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875B1 - 자동차용 패스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패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875B1
KR100906875B1 KR1020070098608A KR20070098608A KR100906875B1 KR 100906875 B1 KR100906875 B1 KR 100906875B1 KR 1020070098608 A KR1020070098608 A KR 1020070098608A KR 20070098608 A KR20070098608 A KR 20070098608A KR 100906875 B1 KR100906875 B1 KR 100906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over
wing
cut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3548A (ko
Inventor
권재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8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875B1/ko
Publication of KR2009003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 F16B15/06Nails; Staples with barbs, e.g. for metal parts; Drive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 F16B15/02Nails; Staples with specially-shaped heads, e.g. with enlarg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5Bolts fastening by swaged-on co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부품 간에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패스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개되어 펼쳐진 형태로 사출 제작한 후 조립수단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조립함으로써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게 구성된 자동차용 패스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반으로 절개되고, 그 절개면에 끼움돌기와 끼움홈이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된 헤드; 절개된 상기 헤드의 하단면에 각각 연결되어 좌우 대칭 형태로 벌어진 윙; 상기 윙의 상단에 위치되는 커버 로드와 이 커버 로드의 상단에 구성되는 커버; 절개된 상기 헤드의 하단면에 각각 구성되되, 상기 윙보다 바깥 측에 위치되는 셀프 폴딩 로드; 상기 헤드에 상기 커버 로드가 소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헤드홀; 상기 커버 로드에 구성된 픽싱 후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 픽싱 후크에 대응되게 상기 헤드홀에 구성되는 픽싱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스너를 제공한다.
패스너, 절개, 사출, 일체, 끼움돌기, 끼움홈, 픽싱 후크, 픽싱홈, 윙

