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534B1 - 소시지 제조기 - Google Patents

소시지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534B1
KR100909534B1 KR1020070092211A KR20070092211A KR100909534B1 KR 100909534 B1 KR100909534 B1 KR 100909534B1 KR 1020070092211 A KR1020070092211 A KR 1020070092211A KR 20070092211 A KR20070092211 A KR 20070092211A KR 100909534 B1 KR100909534 B1 KR 100909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motor
pair
gear
sau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040A (ko
Inventor
노형준
Original Assignee
노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형준 filed Critical 노형준
Priority to KR1020070092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5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2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1/00Sausage making ; Apparatus for handling or conveying sausage products during manufacture
    • A22C11/02Sausage filling or stuffing machines
    • A22C11/08Sausage filling or stuffing machines with pressing-worm or other rotary-mounted pressing-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1/00Sausage making ; Apparatus for handling or conveying sausage products during manufacture
    • A22C11/02Sausage filling or stuffing machines
    • A22C11/0245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1/00Sausage making ; Apparatus for handling or conveying sausage products during manufacture
    • A22C11/12Apparatus for tying sausage skins ; Clipping sausage skins
    • A22C11/122Apparatus for tying sausage skins ; Clipping sausage skins by forming kn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시지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시지의 제조 공정에 필요한 기구적인 장치의 단순화로 제작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켜 그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소시지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 따른 본 발명은 소시지제조기는 베이스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조부로써, 작업대에 수평하게 얹혀지는 베이스판의 상부에 속히 빈 형태로 내부에 스위치에 의해 스크류구동부를 구동하는 제1모터와 매듭형성부를 구동하는 제2모터가 구비되어 있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양측으로 케이싱이 각각 설치된 베이스부와; 하기 압착파쇄부에 구비되어 있는 스크류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해 스크류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압대가 이동되며, 상기 스크류가 내장되어 있는 압착파쇄부을 압착하는 상태로 고정하는 스크류압착부와; 사용되는 재료를 몸체의 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스크류로 압착 및 파쇄되며 그 나사진행방향으로 재료가 이동되며 다져지게 하는 것으로 몸체의 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스크류홀에 각각 스크류가 결합되어 있고 스크류의 일단은 서로 치차 결합된 것에 의해 그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인 구동기어에 각각 축결합되어 있는 압착파쇄부와;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며 모터에 체결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구동되는 메인기어와, 한 쌍의 구동기어와 메인기어를 연결하는 연결기어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착파쇄부에 구비되어 있는 스크류를 구동하여 충진물을 압착파쇄하여 배출파이프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동기어가 구비된 스크류구동부와; 상기 함체의 내부로 설치한 제2모터에 축설된 메인기어에 벨트로 회전기어가 결합되어 있고, 일측에 배출파이프의 일단이 접속되어 재료가 충진된 튜브부재를 꼬아 마감하는 매듭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소시지제조기는 스위치를 사용하여 작은 크기로 제품을 생산함과 아울러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자동스위치로 크기가 큰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크류압착부, 압착파쇄부, 스크류구동부, 매듭형성부

Description

소시지 제조기{SAUSAGE MANUFACTUR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 소시지 제조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소시지 제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소시지 제조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소시지 제조기를 나타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베이스 200 : 스크류압착부
400 : 압착파쇄부 500 : 스크류구동부
600 : 매듭형성부
본 발명은 소시진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시지의 제조 공정에 필요한 기구적인 장치의 단순화로 제작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켜 그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소시지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시지는, 양념을 한 고기를 곱게 다진 후, 기타의 첨가물과 함께 일정 크기로 성형시킨 것을 통칭한다.
이 소시지의 종래 일반적인 제조 방법은, 사용되는 고기류를 잘게 분쇄하는 작업공정, 이를 가는 작업공정, 전분과 같은 내용물을 함께 골고루 섞는 작업공정, 가공 완료된 내용물을 단위 크기로 성형하거나, 또는 일정 크기의 튜브내로 충진시키는 충진공정 등을 순차적으로 연속적으로 수행토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작업공정 중에서 색소, 향신료 등을 선택적으로 첨가하는 작업공정이 추가로 실시된다.
