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668B1 - 컴퓨터용 의자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668B1
KR100908668B1 KR1020070089834A KR20070089834A KR100908668B1 KR 100908668 B1 KR100908668 B1 KR 100908668B1 KR 1020070089834 A KR1020070089834 A KR 1020070089834A KR 20070089834 A KR20070089834 A KR 20070089834A KR 100908668 B1 KR100908668 B1 KR 100908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keyboard
monitor
chair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896A (ko
Inventor
윤일상
Original Assignee
윤일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상 filed Critical 윤일상
Priority to KR102007008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668B1/ko
Priority to PCT/KR2008/005257 priority patent/WO2009031853A1/en
Publication of KR20090024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clamps or friction lock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6Detachable covers for 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 및 키보드가 설치되는 의자의 등받이부를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기호에 맞도록 자유자재로 회동시켜 가장 편안한 자세로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등받이부를 후방으로 회동시 모니터가 설치되는 모니터프레임도 동시에 후방으로 회동되어 사용자가 모니터를 용이하게 주시할 수 있으며, 키보드가 설치되는 키보드프레임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키보드 자판을 사용함에 있어서 편리한 컴퓨터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의자는 안착부에 등받이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의 하측에 회전축이 설치되는 의자본체와, 상기 의자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지지다리와, 일단은 상기 등받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링크기구와, 일단이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와 동일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며, 타단에 모니터용브래킷이 설치되는 모니터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모니터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측에 키보드용브래킷이 설치되는 키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컴퓨터, 의자, 지지다리, 링크기구, 모니터프레임, 키보드프레임

Description

컴퓨터용 의자{CHAIR FOR COMPUT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기능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의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의자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의자의 등받이부가 회동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의자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의자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컴퓨터용 의자 10 : 의자본체
11 : 안착부 12 : 등받이부
13 : 회전축 20 : 지지다리
21 : 전방다리 22 : 후방다리
23 : 연결다리 30 : 링크기구
31 : 전방링크부재 31a : 고정프레임
32 : 후방링크부재 33 : 내측링크부재
33a : 연결부 33b : 삽입관부
33c : 회전손잡이 40 : 모니터프레임
41 : 하부모니터프레임 42 : 상부모니터프레임
43 : 모니터용브래킷 50 : 키보드프레임
51 : 이동프레임 52 : 키보드용브래킷
53 : 양방향 힌지지구 53a : 힌지결합부
60 : 탄성스프링
본 발명은 컴퓨터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니터 및 키보드가 설치되는 의자의 등받이부를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기호에 맞도록 자유자재로 회동시켜 가장 편안한 자세로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등받이부를 후방으로 회동시 모니터가 설치되는 모니터프레임도 동시에 후방으로 회동되어 사용자가 모니터를 용이하게 주시할 수 있으며, 키보드가 설치되는 키보드프레임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키보드 자판을 사용함에 있어서 편리한 컴퓨터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자는 등받이와 시트부 및 다리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이 보통이며, 다리부분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기구가 설치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사용자가 컴퓨너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착좌가 가능한 의자에 퍼스널 컴퓨터를 조합시킨 의자형 퍼스털 컴퓨터가 제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기술은 단순히 컴퓨터를 통하여 시각적인 현실감이나 사운드 효과등을 얻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의자에 고정시키고, 모니터등의 스크린 장치와 스피커등의 사운드 장치를 각각의 프레임에 고정 설치한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복잡할 뿐 아니라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의 피로를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높낮이를 구비한 의자의 경우, 장시간 사용과정에 허리를 펴기 위해서는 등받이가 별도로 회동되어야 하는데 보통은 회동부재를 통해 일정각도 회동되었다가 원상복귀되는 구조이어서 그 상태를 오랜 시간동안 유지하기가 어렵고 안정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본 발명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이 2006년 1월 17일 출원(출원번호 제20-2006-1395호)하여 2006년 4월 13일 등록(등록번호 제20-414396호) 받은 바 있는 "다기능의자(100)"는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판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측면회동부재(101)와, 일측 선단은 상기 측면회동부재(101)의 내측에 설치되며, 타측 선단에는 자판지지대(103a)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자판고정부재(103)와, 상기 측면회동부재(101)의 상단부에 삽입되며 그 단부에는 스크린(105a)이 고정되는 스크린지지축(105)과, 상기 등받이(111)의 배면에 설치된 제1 회동부재(107)와, 상기 수직지지판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 제2회동부재(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제1회동부재(107) 및 제2회동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양단부가 고정되는 중간부재(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좌우 