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014B1 - 슬라이딩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014B1
KR100912014B1 KR1020080137236A KR20080137236A KR100912014B1 KR 100912014 B1 KR100912014 B1 KR 100912014B1 KR 1020080137236 A KR1020080137236 A KR 1020080137236A KR 20080137236 A KR20080137236 A KR 20080137236A KR 100912014 B1 KR100912014 B1 KR 100912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ing
distance
display module
golf ball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일
옥재윤
Original Assignee
(주) 골프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골프존 filed Critical (주) 골프존
Priority to KR102008013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014B1/ko
Priority to PCT/KR2009/001677 priority patent/WO2009145463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1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using electro-magnetic, magnetic or ultrasonic radiation emitted, reflected or interrupted by the golf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58Means associated with the ball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g. speed,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63B2024/0031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at the starting p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제 필드와 같은 환경을 제공하고 퍼팅시 자연스런 시선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타석 및 퍼팅매트를 제공하며, 퍼팅시 골프공 및 퍼터의 이동을 감지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감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3차원 필드상에서 이루어지는 퍼팅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의 3차원 필드에서 골프공에서 홀컵까지의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메인컴퓨터 및 상기 퍼팅매트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퍼팅 영상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메인컴퓨터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매 퍼팅시마다 사용자는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에 따라 높이가 조절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어, 실제 필드와 같이 원근감에 따라 자연스러운 시선 및 시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골프, 퍼팅, 시뮬레이터, 높이 조절, 디스플레이, 시선

Description

슬라이딩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Golf Putting Simulation Apparatus with Height Automatic-Controlled Display}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제 필드와 같은 환경을 제공하고 퍼팅시 자연스런 시선 각도를 유지하게 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프가 대중화되면서, 실제 골프장을 이용하는 인구도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골프장에 갈 시간적 및 경제적 여유가 없는 플레이어나 실제 골프장을 이용하기에 거북한 초보자를 중심으로 실내골프장을 찾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내 골프장도 대개는 장타를 연습하기 위한 시설이기때문에, 퍼팅 연습을 하고자 하는 플레이어들은 자신의 집이나 사무실에 인조잔디로 간단한 퍼팅 연습 시설을 마련하고 여기에서 연습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퍼팅 연습시설은 필드와 같은 현장감이 없을 뿐만 아니라, 플레이어가 오직 감으로 홀에 골프공을 넣는 동작을 수행하여 플레이어에게 퍼팅시의 다양한 정보(예를 들면 타격 방향 및 속도 등에 대한 정보 등)를 제공하지 못하여, 특히 초보자가 퍼팅 연습시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실내 골프장은 붐비는 시간이 있어 예약을 해야 하는 경우나 대기해야 하는 경우도 많아, 일부 플레이어들은 자택의 옥상 등의 공간에 간이 골프시설을 설치하여 자신의 집에서 골프를 즐기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간이 골프시설은 실제 필드의 현장감이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실제 필드를 모의화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는 골프 코스 전체 과정을 시뮬레이션하는 장치이므로, 장치가 방대하고 가격도 고가이어서, 실내에서 퍼팅 연습만을 하고자 하는 플레이어가 사용하기가 부담스러운 실정이다.
이를 위해 실내에서 골프 퍼팅 시뮬레이팅 관련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시뮬레이션 화면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퍼팅이 이루어지면 가상의 3차원 공간에서 골프공이 이동하게 되고,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도 변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홀컵과 골프공이 가까운 상태에서도 화면은 일정한 높이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된다.