이렇게, 색소를 비롯한 향신료 등을 첨가하는 것은 유통 구조상의 필요에 따라 필수적으로 첨가된다.
이러한 종래 소시지 제조 방법은, 최종적인 완제품을 얻기 위한 여러 제반 공정이 각기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매우 비능률적이며, 또 각 공정을 수행토록 된 기구적인 장치가 별개로 공급됨으로써 비경제적이다.
그리고 상기한 여러 기구적인 장치의 설치 공간이 필요 이상으로 증대되어 불필요한 원가 상승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
또, 공정상에서의 환경위생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각종 첨가물에 의해 소비자에게 제품의 불신감을 주게 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원료로 사용되는 고기류를 가늘게 파쇄하는 작업공정을 수행할 때 유익한 영양소가 파괴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시지의 제조 공정에 필요한 기구적인 장치의 단순화로 제작성 및 생산성이 향상시켜 그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소시지 제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시지의 제조 공정에 필요한 기구적인 장치의 단순화로 제작성 및 생산성이 향상시켜 그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소시지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제조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적은 인력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소시지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 가정이나 소매업소에서 간편하게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소시지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용물의 영양소 파괴를 방지하여 제품에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소시지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소시지제조기는 베이스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조부로써, 작업대에 수평하게 얹혀지는 베이스판의 상부에 속히 빈 형태로 내부에 스위치에 의해 스크류구동부를 구동하는 제1모터와 매듭형성부를 구동하는 제2모터가 구비되어 있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양측으로 케이싱이 각각 설치된 베이스부와; 하기 압착파쇄부에 구비되어 있는 스크류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해 스크류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압대가 이동되며, 상기 스크류가 내장되어 있는 압착파쇄부을 압착하는 상태로 고정하는 스크류압착부와; 사용되는 재료를 몸체의 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스크류로 압착 및 파쇄되며 그 나사진행방향으로 재료가 이동되며 다져지게 하는 것으로 몸체의 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스크류홀에 각각 스크류가 결합되어 있고 스크류의 일단은 서로 치차 결합된 것에 의해 그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인 구동기어에 각각 축결합되어 있는 압착파쇄부와;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며 모터에 체결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구동되는 메인기어와, 한 쌍의 구동기어와 메인기어를 연결하는 연결기어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착파쇄부에 구비되어 있는 스크류를 구동하여 충진물을 압착파쇄하여 배출파이프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동기어가 구비된 스크류구동부와; 상기 함체의 내부로 설치한 제2모터에 축설된 메인기어에 벨트로 회전기어가 결합되어 있고, 일측에 배출파이프의 일단이 접속되어 재료가 충진된 튜브부재를 꼬아 마감하는 매듭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 소시지제조기는 스위치를 사용하여 작은 크기로 제품을 생산함과 아울러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자동스위치로 크기 가 큰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소시지 제조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소시지 제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베이스부(100)와 스크류압착부(200)와 압착파쇄부(400)와 스크류구동부(500)와, 튜브부재에 접하여 매듭을 형성시키는 매듭형성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베이스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조부로써, 작업대에 수평하게 얹혀지는 베이스판(110)의 상부로는 속히 빈 함체(120)와 상기 함체(120)의 양측으로 케이싱(130,140)이 각각 설치된다.
이 함체(120)는 속이 빈 상태로 그 내부에는 스크류구동부(200)를 구동하는 제1모터(150)와 매듭형성부(600)를 구동하는 제2모터(1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모터(150,160)에는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151,161)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모터(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151)와 제2 모터(1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161)는 각각 함체(120)의 외부로 노출된 배선의 끝 부분에 발판 형태로 설치되어 발로 작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30)의 일측에는 스크류압착부(2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압착부(200)는 하기 설명할 압착파쇄부(400)에 구비되어 있는 스크류(41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스크류(410)와 하기 성명할 스크류구동부(500)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핸들(210)과 압대(220)와 나선축(240)을 포함한 다.
