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135B1 -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135B1
KR102077135B1 KR1020190053578A KR20190053578A KR102077135B1 KR 102077135 B1 KR102077135 B1 KR 102077135B1 KR 1020190053578 A KR1020190053578 A KR 1020190053578A KR 20190053578 A KR20190053578 A KR 20190053578A KR 102077135 B1 KR102077135 B1 KR 102077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handrail
rotating
hinge
veran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수
Original Assignee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티에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53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란다 일측 벽체의 내측 하단부 및 소정높이에 각각 설치되고, 단부에는 제 1 끼움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 1 브래킷; 상기 제 1 브래킷의 제 1 끼움공에 삽입된 제 1 고정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바 및 수직바에 의해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지지난간; 상기 제 1 지지난간의 단부에 제 1 경첩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회전 난간; 상기 제 1 회전 난간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핀; 베란다 타측 벽체의 내측 하단부 및 소정높이에 각각 설치되고, 단부에는 제 2 끼움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 2 브래킷; 상기 제 2 브래킷의 제 2 끼움공에 삽입된 제 2 고정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바 및 수직바에 의해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지지난간; 상기 제 2 지지난간의 단부에 제 2 경첩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회전 난간; 상기 제 2 회전 난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 하부에는 걸림핀이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쇠; 및 상기 베란다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의 하부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사다리차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APARTMENTHOUSE BALCONY STRUCTURE FOR THE TRANSPORT OF MOVING GOODS}
본 발명은 건축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베란다에 설치는 난간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사다리차를 이용한 이삿짐 운반시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삿짐을 수송할 수 있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단 난간용 철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특히, 계단실형, 집중형, 중복도형 아파트의 경우 건물 내/외부 경계선에 베란다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베란다의 단부는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철 구조물인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아파트는 거주자의 이사를 위한 이삿짐 운반시 베란다를 이용하여 이삿짐을 건물 외부로 반송하거나 내부로 옮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 공동주택의 베란다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2층 이상의 공동주택에는 응접실 등과 구분되는 소정 공간의 베란다가 설치된다.
이러한 베란다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난간이 시공됨으로써 베란다에서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난간은 철 구조물인 금속재 창살로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란다의 외측으로 배치되되, 베란다 벽체(6)(7)에 상호 소정의 이격을 두고 결합 고정되는 상/하측 수평부재(1)(2)와, 베란다의 바닥면에 돌출된 콘크리트 구조체(5)에 수직하게 결합 고정되는 다수의 수직부재(3)와, 상기 상/하측 수평부재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다수의 종간부재(4)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평부재(1)(2)와 수직부재(3)는 콘크리트 슬라브나 벽체에 수평/수직부재의 단부를 매립 시공함으로써 결합 고정시키거나 또는 아파트 시공 후 스터드 볼트나 앵커볼트 천공 후 상기 볼트(앵커볼트)와 수평/수직부재의 단부를 아크 용접함으로써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베란다 난간대는 상ㅇ하측 수평부재(1)(2)의 양단부 모두가 베란다의 양측 벽체(6)(7)에 각각 결합 고정되어 베란다의 외측 전면을 일정한 높이로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베란다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높이를 갖고 연장되게 설치된 난간이 분리 불가능하게 벽체에 결합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난간의 상단에 사다리차를 설치하여 이삿짐을 운반하였다.
즉, 베란다의 난간에 사다리의 끝부분을 밀착시킨 후 기계식 사다리를 전체적으로 아래로 지긋이 당겨 거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사다리의 상단부를 거치 시킨 후 거치부의 손상방지를 위해 거치 면을 천으로 덮고 이삿짐을 수송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이삿짐을 수송할 경우 거치된 단부의 좌우, 상하 이동이 자유로움에 따라 안전성이 미확보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예상치 못한 돌풍이 발생하거나, 이삿짐 운반 도중 기계식 사다리 자체의 휨이나 비틀림이 있는 경우 또는 사다리차와 지면과의 접점에서 작은 변형이 있는 경우에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안전사고로 인해 주차장의 출입구와 승용차가 파손되는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다.
