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411B1 -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 - Google Patents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411B1
KR100908411B1 KR1020070044730A KR20070044730A KR100908411B1 KR 100908411 B1 KR100908411 B1 KR 100908411B1 KR 1020070044730 A KR1020070044730 A KR 1020070044730A KR 20070044730 A KR20070044730 A KR 20070044730A KR 100908411 B1 KR100908411 B1 KR 100908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afety
struts
buil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089A (ko
Inventor
김상구
Original Assignee
한건렌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건렌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건렌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4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411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4Door or gate operation of swing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각 층별로 안전문을 설치하여 승강기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하되, 양쪽으로 지주를 연속으로 세우면서 해당 층별로 이들 지주에 연결되는 안전문을 설치함으로써, 안전문이 수직으로 자동 정렬되므로 각 층별로 승강기와 안전문의 위치를 정확히 맞출 수 있으며, 안전문을 잡아주는 지주를 층별로 개별 설치할 때 보다 작업성이 향상되고, 이들 지주의 벌어짐을 잡아주는 연결대에 발판을 함께 형성하여 승강기에서 해당 층으로 이동할 때 빠지지 않도록 한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각 층별로 안전문을 설치하여 승강기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하되, 건물 외벽과 떨어진 한쌍의 지주를 연속으로 연결하면서 수직으로 세우고 이들 지주들을 해당 층별 베란다턱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지주들의 사이로 해당 층마다 안전문이 구비된 문틀을 고정시켜 상기 안전문들이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주, 연결대, 발판, 문틀, 클램프

Description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Lift safety door}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안전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안전문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안전문용 발판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지주 11 : 연결구
12 : 클램프 20 : 연결대
21 : 발판 30 : 문틀
31 : 안전문 40 : 체결구
41 : 몸체부 42 : 덮개부
43 : 힌지 44 : 나사부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기에 승하차할 때 사용하는 안전문을 건물 각 층별로 설치하되 양쪽으로 지주를 연속으로 세우면서 각 지주에 안전문을 달아줌으로써, 층별로 지주를 설치할 때 보다 작업 공정이 단순화되고 안전문을 수직으로 정열시킬 수 있으며, 지주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결대에 발판을 함께 형성하여 승강기에서 해당 층으로 이동할 때 틈사이로 빠지는 일이 방지되도록 한 안전장치 겸용의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건설현장에서 작업자 및 화물을 실어 나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앞 뒤쪽으로 두개의 출입문이 일직선으로 설치된 구성이다. 지상에서 앞쪽 출입문을 열고 작업자 및 화물을 실은 뒤 승강기를 작동시키면 해당 층에 정차되는데 이때 뒤쪽 출입문을 열고 해당 층으로 작업자 및 화물을 내리는 구성이다.
종래에는 건물의 각 층별로 별도의 안전문을 설치하여 승강기가 해당 층에 도착되면 건물에 설치된 안전문을 열고 출입하도록 하였다. 상기 안전문은 승강기가 다른 층에 있을 때 작업자 및 화물이 건물 아래쪽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므로 반드시 설치해야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각 층별로 안전문을 잡아주는 지주를 양쪽으로 세워 설치하였으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층별 안전문을 일직선으로 정렬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 승강기는 수직으로 이동되면서 층별로 정차하는데, 층별로 안전문을 설치하는 지주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될 경우 안전문의 위치가 조금씩 달라지게 되므로 출입하는데 불편함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 설현장의 각 층별로 안전문을 설치하여 승강기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하되, 양쪽으로 지주를 연속으로 세우면서 해당 층별로 이들 지주에 연결되는 안전문을 설치함으로써, 안전문이 수직으로 자동 정렬되므로 각 층별로 승강기와 안전문의 위치를 정확히 맞출 수 있으며, 안전문을 잡아주는 지주를 층별로 개별 설치할 때 보다 작업성이 향상되고, 이들 지주의 벌어짐을 잡아주는 연결대에 발판을 함께 형성하여 승강기에서 해당 층으로 이동할 때 빠지지 않도록 한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각 층별로 안전문을 설치하여 승강기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하되, 건물 외벽과 떨어진 한쌍의 지주를 연속으로 연결하면서 수직으로 세우고 이들 지주들을 해당 층별 베란다턱에 클램프를 이용하고 고정시키며, 상기 지주들의 사이로 해당 층마다 안전문이 구비된 문틀을 고정시켜 상기 안전문들이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안전문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안전문의 설치상태 측면도 이다.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안전문은 건물의 외벽에서 떨어지고 수직으로 계속 연결되면서 건물 외벽 즉 베란다턱(51)에 클램프(12)로 연결 고정되는 한쌍의 지주(10)가 구비된다.
이들 지주(10)들은 승강기의 출입구 폭 만큼 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이상 떨어져도 무관하다. 상기 지주(10)들은 3,000mm를 단위 길이로 하여 별도의 연결구(11)로 계속 연결되나 길이는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들 지주(10)들은 그 떨어진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서로 지탱되도록 연결대(20)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대(20)는 층별로 일대일 대응 설치되며, 건물 바닥층(50)의 베란다턱(51)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승강기에 출입할 때 걸리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20)에는 건물 외벽과 상기 지주(10)의 떨어진 틈새를 막아주는 별도의 발판(21)을 형성하여 작업자 또는 화물의 빠짐을 방지하였다.
상기 연결대(20)는 양측으로 별도의 체결구(40)를 통하여 상기 해당 지주(10)에 연결되며, 상기 클램프(12) 역시 별도의 체결구(40)를 통하여 상기 해당 지주(10)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지주(10)의 양측으로 사각형의 문틀(30)이 상기 체결구(40)를 통하여 연결 구비되며, 상기 문틀(30)에는 경첩(32)을 통하여 양쪽으로 여닫히는 한쌍의 안전문(31)이 구비된다. 이들 안전문(31)은 건물 안쪽 방향으로만 열리도록 구성되어 추락을 방지하였다.
상기 체결구(40)는 상기 클램프(12), 연결대(20) 또는 문틀(30)에 고정되며 지주(10)의 일부를 감싸는 몸체부(4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41)와 힌지(43)로 연결되어 지주(10)의 나머지 일부를 감싸는 덮개부(42)가 구비되며 이들 몸체부(41) 및 덮개부(42)는 나사부(44)를 통하여 해당 지주(10)에 결속되는 구성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안전문은 건물 외벽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상태에서 수직으로 계속 연결되는 한쌍의 지주(10)를 통하여 안전문(31)이 설치되므로 층별 안전문(31)을 수직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직으로 이동되는 승강기와 각 층별 안전문(31)을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 및 화물의 출 입이 편리하며, 각 층별로 안전문용 지주를 설치할 때 보다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한쌍의 지주(10)를 연결대(20)로 잡아서 벌어짐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연결대(20)에는 지주(10)와 건물 외벽의 떨어진 틈새를 막아주는 별도의 발판(21)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므로 종래와 같이 승강기에 별도의 발판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승강기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발판(21)은 연결대(20)와 함께 지주(10)들을 보강하는 기능도 하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층별로 안전문을 설치하여 승강기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하되, 건물 외벽으로부터 떨어진 지주를 양쪽으로 연속해서 세우면서 해당 층별로 클램프를 이용하여 이들 지주를 잡아주고, 각 층별로 이들 지주에 연결되는 안전문을 설치함으로써, 안전문이 수직으로 자동 정렬되므로 각 층별로 승강기와 안전문의 위치를 정확히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안전문을 잡아주는 지주를 층별로 개별 설치할 때 보다 작업성이 향상되며, 이들 지주의 벌어짐을 잡아주는 연결대에 발판을 함께 형성하여 승강기에서 해당 층으로 이동할 때 빠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건물 각 층별로 안전문을 설치하여 승강기에 출입할 수 있도록 하되,
    건물 외벽과 떨어진 한쌍의 지주를 연속으로 연결하면서 수직으로 세우고 이들 지주들을 해당 층별 베란다턱에 클램프를 이용하고 고정시키며,
    상기 지주들의 사이로 해당 층마다 안전문이 구비된 문틀을 고정시켜 상기 안전문들이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들은 각 층마다 연결대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대에는 상기 지주와 건물 외벽의 벌어진 틈을 막아서 상기 베란다턱으로 연장시키는 발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및 연결대들은 체결구를 통하여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데,
    상기 체결구는 상기 클램프 및 연결대에 고정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힌지로 연결되는 덮개부 그리고 상기 덮개부 및 몸체부를 상기 지주에 고정시키는 나사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
KR1020070044730A 2007-05-08 2007-05-08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 KR100908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730A KR100908411B1 (ko) 2007-05-08 2007-05-08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730A KR100908411B1 (ko) 2007-05-08 2007-05-08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089A KR20080099089A (ko) 2008-11-12
KR100908411B1 true KR100908411B1 (ko) 2009-07-20