즉, 상기 스크류구동부(500)의 기어(510,520,530)들에 핸들(210)의 회전으로 스크류(410)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나선축(240)이 압대(220)에 나합된 상태로 케이싱(130)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210)의 회전조작에 의해 스크류구동부(500)를 지지하는 지지대(540)와 압대(220)가 이동되며, 상기 스크류(410)가 내장되어 있는 압착파쇄부(400)을 압착하는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의해 압착파쇄부(400) 및 스크류(410)를 분해하여 보수하거나 세척할 경우에는 핸들(210)의 조작으로 밀착되었던 압대(220)를 압착파쇄부(410)로부터 압착상태를 해제토록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분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싱(130) 내부에는 스크류구동부(500)가 내설되어 있는데, 상기 스크류구동부(500)는 메인기어(510)와 연결기어(520)와 구동기어(53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기어(510)는 모터(150)에 체결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구동되며 일측에 연결기어(520)가 체결된다.
상기 연결기어(520)는 하기 한 쌍의 구동기어(530)와 메인기어(510)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동기어(53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착파쇄부(400)에 구비되어 있는 스크류(410)를 구동하여 충진물을 압착파쇄하여 몸체(420)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한 쌍으로 맞물리는 상태로 회전되는 스크류(410)는 구동기어(530)로 부터 분해되는 것이며, 핸들(210)의 조작으로 압대(220)를 전진시킬 때 스크류(410)의 단부와 구동기어(410)가 축결합되며 제1모터(150)가 구동될 때 그 회전력이 전달되어 투입되는 재료를 압착, 파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압착파쇄부(400)는 사용되는 재료를 몸체(420)의 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스크류(410)로 압착 및 파쇄되며 그 나사진행방향으로 재료가 이동되며 다져지게 하는 것이다.
이 압착파쇄부(400)에 의해 재료가 압착되면서 다져지는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즉, 상기 몸체(420)의 내부에 구비된 한쌍의 스크류홀(421)에는 각각 스크류(410)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 스크류(410)의 일단은 서로 치차 결합된 것에 의해 그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인 구동기어(530)에 각각 축결합되어 있다.
일측의 상기 구동기어(530)는 상기 연결기어(520)에 치차 결합되어 있고, 이 연결기어(520)는 상기한 제1모터(150)에 축설된 메인기어(510)에 치차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구동부(510)는 제1모터(15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151)에 의해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메인기어(510)과, 연결기어(520)를 거쳐 구동기어 (530)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이 구동기어(530)에 축 결합된 상기 한 쌍의 스크류(4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재료를 압착하는 것에 의해 배출공(422)을 통해 압착된 재료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크류(410)는 스크류홀(421)의 내주면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 는 것이 재료 압착 및 파쇄효과면에서 좋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430)를 통해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내용물을 투입하면, 상기 스크류(410)에 의해 강제적인 압착이 이루어지면서 다져지는 것이며, 얻어지는 소시지의 고운정도를 얻기 위하여 적절한 숫자로 이러한 압착, 파쇄작업을 수회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에 의해 입자가 고운 상태로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매듭형성부(600)은 상기 함체(120)의 내부로 설치한 제2모터(160)에 축설된 메인기어(610)에는 벨트로 회전기어(620)가 결합되어 있고, 일측에 배출파이프(630)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작동과정은 상기 튜브부재의 내부로 내용물 충진작업이 이루어진 것에 의해 소정의 단위 길이로 형성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제2모터(160)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상기 배출파이프(630)를 회전토록 한다.
이때, 내용물이 충진된 측의 튜브부재는 일단이 꼬여지는 것에 의해 일정한 단위 크기를 이루게 되는 데, 이러한 작업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일정한 단위 크기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모터는 스위치(161)에 의해 구동된다.