그러나, 실제 필드상에서는 골프공과 홀컵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사용자는 홀컵이 멀리 있는 때보다 시선이 아래쪽을 향하게 된다. 즉, 골프공과 홀컵과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매 퍼팅시 사용자의 시선은 따라서, 종래의 골프 퍼팅 시뮬레이팅 장치는 사실감이 떨어지고 자연스러운 시선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퍼팅직후에도 자연스런 시선의 이동을 보장하는 화면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타석 및 퍼팅매트를 제공하며, 퍼팅시 골프공 및 퍼터의 이동을 감지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감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3차원 필드상에서 이루어지는 퍼팅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의 3차원 필드에서 골프공에서 홀컵까지의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메인컴퓨터 및 상기 퍼팅매트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퍼팅 영상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메인컴퓨터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컴퓨터는 사용자에 의해 퍼팅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가상의 3차원 필드상에서의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가 낮아지게 하고, 상기 골프공과 홀컵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높아지게 제어한다.
또한, 상기 메인 컴퓨터는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3 가지 단계로 나누어, 제 1 단계인 골프공과 홀컵과의 거리가 설정된 제 1 거리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정된 최저높이로 유지되도록 하고, 제 2 단계인 설정된 제 1 거리와 상기 제 1 거리보다 먼 제 2 거리 사이인 경우에는 일정한 비율로 높이가 증감되도록 하며, 제 3 단계인 설정된 제 2 거리보다 먼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정된 최고높이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컴퓨터는 실제 필드 상에서 홀컵까지의 거리에 따라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쳐다볼 수 있는 시선 각도에 대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의 3차원 공간에서 계측된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시선 각도를 검출하고,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거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보여지는 영상에서의 원근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선 각도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계산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컴퓨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다수개의 단계로 나누어 높이를 조절하되, 상기 다수개의 단계는 가상의 3차원 공간에서의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에 따라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골프공의 퍼팅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퍼팅매트,상기 퍼팅매트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타석, 상기 퍼팅매트 위에 골프공이 셋팅되는 셋팅부, 상기 퍼터의 움직임 방향 및 속도를 감지하는 퍼터 감지부 및 상기 퍼터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의 속도 및 이동 경로를 감지하는 골프공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퍼팅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가 일면에 형성되 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하나 이상 형성된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하나 이상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기 메인 컴퓨터는 퍼팅전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와 퍼팅후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를 비교하여, 증감된 거리만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메인 컴퓨터는 상기 퍼팅전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보다 퍼팅후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감소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현재 높이보다 낮아지게 하고, 상기 퍼팅전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보다 퍼팅후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증가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현재 높이보다 높아지게 제어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접하는 경사면의 기울기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접하는 경사면의 기울기가 하부 끝단으로 갈수록 완만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는 매 퍼팅 시마다 사용자는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에 따라 높이가 조절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어, 실제 필드와 같이 원근감에 따라 자연스러운 시선 및 시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 및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며, 도 2a 내지 도 4b는 골프공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가 가변되는 모습이 도시된 도이다.
도 1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는 본체부(100), 디스플레이부(200), 메인 컴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퍼팅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제공하며, 퍼팅시 골프공(B) 및 퍼터의 이동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퍼팅매트(110), 타석(120), 셋팅부(130) 퍼터 감지부(140) 및 골프공 감지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퍼팅매트(110)는 인조 잔디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퍼팅시 공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타석(120)은 상기 퍼팅매트(1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퍼팅 연습을 위해 위치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상기 셋팅부(130)는 퍼팅이 이루어지기 전 골프공이 셋팅되는 위치이다.
상기 퍼터 감지부(140)는 퍼터의 움직임 방향, 퍼터의 페이스 앵글, 이동경로, 스윙속도, 임팩트 포인트 및 임팩트 높이 등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골프공 감지부(150)는 퍼터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의 이동 경로, 속도 등을 감지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퍼팅매트의 전방에 형성되어 골프공이 가상의 3차원 필드상에서 움직이는 퍼팅 영상정보를 출력하고, 가상의 3차원 필드상에서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거리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퍼팅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10),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높이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장착되는 지지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사용자에 의해 퍼팅이 이루어진 후, 가상의 3차원 필드상에서 골프공이 이동하는 모습을 3차원 영상으로 만든 퍼팅 영상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LCD 패널, LED 패널, PDP 패널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모든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듈은 일실시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높이가 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 모듈은 구동 모터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구적 장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2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일정한 높이에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매체로써, 일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부(221)가 구비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가이드부(221)는 상기 지지부(220)의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홀이 될 수 있다.
