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055Y1 - 기능성 의자 - Google Patents

기능성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055Y1
KR200489055Y1 KR2020170004397U KR20170004397U KR200489055Y1 KR 200489055 Y1 KR200489055 Y1 KR 200489055Y1 KR 2020170004397 U KR2020170004397 U KR 2020170004397U KR 20170004397 U KR20170004397 U KR 20170004397U KR 200489055 Y1 KR200489055 Y1 KR 200489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plate
seat
suppor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532U (ko
Inventor
김세준
Original Assignee
김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준 filed Critical 김세준
Priority to KR2020170004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055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5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0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7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collapsi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의자가 개시된다. 개시된 의자는, 좌판과, 등판을 구비하는 의자로서, 등판은, 좌판에 고정되는 고정 등판과, 고정 등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등판을 구비하고, 회동 등판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의자는, 장시간 앉아 학습 또는 업무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허리의 피로감 등을 다양한 자세나 동작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학습 또는 업무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의자{FUNCTIONAL CHAIR}
본 개시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람이 앉는데 사용하는 기구이다. 의자는 사용자의 안락과 편리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는 사용자가 앉는다는 것에만 초점을 맞춰 개발되어 왔기 때문에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음으로써 발생하는 허리의 피로감과 이로 인한 집중력 저하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자세로 사용 가능한 기능성 의자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의자는, 좌판과, 등판을 구비하는 의자로서, 등판은, 좌판에 고정되는 고정 등판과, 고정 등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등판을 구비하고, 회동 등판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도 조절 수단은, 소정 길이를 갖는 지지대와, 회동 등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지지대가 회동 등판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고정 등판의 측면에 제1 결합부와 대응되게 구비되어 지지대가 고정 등판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회동 등판의 정면에 구비되어 지지대가 회동 등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3 결합부 및, 고정 등판의 정면에 구비되어 지지대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하고, 지지대는, 길이 방향 양측이 각각 제1 및 제2 결합부에 결합되어 회동 등판을 좌판에 대하여 수직한 제1 회동 각도로 지지하거나, 길이방향 일단이 제3 결합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좌판에 지지됨에 따라 회동 등판을 좌판에 대하여 평행한 제2 회동 각도로 지지하거나, 길이방향 일단이 제4 결합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회동 등판을 지지함에 따라 회동 등판을 제1 및 제2 회동 각도 사이의 경사진 제3 회동 각도로 지지한다.
또한, 회동 등판은, 책을 고정하기 위한 책 받침대와, 책 받침대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한 쿠션부재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책 받침대는, 회동 등판 내부에 삽입되거나 인출 가능하고, 인출된 상태에서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고정 등판은, 사용자가 잡고 팔굽혀 펴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를 더 구비한다.
또한, 좌판은, 상면 중심부에 사람의 엉덩이 부분과 대응하는 둔부 안착홈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의하면, 장시간 앉아 학습 또는 업무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허리의 피로감을 다양한 자세로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학습 또는 업무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요부를 보인 Ⅲ-Ⅲ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채용된 책 받침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채용된 책 받침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요부를 보인 Ⅵ-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요부를 보인 Ⅶ-Ⅶ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다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나, 이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예의 의자(100)는, 좌판(110)과, 좌판(110)에 결합되는 고정 등판(120)과, 고정 등판(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등판(130)과, 회동 등판(130)에 구비되는 책 받침대(140)와 회동 등판(13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수단(150)을 포함한다.
