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516A -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바운서 - Google Patents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바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516A
KR20170035516A KR1020150134430A KR20150134430A KR20170035516A KR 20170035516 A KR20170035516 A KR 20170035516A KR 1020150134430 A KR1020150134430 A KR 1020150134430A KR 20150134430 A KR20150134430 A KR 20150134430A KR 20170035516 A KR20170035516 A KR 20170035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racket
guide
ca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엑스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엑스투 filed Critical (주)디자인엑스투
Priority to KR1020150134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5516A/ko
Publication of KR2017003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2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with curved rocking members resting on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유아를 눕히거나 앉을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바운서를 원터치 작동으로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완전히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휴대가 용이토록 한 것으로, 시트(17)에 착석한 유아가 앉혀짐이나 누워지도록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의 각도조절이 되면서 시트(17)가 지지바(11)에 의해 지면에서 소정높이로 떠 있도록 형성된 유아용 바운서(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1)에는 가이드브라켓(14)이 장착되어지고 가이드브라켓(14)에 작동캠(25)으로 탄성작동되는 탄성바(26)가 장착된 작동바(20)가 장착되고 상기 작동바(20)의 양측과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결합된 각도조절브라켓(30)에는 세로바(29)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 상기 지지바(11)의 전방에는 각도조절브라켓(30)의 전방으로 결합된 연결바(13)가 회전브라켓(40)과 결합되어 상기 작동캠(25)을 작동하면 작동바(20)가 가이드브라켓(14)에 절첩을 위하여 가이드될 때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동시에 절첩작동되면서 연결바(13)도 회전브라켓(40)에 의해 동시에 회전작동되어 절첩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바운서{Baby bouncer to easy portable}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바운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유아를 눕히거나 앉을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바운서를 원터치 작동으로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완전히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휴대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갓 태어난 신생아나 잘 움직이지 못하는 유아가 편안한 자세로 수면을 취하거나 앉을 수 있도록 시트가 형성되고 이러한 시트의 등받이가 각도 조절되는 각도조절장치가 형성된 바운서가 제공되었다.
또한 바운서에 설치된 절첩바를 이용하여 사용에 따라 바운서를 흔들거나 정지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가 안정감을 갖을 수 있게 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바운서(100)의 구조는 지면에 위치되는 중앙에서 양측방향으로 휘어져 후방은 연결되고 전방은 상측방향으로 휘어진 지지바가 시트가 형성되는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0)와 각도조절브라켓(200)에 의해 각도조절이 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의 전방으로 회전으로 절첩되는 절첩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를 시트에 누인 상태에서 각도조절브라켓(200)를 이용하여 시트의 각도를 조절토록 함으로써 유아를 눕히거나 앉힐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절첩바(130)의 작동으로 흔들침대 또는 흔들의자로 사용하여 유아가 울거나 할 때 안심시켜 편안하게 달래주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바운서(100)는 대부분 시트의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0)만 각도조절이 되도록 형성되어 바운서(100)의 부피가 커서 휴대하여 이동하기가 어려워 외부에서의 사용이 상당히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인 이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운서(100)를 대부분 집안 내부에서만 사용되어 사용이 제안적이었으며 보관도 어려웠다.
KR 10-1404075 B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운서를 원터치 작동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간단하게 완전하게 절첩되도록 하여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아용 바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트(17)에 착석한 유아가 앉혀짐이나 누워지도록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의 각도조절이 되면서 시트(17)가 지지바(11)에 의해 지면에서 소정높이로 떠 있도록 형성된 유아용 바운서(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1)에는 가이드브라켓(14)이 장착되어지고 가이드브라켓(14)에 작동캠(25)으로 탄성작동되는 탄성바(26)가 장착된 작동바(20)가 장착되고 상기 작동바(20)의 양측과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결합된 각도조절브라켓(30)에는 세로바(29)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 상기 지지바(11)의 전방에는 각도조절브라켓(30)의 전방으로 결합된 연결바(13)가 회전브라켓(40)과 결합되어 상기 작동캠(25)을 작동하면 작동바(20)가 가이드브라켓(14)에 절첩을 위하여 가이드될 때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동시에 절첩작동되면서 연결바(13)도 회전브라켓(40)에 의해 동시에 회전작동되어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바운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원터치 작동으로 바운서의 높낮이 조절뿐만이 아니라 완전히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편안함을 제공하면서 집안뿐만이 아니라 외출할 때에도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장소의 제약 없이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운서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작동바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작동캠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작동캠의 작동에 따른 작동바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회전브라켓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의 바운서의 흔들기능과 고정기능을 도시한 작동도.
도7은 본 발명의 바운서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8은 본 발명의 바운서의 사용상태도.
