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358A -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 Google Patents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358A
KR20160096358A KR1020150017884A KR20150017884A KR20160096358A KR 20160096358 A KR20160096358 A KR 20160096358A KR 1020150017884 A KR1020150017884 A KR 1020150017884A KR 20150017884 A KR20150017884 A KR 20150017884A KR 20160096358 A KR20160096358 A KR 20160096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chair
plate
suppor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성
Original Assignee
황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성 filed Critical 황인성
Priority to KR1020150017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6358A/ko
Priority to PCT/KR2015/002466 priority patent/WO2015141996A1/ko
Publication of KR2016009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4Tables convertible into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02Adjustable fo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47B41/02Adjustable, inclinable, sliding or foldable desks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freely-rota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4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located on side of seat, e.g. on arm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5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detachable type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는 등받이, 제1 및 제2 팔걸이판, 책상판, 좌판 및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책상판은 상기 다리의 일측면에 고정된 지지축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책상판의 회전에 따라 책상으로 전환된다.

Description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APPRUTUS SWITCHABLE DESK AND CHAIR}
본 발명은 의자의 기능과 책상의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한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과 의자는 분리되어 사용된다. 책상과 의자가 일체화된 가구도 있으며, 이러한 예로는 학교 강의실 의자와 일측에 책자 등을 놓을 수 있는 판을 설치하여 간이 책상으로 사용하거나 책상을 좌우로 분할하여 한쪽을 회전 링크에 의해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책상 겸용 의자로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간이 책상은 착탈방식으로 분리 및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분리된 책상을 항상 의자 근처에 놓아두어야 하고, 책상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분리된 책상을 항상 착탈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업종, 직종과 상관없이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직업병을 하나쯤 가지고 있는데, 그 중 공통적인 직업병으로 손꼽히는 질병이 거북목 증후군이다. 이러한 거북목 증후군은 바르지 못한 자세로 컴퓨터 앞에 앉아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많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고개를 숙인 자세로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거북목 증후군으로 의심되는 목 통증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의자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하면서 동시에 거북목 증후군을 방지할 수 있는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책상 또는 의자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하면서 동시에 거북목 증후군을 방지할 수 있는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는 등받이, 제1 및 제2 팔걸이판, 책상판, 좌판 및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책상판은 상기 다리의 일측면에 고정된 지지축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책상판의 회전에 따라 책상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는 의자, 책상 겸 의자, 책받침 겸 의자로 활용이 가능하고, 책상 사용시 또는 의자 사용시 등받이 등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책상판의 회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책상 겸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는 책상판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책상판을 회전하여 좀 더 편리하게 일어서거나 출입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는 책상판의 회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등을 사용할 시 고개를 숙이지 않고 편안한 자세가 가능하여 거북목 증후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의 책상판이 수평 위치로 전환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수평 위치의 책상판이 지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된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가 책상으로 전환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의 책상판을 경사지도록 회전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에서 등을 기대는 정도에 따라 등받이의 각도가 변경되는 상태의 사시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책상판에 고정홀이 형성된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책상판의 수직 회전, 수평 회전 및 높낮이 조절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책상판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지지축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들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를 