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음식은 거의 모두 간장·된장·고추장 등 장류로 간을 맞추고 맛을 내므로, 장의 맛은 곧 음식의 맛을 좌우하는 기본 요인이 된다.
한국에서 언제부터 된장을 먹었는지는 기록이 없어 확실한 것을 알 수 없지만, 중국의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에 “고구려에서 장양(藏釀)을 잘한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 이전부터 이미 된장·간장이 한데 섞인 걸쭉한 것을 담가 먹다가 삼국시대에 와서 간장·된장을 분리하는 기술이 발달되었 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장양이란 술빚기·장담그기 등 발효성 가공식품을 총칭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 조선시대 초·중기에 기록된 《구황촬요(救荒撮要)》와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는 각각 조장법(造醬法)항과 장제품조(醬諸品條)가 마련되어 있어 좋은 장을 담그는 방법을 상세히 제시하고 있는 것을 보면, 한국 식생활에서 장류가 얼마나 중요한 식품이었는가를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장제품조의 첫머리를 인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은 모든 음식맛의 으뜸이다. 집안의 장맛이 좋지 아니 하면 좋은 채소와 고기가 있어도 좋은 음식으로 할 수 없다. 설혹 촌야(村野)의 사람이 고기를 쉽게 얻을 수 없어도 여러 가지 좋은 맛의 장이 있으면 반찬에 아무 걱정이 없다. 우선 장담그기에 유의하고, 오래 묵혀 좋은 장을 얻게 함이 도리이다.” 이와 같이 좋은 장을 담그기 위하여 우리는 오래 전부터 여러 가지 배려를 하여 왔으며, 이러한 풍습은 공장생산 장류가 많이 시판되고 있는 지금까지도, 다만 분량이 크게 줄었을 뿐 대부분의 가정에 그대로 이어져 내려온다.
된장의 종류는 간장을 담가서 장물을 떠내고 건더기를 쓰는 재래식 된장과 메주에 소금물을 알맞게 부어 장물을 떠내지 않고 먹는 개량식 된장, 2가지 방법을 절충한 절충식 된장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계절에 따라 담그는 별미장으로, 봄철에 담그는 담북장·막장이 있고, 여름철에 담그는 집장·생황장, 가을철에 담그는 청태장·팥장, 겨울철에 담그는 청국장 등이 있다.
재래식 방법은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콩을 주원료로 하고 자연 상태에서 미생물이 착생·번식하도록 한 방법인데, 먼저 대두를 증자하고 마쇄하여 목침형, 구형 등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한 메주를 2~3일간 건조시켜 볏짚으로 엮어 약 1~2개월 정도 자연 발효시킨 후 메주를 세척하고 식염수에 2~6개월 담가 숙성시켜 제조하는 방법이다.
개량식 방법은 된장의 대량 생산을 위한 것으로 국균(Aspergillus oryzae) 및 고초균(Bacillus subtilis)을 쌀, 밀, 보리 등 전분질 원료에 접종하여 제국한 것을 증자한 대두 및 식염과 혼합하여 숙성시켜 제조하는 방법이다.
절충식 방법은 간장을 뜨고난 건더기로 된장을 담그면(재래식) 메주의 성분이 간장으로 많이 빠져 맛과 영양분이 적으므로, 간장도 맛있고 된장도 맛있는 것을 담그기 위해 이용한다. 굵직하게 빻은 메주를 미리 삼삼한 소금물에 되직하게 개어 삭혀 두었다가 간장을 뜨고 남은 메주 건더기에 섞어 질척하게 치대어 담아 봉해 두는 방법이다.
간장은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지에서 사용한다. 25 % 정도의 염분을 함유하며, 아미노산을 주로 한 독특한 맛이 난다. 옛날부터 간장맛이 좋아야 음식맛을 낼 수 있다고 하여 간장은 식생활에 중요한 조미료였다.