좌판(110)은 사용자가 걸터앉을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구비된다. 좌판(110)은 수평하게 배치되어 길이 방향이 X축 방향과 대응하고, 폭 방향이 Y축 방향과 대응하며, 두께 방향이 Z축 방향과 대응한다. 좌판(110)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과 접촉하는 상면(Z축 방향 일면)에 둔부 안착홈(111)을 구비하고, 하측(Z축 방향 타측)에 지지다리(112)를 구비한다. 둔부 안착홈(111)은 사람의 엉덩이 부분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홈으로서 좌판(110)의 후방측(X축 방향 일측) 상면 중심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둔부 안착홈(111)은 좌판(11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일부와 밀착하여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지지다리(112)는 좌판(110)을 소정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지지다리(112)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마련되고 네 개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다리(112)는 필요에 따라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길이 조절 가능한 지지다리(도시하지 않음)는 외관(도시하지 않음)의 내측에 외관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한 내관(도시하지 않음)을 삽입하고 외관에 대하여 내관을 선택적으로 고정함으로써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된 지지다리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길이 조절 가능한 지지다리는 종래 다양한 형태로 안출되어 흔히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 등판(120)은 좌판(110)에 앉은 사용자가 등 부분을 기댈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고정 등판(12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구비된다. 고정 등판(120)은 좌판(110)의 상측면 후방측에 길이 방향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고정 등판(120)은 길이 방향이 Z축 방향과 대응하고, 폭 방향이 Y축 방향과 대응하며, 두께 방향이 X축 방향과 대응한다. 즉, 고정 등판(120)은 좌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진 형태로 구비된다. 고정 등판(120)은 폭 방향 양측면에 각각 손잡이(121)를 구비한다. 손잡이(121)는 사용자가 잡고 팔굽혀펴기 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고정 등판(120)은 좌판(110)과 일체로 구비되거나,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동 등판(13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구비된다. 회동 등판(130)은 길이 방향 일단이 제1 회동축(131)을 통해 고정 등판(120)의 길이 방향 타단에 축 결합됨에 따라 회동 가능하다. 제1 회동축(131)의 길이방향은 Y축 방향과 대응한다. 이에 따라 회동 등판(130)은 Y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은 회동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회동 등판(130)은 길이 방향 타단 중심에 회동 등판(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용홈(132)을 구비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요부를 보인 Ⅲ-Ⅲ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채용된 책 받침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채용된 책 받침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책 받침대(140)는 전면에 책을 올려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책 받침대(140)는 수용홈(132)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직선 이동 위치에 따라 회동 등판(130)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회동 등판(130)의 외부로 인출된다. 책 받침대(140)는 수용홈(132) 내부에 삽입되어 수용홈(132)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바아(141)와, 슬라이딩 바아(141)에 결합되는 제2 회동축(142)과, 길이방향 일단이 제2 회동축(142)에 결합되어 제2 회동축(14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책 받침대 본체(143)와, 제2 회동축(142)에 결합되어 책 받침대 본체(143)가 제2 회동축(142)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 불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스토퍼(144)와, 회동축(142)에 결합되어 책 받침대 본체(142)의 회동 각도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45) 및 책 받침대 본체(143)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한 쿠션부재(146)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바아(141)는 수용홈(132)에 삽입됨에 따라 외측면 일부가 수용홈(132)의 내측면과 면접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바아(141)는 수용홈(132)과의 마찰력을 통해 직선 이동 위치가 고정되고 이러한 마찰력보다 큰 힘이 전달될 경우 수용홈(132)을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 제2 회동축(142)은 슬라이딩 바아(141)의 상측에 결합되어 Y축 방향과 대응하는 길이 방향을 가진다. 책 받침대 본체(143)는 길이 방향 일단이 제2 회동축(142)을 통해 슬라이딩 바아(141)에 축 결합되어 제2 회동축(14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책 받침대 본체(143)는 전면 일측에 고정쇠(143a)를 구비한다. 고정쇠(143a)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펼쳐진 책이나 공책의 양쪽 책장을 각각 고정할 수 있도록 상호 이격 배치된다. 책 받침대 본체(143)는 측면 일측, 상세하게는 제2 회동축(142)을 중심으로 둘레에 등간격 배치된 복수의 제1 관통공(143b)을 구비한다. 또한 책 받침대 본체(143)는 후면 일측에 걸림홈(143c)을 구비한다. 스토퍼(144)는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 회동축(142)에 회전 및 직선이동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스토퍼(144)는 책 받침대 본체(142)의 양측에 배치되어 책 받침대 본체(143)가 제2 회동축(142)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 쌍의 스토퍼(144) 중 적어도 하나는 측면 일측, 상세하게는 제2 회동축(142)을 중심으로 둘레에 제1 관통공(143b)과 대응하는 복수의 제2 관통공(144a)을 구비한다. 고정부재(145)는 제2 회동축(142)에 회전 및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부재(145)는 측면 일측, 상세하게는 제2 회동축(142)을 중심으로 둘레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핀(145a)을 구비한다. 