도9는 종래의 바운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운서는 유아의 앉혀짐이나 눕힘이 가능하도록 시트(17)가 형성되는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각도조절브라켓(30)에 결합되어 각도조절이 되면서 시트(17)가 지면에서 소정높이로 떠 있도록 만곡되게 휘어진 지지바(11)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11)에는 가이드브라켓(14)이 장착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브라켓(14)에는 작동캠(25)으로 탄성작동되는 탄성바(26)가 장착된 작동바(20)가 장착되며 상기 작동바(20)의 양측에는 세로바(29)가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결합된 각도조절브라켓(3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 각도조절브라켓(30)의 전방으로 연결바(13)가 결합되어 상기 연결바(13)의 결합되지 않은 타측과 지지바(11)의 전방이 회전브라켓(40)으로 결합된 구조이다.
따라서 작동캠(25)을 작동하면 작동바(20)가 가이드브라켓(14)에 절첩을 위하여 가이드될 때 작동바(11)의 양측으로 결합된 세로바(29)가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결합된 각도조절브라켓(30)에서 축회전되면서 동시에 절첩작동되어지고 이때 각도조절브라켓(30)의 전방으로 결합된 연결바(13)가 지지바(11)의 전방으로 결합된 회전브라켓(40)에 의해 동시에 회전작동되어 절첩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바(11)는 중앙에서 양측방향으로 만곡되어진 프레임바가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후방은 일체로 연결되고 전방은 시트(17)가 형성되는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의 각도조절을 위한 각도조절브라켓(30)과 연결된 연결바(13)가 회전브라켓(40)과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브라켓(40)의 내측에는 일정반경으로만 회전되는 절첩바(41)가 결합되어 만곡된 지지바(11)에 의해 바운서(10)가 흔들기능이 되면서 전방에 형성된 절첩바(41)를 회전하여 지면에 닿도록 위치시키면 바운서(10)가 지면에 흔들리지 않게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지지바(1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바에는 작동바(20)의 절첩작동을 위한 가이드브라켓(14)이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바(20)는 관체로 형성되어지고 작동바(20)의 내측으로 스프링(28)에 의해 탄성작동되는 끼임공(26a)이 형성되며 전방에 걸림돌부가 형성된 탄성바(26)가 양측으로 대칭되게 장착되고, 상기 탄성바(26)가 양측으로 대칭되게 장착된 작동바(20)의 외측 중앙에는 결합핀(21)에 의해 걸림구(23)를 결합하는 결합공(20b)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20b)의 양측에는 유동공(20a)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공(20a)을 관통하여 탄성바(26)에 형성된 끼임공(26a)에 끼워지는 결합핀(21)에 의해 가이드캠(22)이 결합되고 상기 걸림구(23)와 가이드캠(22)이 결합된 작동바(20)의 외측 중앙으로 분할되어 내벽의 양측에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가이드벽(25a)과 중앙에 스토퍼(25c)가 형성된 가이드홈(25b)이 형성된 작동캠(25)이 나조조임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캠(25)을 회전하게 되면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가이드벽(25a)과 유동홈(20a)으로 탄성바(26)와 결합핀(21)으로 결합된 가이드캠(22)이 가이드벽(25a)에 가이드되어지고 결합핀(21)은 유동홈(20a)으로 유동되어 탄성바(26)가 스프링(28)에 의해 탄성작동되고 중앙에 결합된 걸림구(23)는 작동캠(25)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홈(25b)에 가이드 되면서 스토퍼(25c)에 의해 일정반경으로만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할되어진 작동캠(25)의 일측에는 손잡이(25d)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절첩을 위한 작동캠(25)의 작동을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바(20)의 양측에는 연결브라켓(24)이 결합되어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결합되는 각도조절브라켓(30)의 하측으로 축결합부(31)를 형성하여 상기 축결합부(31)로 세로바(29)가 축결합되어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작동바(20)의 절첩작동시 각도조절브라켓(30)의 축결합부(31)에 축결합된 세로바(29)가 축회전되면서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동시에 절첩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브라켓(30)의 상측에는 장난감이나 음식물을 놓을 수 있도록 간이테이블(33)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32)을 형성하여 유아가 혼자서 장남감을 만질 수 있도록 하거나 음식을 먹일 때 사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브라켓(14)은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15)에는 일정간격의 걸림홈(16)이 형성되어 가이드브라켓(14)의 요입부(15)에 형성된 걸림홈(16)으로 작동바(20)의 내측에 탄성작동되도록 장착된 탄성바(26)의 걸림돌부(27)가 내입되어 걸림되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작동바(20)의 내측에 장착된 탄성바(26)의 걸림돌부(27)가 가이드브라켓(14)의 요입부(15)에 내입된 상태로 가이드 되어져 작동중에 작동바(20)가 빠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고 탄성바(26)의 탄성작동으로 걸림홈(16)으로 걸림되어지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용 바운서(10)는 유아가 안정감과 편안함을 유지하도록 바운서(10)의 등받이 각도조절기능과 흔들기능과 고정기능을 사용하면서도 원터치 작동으로 바운서(10)의 높낮이 조절 및 완전히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집안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휴대가 가능하여 외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가치를 높이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바운서
11: 지지바
12: U자형등받이프레임바
13: 연결바
14: 가이드브라켓
15: 요입부
16: 걸림홈
17: 시트
20: 작동바
21: 결합핀
22: 유동공
23: 결합공
24: 연결브라켓
25: 작동캠
26: 탄성바
27: 걸림돌부
28: 스프링
29: 세로바
30: 각도조절브라켓
31: 축결합부
