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709B1 - 다양한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 Google Patents

다양한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709B1
KR101955709B1 KR1020170118701A KR20170118701A KR101955709B1 KR 101955709 B1 KR101955709 B1 KR 101955709B1 KR 1020170118701 A KR1020170118701 A KR 1020170118701A KR 20170118701 A KR20170118701 A KR 20170118701A KR 101955709 B1 KR101955709 B1 KR 101955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hair
backrest
support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경
김병조
박진성
황제웅
안수홍
김두엽
권태우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1236Push-ups in horizontal position, i.e. eccentr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시 의자로 사용하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스트레칭 자세에 맞게 의자의 형태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장요근 스트레칭 등 다양한 자세의 스트레칭뿐만 아니라 팔굽혀펴기 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한 의자로서, 하기 좌방석부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좌방석부; 상기 좌방석부의 일변에 구비되어, 인체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서 선형으로 인출되고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인입출 받침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출 받침대부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받침대 프레임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으로부터 선형으로 인입 및 인출되게 구성되는 인입출 프레임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과 인입출 프레임 간에 구성되어 상기 인입출 프레임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 및 상기 인입출 프레임의 전단 상부에 돌출 구비되는 걸림 프레임을 포함하는 기능성 의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양한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FUNCTIONAL CHAIR CAPABLE OF VARIOUS STRETCHING MOTION}
본 발명은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 의자로 사용하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스트레칭 자세에 맞게 의자의 형태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장요근 스트레칭 등 다양한 자세의 스트레칭뿐만 아니라 팔굽혀펴기 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강을 위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운동부족으로 중년기가 들어서면 혈관이 좁아지고, 그로 인하여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성인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과 시간중에 의자에 착석하여 보내게 된다. 특히 공부하는 학생이나 연구원 등을 포함한 사무직 직장인들은 거의 하루종일 의자에 앉아 업무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게 되면, 운동량이 부족하여 근력이 약화되고, 허리와 팔 및 다리의 유연성이 저하되며, 관절이 퇴화되는 등 심각한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간단하게 스트레칭을 일정 시간마다 행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으나, 특별한 도구가 없어 일반적인 의자의 등받이를 손으로 잡고 허리를 펴는 등의 간단한 스트레칭이 행해졌다.
그리고 보다 적극적인 운동을 하기 위하여 의자에 자전거와 같은 구조를 부착하여 페달을 밟아 다리의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8836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99860에 개시된 예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는 일반적인 의자의 기능을 보조하는 것이 아니라 자전거 페달을 밟는 운동 기구가 주목적이고, 일반적인 의자에 회전체와 페달 등을 설치한 구조가 아니므로, 업무 중에 언제라도 운동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그 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7489와 같이 일반적인 의자를 개량하여 허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등받이가 회전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는 후측에 입설된 스핀들에 등받이가 회전되게 설치되어, 스핀들을 중심으로 등받이가 회전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등받이의 가운데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등받이 전체가 회전되지 않고, 스핀들과 같은 축상에 있는 등받이 가운데를 기준으로 하여 등받이가 회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등받이 전체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 운동을 행할 때는 반드시 등을 등받이에 접촉시켜 행하여야 하므로 운동에 제약이 있고, 고정된 스핀들이 허리의 움직임을 방해하게 되어 허리 운동을 하는데 한계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은 의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스트레칭을 실시하는데 한계가 있고, 그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8836(2002.12.28. 공고)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99860(2000.08.04. 공고) (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7489(2006.09.21. 공고) (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79010(2016.11.23.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평상시 의자로 사용하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스트레칭 자세에 맞게 의자의 형태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장요근 스트레칭 등 다양한 자세의 스트레칭뿐만 아니라 팔굽혀펴기 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한 의자로서,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한 의자로서, 하기 좌방석부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좌방석부; 상기 좌방석부의 일변에 구비되어, 인체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서 선형으로 인출되고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인입출 받침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출 받침대부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받침대 프레임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으로부터 선형으로 인입 및 인출되게 구성되는 인입출 프레임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과 인입출 프레임 간에 구성되어 상기 인입출 프레임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 및 상기 인입출 프레임의 전단 상부에 돌출 구비되는 걸림 프레임을 포함하는 기능성 의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 프레임은 상기 받침대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대칭되게 형성되는 "ㄱ"자형 프레임으로 구성되거나, 양 단부가 상기 받침대 프레임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역 "U"자형 