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769A -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 - Google Patents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769A
KR20190031769A KR1020170119611A KR20170119611A KR20190031769A KR 20190031769 A KR20190031769 A KR 20190031769A KR 1020170119611 A KR1020170119611 A KR 1020170119611A KR 20170119611 A KR20170119611 A KR 20170119611A KR 20190031769 A KR20190031769 A KR 20190031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esk
monitor
support por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658B1 (ko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2017011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6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31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4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located on side of seat, e.g. on arm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47B2021/0364Keyboard and monito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는: 설치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배치되며, 착좌시 사용자의 둔부가 지지 되도록 구비된 둔부 지지부; 상기 둔부 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둔부 지지부를 설치면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둔부 지지부의 후방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착좌시 사용자의 등이 지지 되도록 구비된 등받이부; 상기 둔부 지지부의 전방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착좌시 사용자의 하체가 지지 되도록 구비된 하체 지지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데스크 회동 지지부; 상기 데스크 회동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된 데스크;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모니터 회동 지지부; 및, 상기 모니터 회동 지지부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착좌시 사용자의 둔부를 둔부 지지부의 제일 안쪽에 밀착시키고 상체는 등받이부에, 하체는 하체 지지부에 자연스럽게 기댄 자세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하체 지지부와 등받이부의 각도가 수시로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는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 {comfortable chair for using electronic appliance during long term}
본 발명은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나 휴대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에 보다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동안 이들 전자기기를 사용하더라도 각종 근육계 질환이나 허리 통증 등이 유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컴퓨터나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로 할 수 있는 일이 많아지면서 시대가 바뀔수록 일상생활에서 전자기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그로 인해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전자기기를 더욱 편안한 자세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 사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전자기기 사용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수많은 아이디어가 제안되고 여러 제품이 출시되었지만 궁극적으로 인체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해하여 전자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각 부분에 미치는 피로를 총체적으로 최소화해주는 제품은 극히 드문 실정이다.
그로 인하여 여전히 대다수는 전자기기의 사용환경을 개선하지 못한 채 불편하거나 신체의 특정부위에 무리가 가해지는 좋지 않은 자세를 유지한 채로 컴퓨터 등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어 VDT(Visual Display Terminal) 증후군, 손목터널 증후근, 거북 목 증후군, 어깨 통증, 척추디스크 등의 질병을 유발하고 있다.
좋지 않은 자세의 대표적인 예로 허리와 어깨를 굽히고 목을 앞쪽으로 뺀 거북 목 자세와 하체를 의자의 앞쪽으로 미끄러뜨려 반쯤 누운 채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자세를 들 수 있는데 이 두 자세 모두 종래의 보편적인 전자기기 사용환경이 신체의 구조와 맞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모니터와 키보드 및 마우스는 같은 높이의 책상 등에 놓이게 되어 모니터의 중심과 키보드의 높이 차이는 불과 20 ~ 30 cm 밖에 되지 않는데 사람이 앉은 자세에서 고개를 세우고 등받이에 등을 기대고 팔을 편안한 상태로 늘어뜨리면 그 높이 차이는 60 ~ 80 cm 에 이른다.
이렇듯 모니터는 더욱 높이 키보드와 마우스는 더욱 낮게 위치해야 함에도 현존하는 대다수의 컴퓨터 사용환경은 이러한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휴대폰에 각종 스마트 기능이 부가되어 컴퓨터를 대신하여 그 사용빈도와 사용시간이 크게 늘어나고 있고, 보통 사용자들은 이러한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에 허리와 어깨, 목이 앞쪽으로 쏠린 구부정한 자세를 계속 유지하거나 눕거나 엎드린 자세로 장시간 사용하게 되어 앞서 말한 각종 근육계 질환이나 허리 통증 등의 고통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각도조절이 용이한 책상 및 의자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87904호(2005년06월16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각도조절이 용이한 책상 및 의자로는 의자의 등받이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어렵고 등받이의 각도를 변경하더라도 전자기기를 지지하는 데스크의 각도가 그대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의자에 앉아서 장시간 동안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될 경우 오히려 자세가 더 불편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87904호(2005년06월16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나 휴대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에 다양한 등받이 각도 위치에 따라서 척추와 머리를 기대고 앉는 자세 또는 누운 자세 등으로 보다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시간 동안 이들 전자기기를 사용하더라도 피로나 통증이 발생 되지 않고 손목, 어깨, 척추 등에 질환이 유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는: 설치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배치되며, 착좌시 사용자의 둔부가 지지 되도록 구비된 둔부 지지부; 상기 둔부 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둔부 지지부를 설치면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둔부 지지부의 후방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착좌시 사용자의 등이 