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537Y1 -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 - Google Patents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537Y1
KR200484537Y1 KR2020160000231U KR20160000231U KR200484537Y1 KR 200484537 Y1 KR200484537 Y1 KR 200484537Y1 KR 2020160000231 U KR2020160000231 U KR 2020160000231U KR 20160000231 U KR20160000231 U KR 20160000231U KR 200484537 Y1 KR200484537 Y1 KR 200484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adjustment
fixed
fixed bas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112U (ko
Inventor
슈에츠 치앙
Original Assignee
슈에츠 치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에츠 치앙 filed Critical 슈에츠 치앙
Publication of KR201600041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1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60Use of locks or ledges for limiting the seat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은 고정받침, 조정받침, 2개의 축받침, 2개의 머리기댐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상기 고정받침은 상부고정받침과 하부고정받침이 서로 대응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조정받침은 상부조정받침과 하부조정받침이 서로 대응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고정받침 외부의 한 끝에는 조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받침의 조정부는 상기 조정받침 내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고정받침과 상기 조정받침의 일측변에는 복수 개의 걸림홈이 균일하게 설치되며, 2개의 덮개판이 각각 상기 고정받침과 조정받침의 한 측 변에 덮혀 설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고정받침과 상기 조정받침의 걸림홈이 차폐 상태가 되어지며, 상기 2개의 축받침은 각각 상기 고정받침과 상기 조정받침의 외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2개의 머리기댐부는 각각 상기 2개의 축받침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2개의 머리기댐부는 상기 2개의 축받침에서 위로 혹은 아래로 회전 이동하며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2개의 머리기댐부 위치를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조정하여 더욱 편안하게 머리를 기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ADJUSTABLE HEAD CUSHION}
본 고안은 자신이 필요한 위치로 머리기댐부를 이동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정 가능한 머리 쿠션에 관한 것이다.
장거리 주행을 하는 경우, 사람은 매우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고속도로 휴게소에는 항상 많은 사람들로 북적이기 때문에 편안히 앉아서 쉴 수 있는 곳을 찾기가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오히려 차량이 심하게 막힐 경우, 차에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더욱 편안히 쉴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차량 내에서는 핸들에 엎드려 쉬던지 아니면 의자를 뒤로 젖혀 쉬던지 모두 편안 상태로 휴식이 가능하지만 실제로 의자에는 편안히 머리를 기댈 곳이 없는 상황이라 머리와 목 부위가 계속 흔들리게 된다. 만약 차 안에서 잠깐 잠이 들 경우, 머리가 기댈 곳이 없어서 차문이나 차창에 머리를 자주 부딪히게 되며 그 결과 잠에서 깼을 때, 허리와 등 그리고 목 부위기 쑤시고 온 몸이 불편해지는 역효과를 가져오기 쉽다.
본 고안이 주요 목적은 상술된 기존 구조가 가진 차량 내의 의자에서 휴식을 취할 때 머리 부위가 기댈 곳이 없어 흔들리며 목부와 머리 부위에 통증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인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은 고정받침과 조정받침, 2개의 축받침, 2개의 머리기댐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상기 고정받침은 상부고정받침과 하부고정받침이 서로 대응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고정받침 내의 일단부에는 2개의 고정돌출기둥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받침의 외부 일단에는 조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정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홈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정받침은 상부조정받침과 하부조정받침이 서로 대응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받침의 조정부는 상기 조정받침 내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하부조정받침 내의 일단부에는 2개의 고정돌출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조정받침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돌출기둥이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돌출기둥은 상기 고정받침의 조정부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홈 내로 관통되어 설치된다. 상기 하부조정받침의 상기 상부조정받침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돌출기둥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천공이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나사가 상기 하부조정받침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천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조정받침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돌출기둥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고정받침과 상기 조정받침의 일측변에는 복수 개의 걸림홈이 균일하게 설치되며, 2개의 덮개판이 각각 상기 고정받침과 조정받침의 한 측 변에 덮혀 설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고정받침과 상기 조정받침의 걸림홈이 차폐 상태가 되어진다.
