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192B1 - 방화문의 불법 침입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의 불법 침입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192B1
KR100912192B1 KR1020090015524A KR20090015524A KR100912192B1 KR 100912192 B1 KR100912192 B1 KR 100912192B1 KR 1020090015524 A KR1020090015524 A KR 1020090015524A KR 20090015524 A KR20090015524 A KR 20090015524A KR 100912192 B1 KR100912192 B1 KR 100912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astener
door frame
fixture
screw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광
Original Assignee
김선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광 filed Critical 김선광
Priority to KR1020090015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06B5/113Arrangements at the edges of the wings, e.g. with door guards to prevent the insertion of pry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방화문의 불법 침입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 프레임에 부착되면서 걸림 고리를 갖춘 고정구와, 도어에 고정 장착되면서 상기 고정구의 걸림 고리에 걸려져 결속되는 걸림 돌기를 갖춘 결속구로 이루어진 방화문의 침입방지 장치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구가 회동지지수단을 매개하여, 도어 프레임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할 수 있으면서도 고정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된 방화문은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고정구가 공구의 작동 방향에 따라 결속구와 결속되거나 결속 해제되게 함으로써, 불법 침입을 시도한 후에 방화문이 훼손시키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원상 복구할 수 있고, 빠른 시간 안에 방화문을 열고 실내로 들어갈 수가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방화문, 침입방지, 방화문 파손, 파손방지

Description

방화문의 불법 침입방지 장치{An apparatus for preventing unlawful trespass for a fire door}
본 발명은 방화문의 자물쇠를 강제적으로 풀고 불법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법 공구를 사용하여 방화문을 강제로 젖히는 경우 방화문이 열리게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불법 침입시도 후에 방화문을 훼손시키지 않고 간단하고 빠르게 원상회복할 수 있게 한 방화문의 불법 침입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이라 하면, 방화벽에 설치되어 화재가 발생할 때 화재가 다른 곳으로 전파하지 못하게 막아주는 문을 말하는 것으로서, 화재의 전파를 막기 위해 통상 단단한 철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방화문은 그 구조가 튼튼하여 그 자체를 파손하거나 부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방화의 목적뿐만 아니라 불법 침입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일반적인 건물의 출입구에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방화문은 불법 침입방지의 목적을 위해 하나 이상 여러 개의 자물쇠를 설치해 두고 있기 때문에, 비록 열쇠전문가라 하여도 쉽게 자물쇠를 열고 들어갈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물쇠의 기능이 발달함에 따라 도둑이나 강도가 건물의 실내로 불법 침입할 때 도어에 설치된 자물쇠를 직접 열지 못하고, 도어 프레임과 도어 사이의 틈새 속으로 연장을 집어넣어 도어를 강제적으로 젖혀 자물쇠가 도어 프레임에서 빠져나오게 함으로써 도어를 강제적으로 열어 젖혀 침입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방화문의 불법 침입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도면 5 및 도면 6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일본국 특허공개 2004-251081호 및 일본국 특허공개 2006-16793호 등으로 방화문 침입방지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 종래의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어 프레임(101)에 부착 또는 도어 프레임(101)에 내부에 직접 형성된 고정구(102)와 도어(103)에 장착되는 결속구(104)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외부에서 불법 침입을 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102)와 