일측 또는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탱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의 책상판이 수평 위치로 전환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평 위치의 책상판이 지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된 사시도들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가 책상으로 전환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의 책상판을 경사지도록 회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또는 가구, 이하 "전환가구"라고 함)(10)는 의자 형태를 가지며, 등받이(11), 좌우 팔걸이가 되는 제1 및 제2 팔걸이(12, 13), 책상판(14), 앉는 부분인 좌판(15), 다리(16), 고정축(1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환가구(10)는 나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등받이(11)는 일반적으로 판의 형태로 형성되고, 등을 기댈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등받이(11)는 하단이 척추 4, 5번 뼈가 위치할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적합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받이(11)는 제1 및 제2 팔걸이(12, 13)를 서로 연결하는 등받이 프레임(20)과 한 쌍의 경첩(21)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전환가구(10)에 앉아 등받이(11)에 등을 기댈 경우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팔걸이(12, 13)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양쪽 팔을 놓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팔걸이(12)에는 회전이 가능한 책상판(14)이 위치하여 각도 변경 및 회전에 따라 전환가구(10)가 도 1과 같이 의자, 도 6과 같이 책상 겸용 의자, 도 7과 같이 책받침 겸용 의자로 전환되어 하나의 의자로 책상과 책받침을 겸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책상판(14)은 일반적으로 판의 형태로 형성되되, 책, 키보드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판(22)과 각도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책 등을 올려 놓으면 책이 걸쳐지도록 하단에 받침돌기(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책상판(14)은 판(22)과 받침돌기(23) 사이에 지지수평관(32)이 통과하도록 받침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27)는 받침돌기(23)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수평관(32)과 받침돌기(23)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책상판(14)은 휴대폰, 타블렛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지지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홀(24)을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너트(34)를 푼 상태에서 지지수평관(32)을 기준으로 도 3와 같이 책상판(14)을 상측 방향으로 올리고, 도 4 및 도 5와 같이 수평 상태에서 지지축(30)을 기준으로 책상판(14)을 제2 팔걸이(13) 방향으로 회전한 후 도 6과 같이 지지수평관(32)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올리고, 도 7과 같이 책상판(14)의 각도를 조정하여 고정너트(34)를 돌려서 고정하면 책상 겸용 의자 또는 책받침 겸용 의자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지지수평관(32)의 내부에는 고정볼트(35)가 관통 삽입되어 고정볼트 헤드면(35a)이 책상판(14)과 받침부(27)의 일측면에 맞닿고, 지지수평관(32)의 고정플레이트(32a)가 타측면에 맞닿아 고정너트(34)의 조임 동작에 따라 책상판(14)이 소정 각도로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 조절에 따라 도 6와 같은 책상판(14)의 각도를 유지하는 경우 전환가구(10)는 책상의 용도를 가질 수 있고, 도 7과 같이 책상판(14)을 상측 방향으로 더 올린 각도를 유지하는 경우 전환가구(10)는 책상의 용도이면서 책을 올려놓고 독서 등을 할 수 있는 책받침의 용도를 가질 수 있다.
좌판(15)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크기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다리(16)에 의해서 지지된다.
고정축(17)은 지지수직관(31)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팔걸이(12)와 연결된 다리(16)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고정축(17)의 형태는 직사각형 또는 원통형이 될 수 있으며, 지지수직관(31)이 삽입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축(17)은 지지수직관(31)이 삽입되어 지지수직관(31)의 수평 회전 및 높낮이 조절에 의해 사용자가 가장 책 읽기 편한 자세로 책상판(14)의 회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에서 등을 기대는 정도에 따라 등받이의 각도가 변경되는 상태의 사시도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환가구(10)에 앉아 등을 등받이(11)에 기대는 경우 사용자가 등받이(11)에 등을 기대는 힘의 정도에 따라 등받이(11)와 등받이 프레임(20)을 연결하는 경첩(21)에 의해 등받이(11)의 각도가 사용자가 등받이(11)에 등을 기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데 기울어진 각도만큼 허리를 지지해주는 힘이 강해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좀 더 편안하게 등받이에 등을 기댈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자세 조건을 갖출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책상판에 고정홀이 형성된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책상판(14)은 휴대폰, 타블렛 등을 올려놓기 위한 지지부재(25)를 결합할 수 있는 고정 홀(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홀(24)은 책상판(14)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책상판(14)의 중앙 이외에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5)는 ??자 형상이나 ??