수직 지지판을 횡으로 가로질러 위치되며 좌판부의 저면에 고정된 회동부재를 횡으로 가로질러 통과되어 고정시키며,그 단부는 상기 측면회동부재(101)를 관통하여 고정된 힌지축(10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다기능의자(100)는 등받이(111)가 후방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측면회동부재(101)가 등받이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시선이 스크린(105a)을 바라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등받이(111)가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은 자연스럽게 상향 이동되는데, 스크린(105a)은 별도의 길이조절 없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스크린(105a)을 바라보기 위해서는 시선을 아래쪽으로 향해야 할 뿐 아니라 목을 들게 되어 장시간 사용할 경우 자세에 무리가 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다기능 의자(100)의 경우 사용자의 기호 또는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등받이(111) 및 측면회동부재(101)가 회동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 사용자가 가증 편안한 자세로 다기능 의자(100)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자판지지대(103a)가 자판고정부재(103) 상에서 회동만 가능할 뿐, 전후방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자판을 사용할 수 없어, 장시간 사용할 경우 손목에 무리가 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니터 및 키보드가 설치되는 의자의 등받이부를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기호에 맞도록 자유자재로 회동시켜 가장 편안한 자세로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부를 후방으로 회동시 모니터가 설치되는 모니터프레임도 동시에 후방으로 회동되어 사용자가 모니터를 용이하게 주시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보드가 설치되는 키보드프레임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키보드 자판을 사용함에 있어서 편리한 컴퓨터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안착부에 등받이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의 하측에 회전축이 설치되는 의자본체와, 상기 의자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지지다리와, 일단은 상기 등받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링크기구와, 일단이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와 동일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며, 타단에 모니터용브래킷이 설치되는 모니터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모니터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측에 키보드용브래킷이 설치되는 키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의자를 제공함에 따라 달성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지지다리는, 상기 안착부의 하부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다리와, 상기 등받이부의 하부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다리와, 상기 전방다리 및 후방다리를 연결하되 상기 전방다리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방다리에는 고정설치되는 연결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링크기구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설치되는 전방링크부재와, 상기 등받이부에 고정설치되는 후방링크부재와, 양단이 상기 전방링크부재 및 후방링크부재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되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내측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모니터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하부모니터프레임과, 상기 하부모니터프레임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모니터프레임의 회동시 상기 하부모니터프레임을 길이조절 가능하게 인출입시키며 그 단부에 모니터용브래킷이 구비되는 상부모니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키보드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상부모니터프레임 상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키보드프레임 상에는 이동프레임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키보드용브래킷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회동 및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전방링크부재와 상기 후방다리에는 양측을 연결하는 탄성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링크기구를 후방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의자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의자의 측면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의자의 등받이부가 회동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5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의자의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의자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의자(1)는 안착부(11)에 등받이부(1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11)의 하측에 회전축(13)이 설치되는 의자본체(10)와, 상기 의자본체(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지지다리(20)와, 일단은 상기 등받이부(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13)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12)의 회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13)을 회전시키는 링크기구(30)와, 일단이 상기 회전 축(13)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12)와 동일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며, 타단에 모니터용브래킷(43)이 설치되는 모니터프레임(40)과, 일단이 상기 안착부(11)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모니터프레임(4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측에 키보드용브래킷(52)이 설치되는 키보드프레임(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의자본체(10)는 안착부(11)에 등받이부(1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안착부(11)의 하측에 회전축(13)이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엉덩이와 등을 지지하여 앉을 수 있는 