결속구(104) 사이에 공구(105)를 집어넣어 자물쇠(106)의 록크를 해제 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공구(105)를 젖히면, 고정구(102)속으로 삽입된 결속구(104)의 걸림돌기(104a)가 고정구(102)의 걸림고리(102a)에 걸려져 고정구(102)와 결속구(104)를 단단하게 결속시켜 주게 되므로 도어를 개방시킬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발명에 따른 도어 불법 침입방지장치를 도어에 설치하면, 공구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도어를 열고 침입하는 행위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의 종래 발명에 따른 도어 불법 침입방지장치는 도어를 강제적으로 열지 못하도록 확실하게 차단할 수는 있지만, 원상태로 복구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도어 프레임(101)의 고정구(102)와 도어(103)의 결속구(104) 사이에 공구(105)를 집어넣으면, 도어(103)에 고정된 결속구(104)의 일부가 소성변형되면서 도어 프레임(101)에 설치된 고정구(102)에 결속되기 때문에, 상기 결속구(104)가 고정구(102)에 걸려 일단 결속되고 나면, 도어를 강제 해체하거나 부분적으로 파손하지 않고서는 결속구(104)의 걸림돌기(104a)와 고정구(102)의 걸림고리(102a)가 서로 맞물려 결속된 상태를 해제시킬 수가 없으므로, 도어를 어쩔 수 없이 파손 또는 해체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도어를 해체 또는 부분적으로 파손할 때 시간이 적지 않게 소요되기 때문에, 집안으로 들어가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집안에 유아나 어린아이가 있거나 다른 문제가 있어 빨리 들어가야 하는 경우에도 이를 해결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종래 발명에서와 같은 장치에서는 공구를 넣어 젖히면, 도어(103)에 고정된 결속구(104)가 도어 프레임(101)에 부착된 고정구(102)에 결속되게 하기 위해서는 결속구(104)의 일부분이 구부러져 소성 변형을 일으켜야 하는데, 이와 같이 공구의 젖힘 동작에 의해 결속구(104)가 부분적으로 변형을 일으키게 하기 위해서는 결속구(104)를 약하게 만들어야 하고, 상기 결속구(104)를 약하게 만 들면 쉽게 파손될 수가 있으므로 근본적으로 불법 침입방지장치가 제 기능을 완전하게 달성하지 못한다는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방화문 침입방지장치에 따른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시켜, 기존의 도어 구조에도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에 연장을 넣어 도어를 자물쇠의 록크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젖히면 도어에 설치된 결속구와 도어 프레임에 장착된 고정구가 긴밀히 결속되어 침입을 방지하게 하고, 상기 결속구와 고정구 사이에 삽입한 공구를 자물쇠를 강제 해제시키는 반대 방향으로 젖히면 결속구와 고정구의 결합이 해제되게 함으로써, 도어를 훼손시키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도어를 원상 복구할 수 있게 한 방화문 불법 침입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화문의 침입방지 장치는, 도어 프레임에 부착되면서 걸림 고리를 갖춘 고정구와, 도어에 고정 장착되면서 상기 고정구의 걸림 고리에 걸려져 결속되는 걸림 돌기를 갖춘 결속구로 이루어진 방화문의 침입방지 장치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구가 회동지지수단을 매개하여, 도어 프레임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할 수 있으면서도 고정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고정구를 도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게 고정지지하는 회동 지지수단은 도어 프레임에 부착되는 고정구의 부착벽 뒤면 양쪽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와, 상기 양쪽 지지돌기 사이의 테이프 부착면에 부착되면서 지지돌기의 높이보다 더 두꺼운 치수로 이루어진 부착 테이프, 상기 부착벽에 관통형성되어 고정구를 도어 프레임에 고정 체결하기 위한 나사가 결합되는 접시 머리 나사홈 및, 상기 나사홈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나사홈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고정 구를 도어 프레임에 고정 결합시키면서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나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화문 침입방지 장치에 따르면, 공구를 사용하여 도어의 자물쇠를 강제 해제하려고 하면,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고정구가 회동하면서 도어에 고정된 결속구에 결속되어 문이 열리지 않게 하고, 다시 자물쇠를 강제 해제하려는 반대방향으로 공구를 젖히면 도어 프레임의 고정구가 도어의 결속구에서 빠져 나와 결속을 해제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불법 침입방지 장치는, 도어 프레임에 장착된 고정구가 좌우로 회동하면서 도어의 결속구에 결속되거나 풀려지게 되므로, 도어의 불법침입시도가 있는 