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977B1 - 발아배아미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발아배아미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977B1
KR100904977B1 KR1020020059945A KR20020059945A KR100904977B1 KR 100904977 B1 KR100904977 B1 KR 100904977B1 KR 1020020059945 A KR1020020059945 A KR 1020020059945A KR 20020059945 A KR20020059945 A KR 20020059945A KR 100904977 B1 KR100904977 B1 KR 100904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grains
germinated
embryos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9464A (ko
Inventor
사따께도시꼬
가네모또시게하루
가와노유끼히로
마쯔모또노부히로
히로나까가즈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ublication of KR20030029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 B02B1/06Devices with rotary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현미에 수분을 첨가하여 배아를 발아시킨 발아현미에 온습풍을 쏘임으로써 쌀알표면의 부착수(付着水)를 제거하는 동시에, 쌀알표면을 정미기에 의하여 배아를 남기면서 도정(搗精)하여 발아배아미로 만든다. 다음으로 이 쌀알중량의 1∼10% 정도의 수분을 첨가하여 쌀알표면을 연화시키고, 이 쌀알과, 쌀알의 입도(粒度)보다 작은 일정한 입도로 조립(造粒)하여 60℃ 이상으로 가열한 입상물을 교반ㆍ혼합하고, 도정후의 쌀알표면에 잔존하는 쌀겨를 이 입상물에 흡착시켜 제거한다. 다시 이 쌀알과 입상물을 분리한다.

Description

발아배아미의 제조방법 및 장치{PRODUCTION METHOD OF GERMINATION EMBRYO-RETAINING POLISHED R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이루는 발아배아미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 는 취반전에 씻지 않아도 되는 발아배아미의 쌀알 가공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쌀알 가공장치 2 습식가공부
3 입상물 혼합부 4 분리건조부
5 스크류통 6 스크류축
7 공급구 8 공급통
9 배출구 10 배출통
본 발명은 식감, 외관, 소화성 및 취반성을 향상시키고, 취반전에 씻지 않아도 되는 발아배아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아현미는 혈압의 강하작용이나 정신안정작용이 있는 γ-아미노부티르산 (γ-aminobutyric acid, GABA) 이나 페루라산 (ferulic acid) 등의 영양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건강기호가 높아짐과 동시에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현미 상태에서는 취반성이 나빠, 먹기 좋게 하려면 발아현미를 정미하여 통상 정미와 동일하게 과피와 표피 모두를 제거하여 배아만을 남기고, 이 배아를 발아시킨 것을 발아배아미로서 상품 제공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로써, 현미를 꺼리는 사람도 부담 없이 먹을 수 있으며, 또한 현미에 비하여 식물섬유가 적어지므로, 매일 먹더라도 설사를 할 염려도 해소되는 것이다.
그러나, 배아만을 남기고, 배아를 발아시킨 발아배아미에 있어서는, 과피나 표피를 제거하고 나서, 앨류론층 (aleurone layer) 이나 전분질 배유부분이 노출되고, 쌀겨제거가 불완전하면 열화되거나, 쌀겨냄새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어, 발아배아미를 포장하여 상품화할 때는 보존성 향상이나 제품품질 향상 면에서 난점이 있었다.
