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479B1 -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 - Google Patents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5479B1 KR101205479B1 KR1020120038433A KR20120038433A KR101205479B1 KR 101205479 B1 KR101205479 B1 KR 101205479B1 KR 1020120038433 A KR1020120038433 A KR 1020120038433A KR 20120038433 A KR20120038433 A KR 20120038433A KR 101205479 B1 KR101205479 B1 KR 1012054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hoist
- opening
- building
- safe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Bay Windows, Entrances, And Structural Adjustments Related Theret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 건설자재 또는 작업자를 층별로 운반해주는 호이스트로부터 층간 세대 출입문을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는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호이스트에 의해 운반되는 자재 또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해 공사 건물의 각 층 외벽에 임시로 설치되는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으로, 작업자 또는 자재가 출입되는 건물 외벽의 운반 통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호이스트 반대편 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함몰부가 일체로 형성된 개폐문을 포함하여, 상기 호이스트 내부에 구비된 안전발판이 상기 개폐문이 닫힌 상태에서도 건물 외벽의 운반 통로로 설치될 수 있어, 작업자가 호이스트 외부로 나와서 안전발판을 밟고 층간 세대 출입문 바로 앞에서 잠금장치를 해제하거나 또는 다시 잠글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호이스트에 의해 운반되는 자재 또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해 공사 건물의 각 층 외벽에 임시로 설치되는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으로, 작업자 또는 자재가 출입되는 건물 외벽의 운반 통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호이스트 반대편 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함몰부가 일체로 형성된 개폐문을 포함하여, 상기 호이스트 내부에 구비된 안전발판이 상기 개폐문이 닫힌 상태에서도 건물 외벽의 운반 통로로 설치될 수 있어, 작업자가 호이스트 외부로 나와서 안전발판을 밟고 층간 세대 출입문 바로 앞에서 잠금장치를 해제하거나 또는 다시 잠글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현장에 건설자재 또는 작업자를 층별로 운반해주는 호이스트로부터 층간 세대 출입문을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는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고층 빌딩을 건축하는 건설 현장에는 외부로부터 운반되는 작업자 또는 각종 건설 자재를 건설 현장 내부로의 출입을 위해 각 층(層)마다 가(假) 설치되는 임시문인 층간 세대 출입문이 설치된다.
그리고 건설 현장의 외벽에는 내부에 작업자 또는 건설 자재를 탑재하고 상하로 이동하면서 각 층에 설치된 층간 세대 출입문을 통해 작업자 또는 자재 등을 운반하는 호이스트(또는 리프트)가 설치된다.
호이스트는 공사중인 건물의 외벽에 상하 수직으로 세워지는 마스터를 따라 승강되고, 마스터에는 래크가 설치되고 호이스트에는 래크와 치합되는 피니언이 전동모터로 회전되면서 건물의 외벽을 따라 승강하면서 각 층간 세대 출입문에 정차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호이스트에는 건설 자재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개폐 가능한 호이스트 출입문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호이스트는 공사중인 건물의 바깥쪽에서 상하 승강되는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공사중인 건물의 외벽, 즉 층간 세대 출입문과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이로 인해 호이스트가 해당 층에 도착하여 층간 세대 출입문을 통해 해당 층으로 작업자 또는 건설 자재를 이송하는 경우에 호이스트 출입문과 층간 세대 출입문의 사이의 떨어진 공간으로 작업자의 발이 빠지거나 또는 건설 자재를 운반하는 운반용 손수레의 바퀴가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호이스트 출입문 내측에는 호이스트 출입 통로와 층간 세대 출입 통로를 서로 연결해주는 안전발판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런데 층간 세대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안전발판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안전발판이 회동하는 중에 층간 세대 출입문의 전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수평상태로 완전히 펴지지 않아 안전발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호이스트가 해당 층에 정차하면 작업자는 먼저 공사현장 건물 측에 설치된 층간 세대 출입문을 개방한 후에 다음으로 호이스트의 출입문을 열어서 안전발판을 층간 세대 출입문 측으로 회동시켜서 호이스트 출입문과 층간 세대 출입문 사이의 떨어진 공간을 안전발판으로 다리를 놓은 후에, 운반용 손수레 및 작업자가 안전발판을 지나가면서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안전발판을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호이스트 내부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의 층간 세대 출입문을 