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024A -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 Google Patents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024A
KR20130070024A KR1020110137136A KR20110137136A KR20130070024A KR 20130070024 A KR20130070024 A KR 20130070024A KR 1020110137136 A KR1020110137136 A KR 1020110137136A KR 20110137136 A KR20110137136 A KR 20110137136A KR 20130070024 A KR20130070024 A KR 20130070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hair
support
legres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길
송승국
Original Assignee
윤정길
송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길, 송승국 filed Critical 윤정길
Priority to KR1020110137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0024A/ko
Publication of KR20130070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 A47C1/03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leg-rest or foot-rest in combination with movably coupled seat and back-rest, i.e. the seat and back-rest being movably coupled in such a way that the extension mechanism of the foot-rest is actuated at least by the relative movements of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with a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47C7/506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by rotation
    • A47C7/5068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by rotation actuated by link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무용의자를 위한 마운팅(mounting)에 의해 씨트(seat)의 경사 및 등받이의 위치가 서로 의존하여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다리를 편하게 거치시킬 수 있어 사무실에서도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효과적으로 취하는 것이 용이하여 업무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며, 간단한 구성으로 작업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 및 제조비용을 절감토록 하는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다리받침장치는, 시트부(22) 하방에 구비되는 브라켓(62)과 다리받침(50)의 하방에 설치되는 브라켓(64) 상에 연결되어 굴절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다중링크기구(60)와, 상기 다중링크기구(60)의 조절판(9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설치되고 제1지지부재(30)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봉(66a)(66b)과 결합하는 지지대(70) 및 상기 다중링크기구(60)의 최장링크(92)의 선단과 회동 가능하게 그리고 다리받침(50)의 브라켓(64)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지지부재(80)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Device of office chair for proping foot}
본 발명은 다리받침을 부설한 사무용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무용의자를 위한 마운팅(mounting)에 의해 씨트(seat)의 경사 및 등받이의 위치가 서로 의존하여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다리를 편하게 거치시킬 수 있어 사무실에서도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효과적으로 취하는 것이 용이하여 업무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며, 간단한 구성으로 작업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 및 제조비용을 절감토록 하는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앉을 수 있는 시트부와 시트부를 지지하며 높이조절장치와 등받이에 연결되어 각도조절장치가 설치된 다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근래에는 학생 및 직장인을 포함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시간이 점차적으로 증대하고 있어 사무 또는 학습을 위한 의자에 앉았을 때의 편안함을 유지하기 위해 의자의 등받이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거나, 시트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여러 가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으며, 시트부 및 등받이에 대한 형상을 인체 공학적으로 다양하게 설계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 사용자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발을 땅에 딛고 있어야 하는데, 장기간 오래 앉을 경우 다리를 편하게 하기 위해 의자 주위의 기타 구조물에 올려놓고 작업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사무실 근무자는 상체뿐만 아니라 하체부 다리가 항상 하방으로 향하는 자세를 장시간 취하게 되어 혈액순환에 악영향을 미치고 피로감이 더하게 되어 업무효율을 저하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의자의 경우에는 발을 거치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의자 근처에 있는 구조물이나, 기기 등의 상부에 다리를 올려놓고 있어 장기간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의자에 발을 거치할 수 있는 다리받침 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종래의 다리받침 구조는 단순히 발이 땅에 닿지 않는 발을 닿게 하는 발판이거나, 의자 시트부의 하부에서 스프링 구조에 의해 인출, 삽입되는 발판으로 이루어진 구성과, 의자 양측으로 설치되는 복잡한 레버장치로 구성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자가 수시로 조작을 하여야 하며, 특히 각도조정이 용이하지 못해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복잡한 구조는 물론 불필요한 부품이 적용되는 구조의 경우에는 제조 비용이 비싸고, 일반 또는 사무용 의자에 적용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8928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292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5381호 대한민국 등록신용신안 제20-0352362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의자 특히 사무용의자를 위한 마운팅(mounting)에 의해 씨트(seat)의 경사 및 등받이의 위치가 서로 의존하여 자동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다리를 편하게 거치시킨 상태로 사무실에서도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효과적으로 취할 수 있는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조정되는 다리받침의 펼침 구조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부품 수 절감으로 생산공정을 절감하고 작업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는 의자 다리부 중앙 상단에 회전자재로 결합설치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 상에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탄발력을 받도록 결합설치되고 의자의 시트부가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의자의 등받이가 설치되는 제3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측 및 타측에 의자의 높낮이 조절손잡이 및 틸팅 각도 조절손잡이가 