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290B1 - 액체 혼합식 주입기 - Google Patents

액체 혼합식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290B1
KR100911290B1 KR20070041044A KR20070041044A KR100911290B1 KR 100911290 B1 KR100911290 B1 KR 100911290B1 KR 20070041044 A KR20070041044 A KR 20070041044A KR 20070041044 A KR20070041044 A KR 20070041044A KR 100911290 B1 KR100911290 B1 KR 100911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valve
pair
branch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41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6432A (ko
Inventor
이찌로 기따니
시게아끼 후나무라
Original Assignee
코비디엔 아게
니뽄 셔우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비디엔 아게, 니뽄 셔우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코비디엔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106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23Multiway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4Access sites having pierceable self-sealing members
    • A61M39/045Access sites having pierceable self-sealing members pre-slit to be pierced by blunt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6Valves closing automatically on disconnecting the line and opening on reconnec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입구 포트(16b) 및 출구 포트(16a)를 갖는 본체(10, 30)와, 상기 본체의 챔버 내에 배열된 밸브 몸체(21, 41)를 포함하는 액체 혼합식 주입기(A, B, C)를 제공하고, 상기 밸브 몸체는 수직 벽 부분(24a, 54a)을 구비하며, 유체 유동 위치와 유체 차단 위치 사이에서 축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밸브 몸체(21)는 상기 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아암(27a, 27b, 47a, 47b)을 포함하고, 상기 액체 혼합식 주입기는 상기 밸브 몸체의 유체 유동 채널과 유체 유동 연결된 제2 입구 포트(12)를 포함한다.
액체 혼합식 주입기, 챔버, 분지 튜브, 합류 분지 튜브, 수직 벽, 연결 구멍

Description

액체 혼합식 주입기 {LIQUID-MIXING INFUSOR}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평면도.
도2는 제1 실시예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측면도.
도3은 제1 실시예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정면도.
도4는 선 4-4를 따른 도2의 단면도.
도5는 선 5-5를 따른 도1의 단면도.
도6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밸브의 상태에서 액체 혼합식 주입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7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밸브의 상태에서 액체 혼합식 주입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8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조작 부분의 상태에서 액체 혼합식 주입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9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조작 부분의 상태에서 액체 혼합식 주입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평면도.
도11은 제2 실시예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정면도.
도12는 제2 실시예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측면도.
도13은 선 13-13을 따른 도10의 단면도.
도1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조작 부분의 상태에서 액체 혼합식 주입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조작 부분의 상태에서 액체 혼합식 주입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16은 제3 실시예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단면도.
도17은 도16의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밸브의 상태에서 액체 혼합식 주입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8은 도16의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밸브의 상태에서 액체 혼합식 주입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B, C : 액체 혼합식 주입기
10, 30 : 본체
16a, 16b : 연결 구멍
21, 41: 밸브 몸체
27a, 27b : 선형 돌출부
47a, 47b : 스트립 돌출부
본 발명은 복수의 분지 튜브를 구비한 복수의 주입 튜브 등에 연결되어, 각각의 분지 튜브의 연결 또는 차단 섹션을 절환할 수 있는,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액체 혼합식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신체 내로의 생리 식염수 용액, 약물 용액 등의 제공은 기존에 주입 튜브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되었다. 공기가 그러한 주입 튜브 내부에 혼합되어 생리 식염수 용액 또는 약물 용액과 함께 신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본 실용 신안 출원 공개 제1973-68994호에 도시된 공기 트랩이 주입 튜브 내에 설치되고, 공기는 이러한 공기 트랩 내에 포착된다.
이러한 공기 트랩의 경우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동 경로의 수평 영역의 일부가 중단되고, 트랩 공간이 이러한 중단부 위에 설치되고, 일방향으로의 유동 경로의 일단부가 상방으로 구부러져서 트랩 공간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타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동 경로의 일단부가 상방으로 구부러져서, 트랩 공간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즉, 이는 유동 경로 내에 형성된 트랩 공간을 구비한 뒤집힌 U-형상 부분을 갖도록 구성되어, 모든 공기가 트랩 공간 내에 포착되도록 허용하고 임의의 공기가 신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위에서 설명된 공기 트랩은 한 종류의 생리 식염수 용액 또는 약물 용액을 투여하기 위한 주입 튜브에 대해 사용되고, 복수의 생리 식염수, 약물 용액 등의 투여는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액체 혼합식 주입기는 복수의 주입 튜브를 연결 또는 차단함으로써 복수의 생리 식염수 또는 약물 용액을 투여하지만, 그러한 액체 혼합식 주입기에서, 공기가 신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준비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상황에 대해 이루어졌고, 그의 목적은 액체 내의 모든 공기를 제거하고 복수의 분지 튜브들 사이에서 임의의 선택적인 분지 튜브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액체 혼합식 주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는 중심 부분이 수직으로 설정된 축방향을 갖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 챔버와, 챔버 위에 형성되어 챔버 내부에 대해 연결 가능하거나 차단 가능한 유동 경로를 구비한 분지 부분과, 챔버의 중심 부분의 주연 표면의 양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챔버의 내부에 연결되는 유동 경로를 각각 갖는 한 쌍의 분지 튜브를 포함하는 액체 혼합식 주입기 본체와, 챔버의 축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챔버 내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분지 튜브와 챔버 사이를 차단하거나 한 쌍의 분지 튜브들 중 적어도 하나와 챔버의 내부를 분지 부분을 통해 연결하는 밸브와, 밸브로부터 챔버의 외부로 연장되고, 챔버의 외부 상에서 챔버의 축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조작 부분을 갖는 회전 부분을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는 챔버의 축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밸브를 포함하는 회전 부분과, 밸브로부터 챔버 외부로 연장되며 챔버의 외측 측면 상에서 회전 가능한 조작 부분을 갖는다. 또한, 이는 밸브가 조작 부분을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분지 튜브와 챔버의 내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이러한 밸브는 한 쌍의 분지 튜브와 챔버 사이의 차단 또는 튜브 및 챔버의 연결을 허용하고, 또한 한 쌍의 분지 튜브들 중 하나와 챔버의 내부가 연결되도록 허용한다.
아울러, 분지 부분의 유동 경로를 챔버에 연결함으로써, 분지 부분의 유동 경로를 한 쌍의 분지 튜브들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환자의 신체에 하나 또는 두 종류의 약물 용액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약물 용액이 한 쌍의 분지 튜브와 챔버의 내부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유동 경로 내에서 유동하도록 허용되면, 약물 용액은 챔버 위에 형성된 분지 부분을 통과한다.
구체적으로, 분지 부분은 하나의 분지 튜브를 챔버를 통해 다른 분지 튜브에 연결하는 유동 경로 위에 형성된 공간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약물 용액이 분지 부분을 통해 연결된 유동 경로를 통과하도록 허용되면, 약물 용액은 분지 부분 내부의 모든 공기를 유동 경로의 하류측으로 밀어내도록 유동한다. 그러므로, 약물 용액을 환자의 신체 내부로 공급하기 전에, 유동 경로 내부의 공기는 소량의 약물 용액과 함께 토출될 수 있고, 유동 경로는 임의의 공기가 없이 약물 용액으로 충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기는 약물 용액이 신체에 투여될 때 신체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유사하게, 분지 부분의 유동 경로가 챔버에 연결될 때, 분지 부분 및 챔버 내부의 모든 공기는 공급되는 약물 용액과 함께 분지 부분의 유동 경로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이후에 약물 용액이 신체로 공급될 수 있다.