간장을 만드는 방법에는 크게 구분하여 재래식과 개량식이 있다. 재래식이란 일반 가정에서 만드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12월경에 콩으로 메주를 쑤어 자연발효시킨 후, 다음 해 2∼4월경에 식염수에 메주를 담가 1∼2개월 숙성시킨다. 그런 후에 메주를 뜨고 간장을 다리면서 맛과 수분을 조절한다. 재래식 메주는 여러 종류의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여 메주콩을 가수분해하므로, 좋지 않은 맛과 냄새가 나는 물질이 배설물로 생성되어 간장의 맛이 별로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는 미생물학의 발달로 인하여 단백질과 녹말을 가수분해시키는 강력한 힘을 가진, 황곡에서 분리한 누룩곰팡이를 배양하여, 이것으로 만든 누룩을 삶은 콩에 접종 ·발효시킨 메주를 건조시키는 일이 기업화되어 시중에서 판매된다. 이 개량메주로 재래식과 같은 방법에 의해 간장을 담그면 순수한 단맛이 나는 양질의 간장이 된다. 개량식 간장은 황곡에 의하여 생성된 아미노산 ·맥아당 ·포도당 등과, 그 밖에 효모와 젖산균에 의하여 생성된 알코올과 젖산이 함유되어 있어 좋은 향미를 가지고 있다.
간장의 소금 농도는 보통 18∼20 %이며, 간장이 갈색을 띠는 것은 아미노산의 분해산물인 멜라닌과 멜라노이딘에 의하는데, 속성간장인 시판품에는 캐러멜(물엿류)로 착색한 것도 있다. 간장의 냄새는 알코올 ·케톤 ·알데히드 ·휘발성산 ·에스테르 ·페놀 등이 혼합된 것이며, 간장의 고유한 맛은 β-메틸 메르캅토프로필 알코올(β-methyl mercaptopropyl alcohol)에 의한다.
양조간장은 장시일이 걸려서 제품이 생산된다. 최근에는 원료를 염산으로 단시간 내에 가수분해하여 아미노산을 생성한 다음,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재래식 간장의 색 ·맛 ·향기를 내는 화학약품을 첨가하여 속성의 아미노산 간장을 제조 ·판매하고 있다.
본 발명은 된장 및 간장의 맛과 색깔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고 더불어 기호 성도 향상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된장 및 간장의 맛과 색깔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고 더불어 기호성도 향상된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나무 줄기의 추출수, 대잎 추출수, 대나무 줄기와 대잎의 추출수 그리고 대나무 줄기와 모과잎 추출수를 사용하여 된장 및 간장을 제조하였을 때, 그것의 맛과 색깔이 본 발명자가 시험한 최대 36개월까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호성도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된장 및 간장의 제조 방법은, 통상의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물 대신에 대나무 줄기의 추출수, 대잎의 추출수, 대나무 줄기와 대잎의 추출수 또는 대나무 줄기와 모과잎의 추출수(이하 "대나무 줄기 추출수 등")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은, (a) 메주콩을 증자하고 마쇄하여 일정 모양으로 성형한 메주를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키고, (b) 그 발효된 메주를 표면 세척하고 쪼개어 건조시키고, (c) 건조된 메주를 소금이 혼합된 대나무 줄기 추출수 등에 담가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특히 대나무 줄기와 모과잎 추출수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보여주는 바인데, 그러한 경우가 가장 된장 및 간장의 맛과 색깔이 장기간 유지되는 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기호도도 높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대나무 줄기 등의 추출수는 추출 대상인 대나무 줄기, 대잎 및/또는 모과잎을 물에 침지시켜 추출하거나 물에 침지시킨 후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가열하여 추출할 경우에 추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데, 하기 실시예에서는 가열 시간을 4 내지 6시간 정도로 하였다.