또한, 상기 2개의 축받침은 각각 상기 고정받침과 조정받침의 외단부에 설치되며, 2개의 축받침의 서로 대응되는 외측면에는 각각 돌출체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체에는 위치고정탄력판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설치되고, 상기 축받침의 돌출체에는 지지축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축받침의 내측면에는 위치고정조각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고정조각에는 적어도 2개의 천공이 설치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천공 내에는 각각 나사가 관통 설치되며, 상기 나사는 각각 상기 하부고정받침과 상기 하부조정받침의 2개의 고정돌출기둥에 나사 고정된다.
또한, 상기 2개의 머리기댐부는 각각 2개의 축받침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머리기댐부의 일단에는 피봇연결부가 설치되며, 상기 피봇연결부의 내측면에는 수용실이 설치되고, 상기 수용실의 벽면에는 상기 축받침의 위치고정탄력판이 걸림 고정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위치고정걸림홈이 설치되며, 상기 피봇연결부의 외측면에는 층계형 천공이 설치되고 상기 층계형 천공은 상기 수용실과 서로 연결되어 통해 있으며, 상기 층계형 천공 내에는 나사고정부품이 괸통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나사고정부품은 상기 축받침의 지지축에 나사 고정된다.
본 고안인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은 그 중, 상기 고정받침의 상부고정받침 내에 복수 개의 삽입연결돌출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고정받침 내의 상부고정받침의 각 삽입연결돌출기둥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모두 위치고정삽입구멍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고정삽입구멍 내에는 나사가 관통 설치되며, 상기 나사는 상기 상부고정받침의 삽입연결돌출기둥에 나사 고정된다. 상기 상부고정받침은 상기 하부고정받침에 견고하게 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조정받침의 상부조정받침 내에는 복수 개의 삽입연결돌출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조정받침 내의 상기 상부조정받침의 각 삽입연결돌출기둥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모두 위치고정삽입구멍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고정삽입구멍 내에는 나사가 관통 설치되며, 상기 나사는 상기 상부조정받침의 삽입연결돌출기둥에 나사 고정되어, 상기 상부조정받침을 하부조정받침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인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은 그 중 상기 고정받침과 상기 조정받침의 중의 하나의 걸림홈 내에 각각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는 여러 종류의 사이즈로 설치가 될 수 있다.
본 고안인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은 그 중 상기 덮개판에 천공이 설치되고, 상기 천공 내에는 나사가 설치되며, 상기 나사는 상기 고정받침과 조정받침에 나사 고정되어 상기 덮개판을 상기 고정받침과 조정받침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인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은 그 중 상기 위치고정탄력판의 일단은 고정단이 되고 다른 일단은 걸림지지단이 되며, 상기 위치고정탄력판의 고정단은 상기 축받침의 돌출체의 삽입홈 내로 설치되며, 상기 위치고정탄력판의 걸림지지단은 상기 머리기댐부 중의 하나의 위치고정걸림홈 내에 걸림 연결되며, 이를 통해 상기 머리기댐부가 축받침에서 회전하며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위치 고정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인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은 그 중 2개의 머리기댐부의 층계형 천공에는 각각 마개체가 설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층계형 천공이 차폐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고안인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은 그 중 상기 머리기댐부의 외부에는 피복체가 피복되고, 상기 피복체는 연성재질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기댈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인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머리기댐부를 조정할 수 있으며, 즉 머리의 위치와 부합되는 가장 편한 위치로 쿠션을 조정하여 가장 편안한 상태로 머리를 지탱하여 편안히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와 가장 단시간에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입체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축받침과 머리기댐부의 입체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합해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입체조합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각도에서 본 입체조합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머리기댐부가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머리기댐부의 피봇연결부와 축받침의 조합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고정받침의 조정부를 조정받침 내부로 축소시켜 사용하는 상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고정받침의 조정부를 조정받침 외부로 뻗어나오게 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을 자동차용 의자의 고정식 머리쿠션에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을 자동차용 의자의 착탈식 머리쿠션에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을 휴식 위치까지 조정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을 