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894B1 - 락킹타임을 줄일 수 있는 지연고정루프 - Google Patents

락킹타임을 줄일 수 있는 지연고정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894B1
KR100911894B1 KR1020030027655A KR20030027655A KR100911894B1 KR 100911894 B1 KR100911894 B1 KR 100911894B1 KR 1020030027655 A KR1020030027655 A KR 1020030027655A KR 20030027655 A KR20030027655 A KR 20030027655A KR 100911894 B1 KR100911894 B1 KR 100911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clock signal
output
time
del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819A (ko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3002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894B1/ko
Publication of KR20040093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4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phase shifting device being digitally controll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위상락킹 시간을 줄이면서도 집적회로의 면적이 줄어든 지연고정루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부클럭신호에 대해 일정한 지연시간을 고정시킨 동작클럭을 출력하는 지연 고정루프에 있어서, 피드백클럭신호와 기준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외부클럭신호를 버퍼링한 상기 기준클럭신호를 상기 비교기의 출력결과에 대응하는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딜레이체인;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는 다수의 딜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딜레이체인의 출력신호를 상기 다수의 딜레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통과시켜 상기 동작클럭으로 출력하는 클럭신호 지연조정부; 및 상기 기준클럭신호에 대응하는 동작타이밍이 상기 외부클럭신호에 대하여 지연되는 시간을 모니터링한 지연시간만큼 상기 동작클럭을 지연시켜 상기 피드백클럭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지연모델을 구비하는 지연고정루프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30027655
메모리, 지연고정루프, 딜레이, 디바이더, 주파수.

Description

락킹타임을 줄일 수 있는 지연고정루프{DELAY LOCKED LOOP FOR REDUCING LOCKING TIME}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연고정루프의 블럭구성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지연고정루프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럭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연고정루프의 블럭구성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지연고정루프의 클럭신호 지연조정부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
도5는 도3에 도시된 지연고정루프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이 고정식 반도체 장치에 사용되는 지연고정루프에 관한 것이다.
지연고정루프(DLL,Delay Loop)는 기준클럭 신호(reference clock signal)에 대하여 일정 시간 위상이 앞서는 내부클럭 신호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으 로 내부클럭 신호를 필요로 하는 상황은 램버스 디램(RDRAM: Rambus DRAM) 및 싱크로너스 디램(SDRAM: Synchronous DRAM)과 같이, 외부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생성되는 내부클럭신호에 동기되어 동작하며 비교적 높은 집적도를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에서 발생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핀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클럭 신호는 클럭 입력버퍼로 입력되어 클럭 입력버퍼로부터 내부클럭 신호가 발생되며, 내부클럭신호가 데이터 출력버퍼를 제어하여 외부로 데이터가 출력된다. 그런데 내부클럭신호는 클럭버퍼에 의해 외부클럭 신호로부터 일정 시간 지연되고, 또한 데이터 출력버퍼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도 내부클럭 신호로부터 일정시간 지연된 후 출력된다.
이로 인하여 출력 데이터는 외부클럭 신호에 대하여 많은 시간이 지연된 후에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말해 외부클럭 신호 인가 후 데이터가 출력되는 시간, 즉 출력 데이터 액세스 시간(tAC)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연 고정 루프 회로를 사용하여 내부클럭 신호의 위상을 소정 시간 앞서도록 만들어 줌으로써, 출력 데이터가 외부클럭 신호에 대하여 지연없이 출력될 수 있다. 즉 지연고정루프는 외부클럭 신호를 수신하고 일정 시간 위상이 앞서는 내부클럭신호를 발생하며, 내부클럭신호는 데이터 출력버퍼와 같은 반도체 장치의 각 부분의 기준클럭신호로서 사용된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지연고정루프의 블럭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지연고정루프는 외부클럭신호(ECK)가 클럭입력버퍼를 통과한 내부클럭신호(ICK)를 비교기(14)에서 비교한 결과값에 응답하여 지연 시켜 출력하며, 반도체 장치의 각 회로의 동작에 기준이 되는 동작클럭(CK)을 출력하는 딜레이체인(11)과, 딜레이체인(11)에서 출력되는 동작클럭(CK)를 클럭입력버퍼(10)와 데이터 출력버퍼(12)에서 지연되는 지연량만큼 지연시켜 피드백클럭신호(CKF)로 출력하는 지연모델(15)과, 내부클럭신호(ICK)를 4분주 또는 8분주등 분주하여 기준클럭신호(CKR)을 출력하기 위한 디바이더(13)와, 피드백클럭신호(CKF)와 기준클럭신호(CKR)의 위상을 비교하는 비교기(14)를 구비한다.