지지 되도록 구비된 등받이부; 상기 둔부 지지부의 전방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착좌시 사용자의 하체가 지지 되도록 구비된 하체 지지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데스크 회동 지지부; 상기 데스크 회동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된 데스크;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모니터 회동 지지부; 및, 상기 모니터 회동 지지부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양측 중 어느 하나에서 상호 이격되게 구비된 회전축 결합부에 전후 한 쌍으로 결합 되어 어느 하나에는 상기 데스크 회동 지지부가 결합 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모니터 회동 지지부가 결합 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데스크 회동 지지부 및 상기 모니터 회동 지지부는 적어도 한 곳 이상이 절곡 또는 만곡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좌시 사용자의 둔부를 둔부 지지부의 제일 안쪽에 밀착시키고 상체는 등받이부에, 하체는 하체 지지부에 자연스럽게 기댄 자세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하체 지지부와 등받이부의 각도가 수시로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는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좌시 등받이부의 각도 위치에 따라서 컴퓨터의 모니터, 그리고 키보드 및 마우스나 스마트폰 등이 올려지는 데스크가 사용하기에 편리한 위치로 각각의 이동경로를 통해 각도 위치가 조절될 수 있게 됨으로써, 컴퓨터나 휴대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에 다양한 등받이부의 각도 위치에 따라서 척추와 머리를 기대고 앉는 자세 또는 누운 자세 등으로 보다 편안한 자세를 자연스럽게 취하도록 할 수 있는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장시간 동안 컴퓨터나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사용하더라도 피로나 통증이 발생 되지 않고 VDT 증후군, 손목터널 증후군, 거북 목 증후군, 어깨 통증, 척추 디스크 등과 같은 손목, 어깨, 척추 등의 만성 질환이 유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를 옆에서 바라본 측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를 통해 사용자가 좀더 편안히 누운 자세로 전자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각도가 조절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에서 둔부 지지부가 제거된 상태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회전축 결합부를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부 지지부(110)와, 하부 프레임(120)과, 등받이부(130)와, 하체 지지부(140)와, 데스크 회동 지지부(150)와, 데스크(160)와, 모니터 회동 지지부(170)와, 모니터(180)를 포함한다.
둔부 지지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배치되며 착좌시 사용자의 둔부가 지지 되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쿠션 재질로 마련된 부분을 포함하며, 후방에서 등받이부(130)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등받이부(130)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후방 회동축(111)과, 전방에서 하체 지지부(140)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하체 지지부(140)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전방 회동축(115)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착좌시 사용자의 둔부를 둔부 지지부(110)의 제일 안쪽에 밀착시키고 상체는 등받이부(130)에, 하체는 하체 지지부(140)에 자연스럽게 기댄 자세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하체 지지부(140)와 등받이부(130)의 각도가 수시로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는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10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후방 회동축(111)에는 서보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후방 회동축(11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후방 회동 구동부(113)가 연결되고, 전방 회동축(115)에는 후방 회동 구동부(113)와 마찬가지로 서보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전방 회동축(11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방 회동 구동부(117)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서보 모터를 각각 포함하는 후방 회동 구동부(113) 및 전방 회동 구동부(117)에 의해 등받이부(130) 및 하체 지지부(140)의 회동 각도 조절이 손쉽고 정밀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각도 조절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부 지지부(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둔부 지지부(110)를 설치면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으로서, 위에서 내려다 볼 때 평면상 양측 중 어느 하나에는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된 회전축 결합부(121)와, 회전축 결합부(121)에 전후 한 쌍으로 결합 되어 어느 하나에는 데스크 회동 지지부(150)가 결합 되고 다른 하나에는 모니터 회동 지지부(170)가 결합 되는 회전축(123)과, 각각의 회전축(123)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회전 구동부(125)를 포함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결합부(121)는 측면 상 대략 사다리꼴의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되, 전방 사면의 길이가 후방 사면의 길이보다 더 길게 마련되어 한 쌍의 회전축(123)이 되도록 둔부 지지부(110)의 후방 측, 즉 사용자가 착좌시 둔부의 제일 안쪽이 밀착되는 등받이부(130)에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160) 및 모니터(180)가 회동 되는 회동 경로의 중심이 착좌시 사용자의 둔부 및 허리 부분에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등받이부(130)의 회동과 데스크(160) 및 모니터(180)의 회동이 보다 적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안락 의자(100)가 구조적으로도 안정되게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회전 구동부(125)는 후방 회동 구동부(113) 및 전방 회동 구동부(117)와 마찬가지로 서보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서보 모터를 각각 포함하는 한 쌍의 회전 구동부(125)에 전후 한 쌍의 회전축(123)이 각각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데스크 회동 지지부(150) 및 모니터 회동 지지부(170)의 회동 각도 조절이 손쉽고 정밀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각도 조절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등받이부(13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부 지지부(110)의 후방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착좌시 사용자의 등이 지지 되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쿠션 재질로 마련된 부분을 포함하며, 상측에는 착좌시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지지 되도록 하는 헤드레스트(131)가 구비된다.