사용하지 않을 때, 위로 조정하여 접어 놓아서 자동차 운전 시야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를 아래로 조정하여 어린아이가 기대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위치까지 조정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태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효과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와 도면을 통해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인 도 1, 도 2, 도 3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고안은 고정받침(10)과 조정받침(11)을 포함하고, 그 중 상기 고정받침(10)은 상부고정받침(100)과 하부고정받침(100’)이 서로 대응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부고정받침(100) 내에는 복수 개의 삽입연결돌출기둥(101)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고정받침(100’) 내의 상기 상부고정받침(100)의 각 삽입연결돌출기둥(101)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모두 위치고정삽입구멍(101’)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고정삽입구멍(101’) 내에는 나사(102)가 설치되며, 상기 나사(102)는 상기 상부고정받침(100)의 삽입연결돌출기둥(101)에 나사 고정된다. 상기 하부고정받침(100’) 내의 일단부에는 2개의 고정돌출기둥(103)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고정받침(100)과 상기 하부고정받침(100’)은 서로 대응 결합된 후의 고정받침(10) 외부의 일단에는 조정부(104)가 설치되며, 상기 조정부(104)에는 2개의 슬라이드홈(105)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받침(10)의 일측변에는 복수 개의 걸림홈(10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조정받침(11)은 상부조정받침(110)과 하부조정받침(110’)이 서로 대응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받침(10)의 조정부(104)는 상기 조정받침(11) 내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상부조정받침(110) 내에는 복수 개의 삽입연결돌출기둥(111)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조정받침(110’) 내의 상기 상부조정받침(110)의 각 삽입연결돌출기둥(11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모두 위치고정삽입구멍(111’)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삽입구멍(111’) 내에는 나사(112)가 관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나사(112)는 상기 상부조정받침(110)의 삽입연결돌출기둥(111)에 나사 고정된다. 상기 하부조정받침(110’) 내의 일단부에는 2개의 고정돌출기둥(113)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조정받침(110) 내의 상기 고정받침(10)의 2개의 슬라이드홈(105)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각각 위치고정돌출기둥(114)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조정받침(110’)의 상기 상부조정받침(110)의 위치고정돌출기둥(114)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각각 위치고정천공(115)이 설치되고, 하나의 나사(112)가 상기 위치고정천공(115)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조정받침(110)의 위치고정돌출기둥(114)에 나사 고정된다. 상기 조정받침(11)의 일측변에는 복수 개의 걸림홈(116)이 설치되고, 적어도 2개의 커버(12)가 각각 상기 고정받침(10)과 상기 조정받침(11)의 걸림홈(106, 116) 내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12)는 다양한 사이즈로 설치될 수 있다. 2개의 덮개판(13)은 각각 상기 고정받침(10)과 상기 조정받침(11)의 측변에 덮힘 상태로 설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고정받침(10)과 상기 조정받침(11) 측변의 걸림홈(106, 116)이 차폐 상태가 되어진다. 상기 덮개판(13)에 천공(130)이 설치되며,상기 천공(130) 내에 나사(131)가 설치되고, 상기 나사(131)는 상기 고정받침(10)과 조정받침(11)에 나사 고정된다. 또한, 2개의 축받침(2)은 각각 상기 고정받침(10)과 상기 조정받침(11)의 외단부에 설치되고, 2개 축받침(2)의 서로 대응되는 외측면에는 각각 돌출체(20)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체(20)에는 위치고정탄력판(21) 삽입 설치될 수 있는 삽입홈(22)이 설치된다. 상기 위치고정탄력판(21)의 일단은 고정단(210)으로 형성되며, 다른 일단은 걸림지지단(211)으로 형성된다.(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받침(2)의 돌출체(20)에는 지지축(23)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축받침(2)의 내측면에는 위치고정조각(24)이 돌출 설치된다. 상기 위치고정조각(24)에는 천공(25)이 설치되고, 상기 천공(25) 내에는 나사(26)가 관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나사(26)는 각각 상기 하부고정받침(100’)과 상기 하부조정받침(110’)의 2개의 고정돌출기둥(103, 113)에 나사 고정된다. 또한, 2개의 머리기댐부(3)는 각각 2개의 축받침(2)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머리기댐부(3)의 일단에는 피봇연결부(30)가 설치된다. 상기 피봇연결부(30)의 내측면에는 수용실(31)이 설치되고 상기 수용실(31)의 벽면에는 복 수개의 위치고정걸림홈(32)이 설치된다. 상기 피봇연결부(30)의 외측면에는 층계형 천공(33)이 설치되고, 상기 층계형 천공(33)는 상기 수용실(31)과 서로 관통되어 통해 있다. 또한, 나사고정부품(34)이 상기 층계형 천공(33) 내로 관통되어 상기 축받침(2)의 지지축(23)에 나사 고정된다. 마개체(35)는 상기 층계형 천공(33)에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고안인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 구조를 완성하게 된다.