구성에 대한 본 발명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다른 특징은 챔버는 상부에서 개방되고 바닥에서 폐쇄된 바닥이 있는 실린더로서 형성되고, 조작 부분은 챔버의 상단부 개방 측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캡형 몸체로서 형성되고, 분지 부분은 조작 부분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챔버의 바닥은 편평 표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설치판 상에 복수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각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는 연결된 복수의 주입 튜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신체에 많은 수의 약물 용액을 동시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액체 혼합식 주입기를 설치판 상에 설치함으로써, 조작 부분의 조작은 한 손으로 쉽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분은 각각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상부에 위치되고, 결과적으로 이는 보기 쉽고, 회전 부분의 조작 위치가 쉽게 확인될 수 있다. 아울러, 캡형 몸체는 챔버의 상단부 개방부 상에 직접 설치될 수 있거나, 밸브 등과 같은 부품을 통해 상단부 개방부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캡형 몸체는 실린더에 가까운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또 다른 특징은 챔버는 양단부가 개방된 실린더로서 형성되고, 조작 부분은 챔버의 바닥 개방부로부터 챔버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허용되고, 동시에 캡형 몸체가 챔버의 상부 개방부에 부착되고, 분지 부분은 캡형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경우에, 조작 부분은 양호하게는 챔버의 바닥 개방부의 주연부에서 규정된 범위의 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만들어지고, 이동 범위 외부의 조작 부분의 부분은 양호하게는 조작 부분의 바닥 단부를 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상부에 위치된 분지 부분은 챔버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분지 부분의 측면 상에 형성된 유동 경로를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챔버의 바닥 개방부에 연장부를 설치함으로써, 액체 혼합식 주입기를 그가 연장될 때 설치 부품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조작 부분은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설치 부품 상의 설치 시에 임의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동시에 액체 혼합식 주입기가 설치 부품 상에 설치될 때의 작업이 쉬워 진다.
본 발명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또 다른 특징은 밸브는 밸브가 챔버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한 쌍의 분지 튜브와 챔버 사이를 특정 방향으로 차단하는 한 쌍의 차단 섹션과, 밸브가 특정 방향으로부터 약 90° 회전하도록 허용될 때 한 쌍의 분지 튜브와 챔버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만입된 섹션을 갖고, 아울러 회전 방향을 따른 한 쌍의 만입된 부분들의 폭은 다르게 설정되어, 밸브가 특정 방향으로부터 약 90°보다 더 작은 특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허용될 때, 한 쌍의 분지 튜브들 중 하나만이 챔버에 연결되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한 쌍의 분지 튜브와 챔버 사이의 연결을 위해 폭 방향으로 다른 크기를 갖는 한 쌍의 만입된 연결 섹션을 실린더 내에서 사이에 중심축을 갖는 양측면 상에 설치함으로써 밸브를 구성하여, 실린더의 변화되지 않은 다른 부분들이 각각 한 쌍의 분지 튜브 및 챔버를 차단하는 한 쌍의 차단 섹션을 형성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한 쌍의 만입된 연결 섹션은 분지 부분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만입된 연결 섹션들 사이의 이러한 경 우의 크기 차이는 다른 분지 튜브 및 챔버가 연결된 채로 큰 만입된 연결 섹션이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하나의 분지 튜브 및 챔버가 연결된 채로 작은 만입된 연결 섹션이 이동 가능하게 허용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단순한 구조로 유동 경로 절환을 신뢰할 수 있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또 다른 특징은 밸브는 밸브가 챔버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한 쌍의 분지 튜브와 챔버 사이를 특정 방향으로 차단하는 한 쌍의 차단 섹션과, 밸브가 특정 방향으로부터 약 90° 회전하도록 허용될 때 한 쌍의 분지 튜브와 챔버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만입된 섹션을 갖고, 아울러 한 쌍의 만입된 연결 섹션들의 위치는 밸브의 외측 주연부의 부분으로부터 변위되어, 밸브의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는 가상선과 교차하여, 밸브가 특정 방향으로부터 약 90°보다 더 작은 특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허용될 때 한 쌍의 분지 튜브들 중 하나만이 챔버에 연결되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한 쌍의 만입된 연결 섹션에서 한 쌍의 분지 튜브의 개방부와 대면하는 부분은 한 쌍의 분지 튜브의 개방보다 더 크도록 허용되고, 동시에 만입된 연결 섹션의 위치는 사이에 밸브의 중심축을 갖는 밸브의 주연부에서의 두 측면으로부터 변위되도록 허용된다. 아울러, 회전 방향을 따른 한 쌍의 만입된 연결 섹션들의 폭은 동일하게 설정되고, 하나의 만입된 연결 부분의 전방 모서리 부분이 하나의 분지 튜브의 개방부와 대면하고, 이러한 만입된 연결 부분이 이러한 분지 튜브에 연결될 때, 다른 만입된 연결 부분의 전방 단부 부분은 다른 분지 튜브의 개방부와 대면하고, 다른 만입된 연결 부분은 다른 분지 튜브에 연결된다.
따라서, 만입된 연결 섹션은 다른 만입된 연결 섹션의 후방 모서리 측면이 분지 튜브의 개방부와 대면하여 만입된 연결 섹션을 분지 튜브에 연결하도록 밸브가 회전될 때 차단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다른 만입된 연결 섹션은 상기 다른 만입된 섹션의 후방 모서리 부분이 다른 분지 튜브의 개방부와 대면하도록 밸브를 회전시킴으로써 다른 분지 튜브에 계속 연결되고, 위에서 설명된 만입된 섹션은 차단된다. 결과적으로, 단순한 구조로 유동 경로를 신뢰할 수 있게 절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한 쌍의 만입된 연결 섹션들의 폭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한 쌍의 분지 튜브 및 개방부의 위치 관계를 적합하게 조정함으로써 한 쌍의 만입된 연결 섹션들 중 하나만이 또는 모두가 챔버에 연결되도록 허용하거나 이들 모두를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한 쌍의 만입된 연결 섹션들의 위치가 이러한 경우에 밸브의 외측 원주부의 부분으로부터 변위되어 가상선과 교차하는 사실은 원주 방향을 따른 하나의 만입된 연결 부분의 중심이 밸브의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는 가상선 상에 있을 때, 다른 만입된 연결 섹션의 중심은 밸브의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는 가상선 상에 위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다른 특징은 챔버의 원주 표면은 설치된 위치 설정 보스를 갖고, 동시에 조작 부분은 밸브를 위치 설정 보스와 맞물리도록 허용함으로써 밸브를 규정된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설치된 정지부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 부분은 밸브가 유동 경로 절환을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허용하는 규정된 위치에 신뢰할 수 있게 정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또 다른 특징은 분지 부분은 챔버의 상부 개방부 측면 상에 설치된 대체로 원통형인 분지 튜브와, 분지 튜브 내부에 설치되어 삽입 튜브가 통과하도록 허용할 수 있는 고무 플러그를 포함하도록 허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챔버 위에 형성된 분지 튜브의 유동 경로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챔버의 내부에 연결되거나 그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경우의 삽입 튜브로서, 커넥터 삽입 부분, 커넥터 또는 주사기의 수형 루어 또는 주사용 바늘과 같은 바늘, 무딘 바늘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그러한 삽입 튜브의 팁이 날카롭지 않으면, 고무 스토퍼는 삽입 튜브를 삽입하기 위한 슬릿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가 다음과 같이 도면을 사용함으로써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1 - 도3은 이러한 실시예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A)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이러한 액체 혼합식 주입기(A)는 액체 혼합식 주입기 본체(10) 및 회전 부분(20)을 포함한다. 액체 혼합식 주입기 본체(10)는 축방향으로 짧은 길이 및 수직으로 배치된 축방향을 갖는 실린더로서 형성된 챔버(11)와, 챔버(11) 위에 형성된 합류 분지 부분(12: 도5 참조)과, 주연 표면에서 챔버(11)의 두 측면에 각각 연결되고 180°의 각도를 유지하여 동축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 류 및 상류 분지 튜브(13, 14)를 포함한다.
챔버(11)의 주요 부분은 바닥이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된, 바닥이 있는 실린더를 형성하고, 원주 방향으로의 그의 주연 표면 상에, 취급 돌출부(15a, 15b, 15c, 15d)가 형성된다. 취급 돌출부(15a, 15b, 15c, 15d)는 4개의 방향으로 챔버의 주연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그의 팁은 하류 분지 튜브(13) 및 상류 분지 튜브(14)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외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의 축방향의 대체로 중심에서 서로 대면하는 부분들은 각각 2개의 연결 구멍(16a, 16b)을 갖는다.
연결 구멍(16a)이 취급 돌출부(15a, 15b)들 사이에 형성되고, 연결 구멍(16b)이 취급 돌출부(15c, 15d)들 사이에 형성된다. 연결 구멍(16a)에 대응하는 챔버(11)의 부분은 설치된 하류 분지 튜브(13)를 갖고, 연결 구멍(16a)을 통해, 챔버(11)의 내부와 하류 분지 튜브(13) 내부에 형성된 유동 경로(13a)가 연결된다. 또한, 연결 구멍(16b)에 대응하는 챔버(11)의 부분은 설치된 상류 분지 튜브(14)를 갖고, 연결 구멍(16b)을 통해, 챔버(11)의 내부와 상류 분지 튜브(14) 내부에 형성된 유동 경로(14a)가 연결된다.