다음 방화문을 파손시키거나 손상을 입히지 않고 원상태로 간단하게 복구할 수 있고, 단시간에 도어를 본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가 있으므로 불법 침입시도 후에 빠르게 도어를 열고 실내로 들어갈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불법 침입방지장치는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에 생성되는 틈새를 막아 주게 되므로, 방음 및 방풍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 불법 침입방지 장치가 장착된 도어 프레임(1)과 도어(2)가 서로 밀착되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면 2는 상기한 바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확대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기본적으로 도어 프레임(1)에 장착되는 고정구(3)와, 도어(2)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구(3)와 결속되는 결속구(4) 및, 상기 고정구(3)를 도어 프레임(1)에 대해 좌우로 회동할 수 있으면서도 고정 연결시켜 주는 회동지지수단(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3)는 도어 프레임(1)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벽(31)과 상기 결속구(4)가 결합되는 체결홈(32)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홈(32)의 한쪽 측면에 걸림고리(33)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결속구(4)는 도어(2)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된 바람막이용 플랜지(21)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부(41)와, 상기 고정구(3)의 체결홈(32)에 삽입되는 삽입부(42) 및, 상기 삽입부(42)의 선단에 돌출되어 고정구(3)의 걸림고리(33)와 맞물려 결속되는 결림돌기(4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고정구(3)와 결속구(4)는 고정구(3)의 걸림고리(33)와 결속구(4)의 걸림돌기(43)가 서로 마주 보게 도어 프레임(1)과 도어(2)에 각각 설치한다.
한편, 상기 회동지지수단(5)은 고정구(3)의 부착벽(31) 양쪽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51)와, 상기 양쪽 지지돌기(51) 사이에 형성된 테이프 부착면(52)에 부착되면서 양쪽 지지돌기(51)의 높이보다 더 두꺼운 치수로 이루어진 부착 테이프(53), 상기 부착벽(31)에 관통형성된 접시 머리 나사홈(54) 및, 상기 나사홈(54)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나사홈(5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면서 나사홈(54)과 유격을 갖게 결합되어 고정구(3)를 도어 프레임(1)에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나사(55)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회동수단(5)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고정구(3)가 회동지지수단(5)을 매개하여 도어 프레임(1)에 대해 좌우로 회동할 수 있으면서도 고정 연결되어, 고정구(3)에 외력이 가해져 좌우로 회동하여도 고정구(3)가 도어 프레임(1)에서 빠져나오지 않게 한다.
삭제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회동지지수단(5)을 통하여 상기 고정구(3)를 도어 프레임(3)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먼저 도면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3)의 부착벽(31) 뒤쪽 양단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51) 사이에 마련된 테이프 부착면(52)에 도면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 테이프(53)를 부착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접착 테이프(53)는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도면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3)를 도어 프레임(1)에 부착시킬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접착 테이프(53)를 사용하여 고정구(3)를 일단 도어 프레임(1)에 부착한 다음, 나사(55)를 사용하여 고정구(3)를 최종적으로 도어 프레임(1)에 고정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고정구(3)가 도어 프레임(1)에 결합할 때, 상기 접착 테이프(53)의 두께가 지지돌기(51)의 높이 보다 약간 더 높은 것을 사용함으로써, 도면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운데의 접착 테이프(53)를 사이에 두고 양쪽의 지지돌기(51)가 도어 프레임(1)에 닿지 않고 위쪽으로 들려져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3)는 아래의 접착 테이프(53)를 받침점으로 하여 좌우 일정 각도로 회동할 