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정 홀(24)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25a)가 고정 홀(24)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5)의 형상은 휴대폰, 타블렛 등을 올려놓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지부재(25)의 고정돌기(25a)를 책상판(14)의 고정 홀(24)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고, 고정돌기(25a)를 고정 홀(24)에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폰, 타블렛 등을 책상판(14)에 올려놓고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이용하더라도 몸의 피로를 덜 수 있고, 휴대폰, 타블렛 등과 책 등을 함께 책상판(14)에 올려놓을 수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책상판의 수직 회전, 수평 회전 및 높낮이 조절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책상판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지지축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환가구(10)의 책상판(14)은 판(22), 받침돌기(23), 받침부(27), 지지수직관(31)과 지지수평관(32)이 결합된 지지축(30), 지지수평관(32)에 위치한 고정플레이트(32a), 고정너트(34), 고정볼트(35), 스프링(36)을 포함하여 수직, 수평 방향의 회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판(22)의 하단에는 받침돌기(23)가 형성되어 지지수평관(51)이 놓이고, 받침부(27)가 지지수평관(32)과 받침돌기(23)를 함께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수평관(32) 일측으로는 이와 결합된 지지수직관(31)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이러한 지지수직관(31)이 고정축(17)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지지수직관(31)에는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을 위한 홀(31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수직관(31)을 길이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키면서 고정축(17) 내부에 형성된 돌기(19)가 홀(31a)에 삽입됨에 따라 지지수직관(31)의 높낮이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고정축(17)은 지지수직관(31)이 수직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삽입홀(18)이 형성되고, 삽입홀(18) 내주면 상에 돌기(19)와 돌기(19)가 삽입되는 돌기홀(17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이러한 돌기(19)의 내부에는 돌기스프링(19b)이 배치되어 지지수직관(31)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기(19)의 일측에 지지수직관(31)의 외주면(31b)이 위치하면 돌기스프링(19a)의 탄성력에 의해서 돌기(19)가 돌기홀(17a) 내부로 이동하고, 돌기(19)의 일측에 지지수직관(31)의 홀(31a)이 위치하면 돌기(19)가 복귀하여 홀(31a)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수평관(32) 내측으로는 고정볼트(35)가 삽입되고, 지지수평관(32)과 고정볼트(35) 사이에는 스프링(36)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볼트(35)와 스프링(36)은 지지수직관(31)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노출되고, 고정볼트(35)가 노출된 부분에는 고정너트(34)가 끼워진다. 이때, 스프링(36)은 고정너트(34)가 끼워짐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수축하면서 지지수평관(32)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너트(34)가 끼워짐에 따라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서 고정볼트 헤드면(35a)이 책상판(14)과 받침부(27)의 일측면에 맞닿고, 지지수평관(32)의 고정플레이트(32a)가 타측면에 맞닿아 고정될 수 있다.
지지수평관(32)을 기준으로 책상판(14)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해 고정너트(34)를 푼 상태에서 책상판(14)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그 위치에서 고정볼트 헤드면(35a)과 고정플레이트(32a)를 매개로 고정너트(34)를 조이면 책상판(14)이 소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지지수직관(31)을 기준으로 책상판(14)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팔걸이(12)에 위치한 책상판(14)을 제2 팔걸이(13)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지지수직관(31)이 회전하면서 홀(31a)이 돌기(19)가 위치한 방향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지지수직관(31)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지수직관(31)의 홀(31a)이 돌기(19)의 일측에 위치하면 돌기스프링(19a)의 탄성력에 의해서 돌기(19)가 홀(31a)에 삽입되면서 지지수직관(31)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를 일측 또는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14 및 도 15에 따르면 전환가구(10)는 상기에서 제1 실시예를 설명한 바와 같은 의자 형태를 가지며, 등받이(11), 좌우 팔걸이가 되는 제1 및 제2 팔걸이(12, 13), 책상판(14), 앉는 부분인 좌판(15), 다리(16), 고정축(1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환가구(1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 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되, 전환가구(10)는 제1 및 제2 팔걸이(12, 13)가 길이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팔걸이(12, 13)의 하단에는 제1 및 제2 팔걸이(12, 13)가 전후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전후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팔걸이 프레임(3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팔걸이(12, 13) 중 적어도 하나가 전후 슬라이딩됨에 따라 책상판(14)도 함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책상판과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책, 스마트폰 등을 좀 더 편안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제2 팔걸이(13)의 옆면에는 책 등을 수납 또는 보관할 수 있는 직사각통 형태의 수납부(13a)가 형성될 수 있고, 다리(16)의 하단부에는 전환가구(10)가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16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13a)는 제2 팔걸이(13)뿐만 아니라 제1 팔걸이(12)나 전환가구(10)의 어느 곳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축(17)은 지지수직관(31)이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팔걸이(12)와 연결된 다리(16)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축(17)은 지지수직관(31)이 삽입되어 지지수직관(31)의 수평 회전 및 높낮이 조절에 