본 고안인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을 조립하는 경우를 살펴보자면, 도1에서 도8까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축받침(2)의 위치고정조각(24)을 하부고정받침(100’)의 일단에 설치하여 축받침(2)의 위치고정조각(24)에 설치된 천공(25)이 하부고정받침(100’)의 고정돌출기둥(103)과 서로 대응되도록 하고, 이어서 나사(26)를 위치고정조각(24)의 천공(25)으로 관통 시켜 하부고정받침(100’)의 고정돌출기둥(103)에 나사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축받침(2)은 하부고정받침(100’)의 일단부에 고정 설치하고, 다시 상부고정받침(100)을 하부고정받침(100’)에 대응 연결하여 상부고정받침(100)의 삽입연결돌출기둥(101)이 하부고정받침(100’)의 위치고정삽입구멍(101’) 내에 삽입 연결되도록 하고, 이어서 나사(12)를 하부고정받침(100’)의 위치고정삽입구멍(101’)으로 관통 시켜 상부고정받침(100)의 삽입연결돌출기둥(101)에 나사 고정되도록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고정받침(100)과 하부고정받침(100’)이 고정받침(10)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축받침(2)의 위치고정조각(24)을 하부조정받침(110’)의 일단부에 설치하여 축받침(2)의 위치고정조각(24)의 천공(25)이 하부조정받침(110’)의 고정돌출기둥(113)과 서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이어서 나사(26)를 위치고정조각(24)의 천공(25)으로 관통 시켜 하부조정받침(110’)의 고정돌출기둥(113)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축받침(2)을 하부조정받침(110’)의 일단부에 설치하고, 상부조정받침(110)와 하부조정받침(110’)의 다른 일단부가 고정받침(10)의 조정부(104)에 인접하게 하여 상부조정받침(110)의 위치고정돌출기둥(114)을 고정받침(10)의 슬라이드홈(105) 으로 관통 시켜 하부조정받침(110’)의 위치고정천공(115)과 서로 대응되도록 하고, 이어서 나사(112)를 하부조정받침(110’)의 위치고정천공(115)으로 관통 시켜 상부조정받침(110)의 위치고정돌출기둥(114)에 나사 고정되도록 하며, 상부조정받침(110)을 하부조정받침(110’)과 서로 대응되도록 하고, 다시 상부조정받침(110)의 각 삽입연결돌출기둥(111)이 각각 하부조정받침(110’)의 각 위치고정삽입구멍(111’) 내로 삽입 연결되도록 하며, 또한, 나사(12)를 하부조정받침(110’)의 위치고정삽입구멍(111’) 내로 관통 시켜 상부조정받침(110)의 삽입연결돌출기둥(111)에 나사 고정되도록 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조정받침(110)과 하부조정받침(110’)이 조정받침(11)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받침(11)은 상기 고정받침(10)의 조정부(104)에 씌움 연결되며, 다시 2개의 덮개판(13)은 나사(131)를 통해 각각 고정받침(10)과 조정받침(11)의 측변에 나사 고정되며, 상기 덮개판(13)을 이용해 고정받침(10)과 조정받침(11) 측변의 복수 개의 걸림홈(106, 116)이 차폐 되어질 수 있다. 또한, 2개의 위치고정탄력판(21) 일단의 고정단(210)은 각각 2개의 축받침(2)의 돌출체(20)의 삽입홈(22) 내에 설치되며, 위치고정탄력판(21)의 일단부는 축받침(2)에 고정 설치되며, 다시 2개의 머리기댐부(3)의 피봇연결부(30)는 각각 2개의 축받침(2)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2개의 축받침(2)의 지지축(23)이 머리기댐부(3)의 층계형 천공(33)을 관통하게 되며, 그 결과 축받침(2)의 돌출체(20)가 머리기댐부(3)의 수용실(31) 내에 설치된다. 또한, 축받침(2)의 위치고정탄력판(21)에 삽입 설치된 걸림지지단(211)은 머리기댐부(3)의 수용실(31) 내에 설치된 위치고정걸림홈(32) 중 하나의 홈을 지지하는 형태가 된다.(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또한, 나사고정부품(34)을 머리기댐부(3)의 층계형 천공(33)으로 관통 시켜 축받침(2)의 지지축(23) 에 나사 고정되도록 하며, 머리기댐부(3)는 축받침(2)에 고정 설치되며, 다시 2개의 마개체(35)를 각각 2개의 머리기댐부(3)의 층계형 천공(33) 내에 끼워 설치하며, 이를 통해 층계형 천공(33)가 차폐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머리기댐부(3)의 외부에는 피복체(4)가 피복되며(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피복체(4)는 연성재질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기댈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인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을 사용하는 경우를 살펴보자면, 도6에서 도14까지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을 자동차용 의자(A)의 머리쿠션(A1)에 조립 설치하고, 만약 의자(A)의 머리쿠션(A1)이 의자(A)에서 분해되지 않을 경우(도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선 2개의 덮개판(13)을 고정받침(10)과 조정받침(11)에서 분해한 후, 고정받침(10)과 조정받침(11)의 걸림홈(106, 116)이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며, 이를 통해 고정받침(10)과 조정받침(11)이 의자(A)의 머리쿠션(A1)의 지지막대(A2)에 의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조정받침(11)은 고정받침(10)에서 안으로 혹은 밖으로 이동하여 조정할 수 있게 있게 되고(도8, 