또, 상기 튜브부재의 크기를 크게 할 때는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자동스위치를 작동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에 따라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압착바쇄부(400)의 스크류홀(521)에 스크류(510)를 삽착시킨다.
상기 상태에서 상기 압착파쇄부(400)를 베이스(100) 상부에 위치한 함체(120)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압착파쇄부(400)를 베이스(100) 상부에 위치한 함체(120)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스크류압착부(200)의 핸들(210)을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210)의 회전에 따라 나선축(240)이 회전하면서 압대(220)를 전면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스크류(410)를 압착하여 스크류구동부(500)의 구동기어(530)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시 상태에서 상기 압착파쇄부(400)의 투입구(430)로 재료를 투입하고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151)를 작동시키면 함체(1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모터(150)가 구동하게 된다.
상기 제1모터(150)의 구동에 따라 서로 맞물려 있는 메인기어(510), 연결기어(520), 구동기어(530)가 구동하고 상기 스크류압착부(200)에 의해 구동기어(530)에 체결되어 있는 한 쌍의 스크류(410)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재료를 파쇄하여 배출공(422)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재료는 배출파이프(6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배출파이프(630)에 튜브부재를 끼운 상태로 소정을 길이만큼 재료를 충진한다.
상기와 같이 충진과정이 끝나면 스위치(151)로 제1모터(150)를 정지시킨 후 다른 스위치(161)로 제2모터(160)를 구동한다.
상기와 같이 제2모터(160)가 구동되면 상기 제2모터(160)에 체결되어 있는 메인기어(610), 회전기어(620)에 의해 배출파이프(630)가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배출파이프(630)가 회전하면 상기 배출파이프(630)에 끼워져 있던 튜브부재도 따라 회전하면서 꼬여져 일정 단위의 제품이 생산된다.
이때 스위치(161)로 제2모터(160)를 정지시키 후 다른 스위치(151)로 제1모터(150)를 구동하여 스크류(410)를 회전시켜 다시 튜브부재에 재료를 충진한다.
상기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상기 과정 중 제품을 길이를 길게 하고 싶으면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자동스위치(600)를 자동으로 변환시켜 길이가 긴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 소시지 제조기는 소시지의 제조 공정에 필요한 기구적인 장치의 단순화로 제작성 및 생산성이 향상시켜 그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조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적은 인력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가정이나 소매업소에서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의 영양소 파괴를 방지하여 제품에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소지지 제조기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조부로 작업대에 수평하게 얹어지는 베이스 판(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속이 빈 형태의 함체(120), 제 1 모터(150), 제2 모터(160) 및 함체(120)의 양쪽에 설치된 케이싱(130, 140)을 포함하는 베이스부(100);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재료가 투입되는 투입구(430), 스크류 홀(421)에 수용되어 함체(120)의 외부로 연장된 배선의 끝 부분에 형성된 스위치(151)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1 모터(150)의 구동에 의하여 투입된 재료를 압착 및 파쇄하면서 재료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스크류(410) 및 이동된 재료를 배출시키는 배출공(422)을 포함하는 압착 파쇄부(400);
    케이싱(1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 모터(150)에 체결되어 제1 모터(150)의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메인 기어(510), 한 쌍의 스크류(410)에 축결합이 되면서 각각의 끝이 치차 결합이 되어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인 한 쌍의 구동 기어(530), 메인 기어(510)와 구동 기어(530)를 연결하는 연결 기어(520), 구동 기어(530)를 지지하는 지지대(540)를 포함하는 스크류 구동부(500);
    한 쌍의 스크류(410)가 설치된 압착 파쇄부(400)를 압착하는 상태로 고정하여 한 쌍의 스크류(4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대(540)에 연결된 나선 축(240), 나선 축(240)의 한쪽 끝에 고정된 압대(220) 및 나선 축(24)을 회전시켜 지지대(540)와 압대(220)를 이동시키는 핸들(210)을 포함하는 스크류압착부(200); 및
    함체(120) 내부에 위치하는 제2 모터(160)에 축설되면서 케이싱(140)에 수용되는 메인기어(610), 메인 기어(610)에 벨트로 연결된 회전 기어(620), 배출공(422)과 연결되고 회전 기어(62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배출파이프(630) 및 배출파이프(630)와 함께 회전하는 튜브부재를 포함하는 매듭형성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터(160)는 함체(120)의 외부로 연장된 배선의 끝 부분에 형성된 스위치(161)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고 제2 모터(160)는 제1 모터(150)의 작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작동하면서 배출파이프(630)와 함께 회전하는 튜브부재를 꼬아 매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시지 제조기.