여기서 클럭입력버퍼(10)은 외부클럭신호(ECK)를 버퍼링하여 내부클럭신호(ICK)를 출력하는 것이며, 데이터 출력버퍼(12)는 동작클럭(CK)에 동기시켜 데이터신호(Data)를 출력데이터(DQ)로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지연고정루프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럭구성도이다.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지연고정루프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외부클럭신호(ECK)가 클럭입력버퍼(10)에 의해 버퍼링되어 출력되는 내부클럭신호(ICK)는 'd1' 만큼의 지연시간을 가지게 된다. 이어서 디바이더(13)에 의해 내부클럭신호(ICK)가 분주되고, 반전된 신호인 기준클럭신호(CKR)이 비교기(14)로 입력된다.
한편, 내부클럭신호(ICK)는 딜레이체인(11)에 의해 일정시간 지연된 후에 지연모델(15)로 입력된다.
이어서 지연모델(15)은 딜레이체인(11)에서 출력되는 동작클럭을 모델링된 지연시간만큼 지연시킨 피드백클럭신호(CKF)를 비교기(14)로 출력한다. 여기서 지연모델(15)이 모델링하는 지연시간은 클럭입력버퍼(10)와 데이터 출력버퍼(12)에 의해 클럭신호가 지연되는 시간이다.
따라서 비교기(14)로 출력되는 피드백클럭신호(CKF)는 내부클럭신호(ICK)를 클럭입력버퍼(10)에서 외부클럭신호(10)가 지연되는 시간인 'd1'과, 데이터출력버퍼(12)에 의해 동작클럭(CK)이 지연되는 시간인 'd2'과, 딜레이체인(11)에 의해 내부클럭이 지연되는 시간인 'α'만큼 지연시킨, 즉, 'd1+d2+α' 만큼 지연시킨 신호이다.
이어서 비교기(14)는 기준클럭신호(CKR)와, 피드백클럭신호(CKF)의 위상(도2의 X와 Y 참조)을 비교하고, 그 비교한 값을 딜레이체인(11)으로 출력한다. 이어서 딜레이체인(11)은 비교기(14)에서 출력되는 값에 의해 내부클럭신호(ICK)가 동작클럭신호(CK)로 출력되는 지연되는 지연시간(α)을 조정한다.
이어서 지연시간(α)이 조정된 동작클럭신호(CK)는 다시 지연모델(15)로 입력된다. 이어서 비교기(14)는 다시 지연모델(15)에서 피드백클럭신호(CKF)와 기준클럭신호(CKR)를 비교하고, 비교한 값에 의해서 딜레이체인(11)의 지연시간(α)을 다시 조정한다. 상기의 동작이 비교기(14)에 입력되는 피드백클럭신호(CKF)와 기준클럭신호(CKR)의 위상이 같을 때 까지 반복된다.
비교기(14)에 입력되는 피드백클럭신호(CKF)와 기준클럭신호(CKR)의 위상이 같을 때 위상락킹이 되고, 이 때의 동작클럭(CK)이 반도체 장치의 다른 회로에 입력되어 동작하는데 기준클럭으로 사용된다.
결국 위상락킹동작이라는 것은 내부클럭신호의 한주기(tCK)에서 내부클럭신호(ICK)를 클럭입력버퍼(10)에서 외부클럭신호(10)가 지연되는 시간인 'd1'과, 데 이터출력버퍼(12)에 의해 동작클럭(CK)이 지연되는 시간인 'd2'인 'd1+d2'를 뺀 시간을 찾아서 딜레이체인이 tCK - d1+d2 만큼의 지연시간을 찾는 동작이다.