32: 장착홈
33: 간이테이블
40: 회전브라켓
41: 절첩바

Claims (1)

  1. 시트(17)에 착석한 유아가 앉혀짐이나 누워지도록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의 각도조절이 되면서 시트(17)가 지지바(11)에 의해 지면에서 소정높이로 떠 있도록 형성된 유아용 바운서(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1)에는 가이드브라켓(14)이 장착되어지고 가이드브라켓(14)에 작동캠(25)으로 탄성작동되는 탄성바(26)가 장착된 작동바(20)가 장착되고 상기 작동바(20)의 양측과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결합된 각도조절브라켓(30)에는 세로바(29)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 상기 지지바(11)의 전방에는 각도조절브라켓(30)의 전방으로 결합된 연결바(13)가 회전브라켓(40)과 결합되어 상기 작동캠(25)을 작동하면 작동바(20)가 가이드브라켓(14)에 절첩을 위하여 가이드될 때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동시에 절첩작동되면서 연결바(13)도 회전브라켓(40)에 의해 동시에 회전작동되어 절첩되어지며,
    상기 작동바(20)는 관체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스프링(28)에 의해 탄성작동되는 끼임공(26a)이 형성된 탄성바(26)가 양측으로 대칭되게 장착되고 상기 탄성바(26)가 양측으로 대칭되게 장착된 작동바(20)의 외측 중앙에는 결합핀(21)에 의해 걸림구(23)를 결합하는 결합공(20b)과 결합공(20b)의 양측으로 유동공(20a)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공(20a)을 관통하여 탄성바(26)에 형성된 끼임공(26a)에 끼워지는 결합핀(21)에 의해 가이드캠(22)이 결합되고 상기 걸림구(23)와 가이드캠(22)이 결합된 작동바(20)의 외측 중앙으로 분할되어 내벽의 양측에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가이드벽(25a)과 중앙에 스토퍼(25c)가 형성된 가이드홈(25b)이 형성된 작동캠(25)이 나조조임으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캠(25)을 회전하면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가이드벽(25a)과 유동홈(20a)으로 탄성바(26)와 결합핀(21)으로 결합된 가이드캠(22)이 가이드되면서 탄성바(26)가 스프링(28)에 의해 탄성 작동되고 걸림구(23)는 스토퍼(25c)에 의해 일정반경으로만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바운서.
KR1020150134430A 2015-09-23 2015-09-23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바운서 KR20170035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430A KR20170035516A (ko) 2015-09-23 2015-09-23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바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430A KR20170035516A (ko) 2015-09-23 2015-09-23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바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516A true KR20170035516A (ko) 2017-03-31

Family

ID=5850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430A KR20170035516A (ko) 2015-09-23 2015-09-23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바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55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3516A (zh) * 2020-05-15 2020-08-11 泉州市万家宝儿童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式婴儿摇椅及其驱动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075B1 (ko) 2013-12-16 2014-06-05 송병무 유아용 바운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075B1 (ko) 2013-12-16 2014-06-05 송병무 유아용 바운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3516A (zh) * 2020-05-15 2020-08-11 泉州市万家宝儿童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式婴儿摇椅及其驱动机构
CN111513516B (zh) * 2020-05-15 2023-12-22 泉州市万家宝儿童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式婴儿摇椅及其驱动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8867B2 (en) Breastfeeding chair
CN105768742B (zh) 可调头枕、可调理疗床头枕、可调椅背头枕及可调桌面头枕
KR101479647B1 (ko) 유아용 식탁 의자
KR20170035516A (ko)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바운서
US9888777B2 (en) Foldable bench
CN107616641B (zh) 婴儿座椅
US20170156512A1 (en) Baby Rocker Glider
US9049945B2 (en) Space adjustment mechanism for a chair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KR200472790Y1 (ko)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KR200481997Y1 (ko)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되는 유아용 바운서의 절첩구조
KR200428121Y1 (ko) 유아용 식탁 의자
KR200467544Y1 (ko) 유아용 그네 겸용 침대
KR20150108091A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CN220141190U (zh) 一种午休椅
JP3176344U (ja) 片手でリクライニングできるスイングチェアの背もたれ構造
KR20140132921A (ko) 폭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변기 의자
JP3183389U (ja) 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
KR200461608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식 책상
KR101293111B1 (ko) 흔들의자 기능을 가진 거꾸리 운동 기구
KR101219246B1 (ko) 유아용 변기 겸용 샤워기
KR200148238Y1 (ko) 의자용 암 레스트의 절첩장치
KR101532732B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WO2016008204A1 (zh) 一种折叠椅
CN104260771B (zh) 一种带双人座位的双胞胎童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