먼저 열어야 하기 때문에 층간 세대 출입문의 잠금 장치를 열고 닫기가 매우 어렵고, 특히 대부분의 작업자가 호이스트 내부에서 자신의 몸을 층간 세대 출입문 측에 위치한 상태로 층간 세대 출입문의 잠금 장치를 열고 닫기 때문에 여전히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지적하고 있는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설 현장에 건설자재 또는 작업자를 층별로 운반해주는 호이스트로부터 층간 세대 출입문을 안전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 은 호이스트에 의해 운반되는 자재 또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해 공사 건물의 각 층 외벽에 임시로 설치되는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으로, 작업자 또는 자재가 출입되는 건물 외벽의 운반 통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호이스트 반대편 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함몰부가 일체로 형성된 개폐문을 포함하여, 상기 호이스트 내부에 구비된 안전발판이 상기 개폐문이 닫힌 상태에서도 건물 외벽의 운반 통로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문은 다수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함몰부를 포함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사이에는 안전망이 전체적으로 마련되어 건물 내부에 있는 작업자 또는 자재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함몰부는 90도 각도로 절곡되거나 또는 'ㄷ' 자 형태로 절곡된 다수의 절곡프레임과, 상기 다수의 절곡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이 결합된 일체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상기 개페문을 이루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물 외벽의 운반통로 좌,우측에는 상하로 수직 연결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기둥이 설치되고, 상기 개폐문은 상기 한 쌍의 수직기둥 사이에서 좌, 우로 분리된 형태로 각각 설치되면서 상기 각 수직기둥에 여닫이 방식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 층간 세대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도 호이스트 내부의 안전발판을 층간 세대 출입문 측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호이스트 외부로 나와서 안전발판을 밟고 층간 세대 출입문 바로 앞에서 잠금장치를 해제하거나 또는 다시 잠글 수 있어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의 정면(호이스트에서 볼때)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의 후면(호이스트에서 볼때)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의 후면(호이스트에서 볼때)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의 후면(호이스트에서 볼때)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의 후면(호이스트에서 볼때)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면', '후면', '상부', '하부', '내측' 및 '외측'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용어들은 호이스트에서 볼 때 나타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언급되는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은 단순히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 예들과 관련된 형상 및 치수들이나 물리적 특성들은 한정적이지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후면 사시도, 정면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100)은 건설 현장의 공사 건물의 각 층 외벽에 건축 자재 또는 작업자를 운반하는 호이스트가 정차하는 곳에 임시로 설치되는 것으로, 건물의 외벽에 자재 또는 작업자가 출입하는 운반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문(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설 현장에서 공사 중인 건물의 자재 또는 작업자가 출입하는 운반 통로는 주로 건물의 베란다 창문이 설치되는 공간을 활용하며, 층간 세대 출입문(100)은 베란다 창문이 설치되는 공간 내측에 설치됨으로써 건물의 자재 또는 작업자가 출입하는 운반 통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개폐문(10)은 베란다 창문이 설치되는 공간 내측 전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지만, 베란다 창문이 설치되는 공간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에는 일부 구간에만 설치하고 나머지 빈 구간에는 층간 세대 출입문(100) 옆으로 난간 등을 임시로 설치하기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10)은 사각 또는 원형 형상의 파이프가 다수 연결된 프레임 구조물로, 보다 상세하게 상부 및 하부 수평프레임(10a)(10b)과 상,하부 수평프레임(10a)(10b)의 양측을 각각 연결하는 수직프레임(10c)이 전체적으로 사각 테두리를 이루고, 사각 테두리 내부는 전, 후로 뚫려있는 틀 구조물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개폐문은 호이스트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안전발판을 개폐문이 닫힌 상태에서도 개폐문이 설치된 건물의 외벽 운반 통로에 설치할 수 있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개폐문(10)의 하부에는 호이스트 반대 방향으로, 즉 건물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갖는 함몰부(11)가 개폐문(10)의 죄, 우 폭 방향 전체로 형성된다.