프레임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좌방석부는 의자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분할 구성되는 좌방석체; 분할된 상기 좌방석체 각각을 상기 다리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수단; 및 분할된 상기 좌방석체가 평면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동결합수단은 분할된 상기 좌방석체 각각의 중앙부에서 힌지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등받이부에 고정되어 좌방석체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좌방석체 각각의 측부에서 상기 다리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일측의 좌방석체와 타측의 좌방석체를 각각 별도로 고정 및 고정해제하도록, 상기 일변이 상기 다리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단변이 각 좌방석체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 브라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2개로 분할되어 상부측 등받이부와 하부측 등받이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측 등받이부와 하부측 등받이부의 연결부는 경첩 결합 또는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측 등받이부와 하부측 등받이부를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고정해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단부로부터 인출 및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목 받침부; 및 상기 목 받침부가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목 받침부는 상단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에 의하면, 평상시 의자로 이용하다가 별도의 도구 없이도 다양한 스트레칭 자세에 맞게 의자의 형태를 변형하여 장요근 스트레칭 등 다양한 스트레칭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레칭뿐만 아니라, 올바른 자세로 팔굽혀펴기 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를 구성하는 인입인출 받침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를 구성하는 좌방석부의 일측 좌방석체를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를 이용하여 스트레칭 운동을 하는 실시 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를 구성하는 인입인출 받침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를 구성하는 좌방석부의 일측 좌방석체를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칭을 위한 의자로서, 크게 소정 형태로 이루어져 하기의 좌방석부(200)를 일정 높이로 지지 고정시키는 다리부(100); 상기 다리부(100)의 상면에 구비되며,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좌방석부(200); 상기 좌방석부(200)의 일변에 구비되어, 인체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부(300); 및 상기 다리부(100)의 하단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인출되고 다시 원위치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입출 받침대부(400)를 포함한다. 미설명부호 150은 다리부(10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는 팔걸이 프레임부이다.
상기 다리부(100)는 프레임과 같은 골격 구조체의 형태 또는 플레이트와 같은 판재 구조체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인입출 받침대부(400)의 구성과 연계되어 그 인입출 받침대(400)가 원활하게 인출되고 인입될 수 있는 구성되게 된다.
상기 좌방석부(200)는 의자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분할 구성되는 좌방석체(210)와, 분할된 상기 좌방석체(210) 각각을 분할된 중앙부에서 또는 양측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수단(미도시); 및 분할된 상기 좌방석체(210)가 평면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결합수단은 일 실시 예로 분할된 두 좌방석체(210, 220)의 중앙 분할 측을 힌지 결합시키고, 일단부가 등받이부(30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힌지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동결합수단이 상기와 같이 중앙부의 힌지수단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고정 수단은 다리부(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구(160)와, 상기 고정구(16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고정구(160)를 내측으로 슬라이딩 조작하기 위한 조작 노브(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160)가 상기 좌방석체의 하면을 지지하여 고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결합수단은 다른 실시 예로 분할된 상기 좌방석체(210) 각각의 측부에서 상기 다리부(10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하방향 회동식 회동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방향 회동결합수단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좌방석체(210) 각각은 아랫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회동결합수단이 상기와 같이 측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 수단은 예를 들면, 상기 고정 수단은 다른 실시 형태로 일단부가 상기 다리부(300) 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부는 대향하는 다른 다리부(300) 측에 형성된 고정홈으로 삽입 고정되는 자유단부로 구성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어 상기 좌방석체(210)가 평면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을 회동시켜 좌방석체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고정 수단은 일측의 좌방석체(210)와 타측의 좌방석체(220)를 각각 별도로 고정 및 고정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리부(100)에 각각 구성되어 일측의 좌방석체와 타측의 좌방석체를 개별적으로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는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일변이 다리부(10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단변이 각 좌방석체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직각 삼각형의 지지 브라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수단은 상기한 회동결합수단이 힌지결합구성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결합수단은 또 다른 실시 예로 분할된 상기 좌방석체(210) 각각의 후방부에서 상기 다리부(10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후방향 회동식 회동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결합수단으로 구성되는 경우, 어느 일측의 좌방석체(210)가 후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그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회동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회동 고정수단은 간단하게 좌방석체(200)에 구비되는 후크고리와 등받이부(300)에 구비되는 후크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방으로 회동된 좌방석체(21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식 회동결합수단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좌방석체(210)는 의자 후방 측으로 회동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좌방석체(210)를 고정시키는 상기한 고정 