또한, 발아배아미를 취반할 때는, 취반전의 쌀씻기 공정에 의하여 배아의 잔아율이 10∼20%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식감, 외관, 소화성 및 취반성을 향상시키고, 취반전에 씻지 않아도 되는 발아배아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미에 수분 (moisture content) 을 첨가하여 배아를 발아시킨 발아현미에 온습풍을 쏘임 (스티밍) 으로써 쌀알표면 의 부착수를 제거하는 동시에, 쌀알표면을 연삭식 및 마찰식 정미기에 의하여 배아를 남기면서 도정하여 발아배아미로 만들고, 다음으로 이 쌀알중량의 1∼10% 정도의 수분을 첨가하여 쌀알표면을 연화시키고, 이 쌀알과, 쌀알의 입도보다 작은 일정한 입도로 조립(造粒)하여 60℃ 이상으로 가열한 입상물을 교반ㆍ혼합하고, 도정후의 쌀알표면에 잔존하는 쌀겨를 이 입상물에 흡착시켜 제거하고, 다시 이 쌀알과 입상물을 분리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이로써, 배아에서 발아한 발아현미에 온습풍을 쏘임으로써 쌀알표면의 부착수를 제거하여 도정하기 쉽게 하고, 다음으로 통상의 연삭식 및 마찰식 정미기에 의하여, 과피와 표피 모두를 제거하고, 배아만을 남겨 도정하여 발아배아미로 여공(如工)한다. 이 때, 쌀알표면의 오목부에는 극히 얇은 앨류론층이나 쌀겨가루가 부착되어 있는데, 쌀알중량의 1∼10% 정도의 수분을 첨가하여 쌀알표면을 연화시키고, 이 쌀알과, 쌀알의 입도보다 작은 일정한 입도로 조립하여 60℃ 이상으로 가열한 입상물을 교반ㆍ혼합하고, 도정후의 쌀알표면에 잔존하는 쌀겨를 이 입상물에 흡착시키 제거하면, 쌀알 오목부내의 쌀겨가 완전히 제거되어, 식감, 외관, 소화성 및 취반성을 향상시키고, 취반전에 씻지 않아도 되는 발아배아미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취반전의 쌀씻기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배아의 잔아율이 향상된다.
또한, 얻어진 발아배아미를 수분 12∼16% 로 조습 (moisture conditioning) 하는 건조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면, 발아배아미를 포장하여 상품화할 때,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를 이루는 발아배아미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통상의 현미에 수분을 30∼33% 중량 첨가하여 발아시키고, 이 발아현미를 온도 90∼95℃, 수분 25∼27% 의 온습풍에 의하여 5분간 스티밍을 실시한다. 이로써, 발아현미의 쌀알표면의 부착수를 제거할 수 있어, 다음의 도정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도정공정에서는, 통상의 연삭식 정미기에 의하여 발아현미의 표면에 흠을 내고, 다음으로 통상의 마찰식 정미기에 의하여 알맹이 마찰을 행하여 배아만을 남기고, 표피 및 과피를 제거하여 수율 약 95∼94% 정도의 발아배아미로 가공한다.
그리고, 얻어진 발아배아미에 쌀알중량의 약 1∼10% 정도의 수분을 첨가하여 쌀알표면을 연화시키고, 이 쌀알과, 쌀알의 입도보다 작은 일정한 입도로 조립하여 60℃ 이상으로 가열한 입상물을 교반ㆍ혼합하고, 쌀알표면의 오목부에 잔존하는 쌀겨를 입상물에 흡착시켜 제거하고, 다시 이 쌀알과 입상물을 분리하고, 수율을 약 89∼94% 로 한정시키는 가공을 하면, 취반전에 씻지 않아도 되는 발아배아미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얻어진 발아배아미를 수분 12∼16% 로 조습하는 건조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면, 발아배아미를 포장하여 상품화할 때,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는 취반전에 씻지 않아도 되는 발아배아미의 쌀알 가공장치로서, 이 쌀 알 가공장치 (1) 는 그 상부로부터 순서대로 습식가공부 (2), 입상물 혼합부 (3) 및 분리건조부 (4)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통상의 연삭식 및 마찰식 정미기로 수율 약 95% 로 도정된 발아배아미가 습식가공부 (2), 입상물 혼합부 (3) 및 분리건조부 (4) 를 순서대로 통과함으로써, 쌀알표면에 거의 쌀겨가 부착하지 않은 발아배아미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습식가공부 (2) 는 쌀알 가공장치 (1) 의 최상부에 가로로 설치한 스크류통 (5) 내에 스크류축 (6) 을 회전이 자유롭게 가로로 설치하고, 스크류통 (5) 의 일단측에 설치한 공급구 (7) 에는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공급통 (8) 을 접속하는 동시에, 동일 타탄에 설치한 배출구 (9) 에 접속하여 배출통 (10) 을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다.