한편, 딜레이체인(11)은 다수의 단위딜레이를 구비하여 비교기(14)로부터 입력되는 값에 의래서 내부클럭신호(ICK)가 동작클럭(CK)으로 되는데 있어서의 통과하게 되는 단위딜레이의 수를 한단씩 증가/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지연고정루프가 지연고정된 동작클럭(CK)를 찾는데 있어서, 딜레이체인(11)에 구비된 다수의 단위딜레이를 증가/감소시키는 단계가 많으면 많을수록 지연고정루프가 위상락킹동작을 하는데 있어서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또한 지연고정루프에 입력되는 외부클럭신호(CK)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서 딜레이체인(11)에 구비되는 단위딜레이의 수가 달라지는데, 외부클럭신호(ECK)의 주파수 범위가 증가하게 되면, 딜레이체인(11)에 구비되는 단위딜레이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단위딜레이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 지연고정루프가 위상락킹동작을 하는데 있어서 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서 d1+d2가 4ns라 하고 외부클럭신호(ECK)의 동작주파수가 200MHz(tCK=5ns)라고 하면, 딜레이체인(11)에서 찾아야할 지연고정시간은 1ns가 된다. 이 때 딜레이체인(11)의 단위딜레이가 0.5ns라고 하면 5단의 단위딜레이가 필요하다.
또한 외부클럭신호(ECK)의 동작주파수가 100MHz(tCK=10ns)이면, 딜레이체인(11)에서 찾아야할 지연고정시간은 6ns가 되고, 이 경우에는 30단의 단위딜레이가 딜레이체인(11)에 필요하다. 이때 만약 디바이더(13)이 내부클럭신호(ICK)를 4분주하여 기준클럭신호(CKR)로 출력한다면 약 4 ×30 =120 클럭이후에 위상락킹이 될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지연고정루프의 동작주파수 범위가 증가되면 될수록 딜레이체인(11)에 구비되는 단위딜레이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위상락킹동작을 하는데 있어서는 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한편 달레이체인(11)에 구비되는 단위딜레이를 단위지연시간을 늘리게 되면, 위상락킹된 동작클럭(CK)의 지터(jitter)가 커지게 되며, 단위딜레이의 단위지연시간을 줄이게 되면, 위상락킹된 동작클럭(CK)의 지터(jitter)는 감소되나 많은수의 단위딜레이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제안된 것으로, 위상락킹 시간을 줄이면서도 집적회로의 면적이 줄어든 지연고정루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클럭신호에 대해 일정한 지연시간을 고정시킨 동작클럭을 출력하는 지연 고정루프에 있어서, 피드백클럭신호와 기준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외부클럭신호를 버퍼링한 상기 기준클럭신호를 상기 비교기의 출력결과에 대응하는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딜레이체인;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는 다수의 딜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딜레이체인의 출력신호를 상기 다수의 딜레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통과시켜 상기 동작클럭으로 출력하는 클럭신호 지연조정부; 및 상기 기준클럭신호에 대응하는 동작타이밍이 상기 외부클럭신호에 대하여 지연되는 시간을 모니터링한 지연시간만큼 상기 동작클럭을 지연시켜 상기 피드백클럭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지연모델을 구비하는 지연고정루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연고정루프의 블럭구성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라 외부클럭신호(ICK)에 대해 일정한 지연시간을 고정한 동작클럭을 출력하는 지연 고정루프는 피드백클럭신호와 기준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비교기(600)와, 외부클럭(ECK)을 버퍼링한 내부클럭신호(ICK)를 비교기(600)의 출력결과에 대응하는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딜레이체인(400)와,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는 다수의 딜레이를 구비하여 딜레이체인(400)의 출력신호를 상기 다수의 딜레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통과시켜 동작클럭(CK)으로 출력하는 클럭신호 지연조정부(100)와, 내부클럭신호(ICK)에 대응하는 동작타이밍이 외부클럭신호(ECK)에 대하여 지연되는 시간을 모니터링한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상기 피드백클럭신호(CKF)로 출력하기 위한 지연모델(700)을 구 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연고정루프는 내부클럭신호(ICK)를 분주하여 지연모델(700)로 출력하기 위한 디바이더(200)을 더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연고정루프는 내부클럭신호(ICK)의 주파수를 감지하여 클럭신호 지연선택부(100)에서 다수의 딜레이중 하나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S1,S2)를 출력하는 주파수 감지기를 더 구비한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지연고정루프의 클럭신호 지연조정부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이다.
