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603B1 - 칫솔 헤드부 - Google Patents

칫솔 헤드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603B1
KR100904603B1 KR1020070081156A KR20070081156A KR100904603B1 KR 100904603 B1 KR100904603 B1 KR 100904603B1 KR 1020070081156 A KR1020070081156 A KR 1020070081156A KR 20070081156 A KR20070081156 A KR 20070081156A KR 100904603 B1 KR100904603 B1 KR 100904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ortion
toothbrush
general
elastic
brist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864A (ko
Inventor
정태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리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리오
Priority to KR102007008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603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6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6Gum massaging brush, i.e.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gu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 헤드부가 연질의 탄성헤드부와, 경질의 일반헤드부로 각각 구분되고, 상기 각각의 헤드부의 식모면에는 칫솔모가 각각 식모되어 탄력 정도를 다르게 구성하여 구강 내부의 치아, 치아와 잇몸 사이, 잇몸 등 각 부위에 따라 적절한 탄력으로 칫솔질할 수 있도록 한 칫솔 헤드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 내의 치아, 치아와 잇몸 사이, 잇몸 등의 각 부위별로 칫솔모가 적절한 탄성 정도를 갖도록 함으로 양치 및 잇몸 마사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헤드부의 내측에 식모되어 치아와 접촉되는 칫솔모가 탄력 정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일반헤드부에 씌워지는 탄성헤드부가 신축력에 의해 밀착되어 벗겨지지 않아 제작이 간편하고 또한 상기 연질의 탄성헤드부에 의해 구강 내의 치아, 치아와 잇몸 사이, 잇몸 등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탄성헤드부, 식모면, 식모홈, 칫솔모, 일반헤드부, 칫솔, 파지부, 헤드부

Description

칫솔 헤드부{A head structure of 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 헤드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 내부의 치아, 치아와 잇몸 사이, 잇몸 등 각 부위에 관여도가 높은 칫솔모의 탄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칫솔모가 식모되는 칫솔헤드부를 경질의 일반헤드부와 연질의 탄성헤드부로 구분하여 구성하고, 상기 일반헤드부와 탄성헤드부의 식모면이 단차를 갖도록 구성된 칫솔 헤드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칫솔모가 식모되는 헤드부와 사용자가 칫솔질을 할 때,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파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와 파지부는 단일재질인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상기 칫솔의 헤드부는 식모면에 다수의 식모홈이 형성되어 단일재질의 각각 균일한 굵기와 높이의 칫솔모가 일정량 식모되게 된다.
이와 같은 칫솔을 이용하여 칫솔질을 하게 되면, 칫솔모의 높이가 수평상으로 동일하고 그 굵기 및 재질이 동일하므로 구강 내의 치아, 치아와 잇몸 사이, 잇몸 등의 각 부위별로 적절한 탄력 정도를 제공하지 못해 잇몸질환이 있는 사용자의 경우 칫솔모가 잇몸에 심한 자극을 주게 되어 오히려 잇몸질환을 더욱 악화시키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식모면 외측에 식모되는 칫솔모는 얇고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하고, 내측에 식모되는 칫솔모는 두껍고 강한 재질로 구성하여, 구강 내의 각 부위별로 칫솔모의 탄력 정도를 다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또한, 식모면 외측에 식모되는 칫솔모는 길이를 길게 구성하고, 내측에 식모되는 칫솔모는 외측보다 길이를 짧게 구성하여 칫솔모의 탄력 정도를 다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칫솔을 이용하여 칫솔질을 하게 되면, 잇몸 및 치아와 잇몸 사이에는 탄력 정도가 약한 칫솔모가 닿게 되고, 치아에는 탄력 정도가 강한 칫솔모가 닿게 되므로 잇몸 및 치아와 잇몸 사이를 보호하면서 치아를 깨끗하게 닦을 수 있었다.
하지만, 상기 칫솔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칫솔모가 상하, 좌우로 꺽임과 복원이 반복되어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헤드부의 식모홈이 벌어지게 되어 탄력 정도가 감소하게 되고 지속적으로 사용이 어려웠다.
한편, 상기와 같은 칫솔은 사용자가 칫솔질을 할 때, 경질의 헤드부가 치아 및 잇몸 등에 충격 및 과도한 자극을 주게 되므로 치아 및 잇몸 등에 상처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칫솔모가 외부로 노출되며, 헤드부 전체에 연질의 커버가 씌워져 된 칫솔이 있었으나, 상기 칫솔의 연질 커버는 단지 칫솔의 헤드부로부터 치아 및 잇몸 등을 보호하기 위한 충격완화의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4-0075469호(명칭: 칫솔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 종래의 칫솔은 칫솔헤드판(1)에 다수의 칫솔모식모구(11)와 연질탄성모성형구(13)가 관통 형성되고, 전방에 연질패드(71)가 성형 부착된 측면(17)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칫솔모식모구에 칫솔모(60)가 식모되고, 상기 연질탄성모성형구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연질탄성모(70)가 성형되며, 상기 칫솔헤드판의 측면에 부착되게 연질패드(71)가 성형된 상기 칫솔헤드판을 칫솔의 헤드부(21)에 형성된 헤드판 융착면(22)에 융착된 것이다.