도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또한, 조정받침(11)과 고정받침(10)을 조정할 때 조정받침(11)의 위치고정돌출기둥(114)이 고정받침(10)의 슬라이드홈(105) 내에 삽입되어 위치 고정을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고정받침(10)의 조정부(104)는 조정으로 인해 가압되는 힘의 크기가 과도하게 커서 조정받침(11) 내에서 벗어다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받침(10)과 조정받침(11) 사이의 걸림홈(106, 116) 위치가 머리쿠션(A1)의 2개의 지지막대(A2) 위치와 서로 대응될 때, 머리쿠션(A1)의 2개의 지지막대(A2)가 각각 고정받침(10)과 조정받침(11) 중의 걸림홈(106, 116) 내로 삽입 설치되고, 다시 2개의 덮개판(13)을 나사(131)를 이용해 각각 고 정받침(10)과 조정받침(11)에 나사 고정시키며, 다히 고정받침(10)과 조정받침(11)의 걸림홈(106, 116)을 차폐 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고정받침(10)과 조정받침(11)이 의자(A)와 머리쿠션(A1)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그 결과 서로 다른 의자(A)의 머리쿠션(A)의 지지막대(A2) 직경이 약간씩 달라지게 된다. 만약 지지막대(A2) 직경이 비교적 작을 경우, 상기 고정받침(10)과 조정받침(11)을 지지막대(A2)에 조립 설치할 때 지지막대(A2)가 걸림홈(106, 116) 내에 안정적으로 걸림 결합되지 못해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로 인해 걸림홈(106, 116) 내에 지지막대(A2) 직경과 서로 매치되는 커버(12)를 이용해 걸림홈(106, 116)의 홈 직경을 채워 넣고 더 나아가 지지막대(A2)를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 시킴으로써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의자(A)의 머리쿠션(A1)을 의자(A)에서 아래로 꺽어 내릴 경우(도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선 머리쿠션(A1)을 의자(A)에서 분해하고, 다시 본 고안인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의 고정받침(10)과 조정받침(11)을 직접 의자(A)에 덮어 설치함으로써 고정받침(10)과 조정받침(11)의 걸림홈(106, 116)이 각각 의자(A)의 머리쿠션(A1)의 지지막대(A2) 삽입구멍(도면 중에는 미표시)에 삽입 설치되며, 다시 머리쿠션(A1)의 2개의 지지막대(A2)가 각각 고정받침(10)과 조정받침(11)의 걸림홈(106, 116) 내로 삽입 설치되며, 다시 의자(A)의 2개의 삽입구멍 내로 삽입되어 들어간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인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을 의자(A)에 고정설치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쿠션에 머리를 기대 쉬고 싶을 때에는 본 고안의 2개의 머리기댐부(3)를 앞으로 회전 이동시켜 사용자가 머리를 기댈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된다.(도1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때 2개의 머리기댐부(3)가 2개의 축받침(2)에서 회전 이동할 때, 축받침(2)의 돌출체(20)에 설치된 위치고정탄력판(21)의 걸림지지단(211)이 탄력에 의해 머리기댐부(3)의 수용실(31) 내의 위치고정걸림홈(32) 내(도 6, 도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로 들어가고, 이를 통해 머리기댐부(3)에게 안정적으로 탄력성을 갖춘 위치 고정 효과를 제공해 준다. 또한,, 본 고안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다시 2개의 머리기댐부(3)를 의자(A)의 머리쿠션(A1) 양측까지 위로 회전 이동시켜(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2개의 머리기댐부(3)가 사용자의 양측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만약 어린이에게 본 고안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2개의 머리기댐부(3)를 어린이의 머리부 위치의 양측까지 아래로 회전 이동시켜(도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린이가 머리를 기대고 잠을 잘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즉 본 고안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2개의 머리기댐부(3)를 사용자의 머리 부위의 가장 편안한 위치까지 위치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장 편안한 상태에서 잠을 잘 수 있도록 하여 짧은 시간에 충분한 취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내용은 또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결코 이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신청범위 내에서 가한 어떠한 첨가나 수정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고정받침
100 상부고정받침
100’하부고정받침
101 삽입연결돌출기둥
101’위치고정삽입구멍
102 나사
103 고정돌출기둥
104 조정부
105 슬라이드홈
106 걸림홈
11 조정받침
110 상부조정받침
110’하부조정받침
111 삽입연결돌출기둥
111’위치고정삽입구멍
112 나사
113 고정돌출기둥
114 위치고정돌출기둥
115 위치고정천공
116 걸림홈
12 커버
13 덮개판
130 천공
131 나사
2 축받침
20 돌출체
21 위치고정탄력판
210 고정단
