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732B1 - 의자용 머리받침대 - Google Patents

의자용 머리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732B1
KR101532732B1 KR1020140126899A KR20140126899A KR101532732B1 KR 101532732 B1 KR101532732 B1 KR 101532732B1 KR 1020140126899 A KR1020140126899 A KR 1020140126899A KR 20140126899 A KR20140126899 A KR 20140126899A KR 101532732 B1 KR101532732 B1 KR 101532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pedestal
chair
connecting ro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석언
Original Assignee
한석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석언 filed Critical 한석언
Priority to KR1020140126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732B1/ko
Priority to PCT/KR2015/009687 priority patent/WO20160479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용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머리의 측면을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의자 상단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헤드레스트; 및 상기 헤드레스트의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되도록 연결봉에 의해 결합된 판 형태의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봉은 "ㄱ"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받침대가 상하회전되도록 일단이 상기 헤드레스트의 내측과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가 좌우회전되도록 타단이 상기 받침대와 결합되되,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는 다수의 홈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각도조절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및 받침대에는 상기 각도조절홈과 탄성적으로 맞물리는 각도조절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가 탄성적으로 상하좌우회전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용 머리받침대{Headrest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용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편히 머리를 기댈 수 있는 의자용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레스트란 자동차나 기차를 비롯한 차량 및 비행기 좌석이나 가정용 또는 업무용 의자 상단에 사용자의 머리를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된 부분을 말하며, 좌석이나 의자와 일체로 구성된 것도 있음은 물론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도 있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보통 사용자가 후두부만을 기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경우 사용자의 머리가 좌우로 흔들리며 제대로 지탱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6979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한다)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앉을 수 있는 밑판(10); 상기 밑판(10)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등받이의 일측 끝단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등받이(20); 상기 등받이(20)의 상측 끝단 좌우측에 회전시킬 수 있게끔 고정되어 있는 회전통(30); 상기 등받이(20)의 상측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통(30)에 고정시키는 측면회전쿠션(40);을 포함하여 머리 양측면에 쿠션을 제공하여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시 활용할 수 있는 머리받이 쿠션 부착 의자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인용발명은 측면회전쿠션(40)이 상하회전만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머리를 측면회전쿠션(40)에 기대는 경우 측두부의 일부만 측면회전쿠션(40)의 상단 모서리에 접하게 되므로 오히려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이나 기호에 따라 머리를 기대는 각도가 상이하나 이에 맞춰 측면회전쿠션(40)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편한 휴식 및 수면을 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머리의 측면을 편안하게 기댈 수 있는 의자용 머리받침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의자용 머리받침대는 의자 상단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헤드레스트; 및 상기 헤드레스트의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되도록 연결봉에 의해 결합된 판 형태의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봉은 "ㄱ"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받침대가 상하회전되도록 일단이 상기 헤드레스트의 내측과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가 좌우회전되도록 타단이 상기 받침대와 결합되되,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는 다수의 홈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각도조절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및 받침대에는 상기 각도조절홈과 탄성적으로 맞물리는 각도조절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가 탄성적으로 상하좌우회전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 측면을 기댈 수 있는 받침대가 상하방향은 물론,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되므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체형이나 기호에 따라 편안하게 머리 측면 대부분을 받침대와 맞닿도록 할 수 있어 편안함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머리받이 쿠션 부착 의자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로 의자용 머리받침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의자용 머리받침대에 적용되는 연결봉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로 의자용 머리받침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동작상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로 의자용 머리받침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동작상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로 의자용 머리받침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동작상태도,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용 머리받침대에 적용되는 연결봉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용 머리받침대에 적용되는 각도조절봉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로 의자용 머리받침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용 머리받침대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머리의 측면을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의자 상단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헤드레스트; 및 상기 헤드레스트의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되도록 연결봉에 의해 결합된 판 형태의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봉은 "ㄱ"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받침대가 상하회전되도록 일단이 상기 헤드레스트의 내측과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가 좌우회전되도록 타단이 상기 받침대와 결합되되,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는 다수의 홈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각도조절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및 받침대에는 상기 각도조절홈과 탄성적으로 맞물리는 각도조절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가 탄성적으로 상하좌우회전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의자용 머리받침대는 첨부된 도면 도 2a 내지 도 9b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의자용 머리받침대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와 분리구성되어 상기 의자 상단에 결합되거나, 상기 의자와 일체로 형성된 헤드레스트(100)와, 상기 헤드레스트(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되도록 결합된 받침대(20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200)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결봉(110)에 의해 상기 헤드레스트(100)와 결합되어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200)의 상하회전을 통해 상기 받침대(200)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받침대(200)의 폭이 상기 헤드레스트(100) 일측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은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받침대(200)를 