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075B1 - 유아용 바운서 - Google Patents

유아용 바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075B1
KR101404075B1 KR1020130156486A KR20130156486A KR101404075B1 KR 101404075 B1 KR101404075 B1 KR 101404075B1 KR 1020130156486 A KR1020130156486 A KR 1020130156486A KR 20130156486 A KR20130156486 A KR 20130156486A KR 101404075 B1 KR101404075 B1 KR 101404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motion module
seat
infan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무
Original Assignee
송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무 filed Critical 송병무
Priority to KR1020130156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바운서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는 유아를 시트에 눕힌 후 시트를 자동으로 전후 좌우로 움직이게 하여 유아에게 안락감을 주면서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구성을 갖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트에 유아를 눕힌 상태에서도 시트의 기울기를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의 기울기를 완료한 후 이중 잠금 구조를 통해 시트의 기울기 고정에 대한 잠금 해제가 부주의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바운서{AN INFANT BOUNCER}
본 발명은 유아용 바운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를 시트에 눕힌 후 시트를 자동으로 전후 좌우로 움직이게 하여 유아에게 안락감을 주면서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유아용 바운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보호자는 유아를 돌보기 위하여 많은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유모차, 유아 욕조, 유아용 베개, 유아용 쏘서 및 유아용 바운서 등 매우 다양하다.
이와 같은 유아용품들은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돌볼 수 있는 도구이거나, 유아에게 안락감을 주면서 유아를 돌보는 보호자의 편의 또한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구이다.
즉, 유아용 바운서는 유아에게 안락감을 주면서 유아를 돌보는 보호자의 편의 또한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구에 속한다.
종래의 유아용 바운서는 유아를 눕힌 시트를 기 구비된 몇 가지 동작 중 하나로 움직이게 하거나 진동을 발생하여 유아에게 안락감을 주는 방식, 음악 또는 효과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유아에게 안락감을 주는 방식 및 유아를 눕힌 시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방식 중 1 이상을 채용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종래의 유아용 바운서는 유아를 눕힌 시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우, 시트의 양 측면에 위치한 나사 조절체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조절하거나 시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축을 변경하여 기울기를 조절하는 방식이어서 안전성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시트의 양 측면에 위치한 나사 조절체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우, 나사 조절체를 푼 상태에서 시트의 기울기를 조절한 후 재차 나사 조절체를 조이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에, 시트에 유아를 눕힌 상태에서 시트의 기울기를 조절하게 된다면 나사 조절체가 풀린 상태에서도 시트에 유아가 눕혀져 있게 되므로, 나사 조절체의 해제로 인해 유아가 놀라거나 낙상할 수 있는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나사 조절체는 시트 바운싱의 반복으로 인하여 프레임과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원하지 않게 헐거워질 수 있음에 따라,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적절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시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축을 변경하여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우, 시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축을 기 형성된 여러 결합 홈 중 어느 하나에 끼워 넣는 구조를 통해 시트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시트에 유아를 눕힌 상태에서 프레임 축을 다른 결합 홈으로 이동하여 시트의 기울기를 변경한다면, 프레임 축을 다른 결합 홈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주의로 인해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가 여자인 경우에는 프레임 축을 다른 결합 홈으로 이동하는 작업을 완력 부족으로 인해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유아용 바운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유아로 하여금 안락함을 느끼게 하는데에 한계가 있음에 따라, 이러한 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1-0019563 (1991.12.1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를 시트에 눕힌 후 시트를 자동으로 전후 좌우로 움직이게 하여 유아에게 안락감을 주면서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유아용 바운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모션 모듈, 상기 모션 모듈과 결합하여 상기 모션 모듈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시트 구조물 및 상기 시트 구조물을 특정 기울기로 설정하여 고정하기 위한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구조물은 시트, 상기 시트를 안착하기 위한 연결 바 및 상기 모션 모듈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연결 바를 지지하는 기울기 조절 프레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톱퍼는 이중잠금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톱퍼는 상기 모션 모듈 내에 위치한 고정 부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링크 부재, 상기 링크 부재의 끝단에 위치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 측면에 형성된 결합 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보조 부재 및 상기 보조 부재의 탄성 복원을 위한 