한편, 가열하지 않고 단순히 침지시켜 추출할 경우에는 대나무 줄기, 대잎 등을 분쇄하여 얻어진 분쇄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하지 않을 경우에 추출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가열하여 추출할 경우에도 대나무 줄기, 대잎 등을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분쇄하여 추출할 경우에 추출이 끝난 후에도 분쇄물을 제거하고 추출수만을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일정한 모양이란 통상은 목침형 또는 원통형을 의미하지만 기타 임의의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그 후 단계인 자연 발효에 적절한 형상이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킨다는 것을 개량식 된장의 제조방법과 달리 발효 미생물의 접종이 인위적인 조작 없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국균, 고초 균 등 복합 균이 자연적으로 접종되어 발효가 진행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메주를 표면 세척 후 쪼개어 건조시키는 것은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에서 통상 채택되는 공정인데, 메주 내부의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서이다.
한편, 본 발명의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에서 대나무 줄기 추출수 등이 사용되는 경우 이외에 된장의 기호성이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타의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는데, 그러한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액체육젓(대한민국 특허 제0047955호), 사과(대한민국 특허 제0440796호), 표고버섯(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24798호), 녹차(대한민국 특허 제0297284호), 매실(대한민국 특허 제0459324호), 연긋(대한민국 특허 제0524375호)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된장 또는 간장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전술한 바의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이란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모든 양태의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된장 및 간장의 맛과 색깔을 유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된장 및 간장의 제조시에 대나무 줄기 추출수 등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된장 및 간장의 맛과 색깔을 유지시키는 방법은 (a) 메주콩을 증자하고 마쇄하여 일정 모양으로 성형한 메주를 자연 상태에서 발효시키고, (b) 그 발효된 메주를 표면 세척하고 쪼개어 건조시키고, (c) 건조된 메주를 소금이 혼합된 대나무 줄기 추출수 등에 담가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타 본 발명의 된장 및 간장의 제조방법에 대해 전술한 바의 설명은 그 바람직한 양태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된장 및 간장의 맛과 색깔을 유지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도 그대로 유효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나무 줄기 추출수 등을 이용함으로써 된장 및 간장의 맛과 색깔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된장 및 간장의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대나무 줄기
추출수
및 된장의 제조
<실시예 1> 대잎 추출수의 제조
대잎 1㎏에 4L의 물을 가한 후 4시간 정도 90℃ 전후의 온도로 가열하여 추출수를 얻었다.
<실시예 2> 대나무 줄기 추출수의 제조
대나무 줄기를 15 내지 20㎝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세절하고, 그 세절된 대나무 줄기 1㎏에 4L의 물을 가한 후 4시간 정도 90℃ 전후의 온도로 가열하여 추출수를 얻었다.
<실시예 3> 대나무 줄기 및 대잎 추출수의 제조
대나무 줄기를 15 내지 20㎝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세절하고, 그 세절된 대나무 줄기 1㎏과 대잎 200g에 6L의 물을 가한 후 6시간 정도 90℃ 전후의 온도로 가열하여 추출수를 얻었다.
<실시예 4> 대나무 줄기 및 모과잎 추출수의 제조
15 내지 20㎝ 정도로 세절된 대나무 줄기 1㎏ 및 모과잎 200g에 6L의 물을 가한 후 6시간 정도 90℃ 전후의 온도로 가열하여 추출수를 얻었다.