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3)를 최종적으로 도어 프레임(1)에 결합시키는 나사(55) 는 나사홈(54) 보다 직경이 작은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나사홈(54)속에서 약간의 여유 간격(s)을 갖게 되고, 나사(55)의 머리(55a)는 나사홈(54)의 경사면 아래로 내려가 있기 때문에 나사 머리(55a) 위쪽으로 약간의 여유 공간(d)을 갖게 되므로, 상기 고정구(3)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고정구(3)가 나사(55)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측으로 약간씩 이동할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결속구(4)는 도어(2)의 플랜지(21)에 끼워 결합 고정시키면, 도어가 열린 상태에도 물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절대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고정구(3)를 도어 프레임(3)에 결합하고, 결속구(4)를 도어(2)에 결합한 상태에서 도어(2)를 닫으면 결속구(4)의 삽입부(42)가 도면 1와 도면 2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에 부착된 고정구(3)의 체결홈(32) 속에 들어가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장착된 방화문은 도어(2)가 닫혔을 때, 도어(2)에 결합된 결속구(4)의 삽입부(42)가 고정구(3)의 체결홈(32)속에 끼워져 들어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장착된 방화문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도어 프레임(1)과 도어(2) 사이의 틈새(G)가 고정구(3)와 결속구(4)에 의해 차단되어 바깥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 대신, 상기 도어 프레임(1)에 부착된 고정구(3)와 도어(2)에 부착된 결속구(4)의 삽입부(42) 사이의 틈새(g) 만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면 4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침입자가 자물쇠(6)가 채워진 도어(2)를 강제적으로 열기 위해 상기 고정구(3)와 결속구(4)의 틈새(g) 사이 속으로 지렛대 등의 공구(T)를 집어넣어 젖히면, 상기 고정구(3)가 회동지지수단(5)을 받침점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고정구(3)의 걸림고리(33)가 결속구(4)의 걸림돌기(43)에 걸려져 고정구(3)와 결속구(4)가 서로 단단하게 결속되어진다.
즉, 불법 침입자가 결속구(4)와 고정구(3) 사이의 틈새(g) 속으로 공구(T)를 집어넣어 젖히면, 도면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T)의 선단이 결속구(4)의 걸림돌기(43) 뒤쪽에 걸려 이를 지지점(S)으로 하여 고정구(3)에 마련된 뒷벽(34)의 상단 모서리(35)를 누르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3)는 양쪽 선단의 지지돌기(51) 보다 높이가 더 높은 테이프(53)가 밑바닥의 가운데 부분만 부착되어 있고, 나사(55)도 고정구(3)의 밑바닥을 이루는 부착벽(31)의 가운데 부분에만 결합되어 있으면서, 상기 나사(55)의 직경에 비하여 나사홈(54)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나사홈(54)에 여유간극(S)이 있기 때문에, 고정구(3)가 좌우로 흔들릴 수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공구(T)가 결속구(4)의 지지점(S)을 버팀점으로 하여 고정구(3)의 뒷벽(34) 상단 모서리(35)를 누르면, 고정구(3)가 테이프(53)를 받침점으로 하여 뒤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기울어진 고정구(3)의 한쪽 지지돌기(51)가 도어 프레임(1)에 닿게 되면, 이 지지돌기(51)를 회전 중심점(c)으로 하여 고정구(3)가 도면 4에서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반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3)의 뒷벽(34)에 공구(T)의 힘이 가해져도 뒷벽(34)이 무너지거나 변형되지 않고 지탱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고정구(3)의 다른 부분 즉 바닥의 부착벽(31)과 걸림고리(33) 부분보다 뒷벽(34)의 두께를 더 두껍게 만들어 튼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구(3)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한쪽이 들려져 올라가면, 그 힘에 의해 도어(2)에 설치된 결속구(4)가 함께 들려져 올라가면서 고정구(3)의 걸림고리(33)와 결속구(4)의 걸림돌기(43)가 서로 결합되어 결속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구(3)의 걸림고리(33)와 결속구(4)의 걸림돌기(43)가 결속되면 도어(3)를 개방시킬 수가 없게 되므로, 도어(2)를 통하여 무단 침입을 할 수가 없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 과정에서, 상기 공구(T)의 힘을 전달받아 고정구(3)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나사(55)의 직경에 비하여 더 큰 직경을 갖는 