이때, 함몰부(11)의 높이와 깊이는 안전발판(71)이 호이스트(70)에서 건물 외벽 운반 통로 바닥면까지 회전 시에 안전발판(71) 끝부분이 그리는 회전반경 전체 범위에서 안전발판(71)의 끝부분이 개폐문(10)에 걸림 없이 회전되면서 함몰부(7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높이와 깊이를 갖아야 한다.
이때, 함몰부(11)의 높이와 깊이는 안전발판(71)이 호이스트(70)에서 건물 외벽 운반 통로 바닥면까지 회전 시에 안전발판(71) 끝부분이 그리는 회전반경 전체 범위에서 안전발판(71)의 끝부분이 개폐문(10)에 걸림 없이 회전되면서 함몰부(7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높이와 깊이를 갖아야 한다.
여기서, 함몰부(11)는 사각 또는 원형 형상의 파이프가 다수 연결된 프레임 구조물로, 직선 형태의 프레임이 90°각도로 절곡된 다수의 절곡프레임(11a)과, 다수의 절곡프레임(11a)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프레임(11b)으로 구성된다. 이때, 각 절곡프레임(11a)의 상단부는 하부 수평프레임(10b)측에 연결되고 절곡프레임(11a)의 하단부는 연결프레임(11b)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때, 절곡프레임(11a)은 직선 형태의 프레임이 90°각도로 절곡된 형태로 설명을 하였지만, 'ㄷ'자 형태로 절곡되는 형태를 갖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함몰부(11)는 개폐문(10)을 이루는 수직 및 수평 및 측면프레임(10a)(10b)(10c)과 별도로 제작되어 수직 및 하부 수평프레임(10b)(10c)에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다른 방안으로는 수직 프레임(10c)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90°각도 또는 'ㄷ'자 형태로 일체로 절곡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함몰부(11)를 포함하는 절곡프레임(11a)과 연결프레임(11b), 그리고 함몰부(11)가 결합되는 각 수직프레임(10c)과 수평프레임(10a)(10b) 사이의 공간에는 작업자나 자재가 건물의 외부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12)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개폐문의 구조는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이 임시로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그 제작 및 분해가 용이한 이 프레임 구조물로 설명을 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개폐문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개폐문의 하부에 호이스트 반대편으로 함몰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개폐문이 닫힌 상태에서도 호이스트 내부에 구비된 안전발판이 설치될 수 있는 구조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개폐문(10)은 도 3에 도시된 같이 건물 외벽 운반통로의 좌, 우측으로 상,하 수직하게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기둥(20) 사이에 좌, 우로 분리된 형태로 설치된다.
한 쌍의 개폐문(10)은 수직기둥(20)에 경첩과 같은 힌지(30)에 의해 개폐문의 상단, 중단,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전, 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함몰부(11)도 반으로 분리된 형태로 각 개폐문(10)의 하단에 구비된다.
즉, 한 쌍의 개폐문(10)은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이루면서 건물 외벽 운반통로이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수직기둥(20) 사이에 서로 반분된 형태로 설치되면서 여닫이 방식으로 전, 후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기둥(2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수직기둥(20)을 건물 외벽 운반통로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스크류바(21)가 연결된 지지편(22)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수직기둥(20)은 상단 및 하단에는 스크류바(21)가 나사 결합되기 위해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체결홀(미도시)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바(21)가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동되면서 수직기둥(20)을 건물 외벽 운반통로의 상부와 하부에 압착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류바(21)가 연결된 지지편(22)에 의해 수직기둥(20)을 설치하면 개폐문이 설치되는 운반통로의 높이가 각각 다른 것에 상관없이 수직기둥(20)을 안정적으로 세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문에는 개폐문의 전면(호이스트에서 볼 때)에는, 즉 건설 현장 내부의 반대편에는 평상시(호이스트가 도착되지 않았을 때) 개폐문이 잠김 상태가 되고 운반시(호이스트가 도착할 때)에는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잠금장치(40)는 한 쌍이 개폐문이 잠긴 상태에서 서로 접하는 위치에서의 개페문(10) 중앙에는 판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51)이 각각 설치되고, 어느 한 개폐문(10)에 고정브라켓(50)에는 힌지핀(54)에 의해 상하 회동하는 막대 형상의 걸림쇠(52)가 구비되고, 다른 한 개폐문(10)의 고정브라켓(54)에는 걸림쇠(52)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걸리도록 상부가 개구된 후크 구조의 걸쇠(53)가 구비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잠금장치는 상술한 구체적인 구조 및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잠금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에서 호이스트가 정차하여 건물 내부로 자재 또는 작업자를 운반하기 위해 개폐문을 개폐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각 층에 구비된 층간 세대 출입문(100)에서 개폐문은 잠김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자재 또는 작업자의 운반이 필요한 층으로 호이스트(70)를 호출하면 해당 층에 호이스트(70)가 도착한다.