Family

ID=4028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730A KR100908411B1 (ko) 2007-05-08 2007-05-08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618B1 (ko) * 2015-06-01 2017-02-0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벽면 고정용 클램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1265A (ko) 1973-08-18 1975-04-15
KR950003720Y1 (ko) * 1992-11-17 1995-05-13 김경식 승강기 운행로의 개폐장치
JP2002115393A (ja) * 2000-10-06 2002-04-19 Maeda Corp 昇降式外部養生装置
KR200290944Y1 (ko) * 2002-07-09 2002-10-04 함영수 중력에 의한 호이스트 자동 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1265A (ko) 1973-08-18 1975-04-15
KR950003720Y1 (ko) * 1992-11-17 1995-05-13 김경식 승강기 운행로의 개폐장치
JP2002115393A (ja) * 2000-10-06 2002-04-19 Maeda Corp 昇降式外部養生装置
KR200290944Y1 (ko) * 2002-07-09 2002-10-04 함영수 중력에 의한 호이스트 자동 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089A (ko) 200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AU2017202444B2 (en) A void platfor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support across a building void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KR100908411B1 (ko)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
KR20200126688A (ko) 층간 슬라브용 개구부 차폐틀
WO2019190078A1 (ko)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 장치 및 방법
US20130069027A1 (en) Safety Barrier
JP3204708U (ja) 昇降足場装置
KR20090099182A (ko)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KR100828576B1 (ko) 이동식 틀비계용 난간대
GB2580760A (en) A hatch
KR100877495B1 (ko) 확장형 발코니 안전난간대
WO2016125229A1 (ja) エレベータの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及び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の組立方法
KR101596939B1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KR100636880B1 (ko) 비상대피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구조
EP1972739A2 (en) Extendable safety guardrail
KR101323276B1 (ko) 건물의 승강기 출입구용 안전문
KR20130116451A (ko) 거푸집용 지지 및 안전 난간대 구조
EP1876315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KR102655505B1 (ko) 확장가변형 곤돌라
KR101205479B1 (ko)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
JPH09287284A (ja) 足場装置および足場構築工法
JP2896329B2 (ja) 建築工事における外側足場枠と建築物との梯子施工法及びその梯子
KR20140116286A (ko) 사다리용 안전 출입문
CN217434630U (zh) 一种立模顶部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