특히, 공동주택 베란다 난간의 경우 난간 시공 건축법규에 따라 상부 어느 부분에 0.9KN의 집중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시공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삿짐 사다리차를 이용한 이삿짐 수송 시 베란다 난간에 가해지는 집중하중은 최대 6KN으로 상기 베란다 난간 설계하중을 큰 폭으로 초과하기 때문에 현재의 이삿짐 사다리 거치 방법은 근본적으로 안전에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베란다 난간은 상/하측 수평부재의 양단부 모두가 베란다의 양측 벽체에 각각 결합 고정되어 분리 불가능하고 베란다의 외측 전면을 일정한 높이로 세워져 있는 바, 이삿짐을 내/외부로 나르기 위해서는 해당 이삿짐을 상기 베란다 난간의 높이 이상으로 들어 올려야 사다리차로 옮길 수 있어 이삿짐 운반 및 취급이 불편하여 작업자의 피로감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삿짐 사다리차 전복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는 사다리 거치 방법의 불안전성을 제거하여 안전한 이삿짐 운반 작업을 보장하고, 난간 자체에 이삿짐 통과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편리하게 이삿짐을 수송할 수 있는 안전한 이삿짐 운반을 위한 공동주택 베란다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설치된 벽체로 이루어진 베란다에 있어서, 상기 일측 벽체의 내측 하단부 및 소정높이에 각각 설치되고, 단부에는 제 1 끼움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 1 브래킷; 상기 제 1 브래킷의 제 1 끼움공에 삽입된 제 1 고정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바 및 수직바에 의해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지지난간; 상기 제 1 지지난간의 단부에 제 1 경첩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회전 난간; 상기 제 1 회전 난간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핀; 베란다를 형성하는 타측 벽체의 내측 하단부 및 소정높이에 각각 설치되고, 단부에는 제 2 끼움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 2 브래킷; 상기 제 2 브래킷의 제 2 끼움공에 삽입된 제 2 고정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바 및 수직바에 의해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지지난간; 상기 제 2 지지난간의 단부에 제 2 경첩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회전 난간; 상기 제 2 회전 난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 하부에는 걸림핀이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쇠; 및 상기 베란다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의 하부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사다리차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다리 거치대를 통해 이삿짐 사다리차의 기계식 사다리를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시킴으로써 안전한 아파트 이삿짐 운송을 보장할 수 있겜 됨은 물론, 베란다의 난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이삿짐을 난간대 상부 이상으로 들어 올릴 필요 없이 베란다 바닥에서 수송 작업이 가능하여 이삿짐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베란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양측에 설치된 벽체(11)(12)로 이루어진 베란다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베란다를 형성하는 일측 벽체(11)의 내측 하단부 및 소정높이에 한 쌍의 제 1 브래킷(21)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브래킷(21)의 단부에는 제 1 끼움공(2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브래킷(21)의 제 1 끼움공(21a)에는 제 1 고정힌지(22)가 각각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 1 고정힌지(22)는 제 1 지지 난간(20)의 일측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 난간(20)은 수평바 및 수직바에 의해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 난간(20)의 단부에는 제 1 경첩(3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 1 회전난간(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회전 난간(40)은 수평바 및 수직바에 의해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 회전 난간(40)의 일측 상부 및 하부에는 걸림핀(41)이 각각설치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회전 난간(40)의 일측 하단에 제 1 고정핀(42)을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제 1 고정핀(42)은 스프링(90)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란다를 형성하는 타측 벽체(12)의 내측 하단부 및 소정높이에 한 쌍의 제 2 브래킷(51)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브래킷(51)의 단부에는 제 2 끼움공(5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브래킷(51)의 제 2 끼움공(51a)에는 제 2 고정힌지(52)가 각각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 2 고정힌지(52)는 제 2 지지 난간(50)의 일측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지지 난간(50)은 수평바 및 수직바에 의해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 난간(50)의 단부에는 제 2 경첩(6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제 2 회전 난간(7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회전 난간(70)은 수평바 및 수직바에 의해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2 회전 난간(70)의 일측 상/하부에는 에는 걸림쇠(7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걸림쇠(71)에는 걸림홈(71a)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회전 난간(70)의 일측 하단에 제 2 고정핀(72)을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제 2 고정핀(72)은 스프링(90)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란다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10)의 선단부 상면 중앙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고정홈(13) 및 제 2 고정홈(14)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베란다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10)의 하부에는 사다리차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거치대(80)가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란다의 난간을 폐쇄할 때에는 바닥판(10)의 선단의 상단에 위치되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지지 난간(20), 제 2 지지 난간(50), 제 1 회전 난간(40) 및 제 2 회전 난간(70)을 일직선 상으로 위치시키는 것이다.