호이스트(70)가 해당 층에 도착하게 되면 호이스트(70) 출입문과 층간 세대 출입문(100)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이때 호이스트(70)는 건물의 외벽, 즉 층간 세대 출입문(100)과 일정 거리로 떨어진 상태로 정차된다.
호이스트(70)에 탑재되어 자재를 실은 운반용 손수레를 건물 내측으로 운반하거나 또는 호이스트(70)에 탑승한 작업자가 건물 내측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호이스트(70) 내부에 구비된 안전발판(71)으로 호이스트(70)와 건물 내측을 서로 이어주어야 한다.
여기서 안전발판(71)은 호이스트(70) 내부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구조물로 호이스트(70) 출입구 측의 바닥면에 하단이 힌지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호이스트(70)에 탑재한 작업자는 먼저 호이스트(70) 출입문을 개방하고, 다음으로 안전발판(71)을 층간 세대 출입문(100) 쪽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안전발판(71)은 층간 세대 출입문(100)의 하부에 호이스트 반대편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함몰부(71)에 의해 개폐문에 걸림 없이 완전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호이스트(70)와 층간 세대 출입문(100)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안전발판(71)에 의해 호이스트(70) 출입문과 층간 세대 출입문(100)을 서로 연결되면, 작업자는 안전발판(71)을 밟고 층간 세대 출입문(100) 측으로 걸어 나와서 잠금장치(40)를 해제하여 층간 세대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층으로 자재의 운반을 완료한 후에 층간 세대 출입문(100)을 동작 과정은 상기 개방시의 동작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다시 말해, 작업자는 층간 세대 출입문(100)의 외측에서 안전발판(71)을 밟고 층간 세대 출입문(100)을 닫으면서 잠금장치(40)로 잠금 상태를 고정한 후에 안전발판(71)을 밟고 호이스트(70) 내부로 들어온다.
그리고 안전발판(71)을 다시 호이스트(70) 내부로 회동시킨 다음에 호이스트(70) 출입문을 닫고 다른 층으로 이동을 하거나 또는 지상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층간 세대 출입문은 층간 세대 출입문이 닫힌 상태에서 호이스트 내부의 안전발판을 층간 세대 출입문 측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호이스트 외부로 나와서 안전발판을 밟고 층간 세대 출입문 바로 앞에서 손쉽게 잠금장치를 해제하거나 또는 다시 잠글 수 있고, 이는 결국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개폐문 10a : 상부 수평프레임
10b : 하부 수평프레임 10c : 측면 수직프레임
11 : 함몰부 11a : 절곡프레임
11b : 연결프레임 12 : 안전망
20 : 기둥 21 : 스크류바
22 : 지지판 30 : 힌지
40 : 잠금장치 50 : 손잡이
70 : 호이스트 71 : 안전발판
10b : 하부 수평프레임 10c : 측면 수직프레임
11 : 함몰부 11a : 절곡프레임
11b : 연결프레임 12 : 안전망
20 : 기둥 21 : 스크류바
22 : 지지판 30 : 힌지
40 : 잠금장치 50 : 손잡이
70 : 호이스트 71 : 안전발판
Claims (4)
- 호이스트(70) 바닥면에 사각 형상의 단일 판 형태로 한쪽 끝부분이 자유단을 이루면서 다른 쪽 끝부분이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안전발판(71)을 구비한 호이스트(70)에 의해 운반되는 자재 또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해 공사 건물의 각 측 외벽에 임시로 설치되는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100)으로,
작업자 또는 자재가 출입되는 건물 외벽의 운반 통로를 개폐하는 수단으로 하부에 상기 호이스트(70) 반대편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함몰부(11)가 일체로 형성된 개폐문(10)을 포함하되,
상기 함몰부(11)의 높이와 깊이는 상기 안전발판(71)이 호이스트(70)에서 건물 외벽 운반 통로 바닥면까지 회전 시에 안전발판(71) 끝부분이 그리는 회전반경 전체 범위에서 안전발판(71)의 끝부분이 개폐문(10)에 걸림 없이 회전되면서 함몰부(1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높이와 깊이를 갖고,