탄성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 부재는 'ㄱ'자 형상이며, 상기 고정 부재와 맞닿는 부분을 제1 특정 곡률의 라운드 형상과 제2 특정 곡률의 라운드 형상으로 구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울기 조절 프레임은 기 정해진 곡률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아를 시트에 눕힌 후 시트를 자동으로 전후 좌우로 움직이게 하여 유아에게 안락감을 주면서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유아용 바운서를 제공함으로써, 시트에 유아를 눕힌 상태에서도 시트의 기울기를 안전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의 기울기를 완료한 후 이중 잠금 구조를 통해 시트의 기울기 고정에 대한 잠금 해제가 부주의하게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아용 바운서의 후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아용 바운서 중 스톱퍼 부분에 대한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톱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톱퍼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기울기 조절 프레임이 A 기울기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기울기 조절 프레임을 조절하여 B 기울기로 조정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조정한 B 기울기로 기울기 조절 프레임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스톱퍼의 동작 예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스톱퍼의 동작 예를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고정 부재의 탄성 수단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10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바운서(100)는 유아를 시트에 눕힌 후 시트를 자동으로 전후 좌우로 움직이게 하여 유아에게 안락감을 주면서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구성을 갖춘다.
이를 위해, 유아용 바운서(100)는 본체(130), 본체(130) 상단에 위치한 모션 모듈(120) 및 모션 모듈(120)과 결합하여 모션 모듈(120)의 전후 좌우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시트 구조물을 포함한다.
여기서, 시트 구조물은 시트, 시트를 안착시킬 수 있는 연결 바(150) 및 모션 모듈(120)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연결 바(150)를 지지하기 위한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은 모션 모듈(120)의 결합 홀(121)을 관통하는 구조로 모션 모듈(120)과 결합할 수 있으며, 모션 모듈(120)의 결합 홀(121)을 관통하는 경로 상에서 전후 이동하여 특정 기울기에 위치 가능하다.
즉,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을 조절함으로써,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을 통해 지지되는 연결 바(150)의 기울어진 정도가 결정된다. 이에, 연결 바(150)의 기울어진 정도가 결정됨에 따라 연결 바(150)에 안착하는 시트의 기울기 또한 정해진다.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은 기 정해진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을 기 정해진 곡률을 갖는 구조로 구비함으로써, 보호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락 해제된 시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시트를 고정하던 손을 놓친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갑작스런 시트의 기울기 변동에 따른 충격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는,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이 기 정해진 곡률을 갖춘 형상이어서 모션 모듈(120)의 결합 홀(121)에 대해 미끄러지듯 이동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모션 모듈(120)은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홀(121),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122) 및 고정 부재(122)의 탄성 복원을 위한 탄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모션 모듈(120)은 전후 좌우 움직임을 발생케 하는 구동 수단을 더 포함하거나, 외부 구동 수단에 의한 연동을 통해 전후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아울러, 모션 모듈(120)에 대해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을 고정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모션 모듈(120) 내에 고정 부재(122)가 구비되어 있으나, 고정 부재(122)를 통해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을 어떠한 방식으로 고정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다.
먼저, 유아용 바운서(100)는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의 이동 여부에 따라 고정 부재(122) 또한 이동시킬 수 있는 별도 부재인 스톱퍼(160)를 더 포함한다.
즉, 스톱퍼(160)를 통한 락 또는 락 해제에 따라 고정 부재(122)를 이동케 하여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을 특정 기울기로 고정하거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아용 바운서(100)의 후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아용 바운서(100) 중 스톱퍼(160) 부분에 대한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160)는 모션 모듈(120)의 일측에 구비된 잠금제어홀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스톱퍼(160)는 이중잠금 구조를 갖춘다. 즉, 스톱퍼(160)의 조작 방향에 따라 모션 모듈(120) 내 고정 부재(122)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 잠금수단 및 스톱퍼(160)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된 보조 부재(161)의 이동을 통해 스톱퍼(160) 자체의 잠금에 대한 잠금을 수행하는 제2 잠금수단으로 구비 가능하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톱퍼(16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톱퍼(160)의 분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160)는 모션 모듈(120) 내에 위치한 고정 부재(122)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링크 부재, 링크 부재의 끝단에 위치한 손잡이, 손잡이의 일 측면에 형성된 결합 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보조 부재(161) 및 보조 부재(161)의 탄성 복원을 위한 탄성 수단을 포함한다.