상기 스크류축 (6) 의 공급시단측에는 공급용 스크류날 (11) 이 설치되고, 그 이외의 스크류축 (6) 에는 복수의 교반날개 (12) 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급통 (8) 에는, 투입되는 발아배아미에 안개 상태의 물을 첨가하는 분무구 (13) 를 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스크류축 (6) 의 일단에 축착(軸着)한 풀리 (14) 와 도면 외의 모터는 벨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입상물 혼합부 (3) 는 습식가공부 (2) 의 하방에, 이 습식가공부 (2) 의 스크류통 (5) 과 거의 동일한 스크류통 (15) 을 가로로 설치하고, 이 스크류통 (15) 내에는 스크류축 (16) 을 회전이 자유롭게 가로로 설치한다. 그리고, 습식가공부 (2) 의 배출구 (9) 의 바로 아래에 공급구 (17) 를 설치하고, 이 공급구 (17) 에는 상기 배출통 (10) 을 접속하는 동시에, 반송종단측에는 배출구 (18) 를 설치하고, 이 배출구 (18) 에 접속하여 배출통 (19) 을 아래로 늘어뜨린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스크류축 (16) 의 반송시단측에는 공급용 스크류날 (20) 을 설치하는 동시에, 그 이외의 스크류축 (16) 에는 상기 습식가공부 (2) 와 동일한 복수의 교반날개 (21) 를 축착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통 (15) 의 반송시단측에 입상물 공급 호퍼 (22) 를 설치하고, 이 호퍼 (22) 는 공급용 스크류 콘베어 (20) 를 통하여 스크류통 (15) 에 접속된다. 상기 스크류축 (16) 의 일단에 축착한 풀리 (23) 와 도면 외의 모터는 벨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리건조부 (4) 는 입상물 혼합부 (3) 의 더욱 하방에 다수의 슬릿을 구비한 스크린통 (24) 을 가로로 설치하고, 이 스크린통 (24) 내에는 회전축 (25) 을 가로로 설치한다. 스크린통 (24) 의 반송시단측에는 공급구 (26) 를 개구하고, 이 공급구 (26) 와 입상물 혼합부 (3) 의 스크린통 (24) 과 접속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 (25) 의 반송시단측에는 공급용 스크류날 (27) 을 축착하는 동시에, 그 이외의 회전축 (25) 의 몇 군데에는 방사형상으로 복수의 아암 (28) 을 설치하고, 이 아암 (28) 에 의하여 복수로 이루어지고 긴 형상의 교반날개 (29) 를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 (25) 의 일단에 축착한 풀리 (30) 와 도면 외의 모터는 벨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통 (24) 의 상면 근방에는 급풍구 (31) 를 설치하고, 이것에 급풍덕트 (32) 를 접속한다. 한편, 이 스크린통 (24) 을 덮는 외통을 설치하고, 이 외통의 바닥면 근방에는 배풍덕트 (33) 를 접속하는 동시에, 스크린통 (24) 의 반송종단측에는 제품배출구 (34) 를 설치한다.
쌀알 가공장치의 공급통 (8) 에 접속된 스크류통 (5) 내에는 발아배아미가 투입된다. 이 발아배아미는 연삭식 및 마찰식 정미기로 배아를 남긴 상태에서 수율 약 95% 정도로 도정되고 있다. 그리고, 공급된 발아배아미는 공급통 (8) 부근을 향한 분무기 (13) 로부터 분무되는 쌀알 중량비 약 5% 의 안개 상태의 수분이 첨가된 후, 매분 500 회전하는 공급용 스크류날 (11) 에 의하여 반송종단측을 향하여 반송되는 동시에, 교반날개 (12) 에 의하여 교반된다. 이렇게 교반됨으로써, 안개 상태의 수분이 쌀알표면에 균일하게 부착되어, 쌀알표면의 오목부의 쌀겨를 연질화시킨다.
