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710B1 - 균일한 수평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 콘택트 렌즈 - Google Patents

균일한 수평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 콘택트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710B1
KR100910710B1 KR1020027013002A KR20027013002A KR100910710B1 KR 100910710 B1 KR100910710 B1 KR 100910710B1 KR 1020027013002 A KR1020027013002 A KR 1020027013002A KR 20027013002 A KR20027013002 A KR 20027013002A KR 100910710 B1 KR100910710 B1 KR 100910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region
inner region
thickness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7944A (ko
Inventor
백아써
Original Assignee
쿠퍼 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8890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1071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쿠퍼 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filed Critical 쿠퍼 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020087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8Means for stabilising the orientation of lenses in the ey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20)는 표면 상의 회전 안정화 기구와 눈꺼풀의 동작에 의해 렌즈 상에 가해지는 토오크를 저감시키는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다. 프리즘 밸러스트는 렌즈 본체가 수평 단면을 따라 10 % 내의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렌즈 정면의 하나 이상의 부분 상에 마련된다. 렌즈의 정면은 주연 영역(24)과, 주연 영역(24)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영역(26)과, 중심 광학 영역(22)으로 분리될 수 있다. 프리즘 밸러스트부는 상측 부분(40)과 광학 영역(22)에 근접한 중간 부분(44)과 하측 부분(48)으로 더욱 구분될 수 있는 내측 영역(26) 내에 마련된다. 밸러스트부는 그 두께가 수직 경선을 따라 증가하며 이에 수직한 사실상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콘택트 렌즈, 난시, 경선, 프리즘 밸러스트부, 프리즘, 광학 영역

Description

균일한 수평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 콘택트 렌즈 {CONTACT LENS HAVING A UNIFORM HORIZONTAL THICKNESS PROFILE}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에 저-토오크 회전 교정부를 가한 원환체 렌즈(이하, 토릭 렌즈, toric lens)를 위한 개선된 밸러스트, 양호하게는 프리즘 밸러스트(prism ballast)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0년 3월 31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193,493호를 기초로 35 U.S.C. §119(e) 하의 우선권 주장을 한 것이다.
난시는 비구면으로 처방된 렌즈에 의해 교정되는 시력 장애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실린더(cylinder)로 표현되는 처방을 하면 렌즈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원환체 구역 형상을 갖는다. 원환체(torus)란 어떤 원 자체의 축을 제외한 어떤 축 둘레에서 원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이나 대상이다. 예컨대, 도너츠는 환상형(toroidal shape)이다. 렌즈의 원환체 부분은 장축과 단축을 갖는 환상체의 작은 타원형 구역이다. 이런 비-축대칭 형상으로 인해, 렌즈의 적절한 회전 방위가 유지되어야만 한다. 예컨대, 이초점 또는 다초점 교정을 제공하는 다른 렌즈들은 비-축대칭이며, 따라서 그 외측에서 작업이 수행되는 특별한 방위를 갖는다.
난시는 종종 근시나 원시와 같은 굴절 오류와 관련되며, 따라서 토릭 콘택트 렌즈는 종종 어느 정도 부(negative) 또는 정(positive)의 구면 교정부도 제공한다. 콘택트 렌즈의 오목면 또는 배면은 일반적으로 구면 형상을 갖는 반면, 렌즈가 난시 교정에 사용되는 경우 배면은 일반적으로 원환체 형상을 갖는다. 즉, 렌즈 배면의 만곡부는 장축과 단축을 갖는다. 렌즈 배면의 곡률 반경은 장축 방향이 단축 방향보다 길다. 원환체 면의 장축 직경은 일반적으로 타원형 렌즈의 직경보다 작으며 기점 구면 기초 커브(spherical base curve)로 절삭된다. 또한, 광학 영역의 정면 및/또는 배면은 원굴절 교정에 도움이 되는 구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면 교정부은 통상 외면 또는 정면에 제공된다. 물론, 어떤 처방전은 정면에 구면 보정을 한 상태에서 정면이나 배면에 원환체 커브를 제공한다.
스펙타클 렌즈는 프레임에 의해 적소에 단단히 유지되지만, 토릭 콘택트 렌즈는 원통형 교정부가 사실상 눈의 교정 위치에서 안정화되도록 안정화되어야만 한다. 난시 교정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온 연성 콘택트 렌즈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렌즈는 렌즈가 눈에서 적절히 배향되도록 하기 위해 몇몇 유형의 밸러스트 방법 즉 안정화 방법에 의존한다. 밸러스트는 통상적으로 정면이나 배면 상에 또는 양 면 사이의 전개 구역에 구조를 합체시킴으로써 콘택트 렌즈 상에 마련된다. 이런 방위 구조는 깜빡임 중에 생성되는 눈꺼풀 힘을 이용한다. 눈꺼풀이 콘택트 렌즈를 가로질러 문지름에 따라, 눈꺼풀은 콘택트 렌즈를 각막에 대해 하향 압박해서 상승된 표면 특징부를 변위시킨다.
렌즈의 하부 즉 하측 부분이 상부 즉 고위부보다 상대적으로 두터운 소위 "웨지" 또는 "프리즘" 밸러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아랫 눈꺼풀보다 더 많은 움직임을 담당하는, 따라서 콘택트 렌즈에 더 큰 영향력을 발생시키는 윗 눈꺼풀은 콘택트 렌즈의 하측 부분을 하향으로 변위시키도록 함으로써, 콘택트 렌즈를 각막 위로 자연스럽게 회전시켜 의도한 대로 배향시킨다. 다르게는, 콘택트 렌즈는 중심 시각부 둘레의 그러나 중심 시각부를 제외한 밸러스트 영역을 포함하는 소위 "페리밸러스트"[주연부 밸러스트(peripheral ballast)의 줄임말] 안정화를 합체할 수 있다.
프리즘 밸러스트의 예로서는, 미국 특허 제4,573,774호, 제5,125,728호 및 제5,020,898호와, PCT 공개 WO 98/45749호가 있다. 콘택트 렌즈의 다른 방위 구조는 두터운 중심 영역에 대해 얇은 상측 영역 및 하측 영역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런 구조는 미국 특허 제4,095,878호 및 제5,650,837호에 개시된다. 다르게는, PCT 공개 AU 92/0029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채널이나 리지가 콘택트 렌즈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020,898호는 밸러스트가 콘택트 렌즈의 상부로부터 하부 주연 에지에 근접한 두 지점의 최대 두께까지 두터워지도록 밸러스트가 정면 광학 영역 외측에 분포된 토릭 콘택트 렌즈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5,125,728호도 렌즈의 상측 부분으로부터 렌즈의 각 측면 상의 하부 주연부의 최대 두께까지 증가하는 밸러스트부를 개시한다. 밸러스트의 최대 두께는 이들 부분이 렌즈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주연 각막과 결막 위에 끼워지도록 렌즈 에지에 가능한 가깝게 위치된다. 저항력이 최소인 비-밸러스트 회랑부가 중심 광학 영역의 위와 아래에 있는 렌즈의 수직 중간 구역에 마련된다. 상기 특허는 렌즈 주연부에 근접한 두터운 부분과 두터운 밸러스트와 함께 비-밸러스트 회랑부가 개선된 안정화 기구를 제공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PCT 공개 WO 98/45749호는 프리즘이 광학 영역을 관통하는 밸러스트 렌즈를 개시한다. 정면 및 배면 광학 영역 직경은 렌즈를 형성하도록 결합될 때 정면 상에서 광학 영역의 상측 및 하측 연결부의 두께가 제어되도록 선택된다.
각막 상에서 일정하게 배향되는 렌즈의 상대적 능력 이외에, 다른 인자들이 다양한 안정화 구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다음과 같은 인자와 관련해서 몇몇 구조가 다른 구조보다 선호되며, 이런 인자들은 착용자의 생리적 잇점을 위해 토릭 콘택트 렌즈를 가로지르는 전체 두께를 저감시키는 것과, 제조 용이성와, 렌즈 매개변수 일람품목을 저감시키는 것과, 착용 안락감 포함하는 임상 성능과, 굴절력 사이의 끼움 일관성이다. 착용자 안락감과 관련해서, 일반적으로, 렌즈가 얇고 표면이 매끄러울수록 안락감은 커진다. 또한, 비교적 얇고 안락감을 더하는 형상으로 된 렌즈 상에 주연부를 마련한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기존 토릭 콘택트 렌즈 설계의 주된 한계는 개별적인 토릭 렌즈 착용자들 사이에서 주어진 설계마다 방위가 너무 가변적이고 그리고/또는 불편하다는 것이다. 렌즈 설계 및 렌즈 재료 이외에도, 환자의 인자 또한 눈 위의 토릭 콘택트 렌즈의 방위에 영향을 주며 이런 렌즈 방위의 가변성에 기여한다. 깜박임 특성과 같은 환자 인자와, 눈꺼풀과 각막과 결막 형상 및 해부 구조와 같은 눈모양 매개변수는 바람직하지 않은 상호 작용(예컨대, 비대칭)을 발생시키거나 콘택트 렌즈와 불충분한 상호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 기구와 관련된 많은 문제들은 눈꺼풀 상호 작용을 최대화하고 개인간의 렌즈 방위 가변성을 저감시키고자 하는 안정화 기구의 실패로 인한 문제에 기인한다.