나사홈(54)의 여유간격(s)이 마련되어 있음과 더불어, 고정구(3)가 알루미늄과 같은 연질 재질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공구(T)의 큰 힘이 고정구(3)에 전달되면, 고정구(3)에 형성된 나사홈(54)의 일부가 나사(55)와 마찰하면서 부분적으로 미세하게 변형되거나 깎여져 고정구(3)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나사홈(54)의 변형을 감안하여 처음부터 나사홈(54)을 원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타원형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어 프레임(1)에 설치된 고정구(3)와 도어(2)에 부착된 결속구(4) 사이에 공구(T)를 끼워 넣어 도어(2)에서 도어 프레임(1)속에 삽입된 자물쇠(6)를 강제 해제시키기 위해 젖히면, 고정구(3)가 도어 프레임(1)에 대하여 회동하면서 고정구(3)의 걸림고리(33)가 결속구(4)의 걸림돌기(43)에 걸려져 결속됨으로써 도어(1)를 통한 불법 침입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구(T)의 삽입에 의해 고정구(3)의 걸림고리(33)와 결속구(4)의 걸림돌기(43)가 결속된 상태에서, 다시 공구(T)를 고정구(3)와 결속구(4) 사이에 끼워 넣어 반대쪽(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젖히면, 즉 도어(2)에서 도어 프레임(1)속에 삽입된 자물쇠(6)를 강제 해제시키는 반대 방향으로 젖히면, 도면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3)의 걸림고리(33)가 결속구(4)의 걸림 돌기(43)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구(3)가 회동하면서 걸림고리(33)가 결속구(4)의 걸림돌기(43)와 쉽게 결합하고 쉽게 빠져나오게 하기 위해, 도면 4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결속구(4)의 걸림돌기(43) 선단을 모따기하여 형성시킨 경사부(44)를 형성시킴으로써, 도면 4(a)(b)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고리(33)와 걸림돌기(43)의 결속 및 해제 동작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어 프레임(1)에 고정구(3)를 설치할 때 회동지지수단(5)을 매개하여 장착함으로써, 고정구(3)가 회동은 할 수 있으면서도 도어 프레임(1)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여, 도어 프레임(1)에 설치된 고정구(3)와 도어(2)에 장착된 결속구(4) 사이에 공구(T)를 넣어 자물쇠(6)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젖히면, 고정구(3)와 결속구(4)가 결속되어 불법 침입을 방지하게 하고, 다시 공구(T)를 반대 방향을 젖히면 고정구(3)와 결속구(4)의 결속상태가 해제되므로, 도어를 파손하거나 훼손시키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도어를 열고 실내로 들어갈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면, 공구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방하고 불법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불법 침입방지 작동이 이루어진 후에도 도어를 훼손시키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도어를 원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장착된 도어 프레임과 도어의 부분 단면도,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 3(a)(b)(c)(d)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구가 도어 프레임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결속되어 침임을 방지하는 상태와 결속상태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 5는 종래의 방화문 불법 침입방지장치의 결속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 6은 종래의 방화문 불법 침입방지장치에서 공구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해제시키려 하는 동작에 의해 결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도어 프레임 2 - 도어
3 - 고정구 4 - 결속구
5 - 회동지지수단 6 - 자물쇠

Claims (5)

  1. 삭제
  2. 도어 프레임(1)에 부착되면서 걸림고리(33)를 갖춘 고정구(3)와, 도어(2)에 고정 부착되면서 상기 고정구(3)의 걸림고리(33)에 걸려져 결속되는 걸림돌기(43)를 갖춘 결속구(4)로 이루어진 방화문의 침입방지 장치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1)에 설치되는 고정구(3)가 회동지지수단(5)을 통하여 장착되고, 상기 회동지지수단(5)은 도어 프레임(1)에 부착되는 부착벽(31)의 양쪽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51)와, 상기 양쪽 지지돌기(51) 사이에 형성된 테이프 부착면(52)에 부착되면서 양쪽 지지돌기(51)의 높이보다 더 두꺼운 치수로 이루어진 부착 테이프(53), 상기 부착벽(31)에 관통형성된 접시 머리 나사홈(54) 및, 상기 