수단(미도시)은 좌방석체(210)가 평면을 이룬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 수단은 더욱 견고한 고정과 고정해제를 위하여 유압식 고정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동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좌방석체를 회동시켜 그 좌방석체가 회동된 상태에서 실행하는 스트레칭 운동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상기 등받이부(300)는 확장 및 축소 가능하게, 예를 들면 2 이상으로 접철가능하게 구성되는 접철형 등받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상기 등받이부(300)는 2개로 분할되어 상부측 등받이부(310)와 하부측 등받이부(320)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측 등받이부(310)와 하부측 등받이부(320)의 연결부는 접철 수단(예를 들면, 경첩 방식이나 힌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상부측 등받이부(310)와 하부측 등받이부(320)가 동일 평면을 이룬 상태에서 두 등받이부(310, 3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용이하게 고정해제시킬 수 있는 고정-고정해제 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고정해제 수단은 예를 들면 양단부가 각각 상부측 등받이부(310)와 하부측 등받이부(3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간부는 일방향으로 편향되어 고정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결합되는 접철 결합 링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고정해제 수단은 견고한 지지와 용이한 접철을 위하여 유압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며, 상부측 등받이부(3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부측 등받이부(310)에 접층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등받이부(300)에는 구체적으로 상부 등받이부(310)에는 그 등받이부(300)로부터 인출 및 인입가능하게 구비되는 목 받침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 받침부(500)는 상단면(바람직하게는 상단면의 중앙부)이 하부 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인체의 목부를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목 받침부(500)는 등받이부(300)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시키고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고정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목 받침부(500)의 고정 수단은 목 받침부(500)의 하단 양측에 탄성지지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록킹 돌기와, 상기 록킹 돌기를 조작하도록 목 받침부(500)에 구비되는 조작 노브, 및 상기 등받침부(30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 돌기가 삽입되는 록킹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 받침부(500)의 고정수단은 목 받침부를 인출하게 되면, 탄성지지되는 록킹 돌기가 등받이부(300)의 록킹홈으로 자동 삽입되어 록킹되고, 고정해제시에는 조작 노브를 조작하여 록킹 돌기가 록킹홈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목 받침부(500)는 다시 원위치로 수납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인입출 받침대부(400)는 다리부(10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받침대 프레임(410)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410)으로부터 인입 및 인출되게 구성되는 인입출 프레임(420)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410)과 인입출 프레임(420) 간에 형성되어 원활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수단(예를 들면, 받침대 프레임(410)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인입출 프레임(420)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롤링 가이드되는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인입출 프레임(420)의 전단 상부에 구비되는 걸림 프레임(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입출 프레임(420)은 텔레스코핑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출 프레임(420)의 전방단 하부에는 구름 바퀴(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인입출 프레임(410)의 인출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그 인입출 프레임(420)이 인출된 상태에서는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름 바퀴는 구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원터치 걸림쇠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프레임(430)은 "ㄱ"자형 프레임이 대칭되게 구성되거나, 역 "U"자형 프레임이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ㄱ"자형 프레임이 대칭되게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를 이용하여 스트레칭 운동하는 동작에 대한 예시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를 이용하여 스트레칭 운동을 하는 실시 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부(300)의 상부측 등받이부(310)로부터 목 받침부(500)를 인출 고정하고, 인입출 받침부(400)를 인출하여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발목의 발등 부위를 인입출 받침부(400)의 걸림 프레임(430)을 밀면서 목 부위를 목 받침부(50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전신 스트레칭 운동을 실시하거나, 그 걸림 프레임(430)에 걸어 고정한 상태에서 목 부위를 목 받침부(50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전신 스트레칭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부(300)의 상부측 등받이부(310)에 목 받침부(500)를 인입 고정시킨 상태에서, 등받이부(300)의 상부측 등받이부(310)를 하부측 등받이부(320)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회동 고정시키거나 완전히 회동시키고, 인입출 받침부(400)를 인출하여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발목의 발등 부위를 인입출 받침부(400)의 걸림 프레임(430)을 밀면서 인체의 등 부위를 하부측 등받이부(320)의 상단에 대고 누운 상태에서 흉추부를 스트레칭하거나, 발목의 발등 부위를 인입출 받침부(400)의 걸림 프레임(430)에 걸어 고정한 상태에서 인체의 등 부위를 하부측 등받이부(320)의 상단에 대고 누운 상태에서 흉추부를 스트레칭하는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부(300)와 인입출 받침부(400)는 원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좌방석부(200)의 일측 좌방석체(210)는 고정 수단을 해제하여 하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키고, 타측 좌방석체(210)는 고정 수단을 유지하게 되면, 좌방석부(200)는 일측에만 개방부가 형성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리 한 쪽을 의자 전방에 위치하고, 엉덩이 일측의 고정된 좌방석체에 얹힌 상태에서 다른 다리 한 쪽을 좌방석부가 개방된 공간을 통해 의자 뒤쪽으로 뻗은 상태에서 스트레칭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트레칭 자세는 골반과 허벅지 앞쪽 근육을 스트레칭하는 장요근 스트레칭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방석부(200)와 등받이부(300)를 원 상태로 유지하고, 인입출 받침부(400)를 인출하여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인입출 받침부(400)의 걸림 프레임(420)을 잡고 팔굽혀 펴기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의자 아래로 들어가 인입출 받침부(400)의 걸림 프레임(420)을 잡고 팔굽혀 펴기를 실시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좌방석부(200)에 의해 등과 엉덩이 부위가 제한되므로 정확한 일자형 자세에서 팔굽혀 펴기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스트레칭 이외에 의자 구조를 변경하여 다양한 스트레칭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칭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에 의하면, 평상시 의자로 이용하다가 별도의 도구 없이도 다양한 스트레칭 자세에 맞게 의자의 형태를 변형하여 장요근 스트레칭 등 다양한 스트레칭 운동을 실행할 수 있으며, 스트레칭뿐만 아니라, 올바른 자세로 팔굽혀펴기 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다리부