211 걸림지지단
22 삽입홈
23 지지축
24 위치고정조각
25 천공
26 나사
3 머리기댐부
30 피봇연결부
31 수용실
32 위치고정걸림홈
33 층계형 천공
34 나사고정부품
35 마개체
4 피복체
A 의자
A1 머리쿠션
A2 지지막대

Claims (7)

  1. 본 고안인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은 고정받침과 조정받침, 2개의 축받침, 2개의 머리기댐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상기 고정받침은 상부고정받침과 하부고정받침이 서로 대응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부고정받침 내의 일단부에는 2개의 고정돌출기둥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받침의 외부 일단에는 조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정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홈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조정받침은 상부조정받침과 하부조정받침이 서로 대응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고정받침의 조정부는 상기 조정받침 내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하부조정받침 내의 일단부에는 2개의 고정돌출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조정받침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돌출기둥이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돌출기둥은 상기 고정받침의 조정부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드홈 내로 관통되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조정받침의 상기 상부조정받침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돌출기둥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천공이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나사가 상기 하부조정받침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천공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조정받침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고정돌출기둥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고정받침과 상기 조정받침의 일측변에는 복수 개의 걸림홈이 균일하게 설치되고, 2개의 덮개판이 각각 상기 고정받침과 조정받침의 한 측 변에 덮혀 설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고정받침과 상기 조정받침의 걸림홈이 차폐 상태가 되어지며,
    또한, 상기2개의 축받침은 각각 상기 고정받침과 조정받침의 외단부에 설치되며, 2개의 축받침의 서로 대응되는 외측면에는 각각 돌출체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체에는 위치고정탄력판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설치되고, 상기 축받침의 돌출체에는 지지축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축받침의 내측면에는 위치고정조각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고정조각에는 적어도 2개의 천공이 설치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천공 내에는 각각 나사가 관통 설치되며, 상기 나사는 각각 상기 하부고정받침과 상기 하부조정받침의 2개의 고정돌출기둥에 나사 고정되며,
    또한, 상기 2개의 머리기댐부는 각각 2개의 축받침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머리기댐부의 일단에는 피봇연결부가 설치되며, 상기 피봇연결부의 내측면에는 수용실이 설치되고, 상기 수용실의 벽면에는 상기 축받침의 위치고정탄력판이 걸림 고정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위치고정걸림홈이 설치되며, 상기 피봇연결부의 외측면에는 층계형 천공이 설치되고, 상기 층계형 천공은 상기 수용실과 서로 연결되어 통해 있으며, 상기 층계형 천공 내에는 나사고정부품이 관통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나사고정부품은 상기 축받침의 지지축에 나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받침의 상부고정받침 내에 복수 개의 삽입연결돌출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고정받침 내의 상부고정받침의 각 삽입연결돌출기둥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모두 위치고정삽입구멍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고정삽입구멍 내에는 나사가 관통 설치되며, 상기 나사는 상기 상부고정받침의 삽입연결돌출기둥에 나사 고정되고, 상기 상부고정받침은 상기 하부고정받침에 견고하게 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조정받침의 상부조정받침 내에는 복수 개의 삽입연결돌출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조정받침 내의 상기 상부조정받침의 각 삽입연결돌출기둥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모두 위치고정삽입구멍이 설치되며, 상기 위치고정삽입구멍 내에는 나사가 관통 설치되며, 상기 나사는 상기 상부조정받침의 삽입연결돌출기둥에 나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받침과 