나사홈(54)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나사홈(54)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나사홈(54)과 유격을 갖게 결합되어 고정구(3)를 도어 프레임(1)에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는 나사(5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불법 침입방지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3)의 뒷벽(34)이 바닥면을 이루는 부착벽(31)과 걸림고리(33) 부분보다 더 두껍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침입방지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4)의 걸림돌기(43) 선단을 모따기 하여 경사면(44)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정구(3)의 걸림고리(33)와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침입방지장치
KR1020090015524A 2009-02-24 2009-02-24 방화문의 불법 침입방지 장치 KR100912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524A KR100912192B1 (ko) 2009-02-24 2009-02-24 방화문의 불법 침입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524A KR100912192B1 (ko) 2009-02-24 2009-02-24 방화문의 불법 침입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192B1 true KR100912192B1 (ko) 2009-08-14

Family

ID=4120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524A KR100912192B1 (ko) 2009-02-24 2009-02-24 방화문의 불법 침입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1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643B1 (ko) * 2018-04-20 2018-11-29 이명현 양개형 방화문 변형 방지 장치
CN112081478A (zh) * 2020-09-30 2020-12-15 北京中宇豪电气有限公司 一种加固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1081A (ja) 2003-02-17 2004-09-09 Akira Tamai 家屋外開きドア用防犯金具
JP2004346564A (ja) 2003-05-21 2004-12-09 Yushu Kenso:Kk 玄関等扉防犯用係止具
JP2006016793A (ja) 2004-06-30 2006-01-19 Toshiba Social Automation Systems Co Ltd 扉のこじ開け防止機構
KR20070013202A (ko) * 2006-05-08 2007-01-30 이장근 도어 파손 방지 방화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1081A (ja) 2003-02-17 2004-09-09 Akira Tamai 家屋外開きドア用防犯金具
JP2004346564A (ja) 2003-05-21 2004-12-09 Yushu Kenso:Kk 玄関等扉防犯用係止具
JP2006016793A (ja) 2004-06-30 2006-01-19 Toshiba Social Automation Systems Co Ltd 扉のこじ開け防止機構
KR20070013202A (ko) * 2006-05-08 2007-01-30 이장근 도어 파손 방지 방화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643B1 (ko) * 2018-04-20 2018-11-29 이명현 양개형 방화문 변형 방지 장치
WO2019203415A1 (ko) * 2018-04-20 2019-10-24 이명현 양개형 방화문 변형 방지 장치
CN112081478A (zh) * 2020-09-30 2020-12-15 北京中宇豪电气有限公司 一种加固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8530A (en) Bolt guards for door
KR100912192B1 (ko) 방화문의 불법 침입방지 장치
KR100924624B1 (ko) 방화문의 불법 침입방지 장치
CN209742687U (zh) 消防安全疏散门系统
JPH09184332A (ja) サッシ
KR101051922B1 (ko) 도어 잠금장치 설치구에 장착 가능한 디지털 도어락
JP4441922B2 (ja) クレセント錠の防犯カバー
KR200398176Y1 (ko) 불법 해체방지기능을 갖는 출입문용 문틀 차단구조
JP3050436U (ja) 錠装置
KR101058947B1 (ko)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JP4915941B2 (ja) 電気機器収納箱の扉の蝶番構造
JP3062336U (ja)
JP3115235U (ja) クレセント錠防犯器具
KR200345893Y1 (ko) 출입문용 보조 잠금장치
KR100888758B1 (ko) 방화문의 침입방지장치
JP2007079883A (ja) 自動販売機の防盗装置
KR200444970Y1 (ko) 도어 잠금장치
TWM506872U (zh) 用於隔音門之門鎖結構
JP3714034B2 (ja) 防犯プレート
JP6815638B2 (ja) 地震後の盗難防止方法及び装置
KR101941379B1 (ko) 창호 방충망용 잠금구 록킹장치
KR20120003754U (ko) 방범 현관문
TWM506873U (zh) 門鎖結構
JP2009102904A (ja) 建築用開閉体における防犯装置
JP3155232U (ja) サッシ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