링크 부재는 'ㄱ'자 형상이며, 링크 부재 중 고정 부재(122)와 맞닿는 부분은 특정 곡률의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 부재 중 고정 부재(122)와 맞닿는 부분은 제1 특정 곡률의 라운드 형상과 제2 특정 곡률의 라운드 형상으로 구분됨에 따라, 링크 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링크 부재와 맞닿는 고정 부재(122)의 전후 및 상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이 A 기울기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이 A 기울기로 위치한 상태에서 스톱퍼(160)가 락 상태에 있으므로,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을 A 기울기로 고정된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
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을 조절하여 B 기울기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스톱퍼(160)의 이중잠금 구조를 모두 해제하여야 한다.
즉, 스톱퍼(160)의 손잡이 부분에 위치한 보조 부재(161)를 이용하는 제2 잠금수단을 먼저 해제한 후 스톱퍼(160) 자체의 위치를 회전하는 제1 잠금수단을 해제함에 따라, 스톱퍼(160)의 이중잠금 구조를 모두 해제할 수 있다.
이후,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도 6과 같이 A 기울기에 위치하던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을 B 기울기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자는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을 B 기울기로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160)를 락 상태로 전환하여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의 위치를 고정한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스톱퍼(160)의 동작 예를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160)를 락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스톱퍼(160)의 링크 부재와 맞닿아 있던 고정 부재(122)에 대한 구속력이 약해짐에 따라, 스톱퍼(160)와 반대 방향에 위치한 고정 부재(122)의 탄성 수단에 의한 탄성 복원으로 인하여 고정 부재(122)가 밀려나면서 아래 방향으로 일정 폭 하강한다.
또한, 모션 모듈(120)은 고정 부재(122)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가이드 형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에 따른 고정 부재(122)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고정 부재(122)와 맞닿아 고정되어 있던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 또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고정 부재(122)는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의 일 측과 맞닿아 마찰력을 통해 기울기 조절 프레임(110)을 고정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고정 부재(122)는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스톱퍼(160)의 동작 예를 다른 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160)를 락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스톱퍼(160)의 손잡이 부분에 구비된 보조 부재(161)의 이동을 통해 스톱퍼(160) 자체에 대한 잠금을 해제한 후 스톱퍼(160)를 락 상태에 이르는 방향으로 회전 조작함에 따라 스톱퍼(160)의 링크 부재와 맞닿아 있던 고정 부재(122)에 대한 구속력이 강해진다.
이를 통해, 스톱퍼(160)의 링크 부재로부터 전해지는 힘 방향에 의해 고정 부재(122) 또한 고정 부재(122)에 연결된 탄성 수단을 탄성 압축하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면서 윗 방향으로 일정 폭 상승한다.
그리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고정 부재(122)의 탄성 수단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22)의 탄성 수단은 고정 부재(122)와 모션 모듈(120)의 일 벽면 간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부재(123) 사이마다 구비되는 링 형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를 시트에 눕힌 후 시트를 자동으로 전후 좌우로 움직이게 하여 유아에게 안락감을 주면서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유아용 바운서 110: 기울기 조절 프레임
120: 모션 모듈 121: 결합 홀
122: 고정 부재 123: 연결 부재
130: 본체
140: 제어부 150: 연결 바
160: 스톱퍼 161: 보조 부재

Claims (5)

  1. 유아용 바운서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모션 모듈;
    상기 모션 모듈과 결합하여 상기 모션 모듈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시트 구조물; 및
    상기 시트 구조물을 특정 기울기로 설정하여 고정하기 위한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구조물은
    시트;
    상기 시트를 안착하기 위한 연결 바; 및
    상기 모션 모듈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연결 바를 지지하는 기울기 조절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모션 모듈 내에 위치한 고정 부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링크 부재;
    상기 링크 부재의 끝단에 위치한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 측면에 형성된 결합 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보조 부재; 및
    상기 보조 부재의 탄성 복원을 위한 탄성 수단;을 포함하는 유아용 바운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이중잠금 구조인 유아용 바운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ㄱ'자 형상이며, 상기 고정 부재와 맞닿는 부분을 제1 특정 곡률의 라운드 형상과 제2 특정 곡률의 라운드 형상으로 구분하는 유아용 바운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절 프레임은 기 정해진 곡률로 형성되는 유아용 바운서.