이와 관련한 많은 시도에도 관계없이, 개인들 간에 보다 일정한 안정화 특징부를 갖는 토릭 콘택트 렌즈가 계속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두께와 밸러스트 배열이 개선된 콘택트 렌즈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는 공지된 개인과 개인간 렌즈 방위의 가변성을 저감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는 깜빡임 중의 눈꺼풀과 안정화 기구가 서로 간에 보다 효율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양호하게는 착용자의 안락감을 위해 요구되는 주연 영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볼록형 정면, 오목형 배면 및 그 사이의 주연 에지를 구비한 일반적으로 구면인 기초 곡률을 갖는 콘택트 렌즈 본체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주연 영역이 정면의 주연 에지에 인접해서 형성된다. 콘택트 렌즈 본체는 정면과 배면 사이에 두께를 가지며 상측 에지와 하측 에지를 형성하도록 비-축대칭이다. 또한, 수직 경선이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까지 형성되며, 수평 경선이 이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정면은 그 위에 주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영역과 일반적으로 내측 영역의 중간에 형성된 광학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렌즈는 프리즘 밸러스트부를 포함하며, 이로써 두께는 적어도 내측 영역의 밸러스트부에서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까지 수직 경선에 평행하게 증가한다. 내측 영역은 광학 영역과 내측 영역의 상한 사이의 상측 부분과, 광학 영역과 내측 영역의 하한 사이의 하측 부분과,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 사이의 중간 부분을 포함한다. 밸러스트부는 상측 부분,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 중 하나 이상의 부분 내에서 형성되며, 수직 경선을 따라서 측정했을 때 상측 부분,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의 적어도 20 %의 최소 치수의 수직 경선을 따르는 거리에 이르는 주연 영역과 광학 영역을 제외한 일련의 연속적인 수평 단면을 가지며, 각각의 수평 단면은 약 30 ㎛ 또는 20 %의 값 중 절대값이 큰 값 이상으로는 변하지 않는 사실상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연속적인 수평 단면에서 콘택트 렌즈의 두께는 약 15 ㎛ 또는 약 10 %의 값 중 절대값이 큰 값 이상으로는 변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밸러스트부는 상측 부분,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 중 단지 하나의 부분 내에서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밸러스트부는 상측 부분,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 중 단지 두 개의 부분 내에서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밸러스트부는 상측 부분,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의 모두 세 부분 내에서 형성되거나, 전체 내측 영역을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테이퍼진 주연 영역에서 두께의 변화율은 약 250 ㎛/㎜, 보다 양호하게는 약 200 ㎛/㎜보다 작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는 볼록형 정면, 오목형 배면 및 그 사이의 주연 에지를 구비한 일반적으로 구면인 기부 곡률을 갖는 콘택트 렌즈 본체를 포함한다. 주연 영역이 렌즈의 주연 에지쪽으로 얇게 테이퍼진 렌즈의 주연 에지에 인접해서 형성된다. 콘택트 렌즈 본체는 정면과 배면 사이에 두께를 가지며 상측 에지와 하측 에지를 형성하도록 비-축대칭이다. 수직 경선이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까지 형성되며, 수평 경선이 이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정면은 그 위에 주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고 내부에 프리즘 밸러스트부를 갖는 내측 영역과 일반적으로 내측 영역의 중간에 형성된 광학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두께는 적어도 내측 영역의 밸러스트부에서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까지 수직 경선에 평행하게 증가한다. 225°경선을 따르는 내측 영역과 주연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1.4 ㎜보다 작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성형 콘택트 렌즈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 특징부들을 갖는 전체가 성형된 콘택트 렌즈 본체(즉, 정면과 배면 모두가 성형됨)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 콘택트 렌즈는 내측 영역에 프리즘 밸러스트부를 가지며, 225°경선을 따르는 내측 영역과 주연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1.8 ㎜보다 작다. 다르게는 또는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270°경선을 따르는 내측 영역과 주연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2.1 ㎜보다 작지만, 180°경선을 따르는 내측 영역과 주연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1.3 ㎜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주연 영역에 의해 광학 영역 둘레에서 둘러싸인 밴드는 사실상 환상이다. 즉, 상측 거리(A)는 수직 경선을 따라 내측 영역 내에서 광학 영역에서부터 주연 영역까지로 규정된다. 하측 거리(B)는 수직 경선을 따라 내측 영역 내에서 광학 영역에서부터 주연 영역까지로 규정된다. 성형 프리즘 밸러스트 렌즈에서 밴드는 0.33A ≤ B ≤ A의 범위 내에서 환상인 반면, 전체 프리즘 밸러스트 렌즈에서 밴드는 0.55A ≤ B ≤ A의 범위 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각의 그리고 모든 특징부와, 둘 이상의 이런 특징부의 각각의 조합과 모든 조합은 이런 조합 내에 포함된 특징부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고 볼 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다른 특징부 및 그 장점과 함께, 유사부가 유사 인용 부호에 의해 표현되는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1은 콘택트 렌즈 상에 형성된 다양한 영역을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2는 (A-A' 내지 E-E'를 따라 취한) 도1의 콘택트 렌즈의 일련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3은 수직 경선 Z-Z'를 따라 취한 도1의 콘택트 렌즈의 두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4a는 예시적인 지형적 수치 두께 맵이 콘택트 렌즈 상에 부과된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의 개략도이다.
도4b는 영역들 사이의 불연속도와 각방향 관계를 도시한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의 일부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5a 내지 도5d는 각각 구면의 정면 광학 영역과 사실상 균일한 수평 두께의 변화하는 영역을 갖는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의 정면도이다.
도6a 내지 도6d는 각각 원환체 정면 광학 영역과 사실상 균일한 수평 두께의 변화하는 영역을 갖는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의 정면도이다.
도7은 참고를 위해 복수의 경선이 부과된 콘택트 렌즈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8은 콘택트 렌즈 상에 형성된 다양한 영역을 도시하는 종래 콘택트 렌즈의 개략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안정화된 콘택트 렌즈, 특히 난시를 위한 원통형 교정부를 한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보다 광범위하게는,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를 회전식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해 눈꺼풀의 깜빡임 동작과 상호 작용하는 융기면을 갖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회전 안정성은 비-축대칭인 모든 콘택트 렌즈에 유용하다. 예컨대, 토릭 렌즈 또는 다초점 렌즈의 회전 방위가 적절한 교정을 위해 유지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회전적 안정성은 다른 특별한 렌즈에서도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의 다수의 표면과 두께에 대해 렌즈가 편평화된 렌즈의 개략적 정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콘택트 렌즈는 통상 정면이 볼록하고 배면이 오목한 기초적 구면 곡률을 갖는다. 다양한 표면과 광학 영역은 기초 구(base sphere)로부터 성형되거나 기계 가공된다. 도시된 정면도는 간단한 설명을 위해 기초 구가 제거된 상태의 편평화된 것이다. 이런 방식에서, 기초적 구면 곡률에 대응하는 음영선들은 본 발명의 특정 표면과 두께가 보다 명확하게 설명될 수 있도록 제거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렌즈들은 부(negative)의 구면 배율 거리 교정부를 가지며 원통형 교정부를 위한 원환체 표면을 갖는다.
따라서, 도1의 개략적 정면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콘택트 렌즈(20)는 콘택트 렌즈 상의 여러 영역을 도시하기 위해 음영부가 없이 편평화되어 있다. 콘택트 렌즈(20)는 적절한 연성 또는 강성의 재료로 된 렌즈 본체를 포함한다. 연성 콘택트 렌즈는 통상적으로 하이드록시에틸메틸아크릴레이트, 금속성-유기 물질, 실리콘 러버, 실리콘 하이드로겔, 우레탄 등과 같은 친수성 재료로 제조된다. 다르게는, 실록산 아크릴레이트 또는 플루오로실록산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강성의 가스 투과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렌즈 본체는 오목형 배면이 외향 대면하는 오목형 정면과 대향하는 각막에 접촉하도록 된 전체적으로 구면 곡률을 갖는다.
도1에서, 콘택트 렌즈(20)는 광학 영역(22)과, 주연 영역(24)과, 주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영역(26)을 포함하며, 광학 영역(22)은 내측 영역(26)의 일부를 형성한다. 다르게는, 내측 영역(26)은 광학 영역과 주연 영역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학 영역(22)은 원형이거나, 환상형이거나, 다른 특별한 형상일 수 있다. 주연 영역(24)은 균일한 방사상 치수(폭)를 가질 수 있지만, 방사상 치수는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된 실시예에서, 주연 영역(24)은 상측 단부(30)에서 좁은 방사상 치수를 가지며 하측 단부(32)에서 넓은 방사상 치수를 갖는다.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자면, 내측 영역(26)은 수직 경선 또는 관통 중심선(Z-Z')을 따라 렌즈(20)의 상부쪽으로 조금 오프셋된 원형 주연부 또는 밸러스트 주연부(34)를 갖는다. 광학 영역(22), 주연 영역(24) 및 내측 영역(26) 사이의 도면에서의 구분적인 묘사는 이들 영역에 불연속부나 코너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예시적인 렌즈는 이들 영역 사이에서 점차적인 만곡 전이부를 포함한다.
렌즈 에지(36)는 정면과 배면의 교차부를 형성한다. 주연 영역(24)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밸러스트 주연부(34)에서 보다는 렌즈 에지(36)에서 얇게 되도록 테이퍼진다. 이와 관련해서, (비록 기초적 구면 곡률 상에 가해졌지만) 주연 영역(24)은 양호하게는 부분적으로 원추형 표면을 형성한다. 다르게는, 주연 영역(24)은 부분적으로 구면의 또는 예컨대 임의의 적절한 곡률인 다른 곡률(즉, 형상)을 형성한다.
렌즈(20)의 다양한 특징부는 다른 유사한 렌즈와 비교해서 착용자의 안락감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사실, 일정한 임상 시험의 결과로서 환자는 유사 렌즈의 안락감 수준에 대한 질문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렌즈의 안락감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고안된 질문에 대해 보다 선호하는 응답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내측 영역(26)은 수직 경선(Z-Z')을 따라 세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다. 특히, 상측 부분(40)은 밸러스트 주연부(34)의 상부 범위와 수직 경선(Z-Z')에 수직한 가상선(42)에 의해 묘사된 광학 영역(22)의 상부 범위 사이에서 연장된다. 중간 부분(44)은 수직한 선(42)과 광학 영역(22)의 하부 범위의 수직한 선(46) 사이에서 연장된다. 마지막으로, 하측 부분(48)은 수직한 선(46)과 밸러스트 주연부(34)의 하부 범위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광학 영역(22)은 전체적으로 중간 부분(44) 내에 놓인다.
상측 부분(40)과 중간 부분(44)과 하측 부분(48)은 본 출원에서 내측 영역(26)을 특정 밸러스트 표면이 마련될 수 있는 분명한 영역으로 구획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영역들 사이의 구획하는 선(42, 46)들은 때로 변위될 수 있거나 비선형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일 태양에서,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내측 영역(26)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특별한 밸러스트 또는 프리즘 밸러스트 표면/두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독자는 이 부분(40, 44, 48)들이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만 도시된 것임을 알아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등(iso)-두께 밸러스트 표면이 상측 부분(40)과, 중간 부분(44)과, 하측 부분(48) 중 적어도 한 부분의 (수직 치수의 백분율로서 측정했을 때) 적어도 20 %, 양호하게는 적어도 50 %, 보다 양호하게는 적어도 100 %에 형성된다. 보다 특별하게는, 등-두께 밸러스트부가 수직 경선을 따라 측정될 때 상측 부분,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의 최소 치수의 적어도 20 %의 수직 경선을 따르는 거리에 이르는 주연 영역과 광학 영역을 제외한 일련의 연속적 수평 단면으로서 상측 부분(40), 중간 부분(44) 및 하측 부분(4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 내에서 형성된다. 용어 "등-두께"라 함은 각각의 연속적인 수평 단면이 약 30 ㎛ 또는 20 %의 값 중 절대값이 큰 값 이상으로는 변하지 않는 사실상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특별히 양호한 구조에서, 밸러스트 표면은 상측 부분(40), 중간 부분(44) 및 하측 부분(48) 중 적어도 두 부분, 보다 양호하게는 이들 모든 부분에 마련된다.
본 발명은 예컨대, 프리즘 밸러스트, 페리밸러스트 및 소위 "동적 안정화된" 렌즈와 같은 밸러스트를 구비한 것들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밸러스트된 렌즈는 어느 정도 융기된 표면 외형을 제공하며, 표면 외형 위에서 눈꺼풀은 일반적으로 광학축 둘레에서 렌즈를 재배향하도록 문지른다. 프리즘 밸러스트는 광학체 내에서도 눈꺼풀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웨지 또는 테이퍼진 밸러스트를 제공하지만, 페리밸러스트는 광학체가 없다. 동적 안정화는 렌즈 상에서 상측 편평부 및 하측 편평부를 포함함으로써, 미국 특허 제4,095,878호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간 구역은 눈과 상호 작용하도록 두터워진다.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이와 같은 안정화 기구가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또한 수직 경선(Z-Z')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되는(즉, 수평 방향의) 다수의 개략 횡단선(A-A', B-B', C-C', D-D' 및 E-E')을 도시한다. 이들 단면은 기초적 구면 곡률이 도시된 도2에서 도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밸러스트를 포함하는 도2에 도시된 연속적인 수평 단면들 각각이 광학 영역(22)과 주연 영역(24)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균일한 또는 등-두께를 갖는다고 규정한다. 예컨대, D-D'와 같이, 밸러스트를 갖는 도2의 단면중 하나는 사실상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다르게는, 밸러스트를 포함하는 도2의 모든 단면은 광학 영역(22)과 주연 영역(24)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균일한 두께이다.