또한,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가이드부(221)는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설정된 최고지점에서 설정된 최저지점까지 상하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221)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접하는 지지부(220)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21)를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이동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에는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일정한 고정된 각도를 유지하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접하는 경사면의 기울기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수직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하게 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일면이 지면과 수직방향의 경사면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시각에 맞추기 위해 약간 상방향을 바라보면서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사면의 기울기가 지면과 약 100°~110°정도 유지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지지부(220)가 일정한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최고지점에서는 경사를 가지는 것보다는 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처음에는 지면과 수직인 방향을 유지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선명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하강하여 최저지점에 가까워지면 사용자는 화면을 내려다보게 되므로,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약간 상방향을 바라보도록 기울기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접하는 경사면의 기울기가 하부 끝단, 즉 지면쪽의 설정된 최저지점으로 갈수록 완만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컴퓨터는 상기 본체부에서 감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3차원 필드상에서 이루어지는 퍼팅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메인 컴퓨터는 매 퍼팅 사이 사이마다 상기 가상의 3차원 필드상 에서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조절한다.
사용자에 의해 퍼팅이 이루어지면, 상기 메인 컴퓨터는 상기 퍼터 감지부(140) 및 상기 골프공 감지부(150)에 의해 골프공의 속도 및 방향을 계산하는 골프공 움직임을 먼저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결과는 가상의 3차원 필드상에서 골프공의 움직임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메인 컴퓨터는 상기 계산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골프공을 상기 가상의 3차원 필드상에서 이동시키고, 골프공이 정지한 위치에서 홀컵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즉, 메인 컴퓨터는 골프공의 이동이 멈춘 후에 홀컵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골프공과 홀컵까지의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제어한다.
기본적으로 메인 컴퓨터는 상기 가상의 3차원 필드 상에서의 골프공과 홀컵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가 낮아지게 하고, 상기 골프공과 홀컵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높아지게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하여 크게 다섯 가지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메인 컴퓨터는 매 퍼팅 전 또는 퍼팅 후에 가상의 3 차원 공간에서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거리에 따라 설정된 높이로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동시킨다. 즉, 이 경우에는 퍼팅 전 디스플레이 모듈 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만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거리에 비례하여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메인 컴퓨터는 퍼팅 후 계산한 거리와 퍼팅 전의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거리를 비교하여 거리가 증가하였는지 감소하였는지 및 증감거리를 파악한다. 즉, 현재(퍼팅 전)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기준으로 퍼팅 후 증감된 거리만큼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이다.
만약, 퍼팅 후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거리가 퍼팅 전의 거리보다 감소된 경우에는 감소된 거리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디스플레이 모듈을 현재보다 낮아지게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한다.
반대로, 퍼팅 후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거리가 퍼팅 전의 거리보다 증가된 경우에는 증가된 거리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디스플레이 모듈을 현재보다 높아지게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3 가지 단계로 나누어, 제 1 단계인 골프공과 홀컵과의 거리가 설정된 제 1 거리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최저높이가 유지되도록 하고, 제 2 단계인 설정된 제 1 거리와 상기 제 1 거리보다 먼 제 2 거리 사이인 경우에는 일정한 비율로 높이가 증감되도록 하며, 제 3 단계인 설정된 제 2 거리보다 먼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최고높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를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된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마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가 미리 설정되어 있어, 매 퍼팅 전 또는 퍼팅 후에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그에 해당하는 단계의 높이로 디스플레이 모듈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가 증감하는 비율을 실제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거리,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보여지는 영상에서의 원근비율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하되, 실제 필드상에서 홀컵까지의 원근에 따라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쳐다볼 수 있는 시선 각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자연스러운 시선 각도를 유지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앞서 모든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모듈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높이가 가상의 3차원 공간에서의 홀컵과 골프공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절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실제 필드에서와 같은 원근감을 느낄 수 있고, 보다 현실감 있는 시각으로 화면을 볼 수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의 동작을 가상의 3차원 필드 상에서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에 따라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라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멀 때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된 화면이 도시된 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라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멀 때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가 도시된 도이다.