다음으로, 입상물 혼합부 (3) 에서는 습식가공부 (2) 의 배출구 (9) 로부터 배출통 (10) 을 거쳐 입상물 혼합부 (3) 의 스크류통 (15) 내로 공급된 쌀알은 매분 600 회전의 공급용 스크류날 (20) 및 교반날개 (21) 에 의하여 반송종단측을 향하여 교반되면서 반송되는 것인데, 이 때 공급용 스크류 콘베어 (20) 에 의하여 입상물 공급 호퍼 (22) 내의 입상물이 스크류통 (15) 내로 공급된다. 입상물은 예를 들면, 타피오카 (tapioka) 등의 전분질의 것을 알파화하여 건조하고, 경도 2∼5kgf/㎠ 의 대략 구상을 이루며, 또한 쌀알의 입도보다 작은 일정한 입도로 조립하여 형성한 것으로 (예를 들면, 입도를 1mm∼1.7mm 로 조립하면 된다), 70℃∼100℃ 의 고온 상태에서 공급되어 발아배아미와 혼합된다. 혼합비는 쌀알에 대하여 약 50중량% (중량비) 이다.
앞공정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연질화된 발아배아미에 부착한 쌀겨가루 등은 고온의 입상물에 접촉한 순간에 알파화되어 입상물에 흡착ㆍ제거되어, 쌀겨가 발아 배아미의 표면에 재부착되는 일은 없다. 또한, 이 때 증발잠열에 의하여 쌀알표면의 온도를 낮추는 작용을 한다.
또한, 분리건조부 (4) 에서는 입상물 혼합부 (3) 로부터 배출통 (19) 을 거쳐 아래로 흘러내린 쌀알이 최종공정의 분리건조부 (4) 의 스크린통 (24) 내로 공급되고, 매분 280 회전하는 공급용 스크류날 (27) 에 의하여 반송종단측으로 이송되는 동시에 교반날개 (29) 에 의하여 교반된다. 이 때, 급풍구 (31) 로부터 매분 60m3 로 유입되는 약 40℃ 의 바람에 의하여 약간 습한 쌀알표면을 건조시키고, 동시에 입상물과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하도록 한다.
스크린통 (24) 을 통과한 쌀알은 제품배출구 (34) 로부터 기외로 배출되는 한편, 교반되면서 스크린통 (24) 의 슬릿에서 누출된 입상물은 배풍덕트 (33) 로부터 바람과 함께 배출되고, 백필터 등에 의하여 분리한 후, 시프터 등에 의하여 입도를 일정하게 고르게 한 후 다시 입상물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쌀알 여공장치에 의하여, 통상의 정미기로는 제거하기 어려웠던 발아배아미의 오목부에 잔존하는 미세한 쌀겨가루를 습식가공부 (2) 의 수분첨가에 의하여 부드럽게 하고, 다음의 입상물 혼합부 (3) 에서 오목부내의 쌀겨가루를 입상물측에 흡착시켜 떼어냄으로써, 발아배아미의 오목부내의 쌀겨가 완전히 제거되고, 게다가 가수도정과 같이 폐수가 생기는 일이 없이 없고, 또한 과피와 표피가 제거되어 현미에 비하여 식물섬유가 적어지므로, 식감, 외관, 소화성 및 취반성을 향상시키고, 취반전에 씻지 않아도 되는 발아배아미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현미에 수분을 첨가하여 배아를 발아시킨 발아현미에 온습풍을 쏘임으로써 쌀알표면의 부착수를 제거하는 동시에, 쌀알표면을 연삭식 및 마찰식 정미기에 의하여 배아를 남기면서 도정하여 발아배아미로 만들고, 다음으로, 이 쌀알중량의 1∼10% 정도의 수분을 첨가하여 쌀알표면을 연화시키고, 이 쌀알과, 쌀알의 입도보다 작은 일정한 입도로 조립하여 60℃ 이상으로 가열한 입상물을 교반ㆍ혼합하고, 도정 후의 쌀알표면에 잔존하는 쌀겨를 이 입상물에 흡착시켜 제거하고, 다시 이 쌀알과 입상물을 분리하면, 쌀알 오목부내의 쌀겨가 완전히 제거되고, 게다가 가수도정과 같이 발수가 생기는 일이 없고, 식감, 외관, 소화성 및 취반성을 향상시키고, 취반전에 씻지 않아도 되는 발아배아미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취반전의 쌀씻기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배아의 잔아율이 향상된다.