설치되고, 시트부의 전방에 사용자의 다리를 받쳐주기 위한 다리받침을 힌지 결합하고 상기 다리받침의 절첩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사무용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하방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다리받침의 하방에 설치되는 브라켓 상에 연결되어 굴절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다중링크기구와, 상기 다중링크기구의 조절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봉과 결합하는 지지대 및 상기 다중링크기구의 최장링크의 선단과 회동 가능하게 그리고 다리받침의 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중링크기구는 등받이의 조정각도에 따라 연동하는 제1지지부재에 설치된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을 부착한 지지대와 연결되는 조절판의 운동으로 최장링크가 직선왕복운동으로 다리받침이 각도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선단직각부를 다리받침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후단 직각부는 시트부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중링크기구의 조절판은 시트부에 고정된 브라켓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최단링크를 사선으로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다리받침에 고정된 브라켓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최장링크를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일 측에는 수직봉을 부착한 지지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는 시트부과 등받이 및 다리받침을 간편하게 상호 연동되도록 연결하여 등받이의 눌러지는 자유 각도에 따라 자동으로 다리받침이 펼쳐지도록 하는 한편, 이에 따른 구조가 간편하여 부품 수 절감으로 생산공정을 절감하고 작업 공정으로 간소화할 뿐 아니라, 수리가 간편하여 사용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아주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리받침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사용자의 취향, 체격에 맞게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무용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링크기구와 다리받침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링크기구와 다리받침의 연결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링크기구와 다리받침의 연결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리받침과 브라켓의 연결상태를 보인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봉과 지지대의 연결상태 요부 정면도이고,
도 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작동전과 작동 후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구성 및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자 다리부(12) 중앙 상단에 회전자재로 결합설치되는 제1지지부재(10)와, 상기 제1지지부재(10) 상에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탄발력을 받도록 결합설치되고 의자(100)의 시트부(22)가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20)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10)(20)에 축(43)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의자의 등받이(32)가 설치되는 제3지지부재(30)와, 상기 제1지지부재(10)의 일측 및 타측에 의자(100)의 높낮이 조절손잡이(42) 및 틸팅각도조절손잡이(44)가 설치되고, 시트부(22)의 전방에 사용자의 다리를 받쳐주기 위한 다리받침(50)이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중링크기구(60)와, 다중링크기수(60)와 연결되는 지지대(70)와, 다리받침(50)에 연결하는 지지부재(8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다중링크기구(6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22) 하방에 구비되는 브라켓(62)과 다리받침(50)의 하방에 설치되는 브라켓(64) 상에 연결되어 굴절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중링크기구(60)는 등받이(32)의 조정각도에 따라 연동하는 제1지지부재(10)에 부착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봉(66a)(66b)이 연결되는 지지대(70)를 연결하고 있다.
여기서 지지대(70)는 상기 다중링크기구(60)의 조절판(90)에 연결되어 다중링크기구(60)의 운동을 유도한다.
상기 지지대(70)는 다중링크기구(60)의 조절판(9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10)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봉(66a)(66b)과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80)는 다중링크기구(60)의 조절판(90)에 연결하는 최장링크(94) 선단과 회동 가능하게 그리고 상기 다리받침(50)의 이면에 부착되어 있는 브라켓(64)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80)의 선단직각부(82)는 다리받침(50)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후단직각부(84)는 시트부(22)에 각각 고정되어 시트부(22)와 다리받침(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다중링크기구(60)의 조절판(90)은 시트부(22)에 고정된 브라켓(62)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최단링크(92)를 사선으로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다리받침(50)에 고정된 브라켓(64)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최장링크(94)를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또한 조절판(90)의 일측에는 한 쌍의 수직봉(66a)(66b)을 부착하고 있는 지지대(70)의 측면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재(10)의 일측 및 타측에 의자(100)의 높낮이조절손잡이(42) 및 틸팅각도조절손잡이(44) 등은 일반적인 조절손잡이의 기능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등받이(32)를 통한 각도조절을 이룰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이면 모두 바람직한 실시가 가능하고 도면에는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형상 및 구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의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2, 도 3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받침(50)은 평상시에는 시트부(22)의 하방으로 절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일상업무에 지장이 전혀 없는 위치로 배치되어 사용자는 다리를 지면을 향해 직각상태로 편안하게 놓게 되며 이때의 등받이연결대(96)는 직각상태이며 이와 연결되는 등받이(32)도 직각상태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도 2와 도 5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받침(50)을 펼칠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석한 자세에서 등으로 등받이(32)를 살짝 뒤로 밀어 등받이 연결대(96)를 젖히면 제3지지부재(30)와 제3지지부재(30)를 연결하고 있는 제1지지부재(10)와 함께 제2지지부재(20)가 기울어짐과 동시에 시트부(22)가 경사지게 되고,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재(10) 후단에 한 쌍의 수직봉(66a)(66b)로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70)를 일체로 연결하고 있는 조절판(90)이 이동됨에 따라 최단링크(92)와 최장링크(94)를 동시에 이동하여 최장링크(94)와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64)의 수직운동에 따라 다리받침(50)은 수직상태에서 펼쳐지는 상태를 이룬다.