하류 분지 튜브(13)는 챔버(11)와 함께 단일체로서 형성되고, 챔버(11)의 측면 상에 위치된 기부 단부(13b) 및 팁 측면 상에 위치되어 기부 단부(13b)보다 더 얇게 만들어진 수형 루어(13c)를 포함한다. 수형 루어(13c)는 기부 단부(13b)의 측면으로부터 팁 단부 측면을 향해 테이퍼져서 형성된다. 하류 분지 튜브(13)의 원주 표면 상의 기부 단부(13b)와 수형 루어(13c) 사이의 경계 내에, 돌출부(13d) 가 원주부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류 분지 튜브(14)는 챔버(11)와 일체로 형성된다. 내부에 (챔버(11) 측면에) 형성된 유동 경로(14a)의 하류측은 연결 구멍(16b)의 측면 상에서 작게 설정되지만 연결 구멍(16b)으로부터 멀리 이동함에 따라 증가하는 직경으로 테이퍼져서 형성된다. 아울러, 유동 경로(14a)의 상류측도 상류 분지 튜브(14)의 개방부에 접근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으로 테이퍼져서 형성된다. 상류 분지 튜브(14)의 개방부의 원주부에, 연결부(14b)를 위한 스크루가 형성된다. 취급 돌출부(15a, 15d)들 사이의 챔버(11)의 주연 표면 상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은 위치 설정 보스(17a, 17b)가 취급 돌출부(15a, 15d)들 사이의 거리를 3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분할하기 위한 간격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유사하게, 취급 돌출부(15b, 15c)들 사이의 챔버(11)의 주연 표면 상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작은 위치 설정 보스(18a, 18b)가 취급 돌출부(15b, 15c)들 사이의 거리를 3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분할하기 위한 간격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아울러, 챔버(11)의 내측 원주 표면의 상단부 부분 상에, 만입된 부분을 위한 환형 캐치(11a)가 형성되고, 회전 부분(20)은 이러한 캐치(11a)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된다. 더욱이, 합류 분지 부분(12)은 본체(10)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의 일부를 구성하지만,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는 회전 부분(20) 내에 통합된다.
회전 부분(20)은 밸브(21)와, 밸브(21)의 상단부에 연결된 조작 부분(25)을 포함한다. 밸브(21)는 챔버(11) 내부에 설치되고, 조작 부분(25)을 조작함으로써, 챔버(11) 내부에서 축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밸브(21)의 외형은 대체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사이에 그의 축을 갖는 실린더의 두 측면은 측방향 표면의 상부로부터 바닥 측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만입된 연결 섹션(22, 23)을 갖는다. 만입된 연결 섹션(22)은 상부 측면으로 구성된 상부 만입부(22a)와, 상부 만입부(22a)의 바닥과 밸브(21)의 주연 표면 사이의 부분을 관통하는 연결 구멍(22b)을 포함한다.
상부 만입부(22a)의 주연 표면의 경우에, 밸브(21)의 외측 주연 측면 상에 위치된 평면은 밸브(21)의 주연 표면을 따라 원호형 곡률 상에 형성되고, 밸브(21)의 중간 측면에 위치된 표면은 상단부가 밸브(21)의 중심에 가깝지만 밸브(21)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멀어지는 원추형 표면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원주 방향을 따른 연결 구멍(22b)의 폭은 연결 구멍(16a)의 직경의 3배보다 약간 더 크게 설정되고, 연결 구멍(22b)의 수직 길이는 연결 구멍(16a)의 직경과 대체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아울러, 만입된 연결 섹션(23)은 상부 측면으로 구성된 상부 만입부(23a)와, 상부 만입부(23a)의 바닥과 밸브(21)의 주연 표면 사이의 부분을 관통하는 연결 구멍(23b)을 포함한다. 상부 만입부(23a)의 주연 표면의 경우에, 밸브(21)의 외측 주연 측면 상에 위치된 표면은 밸브(21)의 주연 표면을 따라 원호형 곡률 상에 형성되고, 밸브(21)의 중간 측면에 위치된 표면은 상단부가 밸브(21)에 가깝지만 밸브(21)의 중심으로부터 하방으로 멀어지는 원추형 표면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연결 구멍(23b)의 직경은 연결 구멍(16b)과 대체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그러므로, 양측면 상에 원추형 표면을 구비한 수직 벽(24a)은 밸브(21) 내의 만입된 연결 섹션(22, 23)들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수직 벽(24a)의 두 측면에서, 밸브(21)의 주연부(21a)의 일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차단 섹션(24b, 24c)이 형성된다. 즉, 밸브(21)는 수직 벽(24a), 한 쌍의 차단 섹션(24b, 24c), 주연 측면(21a), 및 평면 바닥(21b)을 포함하고, 연결 구멍(23b)이 연결 구멍(16b)과 정합되도록 허용되면, 상류 분지 튜브(14)의 유동 경로(14a)와 챔버(11)의 내부(챔버(11)와 밸브(21) 사이의 공간)가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연결 구멍(16a)은 연결 구멍(22b)의 폭 방향으로의 중심 부분에 위치되고, 챔버(11)의 내부와 하류 분지 튜브(13)의 유동 경로(13a)가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상류 분지 튜브(14)와 하류 분지 튜브(13)가 챔버(11)를 통해 연결되고, 약물 용액이 상류 분지 튜브(14)의 유동 경로(14a) 내로 주입되면, 약물 용액은 만입된 연결 섹션(23) 내에 축적된다. 이후에, 약물 용액의 수준이 수직 벽(24a)의 상단부를 넘을 때, 용액은 만입된 연결 섹션(22)으로 그리고 연결 구멍(22b)을 통해 하류 분지 튜브(13)의 유동 경로(13a)로 유동한다. 이러한 경우에, 약물 용액의 역류가 수직 벽(24a)에 의해 방지되고, 동시에 약물 용액은 챔버(11)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허용되어, 임의의 공기가 챔버(11) 내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도6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21)는 도4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특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허용되어, 연결 구멍(22b)의 폭 방향으로의 일단부 부분은 연결 구멍(22b)과 연결 구멍(16a) 사이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결 구멍(16a)의 일단부 부분에 위치되고, 연결 구멍(16a)은 차단 섹션(24c)에 의해 차단된다. 결과적으로, 챔버(11)와 하류 분지 튜브(13)가 연결되고, 상류 분지 튜브(14)와 챔버(11)는 차단된다. 유사하게,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21)는 도4의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특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허용되어, 연결 구멍(22b)의 폭 방향으로의 타단부 부분은 연결 구멍(22b)과 연결 구멍(16a) 사이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결 구멍(16a)의 타단부에 위치되고, 연결 구멍(16b)은 차단 섹션(24b)에 의해 차단된다.
그러므로, 챔버(11)와 하류 분지 튜브(13)가 연결되고, 상류 분지 튜브(14)와 챔버(11)는 차단된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결 구멍(16a 또는 16b)은 밸브(21)가 도6의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하거나 밸브(21)가 도7의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차단 섹션(24b 또는 24c)으로 차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류 분지 튜브(14)와 챔버(11) 그리고 하류 분지 튜브(13)와 챔버(11)가 차단될 수 있다.
밸브(21)의 상단부 부분은 원주부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챔버(11)의 캐치(11a)와 맞물리도록 허용되는 캐치 부분(21c)을 갖고, 밸브(21)는 캐치 부분(21c)이 캐치(11c)와 맞물렸을 때 챔버(11)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밸브(21)의 상부 주연 부분은 캐치 부분(21d)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그의 내부는 캐칭 만입부이고 그의 외부는 캐칭 돌출부이다.
조작 부분(25)은 밸브(21)의 상부 원주부에 설치되고, 밸브(21)와 함께, 챔버(11)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조작 부분(25)은 밸브(21)로부터 분리된 부 분을 포함하고, 직경이 밸브(21)의 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테이퍼진 실린더(캡형 몸체)로서 구성된다. 아울러, 평면도에서, 조작 부분(25)은 타원형 형상을 갖는다. 내측 주연 표면의 바닥 단부에서, 조작 부분(25)은 형성된 캐치 부분(25a)을 갖고, 이러한 캐치 부분(25a)은 밸브(21)의 캐치 부분(21c)과 맞물리도록 허용되어, 조작 부분(25)을 밸브(21)에 연결한다.