의자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장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등받이부(12)는 그 양측이 안착부(11)의 일측에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등받이부(12)가 결합되는 타측의 하부에는 회전축(1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회전축(13)은 추후에 설명될 링크기구(30) 및 모니터프레임(40)이 연결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안착부(11) 및 등받이부(12)로 이루어지는 의자본체(10)의 하부에는 지지다리(20)가 연결되는데, 이 지지다리(20)는 전술한 의자본체(10)를 지면 상에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다리(20)는, 전술한 안착부(11)의 하부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다리(21)와, 등받이부(12)의 하부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다리(22)와, 전방다리(21) 및 후방다리(22)를 연결하되 전방다리(21)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방다리(22)에는 고정설치되는 연결다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
이러한 지지다리(20)는 사용자가 등받이부(12)를 후방으로 회동시킬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착부(11)와 등받이부(12)가 이루는 각도가 A에서 A'로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전방다리(21)와 연결다리(23)가 이루는 각도 역시 B에서 B'로 커지게 되며, 후방다리(22)는 등받이부(12)가 후방으로 회동됨에 따라 후방측으로 회동되면서 후방다리(22)와 등받이부(12)가 이루는 각도는 C에서 C'로 작아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의자본체(10)의 하부에는 링크기구(30)가 설치되는데, 이 링크기구(30)(30)는 일단은 등받이부(12)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전축(13)에 연결되어, 등받이부(12)의 회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13)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링크기구(30)는, 회전축(13)에 고정설치되는 전방링크부재(31)와, 등받이부(12)에 고정설치되는 후방링크부재(32)와, 양단이 전방링크부재(31) 및 후방링크부재(32)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되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내측링크부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내측링크부재(33)는, 전술한 전방링크부재(31) 및 후방링크부재(32)와 각각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양측의 연결부(33a)와, 전술한 연결부(33a)가 길이조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삽입관부(33b)와, 전술한 삽입관부(33b)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유무에 따라 삽입관부(33b)를 관통하여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연결부(33a)를 압입 고정하는 회전손잡이(33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양측의 연결부(33a)는 삽입관부(33b) 내에서 인출입 되면서 내측링크부재(33)의 전체적인 길이조절이 가능해지는데, 삽입관부(33b)에서 연결부(33a)가 인출되어 내측링크부재(33)의 길이에 길어질 경우 링크기구(30)의 이동에 따른 회전축(13)의 회전범위가 넓어지게 되고, 삽입관부(33b) 내측으로 연결부(33a)가 인입되어 내측링크부재(33)의 길이가 짧아질 경우 링크기구(30)의 이동에 따른 회전축(13)의 회전범위가 좁아지게 된다.
회전축(13)의 회전범위가 넓어지게 되면 추후에 설명될 모니터프레임(40) 및 키보드프레임(50)의 회동반경이 넓어지게 되고, 회전축(13)의 회전범위가 좁아지게 되면 추후에 설명될 모니터프레임(40) 및 키보드프레임(50)의 회동반경이 좁아지게 되는데,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 또는 신체사이즈에 맞도록 컴퓨터용 의자(1)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등받이부(12)가 후방으로 회동되게 되면, 링크기구(3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전방링크부재(31)와 고정 연결되는 회전축(13)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축(13)의 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모니터프레임(40)을 등받이부(12)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등받이부(12)가 전방으로 회동되게 되면, 링크기구(3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전방링크부재(31)와 고정 연결되는 회전축(13)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축(13)의 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모니터프레임(40)을 등받이부(12)를 따라 전방으로 다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전방링크부재(31)에는 고정프레임(31a)이 더 구비되는데, 이 고정프레임(31a)은 추후에 설명될 탄성스프링(60)이 연결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전방링크부재(31)가 연결되는 회전축(13)의 단부에는 모니터프레임(40)이 연결 설치되는데, 이 모니터프레임(40)은 등받이부(12)의 회동과 함께 전후방으로 길이조절되면서 회동되어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모니터를 응시할 수 있게 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니터프레임(40)은, 회전축(13)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하부모니터프레임(41)과, 하부모니터프레임(41)의 상단에 끼워져 모니터프레임(40)의 회동시 하부모니터프레임(41)을 길이조절 가능하게 인출입시키며 그 단부에 모니터용브래킷(43)이 구비되는 상부모니터프레임(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모니터용브래킷(43)은 모니터가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모니터프레임(40)과 각도조절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사용자가 기호에 따라 또는 신체조건에 따라서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안착부(11)의 일측에는 키보드용프레임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키보드용프레임은 전술한 상부모니터프레임(42)에 연결되어 모니터프레임(40)이 길이조절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키보드용브래킷(52)이 설치되어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키보드프레임(50)의 타단은 전술한 상부모니터프레임(42) 상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키보드프레임(50) 상에는 이동프레임(51)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동프레임(51)의 단부에는 키보드용브래킷(52)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회동 및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등받이부(12)가 후방으로 회동함에 따라 링크기구(30) 및 회전축(13)에 의해 함께 후방으로 회동되는 모니터프레임(40)은, 상부모니터프레임(42)이 키보드프레임(50)과 연결됨에 따라 상부모니터프레임(42)이 하부모니터프레임(41) 상에서 이동되면서 길이조절되게 된다.