의해 책상판(14)의 회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고정축(17)에는 책상판(14)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지지수직관(31)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너트와 고정너트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축(17)에 형성된 고정너트를 푼 상태에서 지지수직관(31)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고정너트를 다시 관통홀에 삽입하여 조여주면 책상판(14)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환가구(10)는 의자, 책상 겸 의자, 책받침 겸 의자로 활용이 가능하고, 책상 사용시 또는 의자 사용시 등받이 등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책상판의 회전 및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책상 겸용 의자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4각 형태의 의자를 예시로서 설명하였지만, 원형 형태의 다리 구조 의자, 캐스터가 장착된 의자 및 다양한 형태의 의자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환가구 11: 등받이
12: 제1 팔걸이 13: 제2 팔걸이
14: 책상판 15: 좌판
16: 다리 17: 고정축

Claims (8)

  1. 등받이, 제1 및 제2 팔걸이판, 책상판, 좌판 및 다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책상판은 상기 다리의 일측면에 고정된 지지축을 기준으로 수직 및 수평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책상판의 회전에 따라 책상으로 전환되는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수평방향으로 지지수평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수평관의 일단부에 직각방향으로 지지수직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수평관이 상기 지지수직관을 기준으로 수평 회전되는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판은 판과, 상기 판의 하단에 받침돌기와, 상기 판과 상기 받침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수평관과, 상기 지지수평관과 상기 받침돌기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지지수평관 내부를 관통하여 일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일측에 끼워지는 고정너트로 이루어지는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판의 수직 회전에 의해서 상기 책상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판의 수평 회전에 의해서 상기 책상판의 상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팔걸이판 중 적어도 하나의 전후 슬라이딩에 의해서 상기 책상판이 전후 슬라이딩되는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팔걸이 중 적어도 하나의 옆면에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되는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KR1020150017884A 2014-03-17 2015-02-05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KR20160096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884A KR20160096358A (ko) 2015-02-05 2015-02-05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PCT/KR2015/002466 WO2015141996A1 (ko) 2014-03-17 2015-03-13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884A KR20160096358A (ko) 2015-02-05 2015-02-05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358A true KR20160096358A (ko) 2016-08-16

Family

ID=5685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884A KR20160096358A (ko) 2014-03-17 2015-02-05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63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92A (ko) 2016-12-02 2018-06-12 김다정 책상과 의자를 주용도로 하는 복합가구
CN109452790A (zh) * 2018-11-20 2019-03-12 河海大学 一种多功能会议桌椅
CN111038540A (zh) * 2019-12-17 2020-04-21 天津大学 一种可改变朝向的座椅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92A (ko) 2016-12-02 2018-06-12 김다정 책상과 의자를 주용도로 하는 복합가구
CN109452790A (zh) * 2018-11-20 2019-03-12 河海大学 一种多功能会议桌椅
CN111038540A (zh) * 2019-12-17 2020-04-21 天津大学 一种可改变朝向的座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9364093B2 (en) Chair riser assembly
EP2465376B1 (en) Table and chair for bionics correcting posture
US20070029850A1 (en) Breastfeeding chair
WO2015141996A1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KR20160096358A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KR20210032708A (ko) 낚시대 받침틀 파지기능을 구비한 전폭 조절식 좌대받침틀
KR101495603B1 (ko) 자세 교정용 의자
US20130069404A1 (en) Width-adjustable chair
KR200340269Y1 (ko) 학생용 의자의 틸팅 구조
KR101052551B1 (ko) 의자
KR20150108091A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KR20070029226A (ko) 개량형 수강 의자
KR20200104185A (ko) 사물함이 구비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책상
KR200365382Y1 (ko) 학생용 책걸상의 간격조정장치
KR101582228B1 (ko) 의자 조립체
CN208624972U (zh) 一种多部位调节的办公椅
KR20110135081A (ko) 다기능 낚시의자
KR20180010911A (ko) 각도 조정이 가능한 슬라이드식 넓이,높이 조절 좌식 책상
KR20120120605A (ko) 거리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책걸상
KR20110067613A (ko) 상체 운동기능을 가지는 의자
CA2430396A1 (en) Chair and work surface system
KR200487817Y1 (ko) 독서대
KR200489055Y1 (ko) 기능성 의자
RU170587U1 (ru) Кресл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84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221

Effective date: 2018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