바람직하게는, 사실상 두께가 균일한 구역은 하나의 구역 내의 두께가 약 30 ㎛ 또는 약 20 %의 값 중 절대값이 큰 값 이상으로는 변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구역의 두께는 약 10 ㎛ 또는 약 7 % 중 큰 값 이상으로는 변하지 않는 것과 같이, 약 15 ㎛ 또는 약 10 %보다 크지 않게 변화한다. 이와 같은 변경은 이 구역들이 "사실상 균일한" 두께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충분히 작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콘택트 렌즈(20)는 전체 내측 영역(26) 내에서 가해진 소위 프리즘 밸러스트를 갖는다. 즉, 콘택트 렌즈(20)의 상부에서 수직 경선(Z-Z')과의 밸러스트 주연부(34)의 교차부로부터 콘택트 렌즈의 바닥부에서 동일한 두 선 사이의 교차부까지 두께는 일반적으로 증가한다. 수직 경선(Z-Z')을 따르는 이런 두께 분포는 도3에서 그래프에 의해 도시되어 있으며, 주연 영역(24)의 상측 단부(30)는 우측에 도시되어 있고 하측 단부(32)는 좌측에 도시되어 있다. 우측에서 시작해서, 에지(36)로부터 밸러스트 주연부(34)의 상부 범위까지 상측 단부(30) 내의 주연 영역(24)의 테이퍼가 도시되어 있다. 상측 부분(40)에서, 두께는 수평선(42)쪽으로 점차 증가한다. 두께는 또한 광학 영역(22)을 거쳐 수평선(46)쪽으로 증가한다. 최대 두께는 밸러스트 주연부(34)의 하부 범위쪽으로 하측 부분(48)에 있다. 렌즈는 다시 밸러스트 주연부(34) 내지 하측 에지 사이의 주연 영역(24) 내에서 하향으로 테이퍼진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두께 분포는 상측 부분(40), 중간 부분(44) 및 하측 부분(48) 모두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콘택트 렌즈(20) 내의 프리즘 밸러스트에 대응한다. 사실상, 광학 영역(22)인 경우에도 이런 프리즘 밸러스트를 나타낸다. 중요하게는, 본 발명은 균일한 두께의 수평 단면을 갖는 이들 부분(40, 44, 48)중 적어도 한 부분에 프리즘 밸러스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모든 단면은 주연 영역(24)을 제외하고는 그 폭을 따라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물론, 두께는 수직 경선(Z-Z')에 평행한 상측-하측 방향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각 단면의 두께는 단면(A-A')으로부터 단면(E-E')까지 증가한다.
수평 단면에서의 균일한 두께는 종래의 렌즈에 비교해 볼 때 본 발명의 렌즈들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돕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렌즈들은 균일한 두께 또는 등-두께 구조로 인해 렌즈 상의 눈꺼풀에 의해 발생되는 토오크가 낮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렌즈들보다 많은 착용자에게 적절하다. 등-두께 밸러스트 배열은 눈꺼풀이 깜빡이는 동안 렌즈의 아래 위로 이동할 때 콘택트 렌즈의 각 구역을 가로질러 균일한 접촉을 달성함으로써 눈꺼풀 상호 작용을 최대화한다. 대조적으로, 눈꺼풀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불균일한 두께의 수평 렌즈 단면과 상호 작용할 때 눈꺼풀은 정상적인 깜빡임중에 보다 많은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킨다. 이는 렌즈가 눈 위에서 적절히 배향되기 위해 렌즈가 소정 방위(전체적인 방위)로 압착되고 깜빡임(깜빡임 동안의 방위)중에 최소의 요동을 겪도록 렌즈-눈꺼풀 상호 작용이 렌즈(즉, 각각의 수평 단면)를 가로질러 최대화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수직 경선의 양 측면 상에서 최대 두께의 지점 또는 좁은 피크를 갖는 종래 기술의 렌즈들은 보다 쉽게 수평 구역을 가로질러 불균일한 렌즈-눈꺼풀 상호 작용을 발생시킨다. 또한, 종래 기술의 렌즈에서 최대 두께의 피크 사이의 수평 거리는 통상적으로 상측 부분으로부터 수평 경선까지 증가한 후, 중간선으로부터 하측 부분으로 감소한다. 이것은 또한 렌즈-눈꺼풀 상호작용력을 변경시킨다.
콘택트 렌즈(20)의 수평 단면의 두께가 균일하면 다른 유사한 렌즈와 비교할 때 눈에서 올바른 회전 방위를 유지한다는 점에 있어 렌즈의 성능을 개선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임상 시험은 시간에 걸쳐 렌즈 상의 구획 마크의 위치에서 가변성이 작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컨대, 20명으로 된 그룹들이 일시에 눈에서 다양한 렌즈 상의 시간에 걸친 구획 마크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연구되었으며, 구획 마크의 위치의 표준 편차가 검출되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렌즈에 대한 표준 편차가 다른 렌즈에서보다 작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렌즈가 눈에서 회전 불안정성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께 분포를 갖는 콘택트 렌즈(20)의 두께에 대한 예시값이 도4a의 지형적 묘사에서 마련되었다. 도4a에 도시된 콘택트 렌즈(20)는 일반적으로 원형이다. 도4a에서, 내측 영역(26)은 수평 및 수직 격자선에 의해 복수의 분리 유닛으로 구획된다. 각각의 수평열 유닛은 내측 영역(26)을 거쳐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한편, 수직행 유닛을 따르는 두께는 일반적으로 상측에서부터 하측까지 증가한다. 예컨대, 수평열(50)은 광학 영역이 아닌 곳에서는 140 ㎛의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수직행(52)은 상부에서 70 ㎛의 두께를 가지며, 점차적으로 280 ㎛로 증가하고, 주위 영역(24)의 하측 부분 바로 앞까지 감소하기 시작한다. 도4a에서 제공되는 값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연성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에 적절하다. 다른 재료로 제조된 렌즈에 대한 값들은 특수 재료의 광학적 또는 다른 성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4a에 매핑된 개별 유닛들이 각 유닛 내의 평균 두께를 나타낸다. 즉, 콘택트 렌즈(20) 아래의 두께는 유닛들 사이에서 계단식 경계가 아닌 점차적으로 변화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비록 본 출원은 콘택트 렌즈의 개별 영역 또는 부분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 영역은 단지 본 발명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렌즈의 이들 서로 다른 영역 사이에 뚜렷한 구별이 없으며, 대신에 서로 매끄럽게 조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4a는 또한 주연 영역(24)에 거쳐 콘택트 렌즈(20)의 두께가 감소하는 것 또는 콘택트 렌즈의 테이퍼를 도시한다. 예컨대, 하측의 중간 지점에서, 두께는 210-140-70 ㎛로부터 감소한다. 이는 도3의 그래프에서도 알 수 있다. 주연 영역(24) 내의 이런 테이퍼는 콘택트 렌즈(20)의 에지 둘레에 소위 안락 영역을 제공한다. 두께가 저감되기 때문에, 콘택트 렌즈를 가로지르는 눈꺼풀의 움직임은 순조롭게 되고 자극이 줄어든다. 특히, 눈꺼풀은 보다 갑작스런 두께 변화가 있는 경우보다 테이퍼된 주연 영역(24)에 걸쳐 보다 용이하게 이동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콘택트 렌즈(20)는 각막의 중심부에 콘택트 렌즈를 유지하기 위해 각막 끼움 관계를 갖는다. 양호하게는, 렌즈는 각막 보호 구역에 도달하기에 충분한 직경을 가지며, 착용자의 안락감과 시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서 렌즈가 응시와 깜빡임으로 인해 느슨하고 불안정하게 되지 않도록 최적의 안정성이 제공된다. 최적의 렌즈-각막 끼움 관계를 위한 시상 봉합 깊이(정면의 오목 깊이)는 약 13.0 ㎜ 내지 16.0 ㎜ 사이의 렌즈 직경에 걸쳐 약 3.0 내지 5.0 ㎜ 사이이다. 보다 양호하게는, 렌즈 직경은 약 13.5 내지 14.8 ㎜ 사이이다. 렌즈 에지(36)의 두께는, 양호하게는 약 130 ㎛보다 작으며, 보다 양호하게는 90 ㎛보다 작다. 이와 관련하여, 두께는 배면 곡률에 대해 방사상으로 측정된다. 렌즈 에지(36)의 가장 바깥쪽 범위는 정면 에지 코너의 양호한 라운딩을 합체할 수 있다.
복수의 경선이 렌즈의 중심을 통과해서 형성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최대의 착용자 안락감을 얻기 위해 밸러스트 영역(34)의 단부로부터 렌즈 에지(36)(즉, 주연 영역(24))까지 렌즈 방사상 두께의 변화율은 렌즈의 어떤 경선을 따르더라도 약 250 ㎛/㎜보다 작다. 예컨대, 도4a의 지형적 맵에서, 두께의 변화율은 어떤 경선을 따르더라도 주연 영역(24) 내에서 약 250 ㎛/㎜보다 작다. 보다 양호하게는, 주연 영역(24)에서의 변화율은 약 200 ㎛/㎜보다 작다.
주연 영역(24)과 등-두께 간의 유리한 상호 작용의 일 예는 렌즈 둘레에서 다양하게 측정된 바와 같이, 최대 두께 지점의 렌즈 에지(36)에 근접한 곳이다. 이런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7은 3:00 시계 위치에서 시작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degree) 단위의 광축을 통과하는 렌즈 둘레의 경선을 도시한다. 물론, 내측 영역(26)에서 등-두께인, 임의의 수평 경선을 따르는 최대 두께 지점은 광학 영역을 배제한 전체 수평 경선을 따르는 두께에 대응한다. 따라서, 내측 영역(26)과 임의의 경선을 따르는 최대 두께 지점의 시작은 항상 밸러스트 주연부(34) 상에 놓인다. 그러나, 양호한 밸러스트 작업으로 인해, 최대 두께는 밸러스트 주연부(34) 둘레에서 변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즘 밸러스트 렌즈에서, 그리고 225°경선을 따르는 최대 두께 지점(예컨대, 밸러스트 주연부(34))와 렌즈 에지(36) 사이의 거리는 두께에 관계없이 약 1.4 ㎜보다 크지 않다. 어떤 유형의 밸러스트 렌즈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225°경선을 따르는 최대 두께는 약 200 내지 400 ㎛ 사이, 양호하게는 약 250 내지 350 ㎛ 사이, 보다 양호하게는 약 320 ㎛이다. 270°경선을 따르는 최대 두께 지점(예컨대, 밸러스트 주연부(34))와 렌즈 에지(36) 사이의 거리는 두께에 관계없이 약 1.8 ㎜보다 크지 않으며, 다만 양호하게는 약 320 ㎛의 두께가 선호된다. 전체가 성형된 프리즘 밸러스트 렌즈(즉, 정면과 배면 모두가 성형됨)에서, 그리고 225°경선을 따르는 최대 두께 지점(예컨대, 밸러스트 주연부(34))과 렌즈 에지(36) 사이의 거리는 약 1.8 ㎜보다 크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270°경선을 따르는 최대 두께 지점(예컨대, 밸러스트 주연부(34))과 렌즈 에지(36) 사이의 거리는 약 2.1 ㎜보다 작다. 또한, 180°경선을 따르는 내측 영역과 주연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1.3 ㎜보다 작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렌즈의 주연 에지(24)는 종래 기술의 밸러스트 렌즈와 비교해서 폭이 비교적 협소하지만,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께가 양호하기 때문에 주연 영역(24)에서의 안락감 테이퍼 각도는 비교적 얕다.