이때, 모니터용브래킷(43)에 설치되어 있는 모니터는 모니터프레임(40)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그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등받이부(12)가 회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모니터를 응시할 수 있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상부모니터프레임(42)과 힌지결합되는 모니터용브래킷(43)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키보드프레임(50)의 중앙측에는 키보드용브래킷(52)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키보드용브래킷(52)은 이동프레임(51)에 의해 키보드프레임(50) 상에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회동 및 각도조절 가능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키보드용브래킷(52)은 양측에 힌지결합 가능한 힌지결합부(53a)가 90°회전하여 형성되는 양방향 힌지기구(53)를 통해서 키보드프레임(50)에 결합된다.
한편, 전술한 전방링크부재(31)의 고정프레임(31a)과 후방다리(22)에는 양측을 연결하는 탄성스프링(60)이 설치되는데, 이 탄성스프링(60)은 전술한 링크기구(30)를 후방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켜 등받이부(1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등받이부(12)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사용하다가 체중의 중심을 전방으로 향하도록 할 경우 전술한 탄성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등받이부 (12)가 전방으로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모니터용브래킷(43)에 설치되는 모니터와, 키보드용브래킷(52)에 설치되는 키보드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컴퓨터용 의자(1)의 일측에 구비되는 컴퓨터본체(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넷, 컴퓨터게임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컴퓨터용 의자(1)는 사용자를 위한 완충 효과와 심미적 효과를 위한 외장재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외장재가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용 의자(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링크기구(30)의 회전손잡이(33c)를 풀어 삽입관부(33b) 내에서 연결관을 인출 또는 인입하여 내측링크부재(33)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 다시 회전손잡이(33c)를 잠궈 연결관이 삽입관부(33b) 내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키보드가 설치되어 있는 키보드용브래킷(52)을 바깥쪽으로 회동시켜 의자본체(10)에 착석한 후, 다시 키보드용브래킷(52)을 안쪽으로 회동시킨 다음, 자신의 신체조건이나 기호에 맞도록 이동프레임(51)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키거나 각도조절을 하여 가장 편안한 자세로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그런 다음, 등받이부(12)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는데, 이때 링크기구(30)가 전 방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축(13)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전축(13)과 연결되어 있는 모니터프레임(40)이 등받이부(12)와 함께 후방으로 회동되면서 길이조절되어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에서 모니터를 응시할 수 있게 되며, 모니터용브래킷(43)을 회동시켜 각도조절을 할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는 등받이부(12)를 후방으로 회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컴퓨터용 의자(1)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키보드프레임(50)의 설정만으로도 편안하게 컴퓨터용 의자(1)를 이용할 수 있다.
컴퓨터의 사용이 종료되거나 등받이부(12)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컴퓨터를 계속 사용하고자 할 경우, 체중의 중심을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탄성스프링(60)에 의해 용이하게 등받이부(12)가 전방으로 회동 될 수 있게 되며, 키보드용브래킷(52)을 바깥쪽으로 회동시킨 후 의자본체(10)에서 일어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의자는 모니터 및 키보드가 설치되는 의자의 등받이부를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기호에 맞도록 자유자재로 회동시켜 가장 편안한 자세로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등받이부를 후방으로 회동시 모니터가 설치되는 모니터프레임도 동시에 후방으로 회동되어 사용자가 모니터를 용이하게 주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키보드가 설치되는 키보드프레임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키보드 자판을 사용함에 있어서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안착부에 등받이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의 하측에 회전축이 설치되는 의자본체;
    상기 의자본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지지다리;
    일단은 상기 등받이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링크기구;
    일단이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와 동일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며, 타단에 모니터용브래킷이 설치되는 모니터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모니터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측에 키보드용브래킷이 설치되는 키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안착부의 하부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다리와, 상기 등받이부의 하부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다리와, 상기 전방다리 및 후방다리를 연결하되 상기 전방다리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방다리에는 고정설치되는 연결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 터용 의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설치되는 전방링크부재와, 상기 등받이부에 고정설치되는 후방링크부재와, 양단이 상기 전방링크부재 및 후방링크부재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되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내측링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의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하부모니터프레임과, 상기 하부모니터프레임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모니터프레임의 회동시 상기 하부모니터프레임을 길이조절 가능하게 인출입시키며 그 단부에 모니터용브래킷이 구비되는 상부모니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의자.