상기 조정받침 중의 하나의 걸림홈 내에 각각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에 천공이 설치되고, 상기 천공 내에는 나사가 설치되며, 상기 나사는 상기 고정받침과 조정받침에 나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탄력판의 일단은 고정단이 되고 다른 일단은 걸림지지단이 되며, 상기 위치고정탄력판의 고정단은 상기 축받침의 돌출체의 삽입홈 내로 설치되며, 상기 위치고정탄력판의 걸림지지단은 상기 머리기댐부 중의 하나의 위치고정걸림홈 내에 걸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머리기댐부의 층계형 천공에는 각각 마개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기댐부의 외부에는 피복체가 피복되고, 상기 피복체는 연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
KR2020160000231U 2015-05-22 2016-01-15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 KR20048453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4207956U TWM506059U (zh) 2015-05-22 2015-05-22 調整型頭靠枕
TW104207956 2015-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112U KR20160004112U (ko) 2016-11-30
KR200484537Y1 true KR200484537Y1 (ko) 2017-10-10

Family

ID=5433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231U KR200484537Y1 (ko) 2015-05-22 2016-01-15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4537Y1 (ko)
TW (1) TWM50605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2772B (en) * 2016-07-11 2021-03-24 Scott Macliver Kevin Sea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8272A (ja) 2002-11-22 2004-06-17 Aron Kasei Co Ltd サイドサポート部材
JP2005040509A (ja) 2003-07-25 2005-02-17 Aron Kasei Co Ltd サイドサポート部材
US20130187428A1 (en) 2012-01-10 2013-07-25 Alan A. Albino Portable and adjustable head and neck rest
US20150145307A1 (en) 2012-06-11 2015-05-28 Cardiff Products Seat Headres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8272A (ja) 2002-11-22 2004-06-17 Aron Kasei Co Ltd サイドサポート部材
JP2005040509A (ja) 2003-07-25 2005-02-17 Aron Kasei Co Ltd サイドサポート部材
US20130187428A1 (en) 2012-01-10 2013-07-25 Alan A. Albino Portable and adjustable head and neck rest
US20150145307A1 (en) 2012-06-11 2015-05-28 Cardiff Products Seat Head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112U (ko) 2016-11-30
TWM506059U (zh) 201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4802B2 (en) Resting apparatus
KR100987961B1 (ko) 머리받침구가 구비된 의자
US7118080B2 (en) Multi-functional adjustable computer support stand
US7669934B1 (en) Adjustable leg rest
US11480292B2 (en) Tablet PC and smartphone mount
KR100796244B1 (ko) 베개용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84537Y1 (ko) 조정 가능한 머리쿠션
KR20160096358A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KR100828405B1 (ko) 높낮이 조절핀이 내장된 의자
KR20070029226A (ko) 개량형 수강 의자
KR200472790Y1 (ko)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KR200304617Y1 (ko)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장치
KR200365382Y1 (ko) 학생용 책걸상의 간격조정장치
KR200426287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KR200395914Y1 (ko) 자세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413853Y1 (ko) 수강용 책상
JP6448126B2 (ja) 椅子
KR101811021B1 (ko) 머리 받침대
KR20130113143A (ko) 의자의 좌판 각도 조절장치
KR200390057Y1 (ko) 머리받침대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485428Y1 (ko)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가변형 가구 조립체
JP3138017U (ja) 椅子調整装置
KR102273164B1 (ko) 높이 조절기능을 가지는 베개
JP3116034U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用腕載せ台
KR200319377Y1 (ko) 책상 및 의자의 높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