또한, 얻어진 발아배아미를 수분 12∼16% 로 조습하는 건조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면, 발아배아미를 포장하여 상품화할 때,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식감, 외관, 소화성 및 취반성을 향상시키고, 취반전에 씻지 않아도 되는 발아배아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현미에 수분을 첨가하여 배아를 발아시킨 발아현미를 스티밍에 의하여 쌀알표면의 부착수(付着水)를 제거하는 동시에, 쌀알표면을 연삭식 및 마찰식 정미기에 의하여 배아를 남기면서 도정(搗精)하여 발아배아미로 만들고, 다음으로 이 쌀알중량의 1∼10% 정도의 수분을 첨가하여 쌀알표면을 연화시키고, 이 쌀알과, 쌀알의 입도(粒度)보다 작은 일정한 입도로 조립(造粒)하여 60℃ 이상으로 가열한 입상물을 교반ㆍ혼합하고, 도정후의 쌀알표면에 잔존하는 쌀겨를 입상물에 흡착시켜 제거하고, 다시 이 쌀알과 입상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배아미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얻어진 발아배아미를 수분 12∼16% 로 습도조절하는 건조공정을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발아배아미의 제조방법.
  3. 배아를 발아시킨 현미의 쌀알표면을 그 배아를 남기면서 도정함으로써 얻은 발아배아미를 공급하는 공급통,
    공급된 상기 발아배아미에 수분을 첨가하여 쌀알표면을 연화시키는 습식가공부,
    상기 쌀알표면이 연화된 발아배아미에, 쌀알의 입도(粒度)보다 작은 일정한 입도를 갖는 입상물을 혼합시켜 교반함으로써, 상기 쌀알표면에 잔존하는 쌀겨를 상기 입상물에 흡착시키는 입상물 혼합부; 및
    상기 발아배아미의 쌀알과 상기 입상물을 분리하는 분리 건조부를 포함하는, 발아배아미의 제조장치.
KR1020020059945A 2001-10-03 2002-10-01 발아배아미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904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07089A JP3729339B2 (ja) 2001-10-03 2001-10-03 発芽胚芽米の製造方法
JPJP-P-2001-00307089 2001-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464A KR20030029464A (ko) 2003-04-14
KR100904977B1 true KR100904977B1 (ko) 2009-06-26

Family

ID=1912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945A KR100904977B1 (ko) 2001-10-03 2002-10-01 발아배아미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08662B2 (ko)
JP (1) JP3729339B2 (ko)
KR (1) KR100904977B1 (ko)
CN (1) CN1276725C (ko)
TW (1) TWI23272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730B1 (ko) 2011-11-04 2014-03-12 (주)씨나락 발아 현미 제조 장치,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및 발아 현미
KR20200083022A (ko) 2018-12-31 2020-07-08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쌀겨로부터 단백질 추출하는 단백질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9879B2 (ja) * 2003-08-04 2010-02-03 株式会社ファンケル γ−アミノ酪酸を富化させ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得られる穀物
JP5664676B2 (ja) * 2013-02-15 2015-02-04 株式会社サタケ 全粒粉米粉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で得られた全粒粉米粉
JP6468481B2 (ja) * 2014-12-25 2019-02-13 株式会社サタケ 米粒の搗精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得られる精白米
CN105817282A (zh) * 2015-01-09 2016-08-03 陈文彬 一种细糙米及其加工方法
CN106179561B (zh) * 2016-07-07 2019-03-15 广东金友米业股份有限公司 一种留胚米的加工方法
US20210161183A1 (en) * 2017-12-05 2021-06-03 Jong Hi KIM Roasted whole grain cereal preparation method and cereal in which roasted whole grains are mixed
CN110013003B (zh) * 2019-04-16 2022-03-01 哈尔滨权清科技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杆状留胚米及其加工方法和用途
CN111201858A (zh) * 2020-01-20 2020-05-29 贺州市昊辰农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恒温保湿的水稻种子催芽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735A (ko) * 1987-08-07 1989-04-17 크리스틴 에이.트라우트 웨인 항균제로서의 8-트리플루오로 메틸 퀴놀론
JPH1066884A (ja) * 1996-08-29 1998-03-10 Yasuo Shimizu 無洗米の製造方法
JPH11137191A (ja) * 1997-11-13 1999-05-25 Toa:Kk 無洗米の製造方法