  5. 청구항 4에있어서,
    상기 키보드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상부모니터프레임 상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되고, 상기 키보드프레임 상에는 이동프레임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이동프레임의 단부에는 상기 키보드용브래킷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회동 및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의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방링크부재와 상기 후방다리에는 양측을 연결하는 탄성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링크기구를 후방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의자.
KR1020070089834A 2007-09-05 2007-09-05 컴퓨터용 의자 KR100908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834A KR100908668B1 (ko) 2007-09-05 2007-09-05 컴퓨터용 의자
PCT/KR2008/005257 WO2009031853A1 (en) 2007-09-05 2008-09-05 Chair for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834A KR100908668B1 (ko) 2007-09-05 2007-09-05 컴퓨터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896A KR20090024896A (ko) 2009-03-10
KR100908668B1 true KR100908668B1 (ko) 2009-07-21

Family

ID=40429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834A KR100908668B1 (ko) 2007-09-05 2007-09-05 컴퓨터용 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8668B1 (ko)
WO (1) WO20090318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769A (ko) * 2017-09-18 2019-03-27 김영환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106A (ko) * 2000-01-12 2000-04-06 송민수 영상단말기가 장착된 의자
KR200390797Y1 (ko) 2005-04-15 2005-07-28 오황환 의자가 일체로 구비된 컴퓨터용 책상
KR200414396Y1 (ko) 2006-01-17 2006-04-19 윤일상 다기능 의자
KR200434790Y1 (ko) 2006-09-29 2006-12-27 주식회사 비.엠.텍 21 노약자를 위한 컴퓨터 내장형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9922A (en) * 1986-11-25 1988-10-25 Cooper Lloyd G B Work station system
US6092868A (en) * 1998-12-17 2000-07-25 Wynn; Jeffrey J. Computer work station
JP3066548U (ja) * 1999-08-11 2000-02-25 紳堡實業股▲ふん▼有限公司 コンピュ―タ用椅子
KR200432288Y1 (ko) * 2006-06-05 2006-11-30 정순우 기울기 조정기능 로봇 팔 부착 컴퓨터 탁,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106A (ko) * 2000-01-12 2000-04-06 송민수 영상단말기가 장착된 의자
KR200390797Y1 (ko) 2005-04-15 2005-07-28 오황환 의자가 일체로 구비된 컴퓨터용 책상
KR200414396Y1 (ko) 2006-01-17 2006-04-19 윤일상 다기능 의자
KR200434790Y1 (ko) 2006-09-29 2006-12-27 주식회사 비.엠.텍 21 노약자를 위한 컴퓨터 내장형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769A (ko) * 2017-09-18 2019-03-27 김영환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
KR102030658B1 (ko) * 2017-09-18 2019-10-10 김영환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1853A1 (en) 2009-03-12
KR20090024896A (ko) 200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8275B1 (en) Adjustment device for chairs
JP5976747B2 (ja) ティルティングタイプ椅子
US20060270480A1 (en) Infant swing apparatus
CN108430270A (zh) 椅子及座的支承机构
JPS6257519A (ja) 作業椅子
CN209436695U (zh) 联动机构、机械伸展装置以及座椅单元
KR100872907B1 (ko)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조정이 가능한 의자
WO2023123988A1 (zh) 一种全动态座椅
KR100908668B1 (ko) 컴퓨터용 의자
KR200414396Y1 (ko) 다기능 의자
JP3803642B2 (ja) 収納式椅子
JP2010051614A (ja) 肘掛け装置
KR100730557B1 (ko) 등받이 조절 장치
KR20140068501A (ko) 접철식 좌식의자
KR200383047Y1 (ko) 헤드레스트를 가지는 의자
KR101342019B1 (ko) 수레 겸용 의자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KR100991359B1 (ko) 요추를 지지하는 돌출가능한 등받이판이 구비된 의자
JP4791623B2 (ja) 二の腕支持構造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椅子
CN209528502U (zh) 联动机构、机械伸展装置以及座椅单元
JP2013056130A (ja) 折り畳み椅子
KR200314468Y1 (ko) 기능성 의자
KR20130070024A (ko)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KR200366244Y1 (ko) 사무용 헬스 의자
KR20170035516A (ko)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바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