비록 본 발명의 양호한 렌즈는 서로 다른 부분 사이에서 매끄럽고 곡면으로 된 전이부를 갖지만, 뚜렷한 경계나 코너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주연 영역(24)과 내측 영역(26) 사이의 전이부는 곡면으로 된 코너나 원형 밸러스트 주연부(34)에서의 불연속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경선(Z-Z')을 따르는 밸러스트 영역(26)과 주연 영역(24)(즉, 34에서) 사이의 전이부의 예가 도3에 도시되어 있다.
도5a 내지 도5d는 밸러스트 영역 내에 형성된 서로 다른 밸러스트부를 갖는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의 다양한 변경예를 도시한다. 설명을 위해, 내측 영역(26)의 여러 부분에 대한 정의(즉, 상측, 중간 및 하측)에 대해서는 도1을 다시 참조하기로 한다. 도5a는 내측 영역의 상측 부분 내에 형성된 밸러스트부(72)를 갖는 콘택트 렌즈(70)를 도시한다. 다시, 내측 영역은 광학 영역(74)과 주연 영역(76) 사이에 놓인다. 도5b는 내측 영역의 상측 부분 및 중간 부분 모두의 내부에 형성된 밸러스트부(82)를 갖는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80)를 도시한다. 도5c는 콘택트 렌즈의 상측 부분,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을 통해 전체 내측 영역 내에 형성된 밸러스트부(92)를 갖는 콘택트 렌즈(90)를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도5d는 내측 영역의 하측 부분 내에서만 형성된 밸러스트부(102)를 갖는 콘택트 렌즈(100)를 도시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변경예는 내측 영역의 중간 부분이나 하측 부분 내에 또는 상측 부분을 제외한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이 결합된 부분 내에 전체적으로 형성된 밸러스트부를 포함한다. 또한, 밸러스트부는 소위 "페리밸러스트" 배열의 광학 영역을 둘러쌀 수 있으며, 소위 "프리즘 밸러스트" 배열의 광학 영역을 통해 계속될 수 있다.
도6a 내지 도6d는 정면에 원통형 교정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많은 다른 콘택트 렌즈를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의 상측-하측 축에 대해 회전하는 장축(112)을 따라 배향된 각 렌즈 내의 토릭 광학 영역(110)이 도시된다. 따라서, 축(112)의 적절한 오프셋 방위를 유지하기 위해 렌즈에 대해 적절한 밸러스트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6a는 상측 부분에서 시작해서 내측 영역의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 모두를 통해 계속되는 밸러스트부(122)를 갖는 콘택트 렌즈(120)를 도시한다. 도6b는 내측 영역의 하측 부분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된 밸러스트부(132)를 갖는 콘택트 렌즈(130)를 도시한다. 도6c는 내측 영역의 중간 부분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된 밸러스트부(142)를 갖는 콘택트 렌즈(140)를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도6d는 내측 영역의 상측 부분 내에만 있는 밸러스트부(152)를 갖는 렌즈(150)를 도시한다.
도8은 선들이 도시된 다양한 영역 사이의 전이부들을 구획한 종래 기술(쿠퍼비젼 프리퀀시 엑셀 (엔코어) 토릭(CooperVision Frequency Xcel (Encore) Toric) 렌즈)에 따른 프리즘 밸러스트 렌즈를 도시한다. 특히, 광학 영역(200)은 일반적으로 원형인 내선(204)에 의해 밸러스트 영역(202)과 분리되며 밸러스트 영역은 일반적으로 원형인 외선(208)에 의해 주연 영역(206)과 분리된다. 내선(204)은 광축(OA) 상에서 기대되는 바와 같이 대략 중심에 위치되지만, 외선(208)은 수직 경선(210)을 따라 상향으로 오프셋된다. 결국, 밸러스트 영역(202)은 상측 영역이 하측 영역보다 넓다. 특히, 밸러스트 영역(202)의 상측의 방사상 폭(A)은 하측의 방사상 폭(B)보다 아주 크다. 사실상, 상측의 방사상 폭(A)은 하측의 방사상 폭(B)의 두 배보다 크다.
대조적으로,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렌즈는 방사상 폭(B)의 약 300 % 내에 있는 방사상 치수(A)를 갖는 사실상 환상의 내측 영역(26)을 갖는다. 즉, 성형 프리즘 밸러스트 렌즈에서, 밴드는 환상이고 0.33A ≤ B ≤ A의 관계가 유지된다. 다르게는, 모든 밸러스트 렌즈에서 환상 밴드는 0.55A ≤ B ≤ A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광학 배율을 갖는 렌즈에서 실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는 약 -8 내지 약 +8 디옵터 사이의 광학 배율을 갖지만, 이 범위는 한계 범위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는 균일 두께의 밸러스트 배열 이외의 안정화 특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주연 영역은 동적 안정화를 위한 편평화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거나, 렌즈는 중심 광학부 외측에 페리밸러스트 안정화 영역을 합체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다양한 특정 예 및 실시예와 관련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있다.

Claims (48)

  1.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구면의 기초 곡률(base curvature)을 가지며, 볼록형 정면, 오목형 배면, 및 상기 볼록형 정면과 상기 오목형 배면 사이의 주연 에지를 갖는 콘택트 렌즈 본체로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주연 에지를 향해서 얇아지도록 테이퍼진 주연 영역(peripheral zone)이 상기 정면의 주연 에지에 인접해서 형성된, 콘택트 렌즈 본체와,
    상기 주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영역과, 일반적으로 상기 내측 영역의 중간에 형성되어 콘텍트 렌즈의 착용자에 시력 교정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그 주변을 형성하는 경계를 갖는 광학 영역을 구비하는, 상기 볼록형 정면상의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 렌즈 본체는 상기 볼록형 정면과 상기 오목형 배면 사이에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콘택트 렌즈 본체는 상측 에지 및 하측 에지를 형성하도록 비-축대칭이며, 수직 경선이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를 향해서 규정되고, 수평 경선이 상기 수직 경선에 수직하게 규정되며,
    상기 내측 영역은 밸러스트부를 갖고,
    상기 두께는 상기 내측 영역의 적어도 밸러스트부에 있어서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를 향해서 상기 수직 경선에 평행한 라인을 따라 증가하고,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광학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의 상한(superior extent) 사이의 상측 부분과, 상기 광학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의 하한 사이의 하측 부분과,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 사이의 중간 부분을 가지며,
    상기 밸러스트부는 상기 상측 부분, 상기 중간 부분 및 상기 하측 부분 중 하나 이상의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밸러스트부는 상기 주연 영역 및 상기 광학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수직 경선을 따라서 측정할 때 상기 상측 부분, 상기 중간 부분 및 상기 하측 부분 중 수직 치수가 가장 작은 부분의 수직 치수의 20% 이상인 수직 경선을 따른 거리에 걸쳐서(spanning) 일련의 연속된 수평 단면을 가지며, 각각의 수평 단면은 약 30㎛ 또는 20%의 값 중 절대값이 큰 값 이상으로는 변하지 않는 균일한 두께를 갖고, 내측 영역은 수평 두께가 균일한 복수의 밴드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수평 단면의 두께는 약 15 ㎛ 또는 10 %의 값 중 절대값이 큰 값 이상으로는 변하지 않는 콘택트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225°경선을 따라서, 내측 영역과 주연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1.45 ㎜보다 작은 콘택트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225°경선을 따라서, 테이퍼진 주연 영역에서 두께의 변화율은 약 250 ㎛/㎜보다 작은 콘택트 렌즈.
  5. 제1항에 있어서, 밸러스트부는 프리즘 밸러스트인 콘택트 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밸러스트부는 수직 경선을 따라서 측정할 때 상측 부분,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 중 수직 치수가 가장 작은 부분의 수직 치수의 적어도 50 %인 수직 경선을 따른 거리에 걸쳐 있는 콘택트 렌즈.
  7. 제1항에 있어서, 밸러스트부는 상측 부분,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 중 단지 하나의 부분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콘택트 렌즈.
  8. 제1항에 있어서, 밸러스트부는 상측 부분,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 중 단지 두 개의 부분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콘택트 렌즈.
  9. 제1항에 있어서, 밸러스트부는 상측 부분,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 중 세 부분 모두에 형성되는 콘택트 렌즈.
  10. 제1항에 있어서, 밸러스트부는 수직 경선을 따라서 측정할 때 상측 부분,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의 각각의 치수의 적어도 50 %의 수직 경선을 따른 거리에 걸쳐 있는 콘택트 렌즈.
  11. 제10항에 있어서, 밸러스트부는 수직 경선을 따라서 측정할 때 상측 부분, 중간 부분 및 하측 부분의 각각의 치수의 적어도 100 %의 수직 경선을 따른 거리에 걸쳐 있는 콘택트 렌즈.
  12. 제11항에 있어서, 밸러스트부는 광학 영역을 포함하는 전체 내측 영역 상에마련되는 콘택트 렌즈.
  13. 제11항에 있어서, 밸러스트부는 광학 영역을 제외한 전체 내측 영역 상에 마련되는 콘택트 렌즈.
  14. 제1항에 있어서, 정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한 쪽에 원통형 교정부를 더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15. 제14항에 있어서, 원통형 교정부는 정면에 마련되고, 정면의 광학 영역은 구면 교정부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16. 제1항에 있어서, 주연 영역은 균일한 폭을 갖는 콘택트 렌즈.
  17. 제16항에 있어서, 주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며 광학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밴드는 환상이고, 상측 거리(A)는 수직 경선을 따라 내측 영역 내에서 광학 영역에서부터 주연 영역까지로 규정되며, 하측 거리(B)는 수직 경선을 따라 내측 영역 내에서 광학 영역에서부터 주연 영역까지로 규정되고, 0.25A ≤ B ≤ A인 콘택트 렌즈.
  18.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 본체는 연성 콘택트 렌즈인 콘택트 렌즈.
  19. 제1항에 있어서, 밸러스트부는 페리밸러스트인 콘택트 렌즈.
  20.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는 동적 안정화 기구를 더 구비하는 콘택트 렌즈.
  21. 제1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는 부(negative)의 구면 배율 거리 교정부를 더 구비하는 콘택트 렌즈.
  22.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구면의 기초 곡률(base curvature)을 가지며, 볼록형 정면, 오목형 배면, 및 상기 볼록형 정면과 상기 오목형 배면 사이의 주연 에지를 갖는 콘택트 렌즈 본체로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주연 에지를 향해서 얇아지도록 테이퍼진 주연 영역(peripheral zone)이 상기 콘택트 렌즈의 주연 에지에 인접해서 형성된 콘택트 렌즈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 렌즈 본체는 상기 볼록형 정면과 상기 오목형 배면 사이에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콘택트 렌즈 본체는 상측 에지 및 하측 에지를 형성하도록 비-축대칭이며, 수직 경선이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를 향해서 규정되고, 수평 경선이 상기 수직 경선에 수직하게 규정되며,
    상기 볼록형 정면은 상기 주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고 프리즘 밸러스트부를 갖는 내측 영역과, 일반적으로 상기 내측 영역의 중간에 형성되어 콘텍트 렌즈의 착용자에 시력 교정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그 주변을 형성하는 경계를 갖는 광학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두께는 내측 영역의 적어도 프리즘 밸러스트부에 있어서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를 향해서 상기 수직 경선에 평행한 라인을 따라 증가하며,
    225°경선을 따라서, 내측 영역과 주연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1.4 ㎜보다 작으며,
    내측 영역은 수평 두께가 균일한 복수의 밴드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23. 제22항에 있어서, 225°경선을 따라서, 테이퍼진 주연 영역에서 두께의 변화율은 약 250 ㎛/㎜보다 작은 콘택트 렌즈.