도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클럭신호 지연조정부(100)는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는 다수의 딜레이(110 ~ 130)와, 다수의 딜레이(110 ~ 130)중 하나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지연모델(700)로 출력하는 클럭신호 선택부(140)를 구비한다.
도5는 도3에 도시된 지연고정루프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하에서는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연고정루프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외부클럭신호(ECK)가 클럭입력버퍼(300)에 의해 버퍼링되어 출력되는 내부클럭신호(ICK)는 'd1' 만큼의 지연시간을 가지게 된다. 이어서 디바이더(200)에 의해 내부클럭신호(ICK)가 분주되고, 반전된 신호인 기준클럭신호(CKR)이 비교기(600)로 입력된다.
또한 주파수감지기(800)는 내부클럭신호(ICK)의 주파수를 감지하여 선택신호(S1,S2)를 클럭신호 지연조정부(100)로 출력한다. 주파수감지기(800)는 반도체 장치가 주로 동작하는 4가지의 클럭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이에 따라 선택신호(S1,S2)를 출력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200MHz, 166MHz,133MHz,100MHz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입력되는 내부클럭신호(ICK)의 주파수에 따라서 선택신호(S1,S2)를 11,10,01,00 중 하나로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내부클럭신호(ICK)는 딜레이체인(400)을 통과하여 클럭신호 지연조정부(100)로 입력되는데, 처음에는 지연시간 없이 입력된다.
클럭신호 지연조정부(100)에서는 다수의 서로다른 지연시간을 가지는 딜레이(110 ~ 130)를 구비하고 있는데, 딜레이체인(400)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A)는 다수의 딜레이(110 ~ 130)에 의해 서로 다르게 지연된 클럭(CKD1,CKD2,CKD3)으로 되어 클럭신호 선택부(140)로 출력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딜레이(110 ~ 130)에 의해 서로 다르게 지연된 클럭(CKD1,CKD2,CKD3)은 내부클럭신호(ICK)를 각각 dx,dy,dz만큼의 타임잉이 지연한 클럭신호들이다. 또한 여기서는 선택신호(S1,S2)가 '10'으로 출력되어 제2 딜레이(120)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CKD2)가 선택되어 지연모델(700)로 출력되는 것으로 한다.(B)
이어서 클럭신호 선택부(140)는 주파수 감지기(800)에서 출력되는 선택신호(S1,S2)에 의해서 지연된 클럭(CKD1,CKD2,CKD3)과 딜레이체인(400)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A)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지연모델(700)로 출력한다.
이어서 지연모델(700)은 클럭신호 지연조정부(100)의 출력신호(B)를 클럭입력버퍼(10)에서 외부클럭신호(10)가 지연되는 시간인 'd1'과, 데이터출력버퍼(12)에 의해 동작클럭(CK)이 지연되는 시간인 'd2'인 'd1+d2'만큼 지연시킨 피드백클럭신호(CKF)를 비교기(600)로 출력한다.
따라서 이 때 비교기(600)로 출력되는 피드백클럭신호(CKF)는 내부클럭신호(ICK)를 클럭입력버퍼(10)에서 외부클럭신호(10)가 지연되는 시간인 'd1'과, 데이터출력버퍼(12)에 의해 동작클럭(CK)이 지연되는 시간인 'd2'과, 클럭신호 지연조정부(100)에 의해서 지연된 시간,dy 만큼, 즉 'd1+d2+dy' 만큼 지연시킨 신호이다.