KR1020130156486A 2013-12-16 2013-12-16 유아용 바운서 KR101404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486A KR101404075B1 (ko) 2013-12-16 2013-12-16 유아용 바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486A KR101404075B1 (ko) 2013-12-16 2013-12-16 유아용 바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075B1 true KR101404075B1 (ko) 2014-06-05

Family

ID=5113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486A KR101404075B1 (ko) 2013-12-16 2013-12-16 유아용 바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0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516A (ko) 2015-09-23 2017-03-31 (주)디자인엑스투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바운서
KR101753102B1 (ko) * 2016-12-15 2017-07-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및 미세 진동을 통한 영유아 컴포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86521B1 (ko) * 2019-08-13 2020-03-09 주식회사 굿텍 유아용 바운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709A (ja) * 2005-12-12 2007-06-28 Combi Corp 揺動椅子
KR20120045816A (ko) * 2010-11-01 2012-05-09 신성수 로봇 바운서
JP2013165963A (ja) 2012-02-16 2013-08-29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 Ltd 乳児支持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709A (ja) * 2005-12-12 2007-06-28 Combi Corp 揺動椅子
KR20120045816A (ko) * 2010-11-01 2012-05-09 신성수 로봇 바운서
JP2013165963A (ja) 2012-02-16 2013-08-29 Wonderland Nurserygoods Hong Kong Co Ltd 乳児支持シー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516A (ko) 2015-09-23 2017-03-31 (주)디자인엑스투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바운서
KR101753102B1 (ko) * 2016-12-15 2017-07-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및 미세 진동을 통한 영유아 컴포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8111033A1 (ko) * 2016-12-15 2018-06-2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및 미세 진동을 통한 영유아 컴포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86521B1 (ko) * 2019-08-13 2020-03-09 주식회사 굿텍 유아용 바운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8723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そのサイドプロテクション幅の調整機構
US9089219B2 (en) Footrest for car seat
KR101404075B1 (ko) 유아용 바운서
US9756961B2 (en) Adjusting mechanism and related child carrier
KR20120011317A (ko) 차량용 차일드 시트
US8727444B2 (en) Infant carrier apparatus having a backrest and its adjusting method
KR101837386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JP2007159709A (ja) 揺動椅子
US10575657B2 (en) Convertible auto-rocking rocker
US20070102980A1 (en) Continuously adjustable stroller reclining mechanism
KR20180046742A (ko) 헤드레스트
JP2024092006A (ja) ハンドル切り替え機構とチャイルドベビーカー
TWI830507B (zh) 乘用裝置
TWI680075B (zh) 嬰兒車
JP2016097746A (ja) ヘッドレスト用傾倒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KR20210115556A (ko) 안전을 위한 이중 잠금 구조를 갖는 유아용 바운서
US20110070958A1 (en) Child Carrier Apparatus and Its Operating Method
JP2008302083A (ja) ロッキング椅子
TWI673191B (zh) 嬰幼兒或寵物用的座椅安裝用夾具、座椅組件和嬰兒車
JP2004097348A (ja) 肘掛け付きポータブルトイレ
JP6103870B2 (ja) 枢軸へのレバー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構造、並びにその構造を備える家具および椅子
JP2007307299A (ja) 子供用椅子
JP2005169004A (ja) 座席
JP6400914B2 (ja) ベビーカー
JP5796043B2 (ja) ダイブダウン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