헤드레스트(100)와 교차되도록 내려 머리를 기댈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를 올려 의자의 미려함과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200)는 상하방향은 물론,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머리 측면이 상기 받침대(200)의 일면에 편안하게 맞닿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는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휴식 또는 수면시 편안함을 느끼는 각도로 상기 받침대(200)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2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이 헤드레스트(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어 상하좌우로 동작을 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형태이면 족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200)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사용자가 머리를 기대어 휴식이나 수면을 취하는바 부드럽고 푹신한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봉(11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레스트(100)와 받침대(200)를 연결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4a 내지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봉(110)에 의해 상기 헤드레스트(100)와 받침대(200)가 결합된 것을 전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연결봉(110)은 도 3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길이조절홈(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길이조절홈(10)은 상기 연결봉(110)이 인출가능한 형태인 경우 상기 헤드레스트(100)에 길이조절홈(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길이조절돌기(미도시)와 탄성적으로 맞물리며, 상기 연결봉(110)의 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봉(110)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다수의 홈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각도조절홈(20)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홈(20)은 상기 헤드레스트(100) 또는 받침대(200)에 각도조절홈(20)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각도조절동기(미도시)와 탄성적으로 맞물려 상기 받침대(200)의 상하좌우 각도를 조절한 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봉(110)은 상기 헤드레스트(100)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200)의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평부(111)와, 상기 수평부(111)에 연장절곡되어 상기 받침대(200)의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직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연결봉(110)으로 상기 받침대(200)를 상하회전은 물론 좌우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구조가 간단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연결봉(110)은 헤드레스트(100) 내측에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받침대(2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봉(110)을 전제로 설명하면, 상기 수평부(111)는 헤드레스트(100) 내측에 넣었다 뺄 수 있으므로 상기 받침대(200)와 헤드레스트(10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로 몸이나 머리를 자신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각도로 누이더라도 사용자의 머리 측면이 상기 받침대(200)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200)를 사용하지 않아 상기 수평부(111)를 헤드레스트(100) 내측으로 밀어넣는 경우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헤드레스트(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맞닿게 되므로 헤드레스트(100)와 일체감을 형성하여 의자 전체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봉(110)이 인출가능하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헤드레스트(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내측방향으로 보관공간(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관공간(120)으로 인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200)가 상기 헤드레스트(100)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받침대(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받침대(200)에 의해 움직임을 방해받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헤드레스트(100)의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공간(120)을 형성한 상기 헤드레스트(100)의 내측면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인출홈(130)이 형성될 수 있어, 상기 보관공간(120) 내에 수용된 상기 받침대(200)를 잡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된 상기 받침대(20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머리가 맞닿을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하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20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자의 머리 측면 대부분이 맞닿아 편안하게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달리 연결봉(110)이 인출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받침대(200)는 상하는 물론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레스트(10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연결봉(110)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일정간격이란 상기 받침대(200)의 폭보다 큰 간격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받침대(20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가 기대어지는 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며,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상기 보관공간(120)에 인출가능한 받침대(200)가 수용되는 형태를 비롯하여, 상기 받침대(120)가 인출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받침대(200)의 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경우 상기 받침대(200)의 좌우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더라도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부(111)와 수직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연결봉(110)을 통해 상기 받침대(200)가 상하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받침대(200)를 분리구성하여 상기 받침대(200)를 사용자의 기호에 맞도록 상하좌우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받침대(2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회전되는 수직회전부(210)와, 상기 수직회전부(210)에 축결합되어 좌우로 회전되는 수평회전부(220)로 분리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봉(110)은 상기 헤드레스트(100)와 수직회전부(210)를 결합시키는 수평부(111)와, 상기 수평부(1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회전부(210)와 수평회전부(220)를 결합시키는 수직부(112)로 분리구성된다.
상기 연결봉(110)이 인출가능한 형태인 경우 상기 수평부(111)에 길이조절홈(1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111) 및 수직부(112)에 회전 후 고정시키기 위한 도조절홈(2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이 상기 받침대(200)가 수직회전부(210)와, 수평회전부(220)로 분리구성되고, 상기 연결봉(110)이 수평부(111)와 수직부(112)로 분리구성되는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111)을 통해 상기 받침대(200)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킨 다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112)를 통해 수평회전부(220)를 회전시켜 사용자가 받침대(200)에 편히 기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대(200)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100)의 양측면에 결합될 수 있어, 사용자가 좌측 또는 우측 머리를 상기 받침대(200)에 선택적으로 기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 측면을 기댈 수 있는 받침대(200)가 상하방향은 물론,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여 사용자가 의자(A)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체형이나 기호에 따라 편안하게 머리 측면 대부분을 받침대(200)와 맞닿도록 할 수 있는바,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한다.
A : 의자
10 : 길이조절홈 20 : 각도조절홈
100 : 헤드레스트 110 : 연결봉
111 : 수평부 112 : 수직부
120 : 보관공간 130 : 인출홈
200 : 받침대 210 : 수직회전부
220 : 수평회전부