이때 제 1 회전 난간(40)의 하단에 형성된 제 1 고정핀(42)은 스프링(9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 1 고정홈(13)에 긴밀히 삽입되고, 제 2 회전 난간(70)의 하단에 형성된 제 2 고정핀(72)은 스프링(9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 2 고정홈(14)에 긴밀히 삽입되어 난간의 하단부를 견고히 고정한다.
또한, 제 2 회전 난간(7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걸림쇠(71)를 회전시켜 걸림홈(71a)을 걸림핀(41)에 끼워 고정하는 것으로서, 난간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견고히 고정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베란다가 닫혀진 상태 즉, 평상시에는 바닥판(10)의 하부에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거치대(80)에 화분(도면 미도시)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사를 하고자 할 때에는 걸림쇠(71)를 회전시켜 걸림홈(71a)이 걸림핀(41)에서 분리시킨 후 제 1 지지 난간(20)과 제 1 회전 난간(40)의 중앙부를 내측으로 당기면 제 1 회전 난간(40)의 하단에 형성된 제 1 고정핀(42)은 스프링(90)을 압축하면서 제 1 고정홈(13)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지지 난간(20)과 제 1 회전 난간(40)의 중앙부는 제 1 경첩(30)을 중심으로 접혀지면서 베란다의 일측이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제 2 지지 난간(50)과 제 2 회전 난간(70)의 중앙부를 내측으로 당기면 제 2 회전 난간(70)의 하단에 형성된 제 2 고정핀(72)은 스프링(90)을 압축하면서 제 2 고정홈(14)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지지 난간(50)과 제 2 회전 난간(70)의 중앙부는 제 2 경첩(60)을 중심으로 접혀지면서 베란다의 타측이 개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베란다를 개방시킨 후 사다리차의 선단부를 바닥판(10)의 하부에 연장되기 설치된 거치대(80)의 상단에 접촉시키는 것이며, 이때 베란다의 바닥판(10) 상면과 사다리차의 선단부 상면이 평행하게 되어 이삿짐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바닥판 11, 12 : 벽체
13, 14 : 제 1 , 2 고정홈 20 : 제 1 지지 난간
21 : 제 1 브래킷 21a : 제 1 끼움공
22 : 제 1 고정힌지 30 : 제 1 경첩
40 : 제 1 회전 난간 41 : 걸림핀
42 : 제 1 고정핀 50 : 제 2 지지 난간
51 : 제 2 브래킷 51a : 제 2 끼움공
52 : 제 2 고정힌지 60 : 제 2 경첩
70 : 제 2 회전 난간 71 : 걸림쇠
71a : 걸림홈 72 : 제 2 고정핀
80 : 거치대

Claims (1)

  1.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양측에 설치된 벽체(11)(12)로 이루어진 베란다에 있어서,
    상기 벽체(11)의 내측 하단부 및 소정높이에 각각 설치되고, 단부에는 제 1 끼움공(21a)이 형성된 한 쌍의 제 1 브래킷(21);
    상기 제 1 브래킷(21)의 제 1 끼움공(21a)에 삽입된 제 1 고정힌지(2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바 및 수직바에 의해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지지 난간(20);
    상기 제 1 지지 난간(20)의 단부에 제 1 경첩(3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회전 난간(40);
    상기 제 1 회전 난간(40)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핀(41);
    상기 벽체(12)의 내측 하단부 및 소정높이에 각각 설치되고, 단부에는 제 2 끼움공(51a)이 형성된 한 쌍의 제 2 브래킷(51);
    상기 제 2 브래킷(51)의 제 2 끼움공(51a)에 삽입된 제 2 고정힌지(5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바 및 수직바에 의해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지지 난간(50);
    상기 제 2 지지 난간(50)의 단부에 제 2 경첩(6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회전 난간(70);
    상기 제 2 회전 난간(7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 하부에는 걸림핀(41)이 끼워지는 걸림홈(71a)이 형성된 걸림쇠(71);
    상기 베란다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판(10)의 하부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사다리차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거치대(80);
    상기 제 1 회전 난간(40)의 일측 하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 1 고정핀(42);