이어서 비교기(600)는 기준클럭신호(CKR)와, 피드백클럭신호(CKF)의 위상(도5의 X와 Y 참조)을 비교하고, 그 비교한 값을 딜레이체인(11)으로 출력한다. 이 때 기준클럭신호(CKR)와, 피드백클럭신호(CKF)의 위상이 같다면 지연고정루푸의 락킹이 이루어 지는 것이고, 이 때의 클럭신호 지연조정부(100)에서 출력되는 지연고정된 클럭(B)이 내부의 동작클럭(CK)으로 사용된다.
또한, 비교기(600)에 입력되는 기준클럭신호(CKR)와, 피드백클럭신호(CKF)의 정확하게 위상이 같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클럭신호 지연조정부(100)에서 이미 내부클럭신호(ICK)의 주파수에 따라서 일정한 시간을 지연시겼기 때문에 거의 비슷한 위상을 가지게 된다.
비교기(600)에 입력되는 기준클럭신호(CKR)와 피드백클럭신호(CKF)의 위상이 정확하게 같지 않다면, 비교기(600)의 출력값에 의해서 딜레이체인(600)에서 내부클럭신호(ICK)의 지연값을 조정하여 클럭신호 지연조정부(100)로 출력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연고정루프의 비교기(600)로 입력되는 기준클럭신호(CKR)와 피드백클럭신호(CKF)의 위상은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위상락킹 타임이 종래의 지연고정루프에 비하여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즉, 비교기(600)에서 처음비 교하는 순간 위상락킹이 바로 될 수도 있고, 비교기(600)의 비교값에 따라 딜레이체인(400)에서 지연값을 조정한다고 하더라도 미세한 타이밍만 조정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딜레이체인에 구비되는 단위딜레이의 수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지연고정루프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클럭신호 지연조정부(100)에 구비되는 다수의 딜레이에서 지연되는 지연시간은 반도체 장치가 동작하는 클럭의 주파수에 따라서 정해지게 되는데, 반도체 장치의 동작주파수는 통상 166MHz, 200MHz등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주로 동작되는 주파수에 따라서 정하면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지연고정루프의 경우에는 저주파(tCK 20ns ~ 30ns)에서는 엄청난 양의 단위딜레이가 딜레이체인에 필요하여, 사용할 수 없었는데, 본 발명에 의해서 딜레이체인에 구비되는 단위딜레이의 수를 증가시키기 않아도, 저주파용 딜레이를 클럭신호 지연조정부에 구비하게 되면 저주파에서 지연고정루프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통상 테스트시에만 사용되는 저주파를 위해 딜레이체인에 많은 수의 단위딜레이를 구비할 수 없었기 때문에 테스트시에는 지연고정루프를 사용할 수 없었는데, 본 발명에 의해서 테스트시에도 지연고정루프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지연고정루프의 동작클럭(CK)을 지연고정하는 시간을 종래보다 크게 줄일 수 있어 반도체 장치의 동작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딜레이체인에 구비되는 단위딜레이의 수를 크게 줄일 수 있어서, 지연고정루프의 회로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지연고정루프를 지연고정루프의 동작주파수 범위가 크게 증대되었다.

Claims (4)

  1. 외부클럭신호에 대해 일정한 지연시간을 고정시킨 동작클럭을 출력하는 지연 고정루프에 있어서,
    피드백클럭신호와 기준클럭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외부클럭신호를 버퍼링한 상기 기준클럭신호를 상기 비교기의 출력결과에 대응하는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는 딜레이체인;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는 다수의 딜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딜레이체인의 출력신호를 상기 다수의 딜레이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통과시켜 상기 동작클럭으로 출력하는 클럭신호 지연조정부; 및
    상기 기준클럭신호에 대응하는 동작타이밍이 상기 외부클럭신호에 대하여 지연되는 시간을 모니터링한 지연시간만큼 상기 동작클럭을 지연시켜 상기 피드백클럭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지연모델
    을 구비하는 지연고정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신호 지연조정부는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는 상기 다수의 딜레이와, 상기 다수의 딜레이중 하나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지연모델로 출력하는 클럭신호 선택부를 구비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고정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클럭을 분주하여 상기 지연모델로 출력하기 위한 디바이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고정루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클럭의 주파수를 감지하여 상기 클럭신호 선택부에서 상기 다수의 딜레이중 하나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감지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고정루프.