하체 지지부(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부 지지부(110)의 전방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착좌시 사용자의 다리, 종아리, 발 부분과 같은 하체가 지지 되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쿠션 재질로 마련된 부분을 포함한다.
데스크 회동 지지부(1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20)의 일측에서 전방에 구비된 회전축(123)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데스크 회동 지지부(150)는 적어도 한 곳 이상이 절곡 또는 만곡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좌시 좀더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 위해 등받이부(130) 및 하체 지지부(140)를 회동시켜 사용자가 누웠을 때 데스크 회동 지지부(150)에 의해 회동 및 지지 되는 데스크(160)가 사용자의 팔과 손이 가장 편안해지는 자세가 되는 각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안락 의자(100)에서의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 키보드, 마우스 등의 사용이 인체공학적으로 좀더 편리해 지도록 할 수 있다.
데스크(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 회동 지지부(150)의 상부에 구비되고, 착좌시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폰과 컴퓨터의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각종 전자기기를 상부에 올려놓고 편안히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스크(160)는 데스크 회동 지지부(150)에 대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데스크(160)의 하부에는 철(凸)의 형태로 슬라이딩 레일이 구비되고, 데스크 회동 지지부(150)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레일이 맞물리도록 요(凹)의 형태로 레일 가이드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 회동 지지부(1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120)의 타측 즉, 일측에서 후방에 구비된 회전축(123)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모니터 회동 지지부(170)는 적어도 한 곳 이상이 절곡 또는 만곡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착좌시 좀더 편안한 자세를 취하기 위해 등받이부(130) 및 하체 지지부(140)를 회동시켜 사용자가 누웠을 때 모니터 회동 지지부(170)에 의해 회동 및 지지 되는 모니터(180)가 사용자의 시선으로부터 가장 편안해지는 자세가 되는 각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안락 의자(100)에서의 컴퓨터 모니터의 사용이 인체공학적으로 좀더 편리해 지도록 할 수 있다.
모니터(180)는 모니터 회동 지지부(170)의 상단부에 상하좌우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착좌시 등받이부(130)의 각도 위치에 따라서 컴퓨터의 모니터(180), 그리고 키보드 및 마우스나 스마트폰 등이 올려지는 데스크(160)가 사용하기에 편리한 위치로 각각의 이동경로를 통해 각도 위치가 조절될 수 있게 됨으로써, 컴퓨터나 휴대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에 다양한 등받이부(130)의 각도 위치에 따라서 척추와 머리를 기대고 앉는 자세 또는 누운 자세 등으로 보다 편안한 자세를 자연스럽게 취하도록 할 수 있는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10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130)의 회동 각도에 대한 입력 값을 입력받는 입력부(191)와, 입력부(191)를 통해 입력된 입력 값에 따라 등받이부(130)의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후방 회동 구동부(113)를 제어하는 제어부(195)를 더 포함한다.