이때에는 제1지지부재(10)와 제2지지부재(20)의 걸림상태(locking)가 해제된 상태에서 등받이(32)에 힘을 가하여 뒤로 기울인 상태에서 틸팅각도조절손잡이(44)를 회전시켜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공지의 결합 및 걸림수단에 의하여 제1지지부재(10)와 제2지지부재(20)는 고정되고 등받이(32)가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을 이루는 상태가 된다.
즉, 제1지지부재(10)와 제3지지부재(30) 및 제1지지부재(10)와 제2지지부재(20)의 상호 간에 축(34)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틸팅각도조절손잡이(44)의 회전동작에 따라 제1지지부재(10)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도시를 생략한 걸림수단 과 해제수단 및 틸팅수단 등에 의하여 상기 제1지지부재(10)와 제2지지부재(30) 및 제3지지부재(30)는 걸림상태(locking)와 해제상태(no locking)에서 정지와 유동이 일어나고, 이때의 자유 틸팅 각도는 일반적인 0°~30°의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지지부재(10)와 제2지지부재(20) 및 제3지지부재(30)을 통하여 등받이(32)와 시트부(22)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틸팅각도를 이룰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제1지지부재(10) 후단에 연결된 한 쌍의 수직봉(66a)(66b)에 연결된 지지대(70)의 이동범위에 따라 다중링크기구(60)의 조절판(90)이 작동되므로 다리받침(50)의 동작이 가능해진다.
상기 조작판(90)은 시트부(22)에 고정되는 브라켓(62)과 연결된 최단링크(9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다리받침(50)에 고정되는 브라켓(64)과 연결된 최장링크(94)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링크동작에 의하여 제1지지부재(10)의 변형각도에 따라 지지대(70)가 이동됨과 동시에 조절판(90)의 유동에 따라 최단링크(92)와 최장링크(94)의 동작에 의해 다리받침(50)은 필요에 따라 각도를 세워지게 하거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다리를 편히 쉴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3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무실에서 근무중 휴식을 위하여 등받이(32)에 힘을 가하여 기울이게 됨에 따라 등받이(32)를 연결하는 등받이연결대(96)가 제3지지부재(30)를 기울이고, 제3지지부재(30)에 연결되고 자유로운 틸팅각도에서 조정 가능한 제1지지부재(10)의 동작에 따라 연결되어 동작하는 제2지지부재(20)에 부착된 시트부(22)가 기울어진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10)의 기울어짐과 동시에 한 쌍의 수직봉(66a)(66b)이 설치된 지지대(70)가 조절판(90)을 밀어주게 되어 최장링크(94)는 전진상태가 되므로 다리받침(50)에 부착된 브라켓(64)을 밀어서 다리받침(50)이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펼쳐지게 되므로 다리를 올려놓아 펴면 몸은 뉘어진 상태가 되므로 편안한 휴식자세로 휴식을 취하게 된다.