<실시예 5> 된장 및 간장의 제조예 1 내지 4
<실시예 5-1> 대잎 추출수를 사용한 된장 및 간장의 제조예 1
콩 10㎏을 약 3시간 동안 삶은 다음, 콩을 건져 마쇄하고, 목침형 형상의 4개의 메주를 만들었다. 만든 메주는 볏짚으로 묶고 그늘에서 1개월 정도 건조하면서 발효시킨 다음 메주 표면을 세척하고 메주를 쪼개어 5시간 정도 햇빛에 건조시켰다. 이후 10:1의 중량비(추출수 : 소금)로 소금이 혼합된 대잎 추출수에 상기 메주를 넣고 숙성시켜 된장 및 간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2> 대나무 줄기 추출수를 사용한 된장 및 간장의 제조예 2
상기 <실시예 5-1>과 동일하게 된장을 제조하되 상기 대잎 추출수 대신에 대나무 줄기 추출수을 사용하여 된장 및 간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3> 대나무 줄기 및 대잎 추출수를 사용한 된장 및 간장의 제조예 3
상기 <실시예 5-1>과 동일하게 된장을 제조하되 상기 대잎 추출수 대신에 대나무 줄기와 대잎 추출수를 사용하여 된장 및 간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4> 대나무 줄기 및 모과잎 추출수를 사용한 된장 및 간장의 제조예 4
상기 <실시예 5-1>과 동일하게 된장을 제조하되 상기 대잎 추출수 대신에 대나무 줄기와 모과잎 추출수를 사용하여 된장 및 간장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된장 및 간장의 관능 검사 및
생균수의
측정
<실험예 1> 된장에 대한 관능 검사
상기 <실시예 5>에서 얻어진 각 된장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하였다. 관능 평가는 상기 <실시예 5>에서 얻어진 각 된장의 숙성 기간이 40일, 6개월, 12개월, 24개월 및 36개월이 된 시점에서 직접 맛과 색깔을 평가하였다. 평가 인원은 30명으로 하고, 아래의 5점 척도법에 의하여 점수를 주도록 하였다. 결과를 평가 항목 별로 <표 1>에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맛과 색깔에 대한 점수기준>
5점: 매우 우수하다. 4점: 우수하다.
3점: 보통이다. 2점: 나쁘다.
1점: 매우 나쁘다.
여기서 비교예로서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대나무 줄기 등의 추출수 대신에 10:1로 물과 소금이 혼합된 식염수를 사용하여 제조한 된장을 사용하였다.
된장의 관능 평가 결과
구분 |
40일 |
6개월 |
12개월 |
24개월 |
36개월 |
맛 |
색깔 |
맛 |
색깔 |
맛 |
색깔 |
맛 |
색깔 |
맛 |
색깔 |
제조예1 |
3.89 |
3.84 |
4.01 |
3.92 |
4.07 |
3.80 |
4.11 |
4.13 |
4.01 |
3.87 |
제조예2 |
4.37 |
4.58 |
4.45 |
4.37 |
4.48 |
4.43 |
4.54 |
4.48 |
4.51 |
4.46 |
제조예3 |
4.51 |
4.65 |
4.81 |
4.49 |
4.53 |
4.45 |
4.59 |
4.52 |
4.62 |
4.58 |
제조예4 |
4.89 |
4.92 |
4.92 |
4.83 |
4.81 |
4.91 |
4.95 |
4.88 |
4.92 |
4.91 |
비교예1 |
3.50 |
3.29 |
3.07 |
2.98 |
2.75 |
2.53 |
2.12 |
2.04 |
1.56 |
1.88 |
상기 <표 1>의 결과는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된장의 경우 그 제조방식을 불문하고 맛과 색깔에 대한 관능 평가 결과가 높음을 보여준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된장의 경우 비교예와 비교할 때, 맛과 색깔이 본 발명자가 시험한 최장 36개월까지 변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됨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염의 농도가 낮으면 포도상구균 등의 곰팡이 균에 의하여 된장의 맛과 색깔이 변질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비교예의 경우 식염의 농도가 낮아 맛과 색깔이 변질되는 것으로 보이며, 본 발명에 의한 된장의 경우는 식염의 농도가 낮지만 대나무 줄기 추출수 등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그 맛과 색깔이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여 된장을 제조할 때 대나무 줄기와 모과잎 추출수를 사용한 경우(<제조예 4>)가 가장 관능 평가 결과가 높았다.
대잎 추출수를 사용한 경우(<제조예 1>)는 비교예에 비하여 관능 평가 결과가 높기는 하였으나 전체적으로 다른 추출수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관능 평가 결과가 낮았다.
또한 대나무 줄기 추출수를 사용하거나(<제조예 2>) 대나무 줄기와 대잎 추출수(<제조예 3>)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관능 평가 결과에서 특별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다.