KR1020030027655A 2003-04-30 2003-04-30 락킹타임을 줄일 수 있는 지연고정루프 KR100911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655A KR100911894B1 (ko) 2003-04-30 2003-04-30 락킹타임을 줄일 수 있는 지연고정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655A KR100911894B1 (ko) 2003-04-30 2003-04-30 락킹타임을 줄일 수 있는 지연고정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819A KR20040093819A (ko) 2004-11-09
KR100911894B1 true KR100911894B1 (ko) 2009-08-11

Family

ID=3737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655A KR100911894B1 (ko) 2003-04-30 2003-04-30 락킹타임을 줄일 수 있는 지연고정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8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29B1 (ko) 2006-07-31 2008-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연 동기 루프 회로 및 클럭 신호 발생 방법
KR100807116B1 (ko) * 2006-10-31 2008-02-2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
KR100919243B1 (ko) 2007-01-17 2009-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대역에 적응적인 코오스 락 타임을 갖는 dll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929653B1 (ko) 2008-04-15 2009-12-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레지스터 제어형 지연고정루프회로
KR100917630B1 (ko) 2008-04-30 2009-09-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지연 고정 루프 회로
KR100948077B1 (ko) * 2008-09-12 2010-03-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677A (ko) * 1998-05-29 1999-12-15 김영환 클럭보정회로
KR20020002540A (ko) * 2000-06-30 2002-01-10 박종섭 리드 동작 시에 지연고정루프의 록킹 위치를 고정시키는쉬프트활성화신호 발생 장치를 갖는 지연고정루프
KR20020012710A (ko) * 2000-08-08 2002-02-20 윤종용 위상 락킹 정보를 저장 및 복원할 수 있는 지연동기회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677A (ko) * 1998-05-29 1999-12-15 김영환 클럭보정회로
KR20020002540A (ko) * 2000-06-30 2002-01-10 박종섭 리드 동작 시에 지연고정루프의 록킹 위치를 고정시키는쉬프트활성화신호 발생 장치를 갖는 지연고정루프
KR20020012710A (ko) * 2000-08-08 2002-02-20 윤종용 위상 락킹 정보를 저장 및 복원할 수 있는 지연동기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819A (ko) 2004-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099B2 (en) Testing apparatus and testing method
US6593786B2 (en) Register controlled DLL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US6768361B2 (en) Clock synchronization circuit
US7282971B2 (en) Digital delay lock loop
US8242822B2 (en) Delay locked loop
KR100541685B1 (ko) 지연 동기 루프 장치
US7027352B2 (en) Delay locked loop (DLL) in semiconductor device
US6815985B2 (en) Clock divider and method for dividing a clock signal in a DLL circuit
US7737744B2 (en) Register controlled delay locked loop circuit
US7109774B2 (en) Delay locked loop (DLL) circuit and method for locking clock delay by using the same
US7605624B2 (en) Delay locked loop (DLL) circuit for generating clock signal for memory device
US20050242855A1 (en) Delay locked loop circuit
US76716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phase clocks
KR100400041B1 (ko) 정밀한 위상 조절이 가능한 지연 동기 루프 및 위상 조절방법
KR100616490B1 (ko) 레지스터-제어 디지털 지연동기루프
KR100911894B1 (ko) 락킹타임을 줄일 수 있는 지연고정루프
KR100800139B1 (ko) 디엘엘 장치
KR101900857B1 (ko) 2단 타임 투 디지털 컨버터 기반 완전 디지털 지연 고정 루프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100410632B1 (ko) 소비전류와 레이아웃 면적의 감소를 위한 지연고정루프
US6788127B2 (en) Circuit for variably delaying data
KR101027347B1 (ko) 지연고정루프 회로
KR100911191B1 (ko) 주파수 조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dll 회로
KR20060075008A (ko) 반도체 기억 소자에서의 지연 고정 루프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08022466A (ja) クロック生成回路
KR20030083227A (ko) 정확한 코오스 락킹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코오스 락제어회로와 이를 구비하는 지연동기 루프회로, 및 코오스락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