Claims (6)

  1. 의자 상단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헤드레스트(100); 및 상기 헤드레스트(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회전되도록 연결봉(110)에 의해 결합된 판 형태의 받침대(20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봉(110)은 "ㄱ"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받침대(200)가 상하회전되도록 일단이 상기 헤드레스트(100)의 내측과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200)가 좌우회전되도록 타단이 상기 받침대(200)와 결합되되,
    상기 연결봉(110)의 양단에는 다수의 홈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각도조절홈(20)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레스트(100) 및 받침대(200)에는 상기 각도조절홈(20)과 탄성적으로 맞물리는 각도조절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200)가 탄성적으로 상하좌우회전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0)는 상하로 회전되는 수직회전부(210)와, 상기 수직회전부(210)에 축결합되어 좌우로 회전되는 수평회전부(220)로 분리구성되고,
    상기 연결봉(110)은 상기 헤드레스트(100)와 수직회전부(210)를 결합시키는 수평부(111)와, 상기 수평부(1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회전부(210)와 수평회전부(220)를 결합시키는 수직부(112)로 분리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110)은 헤드레스트(100) 내측에 외부로 인출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받침대(200)가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200)와 헤드레스트(10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내측방향으로 상기 받침대(200)에 대응되는 보관공간(120)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200)는 보관공간(120)으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0)는 사용자의 머리가 기대어지는 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머리받침대.
  6. 삭제
KR1020140126899A 2014-09-23 2014-09-23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1532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899A KR101532732B1 (ko) 2014-09-23 2014-09-23 의자용 머리받침대
PCT/KR2015/009687 WO2016047959A1 (ko) 2014-09-23 2015-09-15 의자용 머리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899A KR101532732B1 (ko) 2014-09-23 2014-09-23 의자용 머리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732B1 true KR101532732B1 (ko) 2015-07-06

Family

ID=5378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899A KR101532732B1 (ko) 2014-09-23 2014-09-23 의자용 머리받침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2732B1 (ko)
WO (1) WO201604795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623Y1 (ko) * 1991-06-07 1993-12-23 정영운 자동차용 의자의 보조 머리받이
KR19980066742U (ko) * 1997-05-20 1998-12-05 홍종만 자동차용 시이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514A (ko) * 1996-12-19 1998-09-15 김영귀 보조 헤드레스트가 장착된 프론트 시트
JP2010042209A (ja) * 2008-08-18 2010-02-25 Toyota Motor Corp ヘッドレスト構造
KR101213814B1 (ko) * 2010-11-29 2012-12-18 김원배 가변형 헤드레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623Y1 (ko) * 1991-06-07 1993-12-23 정영운 자동차용 의자의 보조 머리받이
KR19980066742U (ko) * 1997-05-20 1998-12-05 홍종만 자동차용 시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47959A1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568B1 (ko) 머리받침구가 구비된 의자
JP6404902B2 (ja) ヘッドレスト構造、ヘッドレストクッションおよび乗客シート
JP2015512748A5 (ko)
JP6754758B2 (ja) 姿勢のサポートを備えるベッド及びベッドインサート
KR101479647B1 (ko) 유아용 식탁 의자
US7346948B1 (en) Basic bed lounge
US20110155022A1 (en) Individual working or service table providing comfort to a user sitting on a sofa or an armchair or the like or even sitting on the floor
CN103462402B (zh) 一种椅子
KR101532732B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KR200477586Y1 (ko) 기능성 베개
KR101106095B1 (ko) 의자용 팔걸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200431273Y1 (ko) 형상 변형이 용이한 카우치 시스템
KR101561197B1 (ko) 유동식 통풍형 지압 베개
CN204599953U (zh) 儿童座椅及其座椅摇摆机构
KR101475947B1 (ko) 차량 시트의 머리받침대용 베개
JP6434517B2 (ja) 快適枕
KR20170001591U (ko) 소파
KR200445660Y1 (ko) 의자
KR200429165Y1 (ko) 소파 겸용 침대
KR200484537Y1 (ko)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
KR101871979B1 (ko) 분리형 등받이를 구비한 침대 겸용 소파
KR100989696B1 (ko) 회전형 등받이 의자
KR102423238B1 (ko) 착탈식 신체 후위 지지부재가 구비된 소파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KR102273164B1 (ko) 높이 조절기능을 가지는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