감지부의 좌우이동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가압면의 경사진 형상에 대응되는 절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감지부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홈에 부분적으로 매설된 제2탄성 수단에 의하여 탄발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메뉴얼 감지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얼감지부 및 업다운감지부에는 각각 상기 케이스의 회로와 선택적인 통전을 수행하는 접촉자가 구비되되,
    상기 접촉자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단부에 형성된 라운드 돌출부가 상기 회로에 탄발 접촉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각 연장부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개소 이상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KR1020090039723A 2009-05-07 2009-05-07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KR100913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723A KR100913535B1 (ko) 2009-05-07 2009-05-07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723A KR100913535B1 (ko) 2009-05-07 2009-05-07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535B1 true KR100913535B1 (ko) 2009-08-21

Family

ID=4121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723A KR100913535B1 (ko) 2009-05-07 2009-05-07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948B1 (ko) * 2016-12-19 2018-05-14 제니스전장주식회사 자동변속레버의 매뉴얼 모드 스위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017A (ja) 2004-01-22 2005-08-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017A (ja) 2004-01-22 2005-08-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948B1 (ko) * 2016-12-19 2018-05-14 제니스전장주식회사 자동변속레버의 매뉴얼 모드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3885B2 (en) Switch device
CN103269893A (zh) 用于自动变速器的变速操作设备
US8129639B2 (en) Emblem-unified trunk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8389882B2 (en) Electrical switch for a motor vehicle
JP2002150864A (ja)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KR100913535B1 (ko)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JPH08306265A (ja) ブレーカスイッチ
JP4575849B2 (ja) シフトスイッチ
JP3207674B2 (ja) シフトロックユニット
KR101575224B1 (ko)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US8754339B2 (en) Slide switch
JP2010113978A (ja) 自動車室内用のプッシュ式スイッチ
KR200459979Y1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CN103367015A (zh) 电气安装开关的开关插入件
JP4353255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JP4969343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CN111911617B (zh) 用于车辆的换挡杆装置
CN104507347A (zh) 导通/断开检测型堵片断流开关
JP4787069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KR101856948B1 (ko) 자동변속레버의 매뉴얼 모드 스위치
KR200460533Y1 (ko)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JP5137197B2 (ja) ポジ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2001105920A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JP363819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110013696A (ko) 중립 스위치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