<실험예 2> 미생물의 생균수 측정
상기 <실시예 5>에서 얻어진 각 된장의 숙성 기간이 40일, 6개월, 12개월, 24개월 및 36개월이 경과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생균수는 시료 10g을 취하여 적정 농도로 희석하고 희석된 시료 100㎕를 취하여 평판아가(Difco co.)에 도달하고 30℃에서 24시간 배양하여 ㎖당 콜로니 형성 단위(CFU)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표 2>와 같다.
된장의 미생물 생균 수의 측정결과
구분 |
40일(CFU/㎖) |
6개월(CFU/㎖) |
12개월(CFU/㎖) |
24개월(CFU/㎖) |
36개월(CFU/㎖) |
제조예1 |
4.0*108 |
3.9*108 |
4.1*108 |
4.0*108 |
4.1*108 |
제조예2 |
4.3*108 |
4.2*108 |
4.3*108 |
4.4*108 |
4.4*108 |
제조예3 |
4.8*108 |
4.7*108 |
4.8*108 |
4.7*108 |
4.8*108 |
제조예4 |
5.3*108 |
5.3*108 |
5.4*108 |
5.4*108 |
5.3*108 |
상기 <표 2>는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된장의 경우 그 제조 방식을 불문하고 생균수에 있어서, 본 발명자가 시험한 최장 36개월까지 거의 변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됨을 볼 수 있다.
<표 2>의 결과는 된장이 장기간 맛과 색깔이 변하지 않는다는 상기 <표 1>의 결과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해준다고 할 수 있다.
<실험예 3> 간장에 대한 관능 검사
상기 <실시예 5>에서 얻어진 각 간장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하였다. 관능 평가는 상기 <실시예 5>에서 얻어진 각 간장의 숙성 기간이 40일, 6개월, 12개월, 24개월 및 36개월이 된 시점에서 직접 맛과 색깔을 평가하였다. 평가 인원은 30명으로 하고, 아래의 5점 척도법에 의하여 점수를 주도록 하였다. 결과를 <표 3>에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맛과 색깔에 대한 점수기준>
5점: 매우 우수하다. 4점: 우수하다.
3점: 보통이다. 2점: 나쁘다.
1점: 매우 나쁘다.
여기서 비교예로서는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대나무 줄기 등의 추출수 대신에 10:1로 물과 소금이 혼합된 식염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간장을 사용하였다.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의 간장의 관능 평가 결과
구분 |
40일 |
6개월 |
12개월 |
24개월 |
36개월 |
맛 |
색깔 |
맛 |
색깔 |
맛 |
색깔 |
맛 |
색깔 |
맛 |
색깔 |
제조예1 |
3.76 |
3.64 |
3.62 |
3.67 |
3.45 |
3.79 |
3.68 |
3.83 |
3.79 |
3.85 |
제조예2 |
4.23 |
4.21 |
4.37 |
4.24 |
4.29 |
4.31 |
4.27 |
4.22 |
4.36 |
4.38 |
제조예3 |
4.35 |
4.43 |
4.42 |
4.40 |
4.39 |
4.44 |
4.36 |
4.42 |
4.47 |
4.50 |
제조예4 |
4.85 |
4.86 |
4.78 |
4.74 |
4.68 |
4.83 |
4.77 |
4.73 |
4.69 |
4.72 |
비교예1 |
3.23 |
3.21 |
3.07 |
3.11 |
2.84 |
2.76 |
2.53 |
2.51 |
2.26 |
2.19 |
상기 <표 3>의 결과도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간장의 경우 본 발명의 된장의 경우와 비슷하게 그 제조방식을 불문하고 맛과 색깔에 대한 관능 평가 결과가 높음을 보여준다. 특히 본 발명의 간장의 경우 비교예와 비교할 때, 맛과 색깔이 본 발명자가 시험한 최장 36개월까지 변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됨을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간장의 경우도 대나무 줄기 및 모과잎 추출수를 사용한 경우(<제조예 4>)가 가장 관능 평가 결과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