  24. 제23항에 있어서, 225°경선을 따라서, 테이퍼진 주연 영역에서 두께의 변화율은 약 200 ㎛/㎜보다 작은 콘택트 렌즈.
  25. 제22항에 있어서, 콘택트 렌즈의 225°경선을 따라서 최대 두께는 약 200 내지 400 ㎛ 사이인 콘택트 렌즈.
  26. 제25항에 있어서, 225°경선을 따라서 최대 두께는 약 250 내지 350 ㎛ 사이인 콘택트 렌즈.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광학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의 상한 사이의 상측 부분과, 상기 광학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의 하한 사이의 하측 부분과,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 사이의 중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즘 밸러스트부는 상기 상측 부분, 상기 중간 부분 및 상기 하측 부분 중 하나 이상의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프리즘 밸러스트부는 상기 주연 영역 및 상기 광학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측정할 때 수직 경선을 따라 상기 상측 부분, 상기 중간 부분 및 상기 하측 부분 중 수직 치수가 가장 작은 부분의 수직 치수의 20 % 이상인 수직 경선을 따른 거리에 걸쳐서 일련의 연속된 수평 단면을 가지며, 각각의 수평 단면은 약 30 ㎛ 또는 20 %의 값 중 절대값이 큰 값 이상으로는 변하지 않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콘택트 렌즈.
  28. 제22항에 있어서, 270°경선을 따라서, 내측 영역과 주연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1.8 ㎜보다 작은 콘택트 렌즈.
  29. 성형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구면의 기초 곡률(base curvature)을 가지며, 볼록형 정면, 오목형 배면, 및 상기 볼록형 정면과 상기 오목형 배면 사이의 주연 에지를 갖는 전체가 성형된 콘택트렌즈 본체로서, 상기 성형 콘택트 렌즈의 주연 에지를 향해서 얇아지도록 테이퍼진 주연 영역(peripheral zone)이 상기 성형 콘택트 렌즈의 주연 에지에 인접해서 형성된 전체가 성형된 콘택트렌즈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체가 성형된 콘택트렌즈 본체는 상기 볼록형 정면과 상기 오목형 배면 사이에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전체가 성형된 콘택트렌즈 본체는 상측 에지 및 하측 에지를 형성하도록 비-축대칭이며, 수직 경선이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를 향해서 규정되고, 수평 경선이 상기 수직 경선에 수직하게 규정되며,
    상기 볼록형 정면은 상기 주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고 프리즘 밸러스트부를 갖는 내측 영역과, 일반적으로 상기 내측 영역의 중간에 형성되어 콘텍즈 렌즈의 착용자에 시력 교정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그 주변을 형성하는 경계를 갖는 광학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두께는 내측 영역의 적어도 프리즘 밸러스트부에 있어서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를 향해서 상기 수직 경선에 평행한 라인을 따라 증가하며,
    225°경선을 따라서, 내측 영역과 주연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1.8 ㎜보다 작으며,
    내측 영역은 수평 두께가 균일한 복수의 밴드를 가지는 성형 콘택트 렌즈.
  30. 제29항에 있어서, 225°경선을 따라서 최대 두께는 약 200 내지 400 ㎛ 사이인 성형 콘택트 렌즈.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광학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의 상한 사이의 상측 부분과, 상기 광학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의 하한 사이의 하측 부분과,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 사이의 중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즘 밸러스트부는 상기 상측 부분, 상기 중간 부분 및 상기 하측 부분 중 하나 이상의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프리즘 밸러스트부는 상기 주연 영역 및 상기 광학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수직 경선을 따라서 측정할 때 수직 경선을 따라 상기 상측 부분, 상기 중간 부분 및 상기 하측 부분 중 수직 치수가 가장 작은 부분의 수직 치수의 20 % 이상인 수직 경선을 따른 거리에 걸쳐서 일련의 연속된 수평 단면을 가지며, 각각의 수평 단면은 약 30 ㎛ 또는 20 %의 값 중 절대값이 큰 값 이상으로는 변하지 않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성형 콘택트 렌즈.
  32. 제29항에 있어서, 270°경선을 따라서, 내측 영역과 주연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2.1 ㎜보다 작은 성형 콘택트 렌즈.
  33. 제29항에 있어서, 180°경선을 따라서, 내측 영역과 주연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1.3 ㎜보다 작은 성형 콘택트 렌즈.
  34. 성형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구면의 기초 곡률(base curvature)을 가지며, 볼록형 정면, 오목형 배면, 및 상기 볼록형 정면과 상기 오목형 배면 사이의 주연 에지를 갖는 전체가 성형된 콘택트렌즈 본체로서, 상기 성형 콘택트 렌즈의 주연 에지를 향해서 얇아지도록 테이퍼진 주연 영역(peripheral zone)이 상기 성형 콘택트 렌즈의 주연 에지에 인접해서 형성된 전체가 성형된 콘택트렌즈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전체가 성형된 콘택트렌즈 본체는 상기 볼록형 정면과 상기 오목형 배면 사이에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전체가 성형된 콘택트렌즈 본체는 상측 에지 및 하측 에지를 형성하도록 비-축대칭이며, 수직 경선이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를 향해서 규정되고, 수평 경선이 상기 수직 경선에 수직하게 규정되며,
    상기 볼록형 정면은 상기 주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고 프리즘 밸러스트부를 갖는 내측 영역과, 일반적으로 상기 내측 영역의 중간에 형성되어 콘텍트 렌즈의 착용자에 시력 교정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그 주변을 형성하는 경계를 갖는 광학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두께는 내측 영역의 적어도 프리즘 밸러스트부에 있어서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를 향해서 상기 수직 경선에 평행한 라인을 따라 증가하며,
    180°경선을 따라서, 내측 영역과 주연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1.3 ㎜보다 작으며,
    내측 영역은 수평 두께가 균일한 복수의 밴드를 가지는 성형 콘택트 렌즈.
  35. 제34항에 있어서, 270°경선을 따라서, 내측 영역과 주연 에지 사이의 거리는 약 2.1 ㎜보다 작은 성형 콘택트 렌즈.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광학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의 상한 사이의 상측 부분과, 상기 광학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의 하한 사이의 하측 부분과, 상기 상측 부분과 상기 하측 부분 사이의 중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즘 밸러스트부는 상기 상측 부분, 상기 중간 부분 및 상기 하측 부분 중 하나 이상의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프리즘 밸러스트부는 상기 주연 영역 및 상기 광학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수직 경선을 따라서 측정할 때 상기 상측 부분, 상기 중간 부분 및 상기 하측 부분 중 수직 치수가 가장 작은 부분의 수직 치수의 20 % 이상인 수직 경선을 따른 거리에 걸쳐서 일련의 연속된 수평 단면을 가지며, 각각의 수평 단면은 약 30 ㎛ 또는 20 %의 값 중 절대값이 큰 값 이상으로는 변하지 않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성형 콘택트 렌즈.
  37.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구면의 기초 곡률(base curvature)을 가지며, 볼록형 정면, 오목형 배면, 및 상기 볼록형 정면과 상기 오목형 배면 사이의 주연 에지를 갖는 콘택트 렌즈 본체로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주연 에지를 향해서 얇아지도록 테이퍼진 주연 영역(peripheral zone)이 상기 콘택트 렌즈의 주연 에지에 인접해서 형성된 콘택트 렌즈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 렌즈 본체는 상기 볼록형 정면과 상기 오목형 배면 사이에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콘택트 렌즈 본체는 상측 에지 및 하측 에지를 형성하도록 비-축대칭이며, 수직 경선이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를 향해서 규정되고, 수평 경선이 상기 수직 경선에 수직하게 규정되며,
    상기 볼록형 정면은 상기 주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고 밸러스트부를 갖는 내측 영역과, 일반적으로 상기 내측 영역의 중간에 형성되어 콘텍트 렌즈의 착용자에 시력 교정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그 주변을 형성하는 경계를 갖는 광학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두께는 내측 영역의 적어도 밸러스트부에 있어서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를 향해서 상기 수직 경선에 평행한 라인을 따라 증가하며,
    주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며 광학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밴드는 환상이고, 상측 거리(A)는 수직 경선을 따라 내측 영역 내에서 광학 영역에서부터 주연 영역까지로 규정되며, 하측 거리(B)는 수직 경선을 따라 내측 영역 내에서 광학 영역에서부터 주연 영역까지로 규정되고, 0.55A ≤ B ≤ A이며,
    내측 영역은 수평 두께가 균일한 복수의 밴드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38. 성형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구면의 기초 곡률(base curvature)을 가지며, 볼록형 정면, 오목형 배면, 및 상기 볼록형 정면과 상기 오목형 배면 사이의 주연 에지를 갖는 콘택트 렌즈 본체로서, 상기 성형 콘택트 렌즈의 주연 에지를 향해서 얇아지도록 테이퍼진 주연 영역(peripheral zone)이 상기 성형 콘택트 렌즈의 주연 에지에 인접해서 형성된 콘택트 렌즈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 렌즈 본체는 상기 볼록형 정면과 상기 오목형 배면 사이에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콘택트 렌즈 본체는 상측 에지 및 하측 에지를 형성하도록 비-축대칭이며, 수직 경선이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를 향해서 규정되고, 수평 경선이 상기 수직 경선에 수직하게 규정되며,
    상기 볼록형 정면은 상기 주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고 성형 프리즘 밸러스트부를 갖는 내측 영역과, 일반적으로 상기 내측 영역의 중간에 형성되어 콘텍트 렌즈의 착용자에 시력 교정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그 주변을 형성하는 경계를 갖는 광학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두께는 내측 영역의 적어도 성형 프리즘 밸러스트부에 있어서 상측 에지로부터 하측 에지를 향해서 상기 수직 경선에 평행한 라인을 따라 증가하며,
    주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이며 광학 영역 주위에 위치하는 밴드는 환상이고, 상측 거리(A)는 수직 경선을 따라 내측 영역 내에서 광학 영역에서부터 주연 영역까지로 규정되며, 하측 거리(B)는 수직 경선을 따라 내측 영역 내에서 광학 영역에서부터 주연 영역까지로 규정되고, 0.33A ≤ B ≤ A이며,
    내측 영역은 수평 두께가 균일한 복수의 밴드를 가지는 성형 콘택트 렌즈.
  39.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콘텍트 렌즈의 착용자에 시력 교정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그 주변을 형성하는 경계를 갖는 광학 영역과,
    상기 광학 영역을 둘러싸는 내측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내측 영역 전체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가지며 균일한 수평 두께를 갖는, 안정화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안정화 구조체는 상기 콘택트 렌즈를 개개의 눈에 회전식으로 안정화시키며,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내측 영역의 상측 경계부와 상기 내측 영역의 하측 경계부 사이에 위치한 영역에서 최대 두께를 갖지며,
    내측 영역은 수평 두께가 균일한 복수의 밴드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40.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콘텍트 렌즈의 착용자에 시력 교정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그 주변을 형성하는 경계를 구비하며 대체로 중앙에 위치하는 광학 영역, 상측 영역, 하측 영역, 및 상기 상측 영역과 상기 하측 영역 사이에 위치한 중간 영역을 갖는 동적 안정화된 렌즈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영역은 상기 상측 영역과 상기 하측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상기 상측 영역, 상기 하측 영역 및 상기 중간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은 상기 광학 영역을 제외하고 상기 상측 영역, 상기 하측 영역 및 상기 중간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 전체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수평한 복수의 등(iso) 두께 라인을 가져, 상기 콘택트 렌즈를 개개의 눈에 회전식으로 안정화시키는 콘택트 렌즈.