또한, 한 쌍의 얇은 플레이트형 정지부(26a, 26b)가 조작 부분(25)의 바닥 원주 부분에서 타원축을 따른 두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정지부(26a)는 취급 돌출부(15a, 15b)들 사이에서 챔버(11)의 주연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그리고 취급 돌출부(15a)와 위치 설정 보스(17a) 사이, 위치 설정 보스(17a, 17b)들 사이, 및 위치 설정 보스(17b)와 취급 돌출부(15d) 사이에서 각각 정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아울러, 정지부(26a)의 이동 또는 정지와 함께, 정지부(26b)는 취급 돌출부(15b, 15c)들 사이에서 챔버(11)의 주연 표면을 따라 이동되거나, 취급 돌출부(15b)와 위치 설정 보스(18a) 사이, 위치 설정 보스(18a, 18b)들 사이, 및 위치 설정 보스(18b)와 취급 돌출부(15c) 사이에서 각각 정지된다.
선형 돌출부(27a)가 정지부(26a)의 표면 상의 바닥 중심으로부터 조작 부분(25)의 상부 표면까지 형성되고, 선형 돌출부(27b)가 정지부(26b)의 표면 상의 바닥 중심으로부터 조작 부분(25)의 상부 표면까지 형성된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선형 돌출부(27a, 27b)는 조작 부분(25)이 회전을 위해 사용될 때, 상부로부터 위치를 확인하도록 사용된다. 아울러, 축둘레 방향으로의 조작 부분(25)의 위치는 정지부(26a, 26b) 및 선형 돌출부(27a, 27b)를 사용함으로써 그 리고 액체 혼합식 주입기(A)의 측면으로부터의 검사에 의해 확인된다.
평면도에서의 선형 돌출부(27a, 27b)의 위치는 밸브(21)의 수직 벽(24a)의 폭 방향으로의 중심을 통과하는 길이 방향을 따른 위치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밸브(21)의 축둘레 위치는 또한 선형 돌출부(27a, 27b)의 위치로부터 확인될 수 있다. 도6은 선형 돌출부(27a, 27b)가 도8에 도시된 위치를 취할 때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 본체(10) 내부의 밸브(21)를 도시하고, 도7은 선형 돌출부(27a, 27b)가 도9에 도시된 위치를 취할 때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 본체(10) 내부의 밸브(21)를 도시한다. 도4는 선형 돌출부(27a, 27b)가 도1에 도시된 위치를 취할 때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 본체(10) 내부의 밸브(21)를 도시한다. 조작 부분(25)의 상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의 주연 표면은 형성된 나사(25b)를 갖는다. 또한, 조작 부분(25)의 상단부 평면은 그의 중심에 설치된 개방부(25c)를 갖는다.
합류 분지 부분(12)은 조작 부분(25) 내부에 설치된 대체로 원통형 형상의 합류 분지 튜브(28)와, 천연 또는 합성 고무로 만들어져서 합류 분지 튜브(28)의 상부 개방부에 설치된 고무 스토퍼(29)를 포함한다. 합류 분지 튜브(28)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상방으로 테이퍼진 짧은 실린더이고, 밸브(21)의 캐칭 부분(21d)에서 내측면 캐치 리세스와의 맞물림에 의해 밸브(21) 상에 고정된다. 아울러, 합류 분지 튜브(28)의 상부의 외경은 조작 부분(25)의 상부의 내경보다 약간 더 작다.
고무 스토퍼(29)는 두꺼운 디스크형 스토퍼 본체(29a)와, 스토퍼 본체(29a)의 두 상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벨트형 부착편(29b, 29c)을 포함한다. 스토퍼 본체(29a)는 합류 분지 튜브(28)의 상부 개방부로부터 합류 분지 튜브(28) 내로 밀려들어 가고, 고무 스토퍼(29)는 합류 분지 튜브(28)의 주연 표면을 따라 설정된 부착편(29b, 29c)에 의해 합류 분지 튜브(28)의 외부에 조작 부분(25)을 고정시킴으로써 고정된다. 즉, 조작 부분(25)은 합류 분지 튜브(28)의 측면에 대해 부착편(29b, 29c)을 가압함으로써 고정되고, 동시에 스토퍼 본체(29a)의 상부 표면의 주연 부분 또한 합류 분지 튜브(28)에 대해 가압되어, 정지부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이러한 고무 스토퍼(29)는 설치된 슬릿(29d)을 가져서, 합류 분지 튜브(28)의 내측면 및 합류 분지 튜브(28)의 외측면을 통과하는 합류 분지 부분(12)의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슬릿(29d)은 합류 분지 부분(12)의 유동 경로가 사용되지 않을 때 고무 스토퍼(29)의 탄성력 때문에 그의 폐쇄 상태에 있다. 아울러, 합류 분지 부분(12)의 유동 경로가 사용되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적합한 커넥터가 슬릿(29d) 내로 설치되어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내부에 형성된 유동 경로를 갖는 수형 루어를 구비하고, 이러한 수형 루어는 고무 스토퍼(29)의 슬릿(29d) 내로 삽입되어 커넥터와 합류 분지 튜브(28)의 내부를 연결한다. 아울러, 이러한 경우에, 수형 루어의 주연 표면은 고무 스토퍼(29)의 탄성 때문에 슬릿(29d)의 내측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환자에게 요구되는 약물 용액을 투여할 때, 환자 내에 삽입되어 유지되는 부착 바늘을 갖는 (도시되지 않은) 주입 튜브의 후방 단부 부분이 하류 분지 튜브(13)에 연결된다. 타측면 상에서, 환자에게 투여 되는 약물 용액을 담는 용기로부터 연장되는 주입 튜브의 단부에 부착된 수형 루어가 상류 분지 튜브(14)에 연결된다. 유치 바늘이 신체에 부착된 채로, 조작 부분(25)이 조작되어, 환자에게 약물 용액을 투여하기 위해 약물 용액을 용기로부터 환자에게 보낸다. 아울러, 다른 약물 용액이 용기로부터의 약물 용액 투여에 추가하여 환자에게 투여되어야 하면, 이러한 다른 약물 용액은 합류 분지 부분(12)으로부터 커넥터에 연결된 주입 튜브를 통해 챔버(11) 내로 주입된다.
즉, 조작 부분(25)이 도8 또는 도9에 도시된 상태를 얻도록 합류 분지 부분(12)에 부착된 커넥터와 함께 조작되면, 커넥터와 하류 분지 튜브(13)가 만입된 연결 부분(22)을 통해 챔버(11) 내부에서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밸브(21)의 차단 섹션(24c 또는 24b)은 연결 구멍(16b)을 차단하고, 결과적으로 상류 분지 튜브(14)는 챔버(11)의 내부에 대해 차단된다. 이러한 상태는 스트립 돌출부(27a, 27b)의 위치를 관찰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어서, 임의의 오조작의 발생을 방지한다. 아울러, 정지부(26a)는 취급 돌출부(15a)와 위치 설정 보스(17a) 사이 또는 위치 설정 보스(17b)와 취급 돌출부(15d) 사이의 위치에 정지되고, 동시에 정지부(26b)는 위치 설정 보스(18b)와 취급 돌출부(15c) 사이 또는 취급 돌출부(15b)와 위치 설정 보스(18a) 사이의 위치에 정지된다. 결과적으로, 회전 부분(20)은 소정의 위치 상에 신뢰할 수 있게 고정된다.