  2. 삭제
KR1020070092211A 2007-09-11 2007-09-11 소시지 제조기 KR100909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211A KR100909534B1 (ko) 2007-09-11 2007-09-11 소시지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211A KR100909534B1 (ko) 2007-09-11 2007-09-11 소시지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040A KR20090027040A (ko) 2009-03-16
KR100909534B1 true KR100909534B1 (ko) 2009-07-27

Family

ID=4069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211A KR100909534B1 (ko) 2007-09-11 2007-09-11 소시지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5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667A (ko) 2014-04-16 2015-10-26 김용호 소시지 제조장치
KR20160080569A (ko) 2014-12-30 2016-07-08 김성권 소시지 충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4705A1 (de) 1990-11-03 1992-05-13 VEMAG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m Abfüllen von Massen, insbesondere Wurst- und Fleischmassen
KR970000041A (ko) * 1995-07-29 1997-01-21 김진곤 소세지 제조기
KR20020043140A (ko) * 2000-12-01 2002-06-08 나맹록 가래떡에 내부 구멍을 뚫은 떡볶이,떡내부에충진물주입제조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4705A1 (de) 1990-11-03 1992-05-13 VEMAG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m Abfüllen von Massen, insbesondere Wurst- und Fleischmassen
KR970000041A (ko) * 1995-07-29 1997-01-21 김진곤 소세지 제조기
KR20020043140A (ko) * 2000-12-01 2002-06-08 나맹록 가래떡에 내부 구멍을 뚫은 떡볶이,떡내부에충진물주입제조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667A (ko) 2014-04-16 2015-10-26 김용호 소시지 제조장치
KR20160080569A (ko) 2014-12-30 2016-07-08 김성권 소시지 충전장치
KR101659187B1 (ko) 2014-12-30 2016-09-22 김성권 소시지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040A (ko) 200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4483B2 (ja) 押し出し可能な食品を調製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5401159A (en) Pasta maker
JPS59500855A (ja) スクリュー押出装置
US5486100A (en) Pasta maker with dual kneading blades
KR100909534B1 (ko) 소시지 제조기
CN2200297Y (zh) 小型面条成型机
KR102041225B1 (ko) 떡 제조장치
KR0167655B1 (ko) 소세지 제조기
CN111036329A (zh) 一种制造香料用睡莲加工装置
KR100402985B1 (ko) 환약 성형장치
CN108246469A (zh) 一种高效率香料研磨方法
CN203378545U (zh) 一种新型食品成型装置
CN208260943U (zh) 一种高效率香料研磨机器人
CN105903531A (zh) 一种切割粉碎机构
CN115969059A (zh) 一种膨化饲料生产加工工艺
KR101147502B1 (ko) 떡 제조장치
KR0116425Y1 (ko) 곡류 제면기
KR100701463B1 (ko) 꽈베기 제조장치
US7771254B2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eat products
KR960000063Y1 (ko) 착즙기
RU2673601C2 (ru) Насад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к универсальной кухонной машине
KR200414388Y1 (ko) 꽈베기 제조장치
CN110115276B (zh) 一种生麻花的制作装置
KR960007374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로울러의 축이음 장치
CN212681252U (zh) 一种工业生产用节约型绞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