Description

자동차용 패스너{Fast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부품 간에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패스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개되어 펼쳐진 형태로 사출 제작한 후 조립수단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조립함으로써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게 구성된 자동차용 패스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다양한 구성부품을 결합 또는 장착하거나 각각의 판넬을 연결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손쉽게 하기 위해 패스너를 사용한다.
용접을 하면 확실하게 고정 연결되지만 영구적이기 때문에 다시 분리할 수가 없는 반면에 패스너는 그로멧과 핀, 드라이버만 있으면 간단하게 고정하고 다시 분리할 수 있어서 그 이용도가 높다.
첨부한 도 6과 도 7은 종래 패스너를 도시한 사진도로, 도 6은 일체형으로 제작된 패스너이고, 도 7은 그로멧과 핀으로 구성되는 패스너이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패스너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원피스(one piece) 방식과 투피스(two piece) 방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 투피스 방식의 경우 생산 공법상 단가가 높고 해체가 불리하지만 체결력이 높아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원피스 방식의 패스너는 체결력이 높지 않아 주로 와이어링 패스너로 사용되고 있다.
원피스 패스너의 체결 방식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너의 암(arm) 부분이 접힌 상태로 홀(hole)을 통과하여 재료의 탄성으로 인해 다시 원형을 복원하면서 고정되는 방식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원피스 방식의 패스너는 조립 편의 위주로 제작되기 때문에, 해체시 여러 가지 어려움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패스너 상면에서 공구를 통해 해체할 시 패스너의 분리가 어렵고 심지어 패스너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교체가 빈번히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패스너는 홀(hole) 시공된 제품의 안쪽 부분에 사용되기 때문에 패스너를 체결한 후 패스너의 암을 오므려 해체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해체 시 패스너에 많은 손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절개된 형태로 사출 제작한 후 일체로 구성된 조립수단을 이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하여 사용시 손상되지 않는 자동차용 패스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용 패스너에 있어서,
반으로 절개되고, 그 절개면에 끼움돌기와 끼움홈이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된 헤드; 절개된 상기 헤드의 하단면에 각각 연결되어 좌우 대칭 형태로 벌어진 윙; 상기 윙의 상단에 위치되는 커버 로드와 이 커버 로드의 상단에 구성되는 커버; 절개된 상기 헤드의 하단면에 각각 구성되되, 상기 윙보다 바깥 측에 위치되는 셀프 폴딩 로드; 상기 헤드에 상기 커버 로드가 소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헤드홀; 상기 커버 로드에 구성된 픽싱 후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 픽싱 후크에 대응되게 상기 헤드홀에 구성되는 픽싱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윙에 다수의 슬롯(slot)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의 상단면에서 상기 픽싱홈까지 내리막으로 경사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상단부에 커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픽싱홈은 ㄴ자 모양의 슬릿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헤드의 상단면으로 연결되어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패스너는 체결력이 우수한 일체형 패스너로 제작되어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그로멧과 핀으로 구성되는 투피스 방식에 비해 50%의 원가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원피스 방식에 비해 작업 후 손상이 없어 원가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해체 시간이 기존 패스너에 비해 80% 정도의 감소 효과를 보여 해체 시간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현된 자동차용 패스너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의 사출 제작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현된 자동차용 패스너의 일실시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형태로 일부가 절개 사출되어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한 일체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헤드(head)(10) 및 윙(wing)(14)과 셀프 폴딩 로드(self folding rod)(16)가 두 개의 형상으로 분리되어 만들어지고, 이를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10)에는 끼움홈(12)과 끼움돌기(11)가 마련되며, 체결 및 해체를 위해 상기 윙(14)의 상단에 구성되는 커버 로드(cover rod)(19)에는 상기 헤드(10)의 픽싱홈(21)에 대응되는 픽싱 후크(fixing hook)(20)가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스너의 일실시 예는 일체형으로 구성 가능하도록 상단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원판형의 헤드(10)가 반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이를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10)의 일측 절단면에 두 개의 끼움돌기(11)가 형성되고 타측 절단면에는 이 끼움돌기(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두 개의 끼움홈(12)이 형성된다.
길고 납작한 바(bar) 형상으로 마련되는 상기 윙(14)도 본 발명의 패스너가 일체형으로 구성 가능하도록 좌우 대칭 형태를 갖추면서 절개되어 두 개로 벌어지며 구성되고, 절개된 상기 헤드(10)의 하단면에 각각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윙(14)은 형상 변형을 통해 판재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얇은 일자 모양의 슬롯(slot)(15)을 길이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두 개 형성하여 자체 힌지 역할을 하여 형상 변형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윙(14)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17)와 일체로 연결되는 커버 로드(19)가 구성되며, 이 커버 로드(19)는 상기 헤드(10)가 조립되면서 중앙(상기 끼움돌기(11) 사이)에 마련되는 헤드홀(13)에 위치하여 패스너의 체결 및 해체시 소통하게 된다.
상기 커버(17)는 상단면에 일자 드라이버 따위를 삽입하기 위한 얇고 긴 슬릿(slit) 모양의 커버홈(18)이 마련된다.
상기 커버 로드(19)는 본 발명의 패스너가 체결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픽싱 후크(20)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홀(13)에는 상기 픽싱 후크(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픽싱홈(21)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픽싱홈(21)에 결합되는 픽싱 후크(20)가 위치에 관계없이 픽싱홈(2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헤드(10)의 상단면에서 상기 픽싱홈(21)까지 내리막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바, 이에 상기 헤드(10)를 가압하면 픽싱 후크(20)가 헤드(10)의 상단면에서 픽싱홈(21)까지의 내리막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하강하는 동시에 픽싱홈(21)의 안으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픽싱홈(21)은 ㄴ자 모양의 슬릿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헤드(10)의 상단면으로 연결되어 개구된다.
이때, 상기 픽싱홈(21)에 삽입된 픽싱 후크(20)가 이탈하기 위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픽싱 후크(20)가 형성된 커버 로드(19)의 양측면과 상기 헤드홀(13)이 대응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미세한 갭이 형성되도록 제작한다.
한편, 상기 헤드(10) 하단면에는 셀프 폴딩 로드(16)가 상기 헤드(10)의 절단면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성되고, 이 셀프 폴딩 로드(16)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7)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윙(14)으로 전달되는 경우 서로 간에 간섭을 통해 윙(14)이 벌어지도록 받쳐주기 위하여, 상기 윙(14)보다 바깥 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같이 사출되는 패스너를 도 5와 같이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윙(14)을 상기 셀프 폴딩 로드(16) 안쪽으로 접어 넣고 상기 헤드(10)의 끼움돌기(11)를 끼움홈(12)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 다음, 고정하고자 하는 판재에 본 발명의 패스너를 삽입하고 커버(17)의 상단에 힘을 가해 누른다.
그럼, 상기 커버 로드(19)가 상기 헤드홀(13)을 관통하면서, 픽싱 후크(20)가 상기 헤드홀(13)의 경사진 면으로 미끄러져 픽싱홈(21)에 삽입되고, 상기 윙(14)이 셀프 폴딩 로드(16)와 접하게 되면서 간섭되어, 도 5와 같이 상기 윙(14)이 벌어지면서 판재를 고정하고 상기 커버(17)는 헤드(10)의 상단면에 안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17)는 체결시 패스너 본체에 가해지는 힘을 받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해체시에는 상기 커버(17) 상단부의 커버홈(18)에 일자 드라이버를 삽입한 후 5~10°정도 강제 회전시키면, 커버(17) 및 커버로드(19)가 동시에 5~10°정도 강제 회전되고, 이에 커버로드(19)에 형성된 픽싱 후크(20)가 ㄴ자 모양의 슬릿으로 이루어진 픽싱홈(21)을 따라 수형방향 회전되면서 헤드쪽으로 개구된 상기 픽싱홈(21)의 일측부분 즉, 헤드(10)의 상단면으로 연결되어 위쪽으로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이탈되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패스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픽싱 후크(20)가 회전되면 벌어진 상기 윙(14)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는 힘을 받으면서 상기 픽싱홈(21)의 상부 개구를 통해 상기 픽싱 후크(20)가 이탈되어 해체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현된 자동차용 패스너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의 사출 제작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과 도 7은 종래 패스너를 도시한 사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 11 : 끼움돌기
12 : 끼움홈 13 : 헤드홀
14 : 윙 15 : 슬롯
16 : 셀프 폴딩 로드 17 : 커버
18 : 커버홈 19 : 커버 로드
20 : 픽싱 후크 21 : 픽싱홈