또한, 조작 부분(25)이 도1 및 도2에 도시된 상태를 달성하도록 조작되면, 커넥터, 하류 분지 튜브(13) 및 상류 분지 튜브(14)가 각각 챔버(11)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부(26a)는 위치 설정 보 스(17a, 17b)들 사이의 위치에 정지되고, 정지부(26b)는 위치 설정 보스(18a, 18b)들 사이의 위치에 정지된다. 결과적으로, 회전 부분(20)은 소정의 위치에 신뢰할 수 있게 고정된다. 아울러, 유치 바늘을 환자 내에 삽입하여 유지하기 전에, 소량의 약물 용액이 바늘의 팁으로부터 토출된다. 결과적으로, 유동 경로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공기가 약물 용액과 함께 방출될 수 있다. 아울러, 액체 혼합식 주입기(A)는 사용되기 전에 설치판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A)는 챔버(11) 내부에서 축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밸브(21)와, 밸브(21)에 연결되어 챔버(11) 위에 위치된 조작 부분(25)을 구비한다. 조작 부분(25)이 도1, 도8, 또는 도9에 도시된 상태를 달성하도록 선택적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허용될 때, 밸브(21)는 하류 분지 튜브(13), 상류 분지 튜브(14) 및 챔버(11) 사이의 연결 또는 차단을 각각 허용한다. 그러므로, 하류 분지 튜브(13), 상류 분지 튜브(14) 및 챔버(11) 사이의 개방 및 폐쇄 조작은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고, 동시에 조작은 한 손으로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합류 분지 부분(12)의 고무 스토퍼(29) 내로 커넥터를 삽입함으로써, 커넥터를 하류 분지 튜브(13) 및 상류 분지 튜브(14)에 또는 하류 분지 튜브(13)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환자에게 하나 또는 두 종류의 약물 용액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약물 용액이 상류 분지 튜브(14)로부터 하류 분지 튜브(13)로 유동하도록 허용되면, 약물 용액은 일단 연결을 위한 리세스(23) 내부에 축적되고, 이후에 수직 벽(24a)의 상단부를 넘어감으로써 연결을 위한 리세스(22)의 측면으로 그리고 연결 구멍(22b)을 통해 하류 분지 튜브(13)의 유동 경로(13a)로 유동한다. 이러한 경우에, 수직 벽(24a)은 약물 용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약물 용액이 챔버(11)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임의의 공기가 챔버(11) 내부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약물 용액은 환자에게 적절하게 투여된다.
챔버(11)의 바닥이 편평 평면으로 형성되므로, 설치판 상에 복수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A)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주입 튜브가 각각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A)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약물 용액을 동시에 환자에게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액체 혼합식 주입기(A)가 설치판 상에 설치되면, 조작 부분(25)은 한 손으로 쉽게 조작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분(25)은 액체 혼합식 주입기(A)의 상부에 위치되어 쉽게 보이고, 밸브(21)의 조작 위치가 쉽게 확인될 수 있다.
아울러, 챔버(11)의 주연 표면은 설치된 위치 설정 보스(17a) 등을 갖고, 동시에 조작 부분(25)은 정지부(26a, 26b)를 구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회전 부분(20)은 소정의 위치에 신뢰할 수 있게 정지될 수 있어서, 밸브(21)에 의한 정확한 유동 경로 절환을 가능케 한다. 또한, 유동 경로를 절환하는 회전 부분(20)의 임의의 원치 않는 이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정지부(26a, 26b)는 대응하는 스트립 돌출부(27a, 27b)를 가져서, 각각 작업자가 잘못된 유동 경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임의의 오조작을 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합류 분지 부분은 합류 분지 튜브(28) 및 슬릿(29d)을 구비한 고무 스토퍼(29)를 포함하도록 허용되고, 결과적으로 챔버(11)의 상부에 형성된 합류 분지 부분(12)의 유동 경로는 간단한 절 차에 의해 챔버(11)의 내부에 연결되거나 그에 대해 차단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10 또는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B)를 도시한다. 이러한 액체 혼합식 주입기(B)는 액체 혼합식 주입기 본체(30) 및 회전 부분(40)을 포함한다. 액체 혼합식 주입기 본체(30)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및 바닥 단부가 개방된 실린더인 챔버(31)를 갖는다. 챔버(31)의 상단부 주연부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환형 캐치(31a)를 갖고, 이보다 약간 더 낮은 위치에서, 캐치(31a)는 챔버(31)의 내측 원주 표면 상에 있고, 내측으로 돌출하는 링형 돌출부(32)가 형성된다.
챔버(31)의 내측 원주 표면 상에 형성된 이러한 돌출부(32) 아래에, 돌출부를 포함하는 환형 캐치(31b)가 형성되고, 회전 부분(40)은 이러한 캐치(31b)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챔버(31)의 본체 부분의 외측 주연부는 원주 방향으로 사이에 간격을 구비하여 형성된 취급 돌출부(35a, 35b, 35c, 35d)를 갖는다. 이러한 취급 돌출부(35a, 35b, 35c, 35d)는 챔버(31)의 본체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취급 돌출부(15a, 15b, 15c, 15d)보다 수직 방향으로 더 길다. 아울러, 취급 돌출부(15a, 15b)와 취급 돌출부(15c, 15d) 사이의 섹션의 바닥 단부 부분은 취급 돌출부(15a, 15b, 15c, 15d)의 바닥 단부와 동일한 위치로 연장된다.
회전 부분(40)은 밸브(41)와, 밸브(41)의 바닥 단부 부분에 연결된 한 쌍의 조작 부분(45: 하나의 조작 부분(45)만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음)을 포함한다. 밸 브(41)의 주연 평면의 상단부 부분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챔버(31)의 캐치(31b)와 맞물리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원주부를 따라 형성된 캐칭 부분(41a)을 갖고, 밸브(41)는 캐치(31b)와 맞물리도록 허용된 캐칭 부분(41a)에 의해 챔버(31)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아울러, 밸브(41)의 상단부는 챔버(31)의 돌출부(32)의 바닥 표면과 액체 밀봉식으로 밀접하게 접촉하게 된다.
아울러, 조작 부분(45)은 밸브(41)의 바닥 표면(41b)의 주연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챔버(31)의 주연 표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얇은 플레이트를 각각 포함한다. 한 쌍의 조작 부분(45)의 표면 상의 폭 방향으로의 중심 부분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돌출부(47a, 47b)가 각각 형성된다. 즉, 조작 부분(45)은 밸브(41)의 회전 조작을 수행하도록 사용되고, 동시에 제1 실시예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정지부(26a, 26b)와 유사하게 회전 부분(40)의 회전각을 구속하는 단차부로서 작용한다.
아울러, 챔버(31)의 상부 주연부는 상기 실시예의 조작 부분(25)과 대체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부착된 캡(42)을 갖는다. 이러한 캡(42)의 내측 원주 하단부는 형성된 캐치(31a)와 맞물릴 수 있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캐칭 부분(42a)을 갖고, 캡(42)은 캐칭 부분(42a)이 캐치(31a)와 맞물리도록 허용함으로써 챔버(31) 상에 고정된다. 아울러, 합류 분지 튜브(48)가 단부가 돌출부(32)의 상부 평면 및 챔버(31)의 내측 원주 평면과 맞물리도록 허용되어 챔버(312)에 부착된다. 이러한 액체 혼합식 주입기(B)의 챔버(31) 내의 다른 부분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액체 혼합식 주입기(A)에서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 가 동일한 부분에 대해 사용되고, 추가의 설명은 생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환자에게 특정 약물 용액을 투여하기 위해, 위에서 설명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하류 분지 튜브(13)는 유치 바늘이 부착된 주입 튜브에 연결되고, 동시에 상류 분지 튜브(14)는 약물 용액을 담는 용기로부터 연장되는 주입 튜브에 연결된다. 유치 바늘이 환자의 신체 내에 삽입되어 유지된 채로, 조작 부분(45)은 조작되어, 환자에 대한 약물 용액의 투여를 수행하기 위해 약물 용액을 그의 용기로부터 환자에게 보낸다. 이러한 경우에, 두 조작 부분(45)은 두 측면으로부터 그를 쥐는 손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다른 약물 용액이 용기로부터 공급된 상기 약물 용액에 추가하여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면, 다른 약물 용액은 합류 분지 부분(12)으로부터 커넥터에 연결된 주입 튜브를 통해 챔버(31) 내부로 주입된다.
이러한 경우에, 조작 부분(45)은 도14 또는 도15에 도시된 상태를 달성하도록, 커넥터가 부착되어 유지되는 합류 분지 부분(12)과 함께 조작된다. 결과적으로, 커넥터와 하류 분지 튜브(13)가 챔버(31) 내부의 연결 리세스(22)를 통해 연결된다. 더욱이, 도14의 상태가 조작 부분(45)을 조작함으로써 얻어지면, 액체 혼합식 주입기(B)의 측방향 단면은 도6에서와 동일하게 되고, 도15의 상태가 조작 부분(45)을 조작함으로써 얻어지면, 액체 혼합식 주입기(B)의 측방향 단면은 도7에서와 동일하게 된다. 아울러, 조작 부분(45)이 도10 및 도11의 상태를 얻도록 조작되면, 커넥터, 하류 분지 튜브(13) 및 상류 분지 튜브(14)가 챔버(31)를 통해 연결된다.