  41.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콘텍트 렌즈의 착용자에 시력 교정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그 주변을 형성하는 경계를 갖는 광학 영역과,
    상기 광학 영역을 둘러싸는 내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영역은 상측 경계부, 하측 경계부, 좌측 영역, 우측 영역, 및 상기 광학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의 하측 경계부 사이에 위치한 최대 두께 영역에 대해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수직 경선에 평행한 라인을 따라서 상기 상측 경계부로부터 상기 하측 경계부를 향해서 증가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두께는 상기 내측 영역의 좌측 영역과 상기 내측 영역의 우측 영역에서 동일하며,
    내측 영역은 수평 두께가 균일한 복수의 밴드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42.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정면, 배면, 주연 에지, 및 상기 정면과 상기 배면 사이의 거리로서 규정된 두께를 갖는 콘택트 렌즈 본체와,
    콘텍트 렌즈의 착용자에 시력 교정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그 주변을 형성하는 경계를 갖는 토릭(toric) 광학 영역과,
    상기 토릭 광학 영역을 둘러싸는 내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콘택트 렌즈의 225°경선을 나타내는 직선을 따라서 최대 두께 영역을 가지며,
    상기 직선을 따라서, 상기 최대 두께 영역과 상기 주연 에지 사이의 상기 직선의 거리는 1.4㎜ 보다 작으며,
    내측 영역은 수평 두께가 균일한 복수의 밴드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43.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정면, 배면, 주연 에지, 및 상기 정면과 상기 배면 사이의 거리로서 규정된 두께를 갖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본체와,
    콘텍트 렌즈의 착용자에 시력 교정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그 주변을 형성하는 경계를 갖는 토릭(toric) 광학 영역과,
    상기 토릭 광학 영역을 둘러싸는 내측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콘택트 렌즈의 180°경선을 나타내는 직선을 따라서 최대 두께 영역을 가지며,
    상기 직선을 따라서, 상기 최대 두께 영역과 상기 주연 에지 사이의 상기 직선의 거리는 1.3㎜ 보다 작으며,
    내측 영역은 수평 두께가 균일한 복수의 밴드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44.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주연 에지, 중간에 위치하고 렌즈 본체의 광축을 둘러싸며 콘텍트 렌즈의 착용자에 시력 교정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그 주변을 형성하는 경계를 갖는 광학 영역, 및 광학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optic circumscribing zone)을 구비하는 회전식으로 안정화되는 실리콘-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은, 렌즈 본체가 개개의 눈에 위치하였을 때, 렌즈 본체의 광축을 중심으로 렌즈 본체를 회전식으로 안정화시키는 균일한 수평한 두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콘택트 렌즈의 225°경선을 나타내는 직선을 따라서, 상기 광학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과 상기 주연 에지 사이의 직선의 거리는 약 1.8 ㎜ 보다 작으며,
    광학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은 수평 두께가 균일한 복수의 밴드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45.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정면과, 배면과, 주연 에지와, 콘텍트 렌즈의 착용자에 시력 교정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그 주변을 형성하는 경계를 구비하며 대체로 중앙에 위치하는 광학 영역과, 밸러스트 주연부를 갖는 밸러스트를 구비하는 비-축대칭 렌즈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본체의 225°경선을 나타내는 직선을 따라서, 상기 밸러스트 주연부와 상기 주연 에지 사이의 상기 직선의 거리는 약 1.4 ㎜ 보다 작으며,
    밸러스트는 수평 두께가 균일한 복수의 밴드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46. 콘택트 렌즈에 있어서,
    정면과, 배면과, 주연 에지와, 콘텍트 렌즈의 착용자에 시력 교정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그 주변을 형성하는 경계를 구비하며 대체로 중앙에 위치하는 광학 영역과, 밸러스트 주연부를 갖는 밸러스트를 구비하는 비-축대칭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본체의 180°경선을 나타내는 직선을 따라서, 상기 밸러스트 주연부와 상기 주연 에지 사이의 상기 직선의 거리는 약 1.3 ㎜ 보다 작으며,
    밸러스트는 수평 두께가 균일한 복수의 밴드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47. 제1항, 제22항, 제37항, 제39항, 제40항, 제41항, 제42항 또는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콘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48. 제29항, 제34항 또는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리콘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성형 콘택트 렌즈.
KR1020027013002A 2000-03-31 2001-03-28 균일한 수평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 콘택트 렌즈 KR100910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9349300P 2000-03-31 2000-03-31
US60/193,493 2000-03-31
US09/818,244 US6467903B1 (en) 2000-03-31 2001-03-27 Contact lens having a uniform horizontal thickness profile
US09/818,244 2001-03-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178A Division KR20090081428A (ko) 2000-03-31 2001-03-28 균일한 수평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 콘택트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944A KR20020087944A (ko) 2002-11-23
KR100910710B1 true KR100910710B1 (ko) 2009-08-04

Family

ID=268890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178A KR20090081428A (ko) 2000-03-31 2001-03-28 균일한 수평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 콘택트 렌즈
KR1020027013002A KR100910710B1 (ko) 2000-03-31 2001-03-28 균일한 수평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 콘택트 렌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178A KR20090081428A (ko) 2000-03-31 2001-03-28 균일한 수평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 콘택트 렌즈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9) US6467903B1 (ko)
EP (1) EP1281099B1 (ko)
JP (1) JP2004506925A (ko)
KR (2) KR20090081428A (ko)
CN (1) CN1232864C (ko)
AT (1) ATE358289T1 (ko)
AU (1) AU2001247847A1 (ko)
BR (1) BR0109734A (ko)
CA (1) CA2404554C (ko)
DE (2) DE06019325T1 (ko)
ES (1) ES2280354T3 (ko)
HK (2) HK1051406A1 (ko)
MX (1) MXPA02009327A (ko)
WO (1) WO20010755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8485B2 (en) * 2000-03-31 2009-12-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Contact lens having a uniform horizontal thickness profile
US6467903B1 (en) * 2000-03-31 2002-10-22 Ocular Sciences, Inc. Contact lens having a uniform horizontal thickness profile
US7152975B2 (en) * 2000-11-10 2006-12-26 Cooper Vision, Inc. Junctionless ophthalmic lens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6595640B1 (en) * 2000-11-15 2003-07-2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for designing contact lenses
AUPR276601A0 (en) * 2001-01-31 2001-02-22 Newman, Steve A contact lens for refractive correction and capable of engagement with an eye either inside out or right way out
NL1017287C2 (nl) * 2001-02-06 2002-08-07 Otb Group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spuitgieten van een kunststof voorwerp.
JP2004534964A (ja) 2001-04-27 2004-11-18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自動レンズ設計及び製造システム
US6921168B2 (en) * 2002-07-24 2005-07-26 Novartis Ag Translating contact lens having a ramped ridge
EP2508936B1 (en) * 2002-08-06 2016-11-23 Novartis AG Contact lenses
CA2526076C (en) * 2003-05-21 2013-08-06 Novartis Ag Contact lenses
US7101042B2 (en) * 2003-08-12 2006-09-05 S.I.B. Investments Llc Multifocal contact lens
US6939005B2 (en) * 2003-08-20 2005-09-0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Rotationally stabilized contact lenses
US7036930B2 (en) 2003-10-27 2006-05-0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s for reducing corneal staining in contact lens wearers
US7201480B2 (en) 2004-05-20 2007-04-10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s for rotationally stabilizing contact lenses
US9322958B2 (en) * 2004-08-27 2016-04-26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BRPI0419181B1 (pt) * 2004-11-12 2017-03-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lente de contato e método para projetar uma lente de contato
AU2012202279B2 (en) * 2004-11-12 2012-06-0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s for reducing corneal staining in contact lens wearers
TWI410696B (zh) * 2005-02-15 2013-10-01 Univ Queensland 控制近視的方法與裝置
JP4864906B2 (ja) * 2005-02-23 2012-02-01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トーリックレンズ設計
US20060271747A1 (en) * 2005-05-26 2006-11-30 Symbol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device with integrated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US7819523B2 (en) 2005-06-03 2010-10-26 Hoya Healthcare Corporation Ocular lens
EP1752816A1 (en) * 2005-08-11 2007-02-14 CooperVision Inc. Contact lenses and methods for reducing conjunctival pressure in contact lens wearers
US7172285B1 (en) * 2005-12-09 2007-02-06 Bausch & Lomb Incorporated Contact lens with high-order compensation for non-axisymmetric structure
JP4942762B2 (ja) * 2005-12-22 2012-05-30 ボシュ・アンド・ロ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トーリック・コンタクトレンズ
AR062067A1 (es) 2006-07-17 2008-10-15 Novartis Ag Lentes de contacto toricas con perfil de potencia optica controlado
WO2008062503A1 (fr) * 2006-11-20 2008-05-29 Menicon Co., Ltd. Lentille de contact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US7832858B2 (en) * 2007-05-11 2010-11-16 Ferrara Daniel C Contact lens permitting translation
US7758187B2 (en) * 2008-02-04 2010-07-20 University Of Washington Contact lens for three dimensional visualization
US8646908B2 (en) * 2008-03-04 2014-02-1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Rotationally stabilized contact lenses and methods for their design
JP4575997B2 (ja) 2008-05-13 2010-11-04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
US20100109176A1 (en) 2008-11-03 2010-05-06 Chris Davison Machined lens mold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20100149482A1 (en) * 2008-12-12 2010-06-17 Ammon Jr Daniel M Contact lens
US8113652B2 (en) * 2009-03-27 2012-02-14 Crt Technology, Inc. Contact lens with meridional sagittal variation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120113386A1 (en) * 2009-05-04 2012-05-10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mall Optic Zone Contact Lenses And Methods
CA2761091C (en) 2009-05-04 2014-01-28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Ophthalmic lenses and reduction of accommodative error
CN102472899B (zh) 2009-10-22 2013-11-06 库柏维景国际控股公司 预防或减慢近视或远视的发展的隐形眼镜组和方法
US20110149230A1 (en) * 2009-12-17 2011-06-23 Menezes Edgar V Stabilization of contact lenses
US8439499B2 (en) * 2009-12-17 2013-05-1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for producing stabilized contact lenses
US8322851B2 (en) * 2009-12-17 2012-12-0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Stabilized contact lenses
US8403479B2 (en) * 2009-12-17 2013-03-2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 eye model
US8480229B2 (en) * 2009-12-17 2013-07-0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for stabilizing contact lenses
US20110149229A1 (en) * 2009-12-17 2011-06-23 Pierre Gerligand Contact lenses with stabilization features
JP5448789B2 (ja) 2009-12-22 2014-03-19 Hoya株式会社 トーリック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30686B1 (ko) 2010-07-30 2018-12-18 노파르티스 아게 가교된 친수성 코팅을 갖는 실리콘 히드로겔 렌즈