    상기 제 2 회전 난간(70)의 일측 하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 2 고정핀(72); 및
    상기 제 1 회전 난간(40) 및 제 2 회전난간(70)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9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
KR1020190053578A 2019-05-08 2019-05-08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 KR10207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578A KR102077135B1 (ko) 2019-05-08 2019-05-08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578A KR102077135B1 (ko) 2019-05-08 2019-05-08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135B1 true KR102077135B1 (ko) 2020-02-13

Family

ID=6951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578A KR102077135B1 (ko) 2019-05-08 2019-05-08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1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241A (ko) * 2009-05-08 2010-11-17 김광희 대형 접이식 대문
KR101201714B1 (ko) * 2012-06-08 2012-11-15 (주)투에이치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발코니 난간구조
KR20130050323A (ko) * 2013-04-01 2013-05-15 (주)티섹구조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 발코니 구조물을 이용한 이삿짐 안전 운반 방법
KR101684335B1 (ko) * 2016-04-11 2016-12-08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241A (ko) * 2009-05-08 2010-11-17 김광희 대형 접이식 대문
KR101201714B1 (ko) * 2012-06-08 2012-11-15 (주)투에이치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발코니 난간구조
KR20130050323A (ko) * 2013-04-01 2013-05-15 (주)티섹구조엔지니어링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 발코니 구조물을 이용한 이삿짐 안전 운반 방법
KR101684335B1 (ko) * 2016-04-11 2016-12-08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814B1 (en) Lifting system
US20060219478A1 (en) Construction
CA1227236A (en) Detachable gallery for use on buildings or the like
CA2655377A1 (en) Stairway for use on building sites
KR100592434B1 (ko) 화물의 운반이 용이한 건축용 회동난간
KR10207713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베란다 난간용 철 구조물
AU2021208843A1 (en) Mobile transport device and method for introducing an installation frame into a shaft
JP5430682B2 (ja) エレベータ
KR20110107684A (ko) 안전한 이삿짐 운반을 위한 공동주택 발코니 구조물
JP2843016B2 (ja) 折畳み式階段ユニットボックスおよびこれを用いた建物
KR20130050323A (ko) 공동주택 발코니 구조물을 이용한 이삿짐 안전 운반 방법
JP6000766B2 (ja) 室内作業床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64835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접이식 난간
JPH0738304Y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外扉装置
KR101205479B1 (ko) 건설현장용 층간 세대 출입문
KR20210023098A (ko) 화물운반 설비를 갖춘 다층 비계장치
KR102488039B1 (ko) 공사현장용 안전문
KR101100870B1 (ko) 공동주택용 난간의 보강 시설물
JP2014055494A (ja) 階段開口部用手摺枠
KR102655505B1 (ko) 확장가변형 곤돌라
JP2005082249A (ja) 外付けエレベータの建て方工法
EP0049234B1 (en) A device for the transport of material up and down along a guide
KR920006807Y1 (ko) 적층 절첩식 비계
JPS5929735Y2 (ja) 建物用避難装置
JPH05229765A (ja) ビル建設現場等の隙間における重量物昇降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重量物昇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