상기 칫솔은 잇몸마사지 기능을 갖는 연질탄성모와 연질패드 성형에 따라 필요한 채널들이 칫솔헤드의 보이지 않는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마무리가 깔끔한 효과가 있는 것이며, 또한 연질탄성모와 연질패드로 인해 잇몸마사지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칫솔은 전방의 연질패드에 의해 헤드부로부터 치아 및 잇몸 등을 보호하기 위한 충격완화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었으나 그 효과가 매우 미미하여 치아 및 잇몸 등을 보호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칫솔모가 치아, 치아와 잇몸 사이, 잇몸 등의 각 부위별로 적절한 탄성 정도를 갖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양치 및 잇몸 마사지를 할 수 있는 칫솔 헤드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칫솔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강력한 탄력을 요구하는 칫솔모의 탄력 정도가 감소됨이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칫솔 헤드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 헤드부에 사출 성형 부착되는 연질의 탄성헤드부가 장기간 사용하여도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며, 또한 칫솔 헤드부가 구강 내부의 치아, 치아와 잇몸 사이, 잇몸 등에 충격 및 과도한 자극을 주지 않는 칫솔 헤드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칫솔 헤드부를 연질의 탄성헤드부와 경질의 일반헤드부로 각각 구분시켜 상기 각각의 식모면에 칫솔모를 식모하는 것과, 상기 탄성헤드부의 식모면과 일반헤드부의 식모면을 일정두께 높이 단차를 두게 하여 칫솔모의 탄력 정도를 다르게 구성하며,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식모되는 각각의 칫솔모를 일정높이의 높이 단차를 두어 각각의 칫솔모의 탄력 정도를 다르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 내의 치아, 치아와 잇몸 사이, 잇몸 등의 각 부위별로 칫솔모가 적절한 탄성 정도를 갖도록 함으로써 양치 및 잇몸 마사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칫솔모의 탄력 정도가 감소됨이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장기간 사용 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일반헤드부에 탄성헤드부가 씌워지는 형태로 사출 성형되어 부착되게 되며 재질이 수축 성질이 강한 고무성분의 재질이므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일반헤드부로부터 이탈되거나 벗겨지지 않고 밀착 구성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칫솔 헤드부가 구강 내부의 치아, 치아와 잇몸 사이, 잇몸 등에 충격 및 과도한 자극을 주지 않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칫솔 헤드부의 정면, 평면, 저면을 동시에 보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과 도 4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 의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칫솔 헤드부(120)에 있어서, 상기 칫솔 헤드부(120)는 경질의 일반헤드부(20)와 상기 일반헤드부에 부분적으로 씌워지는 형태로 사출 성형되어 부착되는 탄성헤드부(10)로 각각 구분되어 구성되고, 상기 탄성헤드부(10)와 일반헤드부(20)의 식모면(11)(21)에 형성되는 각각의 식모홈(12)(22)에 식모되는 칫솔모(13)(23)는 그 탄력 정도를 각각 다르게 구성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일반헤드부(20)의 배면과 측면, 식모면(11)(21)에 상기 탄성헤드부(10)의 형상과 일치되게 삽착홈(24)(25)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헤드부(10)의 식모면(11)은 일반헤드부(20)의 식모면(21) 보다 일정두께 높거나 또는 낮도록 높이 단차(a)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반헤드부(20)에 사출 성형되어 부착되는 탄성헤드부(10)의 식모면(11) 형상은 "
Figure 112008085221257-pat00001
" 의 형상이며, 상기 형상의 탄상헤드부(10)가 끼워지는 일반헤드부(20)의 식모면(21)은 "
Figure 112008085221257-pat00016
" 의 형상인 것이며, 그 밖의 예측 가능한 다른 형태로 얼마든지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 의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와 같이 일반헤드부(20)는 1.00mm ~7.00mm 의 두께를 갖는 경질의 합성수지재(폴리프로필렌수지;PP,폴리에스테르수지;PET 등)로 이루어지고 연질의 탄성헤드부(10)가 사출성형 부착 가능하도록 삽착홈(24)(25)이 형성되며 상기 일반헤드부(20)의 삽착홈(24)(25)에 0.02mm ~7.00mm 의 두께를 갖는 탄성헤드부가 연질의 고무재(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등)로 사출 성형되어 부착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칫솔(100) 헤드부의 일반헤드부(20)와 탄성헤드부(10)는 각각 식모면(11)(21)을 구비하게 되고 각각의 식모면에는 칫솔모(13)(23)가 식모되되, 그 표면으로부터 칫솔모(13)(23)의 길이는 6.00mm ~14.00mm의 다양한 길이를 갖게 된다.