WO2012044534A1 (en) 2010-09-27 2012-04-05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Translating presbyopic contact lens
JP2014515503A (ja) * 2011-06-01 2014-06-30 ボーシュ アンド ローム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ハイブリッド配向特徴を有するコンタクトレンズ
US9091865B2 (en) * 2012-01-18 2015-07-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Fractal features for enhanced tear exchange
WO2014013523A1 (ja) * 2012-07-18 2014-01-23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US9995947B2 (en) 2012-09-07 2018-06-12 BeautiEyes, LLC Prosthesis and method for widening the palpebral fissure of an individual's eye
US9414906B2 (en) * 2012-09-07 2016-08-16 BeautiEyes, LLC Eye aperture enhancing prosthesis and method
EP2932314B1 (en) 2012-12-17 2017-02-01 Novartis AG Method for making improved uv-absorbing ophthalmic lenses
AU2013200761A1 (en) * 2013-02-13 2014-08-28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Contact lens stabilisation
US9316848B2 (en) * 2013-03-15 2016-04-1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Ophthalmic devices with stabilization features
TWI493241B (zh) * 2013-05-24 2015-07-21 Hiline Optical Co Ltd 鏡片裝置及視力控制方法
KR101630592B1 (ko) 2013-06-26 2016-06-14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원환체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제조 방법 및 장치
US9708087B2 (en) 2013-12-17 2017-07-18 Novartis Ag Silicone hydrogel lens with a crosslinked hydrophilic coating
KR102366047B1 (ko) 2014-08-26 2022-02-23 알콘 인코포레이티드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 상에 안정한 코팅을 적용하는 방법
CN104330901B (zh) * 2014-11-03 2016-01-20 浙江工业大学 用于pmma聚合物材料的微结构压贴三棱镜装配方法
EP3358394A4 (en) 2015-10-01 2019-08-07 Menicon Co., Ltd. CONTACT LENS
EP3373797B1 (en) * 2015-11-11 2023-01-04 Microoptx Inc. Aqueous humor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US9880399B2 (en) 2015-11-16 2018-01-30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Truncated translating contact lens with optimized performance and method of design
HUE051613T2 (hu) 2015-12-15 2021-03-01 Alcon Inc Eljárás szilíciumhidrogél-kontaktlencsékre stabil kivonat felvitelére
US11104814B2 (en) 2016-02-15 2021-08-31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Primer formulations with improved photostability
CN109153349B (zh) * 2016-05-18 2021-09-14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用于车辆内部的控制台组件
JP6646531B2 (ja) 2016-06-20 2020-02-14 Hoya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274751B2 (en) 2016-07-05 2019-04-30 Bausch & Lomb Incorporated Prism ballasted contact lens
US10786959B2 (en) * 2016-07-18 2020-09-2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old for contact lens with non-rotationally symmetric rim or edge
EP3724650A4 (en) 2017-12-11 2021-09-08 Microoptx Inc. IMPLANTABLE EYEPIECE GLUCOSE SENSORS AND PROCEDURES
WO2019116139A1 (en) 2017-12-13 2019-06-20 Novartis Ag Weekly and monthly disposable water gradient contact lenses
US11572723B2 (en) 2019-02-27 2023-02-07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2768A (en) * 1993-10-04 1996-07-02 Menicon Co., Ltd. Contact lens

Family Cites Families (1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4246A (en) * 1950-08-01 1951-03-06 George H Butterfield Corneal contact lens
BE759530A (fr) 1969-11-28 1971-04-30 Griffin Lab Inc Lentille de contac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2109470A5 (ko) * 1970-10-19 1972-05-26 Silor
US4084890A (en) 1972-08-04 1978-04-18 Baron Henry J Contact lens
GB1463107A (ko) 1973-06-19 1977-02-02 Strachan J P F
US4095878A (en) 1974-03-28 1978-06-20 Titmus Eurocon Kontaktlinsen Gmbh & Co. Kg Soft contact lens with flattened region for automatic orientation
US4126138A (en) 1974-06-14 1978-11-21 Warner-Lambert Company Soft contact lens
AR207867A1 (es) * 1974-07-04 1976-11-08 Smith & Nephew Res Un copolimero hidrogel ligeramente entrelazado
US4121896A (en) 1976-03-24 1978-10-24 Shepherd Thomas H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contact lenses
US4208364A (en) * 1976-03-24 1980-06-17 Shepherd Thomas 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ntact lenses
US4423195A (en) 1976-04-15 1983-12-27 Danker Laboratories, Inc. Ocular membrane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US4169119A (en) * 1976-04-15 1979-09-25 Permavision Method of molding an ocular membrane
US4245069A (en) * 1978-12-28 1981-01-13 Permavision Polysiloxane composition
US4302081A (en) 1977-04-22 1981-11-24 Tsuetaki George F Fused bifocal contact lens
US4285890A (en) * 1977-04-28 1981-08-25 Nippon Contact Lens Manufacturing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ilicone contact lenses
JPS6030529B2 (ja) * 1977-04-28 1985-07-17 日本コンタクトレンズ製造株式会社 シリコン樹脂製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用成形型
US4406189A (en) * 1977-05-25 1983-09-27 Neefe Charles W Method of making lenses with a lenticular cut
US4165158A (en) * 1977-07-25 1979-08-21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Cast contact lens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525043A (en) * 1977-11-11 1985-06-25 Leonard Bronstein Contact lens
FR2416104A1 (fr) * 1978-02-07 1979-08-31 Essilor Int Dispositif de moulage, en particulier pour lentille de contact souple
CS198749B1 (en) * 1978-05-04 1980-06-30 Otto Wichterle Toric hydrogelic contact lens
GB2041557B (en) 1978-10-05 1982-10-20 Kwok Chu Fung J Soft contact lenses
US4198132A (en) * 1978-12-14 1980-04-15 Dow Corning Corporation Contact lens
US4294974A (en) 1979-01-31 1981-10-13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Hydrophilic silicone compounds and contact lenses containing polymers thereof
US4254065A (en) * 1979-04-04 1981-03-03 Ratkowski Donald J Injection molding of contact lenses
US4209289A (en) * 1979-05-14 1980-06-24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Contact lens mold
US4310225A (en) 1979-08-06 1982-01-12 Gentex Corporation Ophthalmic lens series
US4418991A (en) 1979-09-24 1983-12-06 Breger Joseph L Presbyopic contact lens
US4324461A (en) * 1979-11-26 1982-04-13 Salvatori Ophthalmics, Inc. Contact lens for non-rotational orientation
ATE4844T1 (de) 1980-06-12 1983-10-15 Biolens Sa Kontaktlinse fuer gerichtete optische korrektur.
US4284399A (en) * 1980-06-23 1981-08-18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Contact lens mold
CS219738B1 (en) * 1981-02-02 1983-03-25 Otto Wichterle Soft lenticullar contact lens with negative refraction
US4555372A (en) 1981-03-23 1985-11-26 Bausch & Lomb Incorporated Rotational molding of contact lenses
US4508436A (en) * 1981-09-28 1985-04-02 Frontier Contact Lenses Of Florida, Inc. Soft toric contact lens
US4573774A (en) 1981-09-28 1986-03-04 Vistakon, Inc. Soft toric contact lens
US4640594A (en) * 1982-01-07 1987-02-03 Richard Berger Tear pump contact lens
DE3222099C2 (de) 1982-06-11 1984-06-20 Titmus Eurocon Kontaktlinsen Gmbh & Co Kg, 8750 Aschaffenburg Bifokale Kontaktlinse vom bivisuellen Typ
US4573775A (en) * 1982-08-19 1986-03-04 Vistakon, Inc. Bifocal contact lens
US4580882A (en) 1983-04-21 1986-04-08 Benjamin Nuchman Continuously variable contact lens
US4549794A (en) 1983-05-05 1985-10-29 Schering Corporation Hydrophilic bifocal contact lens
US4681295A (en) * 1983-05-26 1987-07-21 International Hydron Corporation Tricurve optical metal master mold and method of making
US4618229A (en) 1983-07-22 1986-10-21 Bausch & Lomb Incorporated Bifocal contact lens
US4618227A (en) * 1983-10-07 1986-10-21 Vistakon, Inc. Soft contact lens
CS246212B1 (en) 1984-06-18 1986-10-16 Otto Wichterle Toric contact lens with centre of gravity shifted towards its border,mould for its production and method of moulds production
US4680998A (en) 1984-08-28 1987-07-21 Bausch & Lomb Incorporated Toric lenses,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4605524A (en) * 1984-11-19 1986-08-12 Danker Laboratories, Inc. Method and master-die for casting a bifocal contact lens in a single piece
US4642439A (en) * 1985-01-03 1987-02-10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dge contouring lenses
US4614413A (en) * 1985-02-05 1986-09-30 Obssuth George A Contact lens
GB8508247D0 (en) * 1985-03-29 1985-05-09 Sola Int Holdings Contact lenses
US4854089A (en) * 1985-04-05 1989-08-08 Sola U.S.A. Inc. Method of making a rigid gas permeable bifocal contact lens
CS251890B1 (en) * 1985-05-20 1987-08-13 Jiri Sulc Hydrophilic silicon composition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FR2582416A1 (fr) 1985-05-24 1986-11-28 Bourgeois Sa Lentille de contact bifocale
GB8601967D0 (en) * 1986-01-28 1986-03-05 Coopervision Optics Manufacturing contact lenses
CS260213B1 (en) * 1986-03-05 1988-12-15 Jiri Sulc Method of polymerization casting of articles especially lenses from hydrophilic gels and equipment for realization of this method
US4787732A (en) 1986-04-24 1988-11-29 Nick Siviglia Contact len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820038A (en) * 1986-08-14 1989-04-11 Coopervision, Inc. Hydrogel contact lens
US4702573A (en) 1986-08-25 1987-10-27 Morstad David P Variable powered contact lens
US4840754A (en) * 1987-11-09 1989-06-20 Ocutech Method of molding articles
US4955711A (en) 1987-11-30 1990-09-11 Animalens, Inc. Contact lenses for animals
US5258490A (en) 1987-12-14 1993-11-02 Chang Sing Hsiung Non-irritating soft gas permeable contact len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5125728A (en) 1988-02-03 1992-06-30 Igel International Limited Soft contact lens for the correction of astigmatism
US4850689A (en) * 1988-03-07 1989-07-25 Bruce A. Martin Near vision contact le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it
US5076683A (en) 1988-09-14 1991-12-31 Allergan, Inc. Spuncast compound contact lens
US5020898A (en) 1990-01-29 1991-06-04 Schering Corporation Contact lens for correction of astigmatism
US5252056A (en) 1990-03-16 1993-10-12 Ciba-Geigy Corporation Contact lens casting mould
DE4012478A1 (de) * 1990-04-19 1991-10-24 Heinrich Woehlk Inst Fuer Cont Kontaktlinse mit lagestabilisierung
ATE97853T1 (de) * 1990-04-24 1993-12-15 Ciba Geig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ntaklinsen.