고정부재(145)는 제2 회동축(142)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에 따라 고정핀(145a)이 제2 관통공(144b)을 관통하여 제1 관통공(143b)에 삽입됨으로써 책 받침대 본체(143)를 회동 불가능하게 고정하여 책 받침대 본체(143)의 회동 각도를 고정한다. 쿠션부재(146)는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탄성체로 구비되어 탄성력을 갖는다. 쿠션부재(146)는 일측에 걸림홈(143c)과 대응하는 후크(146a)를 구비한다. 쿠션부재(146)는 후크(146a)를 걸림홈(143c)에 삽입하여 책 받침대 본체(143)에 걸어 고정하거나, 후크(146a)를 걸림홈(143c)에서 빼냄으로써 책 받침대 본체(143)에서 분리 가능하다. 이러한 쿠션부재(146)는 좌판(110)에 앉은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기댈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요부를 보인 Ⅵ-Ⅵ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요부를 보인 Ⅶ-Ⅶ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각도 조절 수단(150)은 회동 등판(13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각도 조절 수단(150)은 지지대(151)와 회동 등판(130)에 구비되는 제1 및 제3 결합부(152, 154)와, 고정 등판(120)에 구비되는 제2 및 제4 결합부(153 및 155)를 포함한다. 지지대(151)는 소정 길이를 갖는 봉 형태로 구비된다. 지지대(151)는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 내지 제4 결합부(152 내지 155)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회동 등판(130)을 좌판(110)에 대하여 수직한 제1 회동 각도 또는 좌판(110)에 대하여 평행한 제2 회동 각도 또는 제1 및 제2 회동 각도 사이의 경사진 제3 회동 각도로 지지한다. 제1 결합부(152)는 지지대(151)와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회동 등판(130)의 폭 방향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제1 결합부(15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등판(120)의 길이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152a)을 구비한다. 제2 결합부(153)는 지지대(151)와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고정 등판(130)의 폭 방향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제2 결합부(153)는 고정 등판(120)의 길이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결합홈(153a)을 구비한다. 제3 결합부(154)는 지지대(151)와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회동 등판(130)의 정면에 구비된다. 한 쌍의 제3 결합부(154)는 회동 등판(130)의 폭 방향 양측에 이격 배치된다. 제3 결합부(15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등판(130)의 폭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홈(154a)을 구비한다. 제4 결합부(155)는 지지대(151)와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고정 등판(130)의 정면에 구비된다. 한 쌍의 제4 결합부(155)는 고정 등판(130)의 폭 방향 양측에 이격 배치된다. 제4 결합부(155)는 좌판(110)의 길이 방향과 고정 등판(130)의 길이 방향 사이의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 제3 결합홈(155a)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4 결합부(155)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쌍으로 구비되어 고정 좌판(120)의 길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세 쌍의 제4 결합부(155)를 구비하였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각도 조절 수단(1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51)를 제1 결합부(152)의 결합공(152a)에 관통되게 삽입하여 지지대의(151)의 길이방향 일측이 제1 결합부(152)에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대(151)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를 제2 결합부(153)의 제1 결합홈(153a)에 삽입함으로써 회동 등판(130)을 고정 등판(120)에 평행하고 좌판(110)에 대하여 수직한 제1 회동 각도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51)의 길이 방향 일단을 제3 결합부(154)의 제2 결합홈(154a)에 삽입하고 회동 등판(130)을 회동시켜 지지대(151)의 길이 방향 타측이 좌판(11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회동 등판(130)을 고정 등판(120)에 대하여 수직하고 좌판(110)과 평행한 제2 회동 각도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51)의 길이 방향 일단을 제4 결합부(155)의 제3 결합홈(155a)에 삽입하고 회동 등판(130)을 회동시켜 지지대(151)의 길이 방향 타단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회동 등판(130)을 제1 및 제2 회동 각도 사이의 제3 회동 각도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세 쌍의 제4 결합부(155)를 고정 등판(120)의 길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하였기 때문에 지지대(151)가 결합하는 어느 한 쌍의 제4 결합부(155)의 위치에 따라 제3 회동 각도는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100)는 회동 등판(13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의자(100)에 앉거나, 의자(100)의 후방측에서 의자(100)에 기대거나, 의자(100)의 후방측에 서서 책을 보거나, 의자(100)를 잡고 팔굽혀 펴기 운동을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등판(130)이 제1 회동 각도로 지지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좌판(110)에 앉아 등 부분을 고정 등판(120) 및 회동 등판(130)에 기대고, 목 부분을 쿠션부재(146)에 기댈 수 있어 보통의 의자와 같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등판(130)이 제2 회동 각도로 지지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자(100)의 후방측에서 허리를 숙여 가슴 및 복부 부분을 회동 등판(130)에 엎드리는 형태로 기대거나, 사용자가 의자(100)의 후방측에서 손잡이(121)를 잡고 팔굽혀 펴기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등판(130)이 제3 회동 각도로 지지된 경우에는 책 받침대(140)에 책(도시하지 않음)을 올려놓고 사용자가 의자(100)의 후방측에 서서 책을 보며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의자(100)는 장시간 앉아 학습 또는 업무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허리의 피로감 등을 다양한 자세나 동작으로 해소할 수 있어 학습 또는 업무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 의자 110 : 좌판