도 2a 의 경우 일례로 홀컵까지의 거리가 10m인 경우로 어느 정도 거리가 멀다고 판단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 메인 컴퓨터는 도 2b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지지부(220)의 상부 끝단, 즉 설정된 최고지점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00)의 구동모듈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퍼팅이 이루어지면 상의 3차원 필드상에서 골프공이 이동하게 되며, 골프공은 홀컵에 현재보다 가깝게 되거나, 더 멀어지게 될 수 있는데, 만약, 사용자가 실수로 더 센 힘으로 골프공을 쳐 현재보다 더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현재보다 더 높게 한다. 이때,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이 최고지점에 위치한 경우에는 현재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많은 경우에서 퍼팅 후에는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이 경우를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라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중간 정도일 때의 일례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된 화면이 도시된 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라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중간 정도일 때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가 도시된 도이다.
퍼팅이 이루어진 후 도 3a와 같이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5m로 줄어든 경우에, 메인 컴퓨터는 이를 계측하고, 퍼팅 전의 거리인 10m와 비교한다.
메인 컴퓨터는 거리가 가까워졌음을 파악하고, 도 3b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그에 따라 감소시킨다.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앞서 3가지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상기 3가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만약 메인 컴퓨터가 계산한 거리가 퍼팅 전보다 더 멀어지게 된 경우에는, 상기 메인 컴퓨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다시 현재보다 더 높아지게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많은 경우에 퍼팅이 이루어지게 되면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는 더 가까워지게 된다.
도 4a와 같이 퍼팅 후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퍼팅 전보다 줄어들게 되면, 그에 따라 메인 컴퓨터는 도 4b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전보다 더 낮은 위치로 이동시킨다. 만약, 미리 일정 거리를 설정하고, 설정된 거리 이내로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좁혀지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설정된 최저지점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면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라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멀때의 일례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된 화면이 도시된 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라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멀때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가 도시된 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라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중간 정도일 때의 일례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된 화면이 도시된 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라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중간 정도일때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가 도시된 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가까울 때의 일례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된 화면이 도시된 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본 발명에 따라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가까울때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가 도시된 도이다.

Claims (14)

  1. 사용자가 위치하는 타석 및 퍼팅매트를 제공하며, 퍼팅시 골프공 및 퍼터의 이동을 감지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감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3차원 필드상에서 이루어지는 퍼팅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의 3차원 필드에서 골프공에서 홀컵까지의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메인컴퓨터; 및
    상기 퍼팅매트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퍼팅 영상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메인컴퓨터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컴퓨터는 사용자에 의해 퍼팅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가상의 3차원 필드상에서의 골프공과 홀컵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가 낮아지게 하고, 상기 골프공과 홀컵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높아지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컴퓨터는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3 가지 단계로 나누어, 제 1 단계인 골프공과 홀컵과의 거리가 설정된 제 1 거리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정된 최저높이로 유지되도록 하고, 제 2 단계인 설정된 제 1 거리와 상기 제 1 거리보다 먼 제 2 거리 사이인 경우에는 일정한 비율로 높이가 증감되도록 하며, 제 3 단계인 설정된 제 2 거리보다 먼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정된 최고높이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컴퓨터는 실제 필드 상에서 홀컵까지의 거리에 따라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쳐다볼 수 있는 시선 각도에 대해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의 3차원 공간에서 계측된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시선 각도를 검출하고,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거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보여지는 영상에서의 원근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시선 각도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계산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컴퓨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다수개의 단계로 나누어 높이를 조절하되, 상기 다수개의 단계는 가상의 3차원 공간에서의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에 따라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골프공의 퍼팅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퍼팅매트;