US5071244A (en) 1990-10-03 1991-12-10 Ross Richard M Soft bifocal contact lens
US5141678A (en) * 1990-10-10 1992-08-25 Blum Ronald D Method for forming disposable molds for producing optical quality lenses
US5210695A (en) * 1990-10-26 1993-05-11 Gerber Optical, Inc. Single block mounting system for surfacing and edging of a lens blank and method therefor
DE69232796T2 (de) 1991-06-17 2003-07-24 Dugmont Pty Ltd Torische kontaktlinse
DE4125707C2 (de) * 1991-08-02 1994-08-04 Hecht Gmbh Kontaktlinsen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Bifokal-Contactlinse und damit hergestellte Contactlinse
US5191365B1 (en) * 1991-08-23 2000-08-15 Contex Inc Corneal contact lens and method for treating myopia
US5271875A (en) 1991-09-12 1993-12-21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molding lenses
US5245366A (en) * 1991-10-31 1993-09-14 Svochak Jan B Bifocal contact len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786883A (en) * 1991-11-12 1998-07-28 Pilkington Barnes Hind, Inc. Annular mask contact lenses
US5238388A (en) * 1991-12-06 1993-08-24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Ophthalmic lens mold seal
NL9200400A (nl) 1992-03-04 1993-10-01 Jose Jorge Pavlotzky Handelend Bifocale contactlens, alsmede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ergelijke contactlens.
JP2958189B2 (ja) * 1992-07-20 1999-10-06 株式会社メニコン トーリックコンタクトレンズならびに該レンズの製法および該レンズの設計方法
CA2145683C (en) 1992-09-29 1999-03-30 William J. Appleton Method of making plastic molds and process for cast molding contact lenses
GB9306424D0 (en) 1993-03-27 1993-05-19 Pilkington Visioncare Inc Contact lens designed to accommodate and correct for the effects of presbyopia
US5404183A (en) 1993-03-31 1995-04-04 Seidner; Leonard Multifocal contact lens and method for preparing
US5691797A (en) 1993-03-31 1997-11-25 Permeable Technologies, Inc. Multifocal contact lens
US5526071A (en) * 1993-03-31 1996-06-11 Permeable Technologies, Inc. Multifocal contact lens and method for preparing
US5619289A (en) 1993-03-31 1997-04-08 Permeable Technologies, Inc. Multifocal contact lens
US5493350A (en) * 1993-03-31 1996-02-20 Seidner; Leonard Multipocal contact lens and method for preparing
CA2096706A1 (en) * 1993-05-20 1994-11-21 Robert Mercure Soft toric lens for correction of astigmatism
US5601759A (en) * 1993-10-05 1997-02-11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molding contact lenses
NL9301863A (nl) * 1993-10-28 1995-05-16 Meurs Optiek B V Van Contactlens met een optische zone met tenminste een focus.
US5894002A (en) * 1993-12-13 1999-04-13 Ciba Vision Cor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 contact lens
US5499064A (en) 1994-01-28 1996-03-12 Paralax, Inc. Visual aid device having a locking device
CA2181982C (en) * 1994-01-31 1999-07-06 Attilio Apollonio Method of cast molding toric contact lenses
US5861114A (en) * 1994-06-10 1999-01-19 Johnson&Johnson Vision Product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complex optical designs in soft contact lenses
US5540410A (en) * 1994-06-10 1996-07-30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Mold halves and molding assembly for making contact lenses
US5760100B1 (en) 1994-09-06 2000-11-14 Ciba Vision Corp Extended wear ophthalmic lens
WO1996008745A1 (en) 1994-09-16 1996-03-21 Permeable Technologies, Inc. Multifocal contact lens and method for preparing
US5635998A (en) * 1994-12-06 1997-06-03 Baugh; Thomas K. Translating multifocal contact lens
TW275112B (en) 1995-03-15 1996-05-01 Ciba Geigy Ag Rotationally stabilized contact lens and methods of lens stabilization
TW585882B (en) * 1995-04-04 2004-05-01 Novartis Ag A method of using a contact lens as an extended wear lens and a method of screening an ophthalmic lens for utility as an extended-wear lens
US5652638A (en) 1995-05-04 1997-07-29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Concentric annular ring lens designs for astigmatism
US5650837A (en) 1995-05-04 1997-07-22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Rotationally stable contact lens designs
US5608471A (en) * 1995-07-03 1997-03-04 Westcon Contact Lens Co., Inc. Soft, bifocal contact lens
AU712352B2 (en) 1995-10-31 1999-11-04 Procornea Holding B.V. Multifocal len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5916494A (en) * 1995-12-29 1999-06-29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Rotational indexing base curve deposition array
US6113236A (en) 1997-04-07 2000-09-05 Bausch & Lomb Incorporated Toric contact lenses
DE19726918A1 (de) * 1997-06-25 1999-01-07 Woehlk Contact Linsen Gmbh Multifokale Kontaktlinse
JPH1152304A (ja) 1997-07-31 1999-02-26 Kuraray Co Ltd 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
US6109749A (en) 1997-11-04 2000-08-29 Bernstein; Paul R. Soft bifocal contact lenses
US6089711A (en) 1997-11-05 2000-07-18 Blankenbecler; Richard Radial gradient contact lenses
JPH11242192A (ja) * 1998-02-24 1999-09-07 Seed Co Ltd トーリックコンタクトレンズ
JPH11258553A (ja) 1998-03-09 1999-09-24 Menicon Co Ltd プリズムバラスト型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モールド型
JP3798147B2 (ja) * 1998-06-03 2006-07-19 株式会社メニコン 眼用レンズの成形型
US6457826B1 (en) 1998-08-06 2002-10-01 John B. W. Lett Multifocal aspheric lens
SG83139A1 (en) 1998-08-10 2001-09-18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Dynamically stabilized contact lenses
US6270218B1 (en) 1998-10-26 2001-08-07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Contact lenses with off-axis bevel
US6176578B1 (en) * 1998-12-09 2001-01-2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Toric contact lenses
US5988813A (en) * 1998-12-21 1999-11-23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Differential thickness contact lens utilizing multiple base curv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6234629B1 (en) 1998-12-21 2001-05-2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Differential thickness contact lens with compensation for differential shrin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6183082B1 (en) 1998-12-21 2001-02-0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es with constant peripheral geometry
US6135594A (en) 1998-12-21 2000-10-2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Toric contact lens with axis offset compens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JP2000214417A (ja) 1999-01-22 2000-08-04 Kuraray Co Ltd コンタクトレンズ
GB9903170D0 (en) 1999-02-13 1999-04-07 Contact Lens Precision Lab Lim Contact lenses
US6206520B1 (en) 1999-03-25 2001-03-2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es with contoured edges
US20020024631A1 (en) 1999-08-31 2002-02-28 Roffman Jeffrey H. Rotationally stabilized contact lenses
AU6801300A (en) 1999-08-31 2001-03-2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Rotationally stabilized contact lenses
AU8012700A (en) 1999-10-15 2001-04-30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Rotationally stabilized contact lenses
US6383419B1 (en) * 1999-12-09 2002-05-07 Gregg A. Dean Method for cast molding toric contact lenses
AUPQ468399A0 (en) 1999-12-16 2000-01-20 Iolco Pty Ltd A contact lens
US6568990B2 (en) * 2000-01-18 2003-05-27 Ncrx Optical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hthalmic lens manufacture
US6364483B1 (en) 2000-02-22 2002-04-02 Holo Or Ltd. Simultaneous multifocal contact lens and method of utilizing same for treating visual disorders
US6234699B1 (en) * 2000-03-22 2001-05-22 Beverly Brode Plant writing apparatus
US6467903B1 (en) * 2000-03-31 2002-10-22 Ocular Sciences, Inc. Contact lens having a uniform horizontal thickness profile
CN1177243C (zh) 2000-06-27 2004-11-24 佳视科学公司 隐形眼镜,配制,设计及改变角膜形状的方法
US6454409B1 (en) * 2000-08-15 2002-09-2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es
US6773107B2 (en) * 2000-08-17 2004-08-10 Novartis Ag Soft translating contact lens for presbyopia
US6474814B1 (en) 2000-09-08 2002-11-05 Florida Optical Engineering, Inc Multifocal ophthalmic lens with induced aperture
US6595639B1 (en) 2000-11-10 2003-07-22 Ocular Sciences, Inc. Junctionless ophthalmic lens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6491392B2 (en) * 2000-12-08 2002-12-10 Johnson & Johnson Vison Care, Inc. Dynamically stabilized contact lenses
US6406145B1 (en) 2000-12-20 2002-06-1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es with improved centering and orienting
US6709102B2 (en) * 2001-01-16 2004-03-23 Arthur G. Duppstadt Multifocal contact le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746118B2 (en) 2001-07-17 2004-06-08 Soft Focal Company, Inc. Bifocal contact lens with secondary prism
EP2508936B1 (en) 2002-08-06 2016-11-23 Novartis AG Contact lenses
US6745410B2 (en) * 2002-10-23 2004-06-08 Kdb Engineering Pty. Ltd. Commode seat
US7036931B2 (en) 2003-01-29 2006-05-02 Novartis Ag Ophthalmic lenses
US7004585B2 (en) * 2003-02-11 2006-02-28 Novartis Ag Ophthalmic lens having an optical zone blend design
US7063422B2 (en) 2003-04-16 2006-06-20 Novartis Ag Multifocal ophthalmic lens
US20050019907A1 (en) * 2003-07-22 2005-01-27 Santiago Munne Obtaining normal disomic stem cells from chromosomally abnormal embryos
US6939005B2 (en) * 2003-08-20 2005-09-0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Rotationally stabilized contact lens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2768A (en) * 1993-10-04 1996-07-02 Menicon Co., Ltd. Contact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75509A1 (en) 2001-10-11
JP2004506925A (ja) 2004-03-04
KR20020087944A (ko) 2002-11-23
MXPA02009327A (es) 2004-03-26
US20050254005A1 (en) 2005-11-17
BR0109734A (pt) 2003-02-04
EP1281099B1 (en) 2007-03-28
US20040196429A1 (en) 2004-10-07
US7618142B2 (en) 2009-11-17
DE60127547T2 (de) 2007-12-27
US7134753B2 (en) 2006-11-14
US6467903B1 (en) 2002-10-22
US20050280774A1 (en) 2005-12-22
EP1281099A4 (en) 2005-01-19
CA2404554C (en) 2010-07-06
US20070019155A1 (en) 2007-01-25
CN1232864C (zh) 2005-12-21
DE06019325T1 (de) 2007-08-09
US20050254004A1 (en) 2005-11-17
US20080030676A1 (en) 2008-02-07
US20020149742A1 (en) 2002-10-17
EP1281099A1 (en) 2003-02-05
US20090009712A1 (en) 2009-01-08
ATE358289T1 (de) 2007-04-15
CA2404554A1 (en) 2001-10-11
DE60127547D1 (de) 2007-05-10
HK1051406A1 (en) 2003-08-01
AU2001247847A1 (en) 2001-10-15
HK1088667A1 (en) 2006-11-10
US7625084B2 (en) 2009-12-01
US6857740B2 (en) 2005-02-22
US7133174B2 (en) 2006-11-07
CN1432139A (zh) 2003-07-23
ES2280354T3 (es) 2007-09-16
KR20090081428A (ko) 2009-07-28
US6971746B2 (en) 200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710B1 (ko) 균일한 수평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 콘택트 렌즈
EP0102223B1 (en) Bifocal soft contact lens
US4618227A (en) Soft contact lens
TWI481921B (zh) 轉換式老花隱形眼鏡
KR101752935B1 (ko) 토릭 콘택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IL172218A (en) Contact lens with shaped periphery
TWI587019B (zh) 轉換式老花隱形眼鏡(二)
WO2014124493A1 (en) Contact lens stabilisation
TWI587018B (zh) 轉換式老花隱形眼鏡
US8690320B2 (en) Contact lenses having hybrid orientation features
TW550403B (en) Contact lens having a uniform horizontal thickness profile
EP1734398B1 (en) Contact lens having a uniform horizontal thickness profile
WO2018069665A1 (en) Contact lens for an eye with keratocon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