111: 둔부 안착홈 112 : 지지다리
120 : 고정 등판 121 : 손잡이
130 : 회동 등판 131 : 제1 회동축
132 : 수용홈 140 : 책 받침대
141 : 슬라이딩 바아 142 : 제2 회동축
143 : 책 받침대 본체 144 : 스토퍼
145 : 고정부재 146 : 쿠션부재
150 : 각도 조절 수단 151 : 지지대
152 : 제1 결합부 153 : 제2 결합부
154 : 제3 결합부 155 : 제4 결합부

Claims (6)

  1. 좌판과, 등판을 구비하는 의자로서,
    상기 등판은, 상기 좌판에 고정되는 고정 등판과, 상기 고정 등판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등판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 등판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소정 길이를 갖는 지지대와,
    상기 회동 등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가 상기 회동 등판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고정 등판의 측면에 상기 제1 결합부와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가 상기 고정 등판과 평행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회동 등판의 정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가 상기 회동 등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3 결합부 및,
    상기 고정 등판의 정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는 제4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길이 방향 양측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 등판을 상기 좌판에 대하여 수직한 제1 회동 각도로 지지하거나,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3 결합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좌판에 지지됨에 따라 상기 회동 등판을 상기 좌판에 대하여 평행한 제2 회동 각도로 지지하거나,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4 결합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회동 등판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회동 등판을 상기 제1 및 제2 회동 각도 사이의 경사진 제3 회동 각도로 지지하도록 된 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등판은,
    책을 고정하기 위한 책 받침대와,
    상기 책 받침대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한 쿠션부재를 더 구비하는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책 받침대는,
    상기 회동 등판 내부에 삽입되거나 인출 가능하고, 인출된 상태에서 각도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등판은, 사용자가 잡고 팔굽혀 펴기 운동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은, 상면 중심부에 사람의 엉덩이 부분과 대응하는 둔부 안착홈을 구비하는 의자.
KR2020170004397U 2017-08-18 2017-08-18 기능성 의자 KR200489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97U KR200489055Y1 (ko) 2017-08-18 2017-08-18 기능성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97U KR200489055Y1 (ko) 2017-08-18 2017-08-18 기능성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32U KR20190000532U (ko) 2019-02-27
KR200489055Y1 true KR200489055Y1 (ko) 2019-04-25

Family

ID=6551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397U KR200489055Y1 (ko) 2017-08-18 2017-08-18 기능성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05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1091A (ja) * 2004-12-27 2006-07-13 Okamura Corp テーブル付椅子
KR101005663B1 (ko) * 2008-08-20 2011-01-05 박미설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226A (ko) * 2007-02-05 2007-03-13 김성출 개량형 수강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1091A (ja) * 2004-12-27 2006-07-13 Okamura Corp テーブル付椅子
KR101005663B1 (ko) * 2008-08-20 2011-01-05 박미설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32U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2586B2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US9028376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AU2012244288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RU2009111231A (ru) Настраиваемое кресло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ринятия множества положений тела и способы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101546974B1 (ko) 목 운동기구
KR20060027454A (ko) 운동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
KR20070033620A (ko)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KR200489055Y1 (ko) 기능성 의자
KR200189930Y1 (ko) 인체의 조건에 맞도록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1300678B1 (ko) 의자용 슬라이드 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EP3539622A1 (en) Chair having swing motion function and swing module for use therein
KR20160096358A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CN114468559B (zh) 一种便于调节高度的课椅
AU2012101686A4 (en) Abdomen exercise machine
KR101817147B1 (ko) 오버턴 스트레칭 운동기구
US5735571A (en) Orthopedic beach and relaxing chair
JP2812543B2 (ja) マルチ健康座椅子
CN203447711U (zh) 一种划船器的滑动座椅装置
KR101631798B1 (ko) 다리와 허리의 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
KR102088738B1 (ko) 휴대용 발걸이용 방석
CN220967984U (zh) 一种靠背可调式哑铃凳
KR101955709B1 (ko) 다양한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CN212214475U (zh) 可同时线性滑移与左右偏摆的健身机
KR200336016Y1 (ko) 의자
KR101000158B1 (ko) 복부 운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