200: 좌방석부
210, 220: 좌방석체
300: 등받이부
310: 상부측 등받이부
320: 하부측 등받이부
400: 인입출 받침대부
410: 받침대 프레임
420: 인입출 프레임
430: 걸림 프레임
500: 목 받침부

Claims (7)

  1.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한 의자로서,
    하기 좌방석부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좌방석부;
    상기 좌방석부의 일변에 구비되어, 인체의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서 선형으로 인출되고 인입되도록 구성되는 인입출 받침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입출 받침대부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받침대 프레임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으로부터 선형으로 인입 및 인출되게 구성되는 인입출 프레임과, 상기 받침대 프레임과 인입출 프레임 간에 구성되어 상기 인입출 프레임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 및 상기 인입출 프레임의 전단 상부에 돌출 구비되는 걸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좌방석부는
    의자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분할 구성되는 좌방석체;
    분할된 상기 좌방석체 각각을 상기 다리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수단; 및
    분할된 상기 좌방석체가 평면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기능성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프레임은 상기 받침대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대칭되게 형성되는 "ㄱ"자형 프레임으로 구성되거나, 양 단부가 상기 받침대 프레임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역 "U"자형 프레임이 구성되는
    기능성 의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결합수단은 분할된 상기 좌방석체 각각의 중앙부에서 힌지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등받이부에 고정되어 좌방석체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좌방석체 각각의 측부에서 상기 다리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일측의 좌방석체와 타측의 좌방석체를 각각 별도로 고정 및 고정해제하도록, 일변이 상기 다리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단변이 각 좌방석체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의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2개로 분할되어 상부측 등받이부와 하부측 등받이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측 등받이부와 하부측 등받이부의 연결부는 경첩 결합 또는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측 등받이부와 하부측 등받이부를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고정해제 수단이 구비되는
    기능성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단부로부터 인출 및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목 받침부; 및
    상기 목 받침부가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 및 고정해제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기능성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 받침부는 상단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기능성 의자.
KR1020170118701A 2017-09-15 2017-09-15 다양한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KR101955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701A KR101955709B1 (ko) 2017-09-15 2017-09-15 다양한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701A KR101955709B1 (ko) 2017-09-15 2017-09-15 다양한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709B1 true KR101955709B1 (ko) 2019-03-07

Family

ID=65760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701A KR101955709B1 (ko) 2017-09-15 2017-09-15 다양한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7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444B2 (ja) * 1992-11-19 2000-10-23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1450600B1 (ko) * 2014-02-11 2014-10-15 (주) 아모스아인스가구 듀얼시트 의자
CN106420272A (zh) * 2016-09-25 2017-02-22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助行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444B2 (ja) * 1992-11-19 2000-10-23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1450600B1 (ko) * 2014-02-11 2014-10-15 (주) 아모스아인스가구 듀얼시트 의자
CN106420272A (zh) * 2016-09-25 2017-02-22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助行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4171C (en) Personal seated resting support
US3767190A (en) Pivoting chair with pivotally displaceable seat and back
US20160100688A1 (en) Outdoor recliner with pillow carrier
KR101658486B1 (ko) 스트레칭 기능을 가진 의자
US5346279A (en) Orthopedic appliance
KR20180124104A (ko) 다용도 접이식 가구
US9687078B2 (en) Portable therapeutic seat device
JP4803667B2 (ja) 椅子
US11497315B2 (en) Chair for fitness exercise
KR101955709B1 (ko) 다양한 스트레칭 운동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KR101419672B1 (ko) 다용도 의자
KR102128616B1 (ko) 접이식 테이블을 구비한 휠체어
KR101589829B1 (ko) 소형 접이식 의자
KR20210069233A (ko) 운동 기능 부가된 의자
US11259638B2 (en) Chair with footrest mechanism
KR101495856B1 (ko) 장애인용 의자
KR20140132921A (ko) 폭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변기 의자
CN101601541A (zh) 一种通用的椅子
JP5580006B2 (ja) 端座位保持テーブル及び端座位保持器具
CN219845701U (zh) 一种带有扶手的多功能组合户外椅
CN219249628U (zh) 折叠便携椅
KR101327507B1 (ko) 좌우 가변폭 조절 이동식 의자
CN213851505U (zh) 床边功能椅
US20240130535A1 (en) Foldable Bench for Intimate Activity
CN219662107U (zh) 一种用于轮椅的折叠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