Claims (5)

  1. 자동차용 패스너에 있어서,
    반으로 절개되고, 그 절개면에 끼움돌기(11)와 끼움홈(12)이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된 헤드(10);
    절개된 상기 헤드(10)의 하단면에 각각 연결되어 좌우 대칭 형태로 벌어진 구조로서, 접힘 가능하도록 슬롯(15)이 형성된 윙(14);
    상기 윙(14)의 상단에 위치되는 커버 로드(19)와 이 커버 로드(19)의 상단에 구성되는 커버(17);
    절개된 상기 헤드(10)의 하단면에 각각 구성되되, 상기 윙(14)보다 바깥 측에 위치되는 셀프 폴딩 로드(16);
    상기 헤드(10)에 상기 커버 로드(19)가 소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헤드홀(13);
    상기 커버 로드(19)에 구성된 픽싱 후크(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 픽싱 후크(20)에 대응되게 상기 헤드홀(10)내에 구성되는 픽싱홈(21);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헤드(10)에서 픽싱홈(21)까지는 픽싱 후크(20)가 삽입되는 경로로서 내리막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스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픽싱홈(21)은 ㄴ자 모양의 슬릿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헤드(10)의 상단면으로 연결되어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패스너.
KR1020070098608A 2007-10-01 2007-10-01 자동차용 패스너 KR100906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608A KR100906875B1 (ko) 2007-10-01 2007-10-01 자동차용 패스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608A KR100906875B1 (ko) 2007-10-01 2007-10-01 자동차용 패스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548A KR20090033548A (ko) 2009-04-06
KR100906875B1 true KR100906875B1 (ko) 2009-07-08

Family

ID=4075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608A KR100906875B1 (ko) 2007-10-01 2007-10-01 자동차용 패스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8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810U (ja) * 1981-07-03 1983-01-12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締結装置
JP2002106519A (ja) * 2000-09-29 2002-04-10 Piolax Inc クリップ
JP2003072599A (ja) * 2001-09-05 2003-03-12 Piolax Inc 防水型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810U (ja) * 1981-07-03 1983-01-12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締結装置
JP2002106519A (ja) * 2000-09-29 2002-04-10 Piolax Inc クリップ
JP2003072599A (ja) * 2001-09-05 2003-03-12 Piolax Inc 防水型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548A (ko) 200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2760B1 (en) Trim Retainer
US7841817B2 (en) Pin and bush fastener with high fastening strength, and airbag attached to vehicle body by such a fastener
CN106797088B (zh) 保持框架及其制造方法
US8875357B2 (en) Clip
US20060042053A1 (en) Fastener device
JP2002213417A (ja) 留め具
US8424170B2 (en) Plastic hinged trim clip
JP2006336821A (ja) 高固定強度の固定具
JP2004156722A (ja) 本留め用の雄パーツを有する連結具
US20070040404A1 (en) Vehicle trim locating and attachment system
EP2990667B1 (en) Plastic serviceable screw grommet and related methods
US10464501B2 (en) Fastener for attaching a trim component to an inner structure of a vehicle
US20080115346A1 (en) Sheet attaching instrument
JP2007170460A (ja) 2ピース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06875B1 (ko) 자동차용 패스너
JP2007170458A (ja) 2段係止クリップ
JPH109237A (ja) クリップ
KR200334145Y1 (ko) 절첩되는 헤어밴드
JP2006112546A (ja) クリップ
JPH0828529A (ja) クリップ
CN107084177B (zh) 紧固件及部件安装构造
JP6203772B2 (ja) スクリューホール用キャップ
KR20090130469A (ko) 자동차용 패스너
KR101033902B1 (ko) 자동차용 패스너
JP3613196B2 (ja) フェンダーライナー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