액체 혼합식 주입기(B)에서, 상부에 위치된 합류 분지 부분(12)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챔버(31)에 고정되고, 합류 분지 부분(12) 내부에 형성된 유동 경로는 안정화될 수 있다. 아울러, 취급 돌출부(35a, 35b, 35c, 35d)의 바닥 단부 및 챔버(31)의 바닥 부분의 일부는 챔버(31)의 본체 부분의 바닥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취급 돌출부(35a) 등이 설치판 상에 고정된 채로 액체 혼합식 주입기(B)를 설치판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조작 부분(45)은 설치판 상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B)의 설치를 간섭하지 않고, 액체 혼합식 주입기(B)가 설치판 상에 설치될 때, 조작 부분(45)의 조작은 쉬워진다. 이러한 액체 혼합식 주입기(B)의 다른 반응 및 효과는 위에서 설명된 액체 혼합식 주입기(A)에서와 동일하다.
제3 실시예
도16 - 도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C)를 도시한다. 이러한 액체 혼합식 주입기(C)는 도1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길이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액체 혼합식 주입기(C)에서, 밸브(51)는 사이에 실린더의 중심축을 갖는 두 측면 상에 형성된 리세스된 연결 섹션(52, 53)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밸브(51)의 원주 방향을 따른 리세스된 연결 섹션(52, 53)들의 폭은 대체로 동일하게 설정되고, 리세스된 연결 섹션(52, 53)들의 위치는 밸브(51)의 주연 표면 상에서 사이에 밸브(51)의 중심축을 갖는 두 측면으로부터 약간 변위된다.
즉, 리세스된 연결 섹션(52)은 리세스된 연결 섹션(22)과 유사하게, 상부 측 면 상의 상부 리세스(52a)와, 상부 리세스(52a)의 바닥 부분 및 밸브(51)의 주연 표면을 관통하는 연결 구멍(52b)을 포함한다. 원주 방향을 따른 연결 구멍(52b)의 폭은 연결 구멍(56a)의 직경보다 약 2배 더 길게 설정되고, 연결 구멍(52b)의 수직 길이는 연결 구멍(56a)의 직경과 대체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아울러, 리세스된 연결 섹션(53)은 리세스된 연결 섹션(23)과 유사하게, 상부 측면 상의 상부 리세스(53a)와, 상부 리세스(53a)의 바닥 부분 및 밸브(51)의 주연 표면을 관통하는 연결 구멍(53b)을 포함한다. 원주 방향을 따른 연결 구멍(53b)의 폭은 연결 구멍(56b)의 직경의 약 2배로 설정되고, 연결 구멍(53b)의 수직 길이는 연결 구멍(56b)의 직경과 대체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아울러, 평면도에서의 리세스된 연결 섹션(52)의 측방향 단면은 수직 벽(54a)의 측면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비틀리면서 주연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대체로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면도에서의 리세스된 연결 섹션(53)의 측방향 단면은 수직 벽(54a)의 측면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리면서 주연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대체로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된 연결 섹션(52)의 전방 측면 부분(도16의 바닥 측면 부분)이 연결 구멍(56a)과 대면하도록 허용되면, 리세스된 연결 섹션(53)의 전방 측면 부분은 연결 구멍(56b)과 대면한다. 그러므로, 원주 방향을 따른 리세스된 연결 섹션(52)의 주연 측면 부분의 중심이 밸브(51)의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는 가상선(a) 상에 위치되도록 허용되면, 리세스된 연결 섹션(53)의 주연 측면 부분의 중심 위치는 가상선(a)으로부터 이격된다.
밸브(51)가 도16의 상태로부터 도17의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되면, 리세스된 연결 부분(52)의 후방 측면 부분은 연결 구멍(56a)과 계속 대면하지만, 리세스된 연결 섹션(53)은 차단된다. 아울러, 밸브(51)가 도16의 상태로부터 도18의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되면, 리세스된 연결 섹션(53)의 후방 측면 부분은 연결 구멍(56b)과 계속 대면하지만, 리세스된 연결 섹션(52)은 차단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리세스된 연결 섹션(52)과 연결 구멍(56a) 사이 그리고 리세스된 연결 섹션(53)과 연결 구멍(56b) 사이의 양 경로를 연결하고, 이들 모두를 차단하거나 리세스된 연결 섹션(52)과 연결 구멍(56a) 사이 또는 리세스된 연결 섹션(53)과 연결 구멍(56b) 사이의 경로들 중 하나만을 교대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정 약물 용액이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되어야 할 때, 처리는 위에서 설명된 제2 실시예에 대해 수행된 것과 유사하다. 다른 약물 용액이 주입 튜브에 연결된 커넥터를 합류 분지 부분(12)에 부착함으로써 상류 분지 튜브(14)로부터의 약물 용액과 혼합되어야 하면, 커넥터 측면으로부터 공급되는 다른 약물 용액은 일단 상류 분지 튜브(14) 측면으로 보내지고, 상류 분지 튜브(14) 측면에서 적합한 농도로 조정되고, 이후에 하류 분지 튜브(13) 측면으로 유동하도록 허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밸브(51)는 회전하여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된 연결 섹션(53)을 통해 챔버(13)와 상류 분지 튜브(14)를 연결하도록 허용되고, 리세스된 연결 섹션(52)과 하류 분지 튜브(13) 사이의 경로는 차단된다.
이후에, 약물 용액은 커넥터 측면으로부터 상부 분지 부분(12) 및 리세스된 연결 섹션(53)을 통해 상류 분지 튜브(14)의 측면으로 공급되고, 약물 용액은 상류 분지 튜브(14)에 연결된 용기로부터 상류 분지 튜브(14)로 공급된 약물 용액과 혼합된다. 밸브(51)는 이후에 도16의 상태를 달성하도록 회전하도록 허용되어, 리세스된 연결 섹션(53)을 통해 챔버(31)와 상류 분지 튜브(14)를 그리고 동시에 리세스된 연결 섹션(52)을 통해 챔버(31)와 하류 분지 튜브(13)를 연결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류 분지 튜브(14)에 연결된 용기 내의 약물 용액은 상류 분지 튜브(14)로 공급되고, 상류 분지 튜브(14) 내에서 또는 근방의 부분에서 혼합된 그러한 두 종류의 약물 용액은 혼합된 상태로 하류 분지 튜브(13)의 측면으로 유동하여, 환자에게 투여된다. 아울러, 이러한 액체 혼합식 주입기(C)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단지 약물 용액을 상류 분지 튜브(14)에 연결된 용기로부터 하류 분지 튜브(13)로 또는 커넥터 측면으로부터 하류 분지 튜브(13)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된 액체 혼합식 주입기(C)에 따르면, 용기 측면으로부터 공급된 약물 용액은 일단 상류 분지 튜브(14) 측면으로 보내지고, 상류 분지 튜브(14)에 연결된 용기로부터 공급된 다른 약물 용액과 혼합되고, 혼합물은 이후에 환자의 신체로 투여된다. 두 종류의 약물 용액이 혼합된 후에 환자에게 투여되는 유동 경로는 그러한 두 종류의 약물 용액의 균일한 혼합을 위해 충분히 길다. 결과적으로, 두 종류의 약물 용액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이러한 액체 혼합식 주입기(C)의 다른 작용 및 효과는 위에서 설명된 액체 혼합식 주입기(B)와 유사하다.
본 발명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는 반드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제한되지는 않고, 적합한 변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된 각각의 실시예에서, 고무 스토퍼(29)는 형성된 슬릿(29d)을 갖도록 허용되고, 커넥터는 수형 루어를 슬릿(29d) 내로 삽입함으로써 합류 분지 부분(12) 내에 설치되지만, 커넥터를 사용하는 대신에, 주사기 수형 루어 또는 주사 바늘을 고무 스토퍼(29) 내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사 바늘이 사용되면, 고무 스토퍼(29) 내에 슬릿(29d)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치 않다.