    상기 퍼팅매트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타석;
    상기 퍼팅매트 위에 골프공이 셋팅되는 셋팅부;
    상기 퍼터의 움직임 방향 및 속도를 감지하는 퍼터 감지부; 및
    상기 퍼터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의 속도 및 이동 경로를 감지하는 골프공 감지부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퍼팅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가 일면에 형성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하나 이상 형성된 가이드 홈 또는 가이드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면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하나 이상 형성된 가이드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1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컴퓨터는 퍼팅전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와 퍼팅후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를 비교하여, 증감된 거리만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컴퓨터는 상기 퍼팅전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보다 퍼팅후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감소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현재 높이보다 낮아지게 하고, 상기 퍼팅전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보다 퍼팅후 골프공과 홀컵 간의 거리가 증가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높이를 현재 높이보다 높아지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접하는 경사면의 기울기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과 접하는 경사면의 기울기가 하부 끝단으로 갈수록 완만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KR1020080137236A 2008-04-02 2008-12-30 슬라이딩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12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236A KR100912014B1 (ko) 2008-12-30 2008-12-30 슬라이딩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PCT/KR2009/001677 WO2009145463A2 (ko) 2008-04-02 2009-04-01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236A KR100912014B1 (ko) 2008-12-30 2008-12-30 슬라이딩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014B1 true KR100912014B1 (ko) 2009-08-14

Family

ID=4120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236A KR100912014B1 (ko) 2008-04-02 2008-12-30 슬라이딩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0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405B1 (ko) * 2015-09-25 2016-08-10 주식회사 호미 승마 운동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4492B1 (en) 2000-08-02 2001-07-03 Michael Taggett Sports training system and sports video game
KR100489418B1 (ko) 2004-12-09 2005-05-12 김완철 퍼팅교정 및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4492B1 (en) 2000-08-02 2001-07-03 Michael Taggett Sports training system and sports video game
KR100489418B1 (ko) 2004-12-09 2005-05-12 김완철 퍼팅교정 및 연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405B1 (ko) * 2015-09-25 2016-08-10 주식회사 호미 승마 운동 기반의 게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2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atically generating non-stereoscopic images for presentation and 3D viewing in a physical gaming and entertainment suite
US10300392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generation of virtual green
KR100470703B1 (ko) 골프연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461201B1 (ko) 골프 스윙 연습 시스템 및 방법
US10716991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method of realizing image for virtual golf, and computing-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 same recorded therein
CA2935704C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tereophonic sound for weather condition
KR101907995B1 (ko) 퍼팅 안내 기능을 구비한 골프 시뮬레이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27344A (ko) 스크린 골프의 게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94772B1 (ko) 골프스윙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0986512B1 (ko)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761789B1 (ko) 골프 퍼팅 시뮬레이터용 센싱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골프 퍼팅 시뮬레이터
KR101905324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20190046087A (ko) 스크린 골프장 시스템
KR100912014B1 (ko) 슬라이딩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12013B1 (ko)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자동 조절할 수 있는 골프 퍼팅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49846B1 (ko) 골프 시뮬레이터를 위한 미러형 에이밍 재현장치 및 재현방법
KR101422073B1 (ko) 스윙 플레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159676B1 (ko) 골프 연습용 매트장치
KR20120000810U (ko) 골프연습장의 분리형 스윙플레이트
KR101430723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937720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878100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CN112807649A (zh) 一种基于5g信息传递的虚拟高尔夫模拟方法及其装置
KR20180098924A (ko) 그린 상태 및 홀컵 위치 기반 그린 시뮬레이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01954B1 (ko) 등반각도와 등반속도 가변형 실내 암벽등반 시뮬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