한편, 상기 등받이(32)가 기울어지고 다리받침(5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편안한 휴식상태를 이룰 경우에는 등받이(32)에 힘을 가해 기울어서 다리받침(50)이 펼쳐진 상태에서 틸팅각도조절손잡이(44)를 회전 조작하여 록킹상태에 놓으면 등받이(32)는 기울고 다리받침(50)은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어 편안한 휴식상태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8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리받침(50)은 지지부재(80)의 선단직각부(82)은 다리받침(50)과 고정되고, 다른 후단직각부(84)는 시트부(22)의 하단에 부착되어서 다리받침(50)은 안정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다중링크기구(60)의 동작에 따라 세워지고 펼쳐지는 동작을 실현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제1지지부재 12; 다리부
20; 제2지지부재 22; 시트부
30; 제3지지부재 32; 등받이
42; 높낮이조절손잡이 44; 틸팅각도조절손잡이
50; 다리받침 60; 다중링크기구
62,64; 브라켓 66a,66b; 수직봉
70; 지지대 80; 지지부재
82; 선단직각부 84; 후단직각부
90; 조절판 92; 최단링크
94; 최장링크 96; 등받이연결대
100; 사무용의자

Claims (4)

  1. 의자 다리부 중앙 상단에 회전자재로 결합설치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 상에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탄발력을 받도록 결합설치되고 의자의 시트부가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에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의자의 등받이가 설치되는 제3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측 및 타측에 의자의 높낮이 조절손잡이 및 틸팅 각도 조절손잡이가 설치되고, 시트부의 전방에 사용자의 다리를 받쳐주기 위한 다리받침을 힌지 결합하고 상기 다리받침의 절첩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사무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하방에 구비되는 브라켓과 다리받침의 하방에 설치되는 브라켓 상에 연결되어 굴절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는 다중링크기구와;
    상기 다중링크기구의 조절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봉과 결합하는 지지대; 및
    상기 다중링크기구의 최장링크의 선단과 회동 가능하게 그리고 다리받침의 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링크기구는 등받이의 조정각도에 따라 연동하는 제1지지부재에 설치된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을 부착한 지지대와 연결되는 조절판의 운동으로 최장링크가 직선왕복운동으로 다리받침이 각도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선단직각부를 다리받침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후단 직각부는 시트부에 고정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다중링크기구의 조절판은 시트부에 고정된 브라켓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최단링크를 사선으로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다리받침에 고정된 브라켓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최장링크를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그 일측에는 수직봉을 부착한 지지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KR1020110137136A 2011-12-19 2011-12-19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KR20130070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136A KR20130070024A (ko) 2011-12-19 2011-12-19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136A KR20130070024A (ko) 2011-12-19 2011-12-19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024A true KR20130070024A (ko) 2013-06-27

Family

ID=4886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136A KR20130070024A (ko) 2011-12-19 2011-12-19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00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92B1 (ko) * 2015-09-11 2016-11-04 배원섭 의자용 발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092B1 (ko) * 2015-09-11 2016-11-04 배원섭 의자용 발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5785B2 (en) Ergonomic productivity workstation having coordinated and harmonized movement of head rest, backrest, seat, leg rest, arm rests, monitor support, and work trays through sitting, standing, and reclining configurations
US6752459B2 (en) Adjustable chair
EP3508095A1 (en) Chair structure and chair
WO2006033339A1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における背凭れの傾動装置
JP2009522680A (ja) コンピュータ用ディスプレイを見るのをサポートする装置
US20070063569A1 (en) Two-position desk chair
CN101810409A (zh) 办公座椅的改进结构
KR20130007300U (ko) 다리받침대를 구비한 사무용 의자
WO2009107909A1 (en) Chair for handicapped person
CN104433277B (zh) 多功能教室用课桌椅
KR20130070024A (ko) 자동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CN209898872U (zh) 儿童椅
KR100990509B1 (ko) 의자
CN207679195U (zh) 新型电动沙发骨架
KR101811216B1 (ko) 가변식 의자
JP3225237U (ja) チェアー
GB2423013A (en) Swivel Table
KR102318357B1 (ko) 등받이 틸팅 단계별 조절구조를 갖는 프레임 의자
KR101342019B1 (ko) 수레 겸용 의자
JP3219802U (ja) 車椅子
KR101819124B1 (ko) 가변식 의자
KR20100111430A (ko) 좌판이 메인 프레임에 대해 상·하 회동 되는 안마의자
KR100908668B1 (ko) 컴퓨터용 의자
TWI304333B (ko)
JPH1176335A (ja) 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