하류 분지 튜브(13) 및 상류 분지 튜브(14)를 위한 창을 챔버(11)의 주연 표면 상에 설치하고, 챔버(11)와 하류 분지 튜브(13) 사이, 챔버(11)와 상류 분지 튜브(14) 사이 등의 경로의 연결 및 차단 상태를 보여주는 표시기를 밸브(21)의 주연 표면 상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여, 확인을 위해 창을 통해 표시기를 보는 것을 가능케 한다. 결과적으로, 회전 부분의 위치는 신뢰할 수 있게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표시기로서, 예를 들어 개방에 대해 "O" 그리고 폐쇄에 대해 "C"와 같은 문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혼합식 주입기를 구성하는데 적합한 다른 부분의 형상, 재료 등을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혼합식 주입기는 복수의 분지 튜브들 사이에서 임의의 선택적인 분지 튜브를 연결 또는 차단하여 복수의 약물 용액을 투여할 수 있으며, 용액 내의 모든 공기를 제거하여, 공기가 신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액체 혼합식 주입기이며,
    챔버(11)를 형성하며, 챔버(11)의 중심 부분은 축방향이 수직으로 설정된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혼합식 주입기 본체(10)와,
    상기 챔버 위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의 내부에 대해 연결 가능하거나 차단 가능한 유동 경로를 구비한 분지 부분(12)과,
    상기 챔버의 중심 부분의 주연 표면의 양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챔버의 내부에 연결된 유동 경로를 각각 갖는 한 쌍의 분지 튜브(13, 14)와,
    상기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챔버의 축둘레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밸브(21)와,
    상기 밸브로부터 상기 챔버의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챔버의 외부 상에서 상기 챔버의 축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조작 부분(25)을 갖는 회전 부분(20)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21)는 상기 한 쌍의 분지 튜브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챔버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는 차단 상태와, 상기 한 쌍의 분지 튜브(13, 14)와 상기 분지 부분(12)이 상기 챔버(11)를 통해 연결되는 연결 상태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며,
    상기 분지 부분은 상기 챔버를 통해 하나의 분지 튜브를 다른 분지 튜브에 연결하는 유동 경로 위에 형성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는 수직 벽 부분(24a, 54a)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벽 부분(24a, 54a)은 챔버(11) 내부에 공기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액체가 상기 공간을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혼합식 주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1)는 상부에서 개방되고 바닥에서 폐쇄된 바닥이 있는 실린더로서 형성되고, 상기 조작 부분(25)은 상기 챔버의 상부 개방 측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캡형 몸체로서 형성되고, 상기 분지 부분(12)은 상기 조작 부분 내부에 설치되는 액체 혼합식 주입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1)는 양단부가 개방된 실린더로서 형성되고, 조작 부분은 상기 챔버의 바닥 개방부로부터 상기 챔버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허용되고, 동시에 캡형 몸체가 상기 챔버의 상부 개방부에 부착되고, 상기 분지 부분은 상기 캡형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액체 혼합식 주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분(25)은 상기 챔버의 바닥 개방부의 원주부 내의 특정 범위의 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바닥 개방부의 원주부에서의 이동 범위 외부의 상기 조작 부분의 부분은 상기 조작 부분의 바닥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액체 혼합식 주입기.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가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분지 튜브와 상기 챔버 사이를 특정 방향으로 차단하는 한 쌍의 차단 섹션(24b, 24c)과, 상기 밸브(21)가 상기 연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분지 튜브(13, 14)와 상기 챔버(11)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만입된 연결 섹션(22, 23)을 갖고, 또한, 회전 방향을 따른 상기 한 쌍의 만입된 연결 섹션들의 폭은 다르게 설정되어, 상기 밸브(21)가 상기 차단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분지 튜브들 중 하나만이 상기 챔버에 연결되게 하는 액체 혼합식 주입기.
  16.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밸브가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분지 튜브와 상기 챔버 사이를 특정 방향으로 차단하는 한 쌍의 차단 섹션(24b, 24c)과, 상기 밸브(21)가 상기 연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분지 튜브(13, 14)와 상기 챔버(11)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만입된 섹션(22, 23)을 갖고,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만입된 연결 섹션들의 위치는 상기 밸브의 중심 축에 대해 직교하는 가상선과 교차하는 상기 밸브의 외측 주연부의 부분으로부터 변위되어, 상기 밸브(21)가 상기 연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분지 튜브들 중 하나만이 상기 챔버에 연결되게 하는 액체 혼합식 주입기.
  17.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원주 표면은 위치 설정 보스(17a, 17b, 18a, 18b)를 갖고, 동시에 상기 조작 부분은 상기 위치 설정 보스와 맞물릴 수 있음으로써 상기 밸브를 정지시키기 위한 규정된 위치에 설치된 정지부(26a, 26b)를 갖는 액체 혼합식 주입기.
  18.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 부분(12)은 원통형이고, 상기 분지 부분 내에 스토퍼(29)가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는 삽입 튜브가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액체 혼합식 주입기.
KR20070041044A 2006-04-28 2007-04-27 액체 혼합식 주입기 KR100911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24674 2006-04-28
JP2006124674 2006-04-28
JPJP-P-2006-00199723 2006-07-21
JP2006199723A JP4820703B2 (ja) 2006-04-28 2006-07-21 液体混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432A KR20070106432A (ko) 2007-11-01
KR100911290B1 true KR100911290B1 (ko) 2009-08-11

Family

ID=38158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41044A KR100911290B1 (ko) 2006-04-28 2007-04-27 액체 혼합식 주입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24364B2 (ko)
EP (1) EP1849495B1 (ko)
JP (1) JP4820703B2 (ko)
KR (1) KR100911290B1 (ko)
AU (1) AU2007201046B2 (ko)
IL (1) IL181378A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14960A0 (en) 1995-03-20 1995-12-08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Flow control device
IL161660A0 (en) 2004-04-29 2004-09-27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Liquid drug delivery device
ES2371557T3 (es) 2005-08-11 2012-01-05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Dispositivos de transferencia de fármacos líquidos para un correcto ajuste a presión a prueba de fallos en viales medicinales.