JP2001259447A (ja) * 2000-03-15 2001-09-25 Satake Corp 無洗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259441A (ja) * 2000-03-23 2001-09-25 Satake Corp 無洗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51A (ja) 1990-04-18 1992-01-09 Yoshihiko Yasuda 熱処理した発芽玄米を袋にいれた物
KR100240498B1 (ko) * 1997-09-11 2000-01-15 전학주 연화현미및그제조방법
JP2000093097A (ja) 1998-09-24 2000-04-04 Health Care Tec Kk 食品原料用発芽玄米の製造装置
JP3585761B2 (ja) 1999-02-02 2004-11-04 独立行政法人食品総合研究所 安全性及び炊飯性に優れた発芽玄米並びにその製造法
JP4411645B2 (ja) 2000-06-16 2010-02-10 株式会社サタケ 無洗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BR0102143B1 (pt) * 2000-03-15 2010-09-21 método e aparelho de manufatura de cereal sem farelo.
JP3423931B2 (ja) * 2000-06-09 2003-07-07 株式会社ファンケル 発芽玄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735A (ko) * 1987-08-07 1989-04-17 크리스틴 에이.트라우트 웨인 항균제로서의 8-트리플루오로 메틸 퀴놀론
JPH1066884A (ja) * 1996-08-29 1998-03-10 Yasuo Shimizu 無洗米の製造方法
JPH11137191A (ja) * 1997-11-13 1999-05-25 Toa:Kk 無洗米の製造方法
JP2001259447A (ja) * 2000-03-15 2001-09-25 Satake Corp 無洗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259441A (ja) * 2000-03-23 2001-09-25 Satake Corp 無洗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730B1 (ko) 2011-11-04 2014-03-12 (주)씨나락 발아 현미 제조 장치, 발아 현미의 제조 방법 및 발아 현미
KR20200083022A (ko) 2018-12-31 2020-07-08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쌀겨로부터 단백질 추출하는 단백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64132A1 (en) 2003-04-03
JP3729339B2 (ja) 2005-12-21
KR20030029464A (ko) 2003-04-14
CN1408253A (zh) 2003-04-09
US7008662B2 (en) 2006-03-07
JP2003111568A (ja) 2003-04-15
TWI232728B (en) 2005-05-21
CN1276725C (zh)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2545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o-bran cereal
KR100904977B1 (ko) 발아배아미의 제조방법 및 장치
RU2314710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х зерновых хлопьев
WO2005011404A1 (ja) γ−アミノ酪酸を富化させ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得られる穀物
JPH0777618B2 (ja) 製粉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3111568A5 (ko)
RU235239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готовки зерна к помолу
JP3206752B1 (ja) 無洗穀類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3180929B2 (ja) 小麦粉の生産方法
JP4341000B2 (ja) 加工米及びその製造方法
JP2920248B2 (ja) 無洗米の製造方法
JP3909629B2 (ja) 加工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40043120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olished rice
JP4411647B2 (ja) 精白米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355566A (ja) パーボイル米の加工方法
JP5460311B2 (ja) オゾンを使用した小麦粒の剥皮
JP4411645B2 (ja) 無洗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MXPA0100269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o-bran cereal
KR900004434Y1 (ko) 가습 세미기
KR20050026733A (ko) 정백미 가공 방법 및 장치
UA111262U (uk) Спосіб виробництва борошна з нуту
JP2004237224A (ja) 既洗米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A111263U (uk) Спосіб виробництва борошна з полби
TH47815A (th) วิธีการและเครื่องสำหรับการผลิตเมล็ดธัญพืชที่ไม่มีแบร็น
TH26917B (th) วิธีการและเครื่องสำหรับการผลิตเมล็ดธัญพืชที่ไม่มีแบร็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