상기 개폐문(10)은 다수의 수직프레임(10c)과 수평프레임(10a)(10b)으로 구성되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함몰부(11)를 포함한 수직프레임(10c)과 수평프레임(10a)(10b) 사이 전체에는 안전망(12)이 설치되어 건물 내부에 있는 작업자 또는 자재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11)는 90도 각도로 절곡되거나 또는 'ㄷ' 자 형태로 절곡된 다수의 절곡프레임(11a)과, 상기 다수의 절곡프레임(11a)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1b)이 결합된 일체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상기 개폐문(10)을 이루는 수직프레임(10c)과 수평프레임(10b)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건물 외벽의 운반통로 좌,우측에는 상하로 수직 연결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수직기둥(20)이 설치되고, 상기 개폐문(10)은 상기 한 쌍의 수직기둥(20) 사이에서 좌, 우로 분리된 형태로 각각 설치되면서 상기 각 수직기둥(20)에 여닫이 방식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30)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8433A KR101205479B1 (ko) | 2012-04-13 | 2012-04-13 |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8433A KR101205479B1 (ko) | 2012-04-13 | 2012-04-13 |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5479B1 true KR101205479B1 (ko) | 2012-11-28 |
Family
ID=4756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8433A KR101205479B1 (ko) | 2012-04-13 | 2012-04-13 |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547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9390A (ko) | 2021-01-06 | 2022-07-13 | 주식회사 아진에이치앤에스 | 공사현장용 안전문 |
-
2012
- 2012-04-13 KR KR1020120038433A patent/KR1012054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9390A (ko) | 2021-01-06 | 2022-07-13 | 주식회사 아진에이치앤에스 | 공사현장용 안전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639896B1 (en) |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 |
KR101099764B1 (ko) |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 |
KR101843842B1 (ko) | 발코니 난간대 겸용 화재·재난 피난 시설 | |
KR101030286B1 (ko) |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 |
US4041646A (en) | Gate | |
KR101205479B1 (ko) |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 | |
KR100960150B1 (ko) | 비상용 개폐식 안전 난간 | |
KR101201714B1 (ko) | 건축용 발코니 난간구조 | |
KR101099765B1 (ko) |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 |
KR101161561B1 (ko) |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 |
KR101648354B1 (ko) |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접이식 난간 | |
KR20130047815A (ko) | 가변형 몸체를 가진 매립형 피난사다리 | |
KR101188140B1 (ko) |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 |
KR101323276B1 (ko) | 건물의 승강기 출입구용 안전문 | |
KR101035860B1 (ko) |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 |
KR102077135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 | |
KR100636880B1 (ko) | 비상대피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구조 | |
KR20230007700A (ko) | 하향식 터널형 피난 사다리 | |
KR101568030B1 (ko) | 사다리용 안전 출입문 | |
CN110694190B (zh) | 一种火灾联动型阳台栏板逃生通道 | |
KR102178504B1 (ko) | 건설 현장의 승강기 도어 안전장치 | |
JP3177214U (ja) | 下部開閉式バルコニー用パーティション | |
KR102665158B1 (ko) | 피난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확장형 조립식 발코니 | |
CN217434630U (zh) | 一种立模顶部护栏 | |
KR100908411B1 (ko) | 건설현장의 승강기용 안전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