IL182605A0 (en) 2007-04-17 2007-07-24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Fluid control device with manually depressed actuator
WO2009038860A2 (en) 2007-09-18 2009-03-26 Medeq Llc Medicament mixing and injection apparatus
IL186290A0 (en) 2007-09-25 2008-01-20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Liquid drug delivery devices for use with syringe having widened distal tip
USD641080S1 (en) 2009-03-31 2011-07-05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Medical device having syringe port with locking mechanism
USD630732S1 (en) 2009-09-29 2011-01-11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Vial adapter with female connector
IL201323A0 (en) 2009-10-01 2010-05-31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Fluid transfer device for assembling a vial with pre-attached female connector
IL202070A0 (en) 2009-11-12 2010-06-16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Inline liquid drug medical device
IL202069A0 (en) 2009-11-12 2010-06-16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Fluid transfer device with sealing arrangement
US8684994B2 (en) 2010-02-24 2014-04-01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Fluid transfer assembly with venting arrangement
US8753325B2 (en) 2010-02-24 2014-06-17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Liquid drug transfer device with vented vial adapter
USD669980S1 (en) 2010-10-15 2012-10-30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Vented vial adapter
IL209290A0 (en) 2010-11-14 2011-01-31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Inline liquid drug medical device having rotary flow control member
IL212420A0 (en) 2011-04-17 2011-06-30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Liquid drug transfer assembly
CN103826693B (zh) * 2011-09-27 2016-03-02 泰尔茂株式会社 连接器
IL215699A0 (en) 2011-10-11 2011-12-29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Liquid drug reconstitution assemblage for use with iv bag and drug vial
USD674088S1 (en) 2012-02-13 2013-01-08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Vial adapter
USD737436S1 (en) 2012-02-13 2015-08-25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Liquid drug reconstitution assembly
USD720451S1 (en) 2012-02-13 2014-12-30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Liquid drug transfer assembly
IL219065A0 (en) 2012-04-05 2012-07-31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Fluid transfer device with manual operated cartridge release arrangement
IL221634A0 (en) 2012-08-26 2012-12-31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Universal drug vial adapter
IL221635A0 (en) 2012-08-26 2012-12-31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Drug vial mixing and transfer device for use with iv bag and drug vial
JP5868555B2 (ja) 2012-09-13 2016-02-24 メディモップ・メディカル・プロジェクツ・リミテッド 入れ子式雌薬瓶アダプタ
CN104640599B (zh) * 2012-09-28 2017-05-24 泰尔茂株式会社 连接器
USD734868S1 (en) 2012-11-27 2015-07-21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Drug vial adapter with downwardly depending stopper
IL225734A0 (en) 2013-04-14 2013-09-30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A ready-to-use medicine vial device including a medicine vial closure, and a medicine vial closure for it
JP6199483B2 (ja) 2013-05-10 2017-09-20 メディモップ・メディカル・プロジェクツ・リミテッド インライン乾燥薬剤モジュールを有するバイアルアダプタを備える医療用デバイス
USD765837S1 (en) 2013-08-07 2016-09-06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Liquid transfer device with integral vial adapter
USD767124S1 (en) 2013-08-07 2016-09-20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Liquid transfer device with integral vial adapter
CN205626622U (zh) 2013-08-07 2016-10-12 麦迪麦珀医疗工程有限公司 与输液容器一起使用的液体转移装置
USD757933S1 (en) 2014-09-11 2016-05-31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Dual vial adapter assemblage
EP3217944B1 (en) 2015-01-05 2019-04-10 West Pharma. Services IL, Ltd Dual vial adapter assemblages with quick release drug vial adapter for ensuring correct usage
US10357429B2 (en) 2015-07-16 2019-07-23 West Pharma. Services IL, Ltd. Liquid drug transfer devices for secure telescopic snap fit on injection vials
US9765899B2 (en) * 2015-11-03 2017-09-19 Stoma Ventures, LLC Disposable dental valve device
USD801522S1 (en) 2015-11-09 2017-10-31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Fluid transfer assembly
BR112018010435B1 (pt) 2015-11-25 2022-06-28 West Pharma. Services IL, Ltd. Conjunto adaptador de ampola dupla para uso com uma seringa sem agulha com um conector macho, uma ampola de fármaco e uma ampola de líquido
IL245800A0 (en) 2016-05-24 2016-08-31 West Pharma Services Il Ltd A device with two vial adapters includes two identical vial adapters
IL245803A0 (en) 2016-05-24 2016-08-31 West Pharma Services Il Ltd Devices with two vial adapters include an aerated drug vial adapter and an aerated liquid vial adapter
IL246073A0 (en) 2016-06-06 2016-08-31 West Pharma Services Il Ltd A fluid transport device for use with a slide-driven piston medicine pump cartridge
IL247376A0 (en) 2016-08-21 2016-12-29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Injector assembly
USD832430S1 (en) 2016-11-15 2018-10-30 West Pharma. Services IL, Ltd. Dual vial adapter assemblage
IL249408A0 (en) 2016-12-06 2017-03-30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A device for transporting fluids for use with an infusion fluid container and a hand tool similar to a plunger to release a vial from it
IL251458A0 (en) 2017-03-29 2017-06-29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Liquid drug delivery devices are user-operated for use in pre-prepared liquid drug delivery assemblies (rtu)
IL254802A0 (en) 2017-09-29 2017-12-31 Medimop Medical Projects Ltd A device with two vial adapters includes two identical perforated vial adapters
JP1630477S (ko) 2018-07-06 2019-05-07
JP2020099440A (ja) * 2018-12-20 2020-07-02 株式会社トップ コネクタ
USD923812S1 (en) 2019-01-16 2021-06-29 West Pharma. Services IL, Ltd. Medication mixing apparatus
JP1648075S (ko) 2019-01-17 2019-12-16
ES2946032T3 (es) 2019-01-31 2023-07-12 West Pharma Services Il Ltd Dispositivo de transferencia de líquido
JP7001838B2 (ja) 2019-04-30 2022-01-20 ウェスト ファーマ サービシーズ イスラエル リミテッド デュアルルーメンivスパイク付き液体移送装置
USD956958S1 (en) 2020-07-13 2022-07-05 West Pharma. Services IL, Ltd. Liquid transfer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82052A (en) * 1974-04-04 1977-08-03 Baxter Travenol Lab Adjustable valve
US5474526A (en) * 1991-01-30 1995-12-12 Hemapure Ab Device for the connection of fluid conduits for medical purposes
EP1234596A1 (en) * 1999-11-29 2002-08-28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Medical cock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6318Y2 (ko) * 1971-12-01 1976-11-09
JPS55157168U (ko) * 1979-04-25 1980-11-12
US4605396A (en) * 1985-02-25 1986-08-12 Warner-Lambert Company Gravity flow cassette with rotary valve
SE453801B (sv) * 1986-08-06 1988-03-07 Ingvar Andersson Koppling for medicinskt bruk
JPH0429619Y2 (ko) * 1987-04-10 1992-07-17
JPS6425844A (en) 1987-07-21 1989-01-27 Nippon Sherwood Kk Freely rotatable connector
US5540668A (en) * 1995-01-20 1996-07-30 Wilson, Jr.; Roland B. Anti-cross contamination valve and fluid delivery systems using same
DE19650664C1 (de) * 1996-12-06 1998-01-02 Fresenius Ag Medizinische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Flüssigkeiten
JP4099679B2 (ja) * 1997-09-18 2008-06-11 日本シャーウッド株式会社 医療用活栓
DE10338192B4 (de) * 2002-09-06 2009-03-26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Bogen von einem Stapel
US7097632B2 (en) * 2002-10-28 2006-08-29 Sherwood Services Ag Automatic valve
DE10251644B8 (de) * 2002-10-30 2011-05-12 Telegärtner Kunststofftechnik GmbH Hahn
ES2384615T3 (es) * 2004-08-16 2012-07-09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Válvula a modo de T de dos vías para un conducto de infusión
WO2006025054A2 (en) * 2004-09-03 2006-03-09 Elcam Medic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Ltd. Closed stopcock
US7771383B2 (en) * 2004-10-22 2010-08-10 Medegen, Inc. Fluid control device with valve and methods of use
JP4919461B2 (ja) 2005-11-28 2012-04-18 日本コヴィディエン株式会社 医療用活栓
JP2007143813A (ja) 2005-11-28 2007-06-14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医療用活栓
CA2567868C (en) * 2005-12-02 2010-02-16 Shigeaki Funamura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82052A (en) * 1974-04-04 1977-08-03 Baxter Travenol Lab Adjustable valve
US5474526A (en) * 1991-01-30 1995-12-12 Hemapure Ab Device for the connection of fluid conduits for medical purposes
EP1234596A1 (en) * 1999-11-29 2002-08-28 Nippon Sherwood Medical Industries Ltd. Medical c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01046A1 (en) 2007-11-15
EP1849495B1 (en) 2019-09-11
KR20070106432A (ko) 2007-11-01
EP1849495A1 (en) 2007-10-31
JP2007313279A (ja) 2007-12-06
JP4820703B2 (ja) 2011-11-24
AU2007201046B2 (en) 2009-06-11
IL181378A0 (en) 2007-07-04
US20070255202A1 (en) 2007-11-01
US7824364B2 (en) 201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290B1 (ko) 액체 혼합식 주입기
KR100731429B1 (ko) 삼방 밸브 및 그 삼방 밸브를 이용한 수액 회로 또는 수혈회로
US6569117B1 (en) Blood sampling/injecting valve
JP4871019B2 (ja) 液体混注具
KR100913465B1 (ko) 의료용 밸브 장치
KR100880788B1 (ko) 액체 공주입 장치
US5190525A (en) Drug infusion manifold
JP5542923B2 (ja) 医薬流れラインに液体を制御供給する装置
CA2619205C (en) Stopcock valve
CN107636370B (zh) 用于医用流体管线系统的医用流体控制装置
KR101817149B1 (ko) 수액세트용 유량 조절장치
US20100012207A1 (en) Liquid coinfusion unit
US20080199558A1 (en) Liquid Co-Injection Apparatus
JP4866142B2 (ja) 混注ポート
JP4099679B2 (ja) 医療用活栓
US20080023958A1 (en) Connector
JP7261383B2 (ja) 接続コネクタ
JP6329042B2 (ja) 接続器具
JP4549740B2 (ja) 一時閉鎖用プラグ
JP2015136551A (ja) 接続器具
KR20130001307U (ko) 필터가 내장된 의료용 삼방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