또한, 후방 회동 구동부(113)에는 회전각도 검출 엔코더(114)가 구비되어 등받이부(130)의 회동 각도를 검출해내고, 회전각도 검출 엔코더(114)는 이 검출 값을 제어부(195)로 피드백하여 제어부(195)에서 이를 통해 하체 지지부(140), 데스크 회동 지지부(150) 및 모니터 회동 지지부(170)의 회동 각도가 등받이부(130)의 회동 각도에 따라서 연동에 의해 인체공학상 최적으로 조절되어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에서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방 회동 구동부(117) 및 회전 구동부(125)들을 제어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등받이부(130), 하체 지지부(140), 데스크 회동 지지부(150) 및 모니터 회동 지지부(170)의 회동은 전동이 아닌 수동 조작에 이뤄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각각의 회동축과 회전축에 연동 되는 레버 기구와 잠금 기구 등을 설치하여 각각의 회동과 정지 및 고정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시간 동안 컴퓨터나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사용하더라도 피로나 통증이 발생 되지 않고 VDT 증후군, 손목터널 증후군, 거북 목 증후군, 어깨 통증, 척추 디스크 등과 같은 손목, 어깨, 척추 등의 만성 질환이 유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둔부 지지부 120 : 하부 프레임
121 : 회전축 결합부 123 : 회전축
130 : 등받이부 140 : 하체 지지부
150 : 데스크 회동 지지부 160 : 데스크
170 : 모니터 회동 지지부 180 : 모니터

Claims (3)

  1. 설치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배치되며, 착좌시 사용자의 둔부가 지지 되도록 구비된 둔부 지지부;
    상기 둔부 지지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둔부 지지부를 설치면으로부터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둔부 지지부의 후방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착좌시 사용자의 등이 지지 되도록 구비된 등받이부;
    상기 둔부 지지부의 전방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착좌시 사용자의 하체가 지지 되도록 구비된 하체 지지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데스크 회동 지지부;
    상기 데스크 회동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된 데스크;
    상기 하부 프레임의 타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모니터 회동 지지부; 및
    상기 모니터 회동 지지부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모니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양측 중 어느 하나에서 상호 이격되게 구비된 회전축 결합부에 전후 한 쌍으로 결합 되어 어느 하나에는 상기 데스크 회동 지지부가 결합 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모니터 회동 지지부가 결합 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 회동 지지부 및 상기 모니터 회동 지지부는 적어도 한 곳 이상이 절곡 또는 만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
KR1020170119611A 2017-09-18 2017-09-18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 KR10203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611A KR102030658B1 (ko) 2017-09-18 2017-09-18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611A KR102030658B1 (ko) 2017-09-18 2017-09-18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769A true KR20190031769A (ko) 2019-03-27
KR102030658B1 KR102030658B1 (ko) 2019-10-10

Family

ID=65906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611A KR102030658B1 (ko) 2017-09-18 2017-09-18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6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916A1 (ko) * 2020-12-29 2022-07-07 주식회사 트라운드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691A (ko) * 2001-02-13 2002-08-21 학교법인 호서학원 컴퓨터용 의자
JP2005102917A (ja) * 2003-09-30 2005-04-21 Sanyo Electric Co Ltd フットレスト付き椅子
KR200387904Y1 (ko) 2005-02-11 2005-06-27 천위훈 각도조절 전동책상
KR100908668B1 (ko) * 2007-09-05 2009-07-21 윤일상 컴퓨터용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691A (ko) * 2001-02-13 2002-08-21 학교법인 호서학원 컴퓨터용 의자
JP2005102917A (ja) * 2003-09-30 2005-04-21 Sanyo Electric Co Ltd フットレスト付き椅子
KR200387904Y1 (ko) 2005-02-11 2005-06-27 천위훈 각도조절 전동책상
KR100908668B1 (ko) * 2007-09-05 2009-07-21 윤일상 컴퓨터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5916A1 (ko) * 2020-12-29 2022-07-07 주식회사 트라운드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658B1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1306B1 (en) Seats
US8408647B2 (en) Movable chair backrest
KR200424912Y1 (ko) 등판과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좌판 및 허리받침부를포함하는 의자
US20140084642A1 (en) Computer chair
US11337525B1 (en) Reclining seatback support device
CN107183977B (zh) 一种坐具
EP2708159A2 (en) Computer chair
CN107411394B (zh) 用于椅子的椅背的背部支撑组件
CN201911670U (zh) 办公椅腰靠装置
KR20110074342A (ko) 기능성 의자
KR100872907B1 (ko)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조정이 가능한 의자
CN203852066U (zh) 可调节扶手和椅背的办公椅
CN111759694A (zh) 前后滑移与坐姿调节相互联动的按摩椅
KR101527459B1 (ko) 팔걸이부에 틸팅부가 구비된 의자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CN104207520A (zh) 用于转椅底盘的椅背翘板锁定机构
KR20190031769A (ko)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
KR101240670B1 (ko) 프레임 의자
CN204181248U (zh) 用于转椅底盘的椅背翘板锁定机构
KR102013301B1 (ko) 의자용 시트 지지장치
CN208624965U (zh) 转椅上可调节的靠背
CN108464669B (zh) 具有显示装置的椅子和广告展示方法
CN209106681U (zh) 一种具有显示装置的椅子
JP2000287783A (ja) 椅 子
KR101378062B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