참고로, 도 1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모의 단차를 나타낸 측단면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필요에 따라 상기 탄성헤드부(10)의 식모면(11)에 식모되는 칫솔모(13)를 일반 헤드부(20)의 식모면(21)에 식모되는 칫솔모(23) 보다 그 끝단이 일정높이 높거나 또는 낮도록 높이 단차(b)를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일반헤드부(20)와 탄성헤드부(10)의 식모면(11)(21)에 식모되는 칫솔모(13)(23)는 합성수지재질의 일반모이거나 고무재질의 탄성모로 제작 가능하다.
한편, 도 4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17
" 형상 또는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18
" 형상의 일반헤드부(20)에 사출 성형되어 부착되는 탄성헤드부(10)의 식모면(11) 형상은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28
" 형상 또는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02
" 형상인 것이며, 그 밖의 예측 가능한 다른 형태로 얼마든지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29
" 형상의 일반헤드부(20)에는 상기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30
" 형상의 탄성헤드부(10)가 결합되고, 상기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31
" 형상의 일반헤드부(20)에는 상기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32
" 형상의 탄성헤드부(10)가 결합된다.
또한, 도 10 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부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상기 일반헤드부(20)의 상단의 식모면(21)이 탄성헤드부(10)의 식모면(11)보다 높게 형성된 것이다.
더불어, 도 11 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부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상기 탄성헤드부(10)의 상,하단의 식모면(11)이 중앙의 식모면(11)보다 높게 다단 형성된 것이다.
아울러,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잇몸마사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 반헤드부(20)의 두께를 3.0mm~6.50mm로 하고, 일반헤드부(20)에 사출 성형되어 부착되는 탄성헤드부(10)의 두께를 0.30mm~3.00mm로 하되, 상기 탄성 헤드부의 양 측면을 3.30mm~6.80mm의 두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아의 세정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일반헤드부(20)의 두께를 3.30mm~6.70mm로 하고, 일반헤드부(20)에 사출 성형되어 부착되는 탄성헤드부(10)를 0.20mm~3.00mm의 두께로 하되, 상기 탄성헤드부(10)의 중앙부분을 3.50mm~10.70mm의 두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칫솔 헤드부(120)의 식모면(11)(21) 전체의 6.00% 이상을 탄성헤드부(10)로 사출 성형하여 부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 110 " 파지부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부(120)는 도 3 과 같이 칫솔 헤드부(120)의 일반헤드부(20)에 형성된 식모면(21)에 식모된 칫솔모(23)의 길이(B)가 탄성헤드부(10)에 형성된 식모면(11)에 식모된 칫솔모(13)의 길이(A)보다 길게 식모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칫솔(100)의 하단에 구비된 파지부(110)를 잡고 상하, 좌우로 칫솔질을 하게 되면, 일반헤드부(20)의 식모면(21)에 식모된 칫솔모(23)에 의해 더욱 부드럽게 구강 내부의 잇몸, 치아와 잇몸 사이를 자극하지 않고 칫솔질을 할 수 있게 되며, 탄성헤드부(10)의 식모면(11)에 식모된 칫솔모(13)는 그 길이가 짧게 구성되므로 탄력 정도가 향상되어 깨끗하게 치아를 닦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칫솔(100)을 장기간 사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탄성헤드부(10)의 식모면(11)에 식모된 칫솔모(13)는 탄성헤드부(10)의 재질에 따른 성질로 인해 탄력 정도가 줄어들지 않게 되는데, 이는 칫솔질을 할 때, 칫솔모(13)(23)가 일측으로 꺽임과 복원 작용을 반복하더라도 재질에 따른 특이 성질로 인해 피로도가 적게 발생하게 되므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치아를 깨끗하게 닦아 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일반헤드부(20)의 배면 전체에 형성되는 삽착홈(24)과, 상기 일반헤드부(20)의 측면과 식모면(21)에 상기 탄성헤드부(10)의 형상과 일치되게 형성되는 삽착홈(25)에 탄성헤드부(10)가 씌워지는 형태로 사출 성형되어 부착되게 되는데, 상기 탄성헤드부(10)가 일반헤드부(20)에 씌워지는 형태로 제작되고 재질이 수축 성질이 강한 고무성분의 재질이므로 장시간 사용하더라고 일반헤드부(20)로부터 이탈되거나 벗겨지지 않고 밀착되게 된다.
한편, 도 12 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헤드부(10)의 식모면(11)에 식모되는 칫솔모(13)를 일반헤드부(20)의 식모면(11)(21)에 식모되는 칫솔모(13)(23) 보다 그 끝단이 일정높이 높이단차(b)를 낮게 구성하게 되면, 치아와 잇몸 사이의 프라그 등의 노폐물을 제거하기 편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잇몸 맛시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헤드부(10)의 식모면(11)(21)에 식모되는 칫솔모(13)(23)를 일반헤드부(20)의 식모면(11)(21)에 식모되는 칫솔모(13)(23) 보다 그 끝단이 일정높이 높이단차(b)를 높게 구성하게 되면 칫솔모(13)(23)를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 의 제 2 실시예와 같이 탄성헤드부(10)의 형상에 따라 상기 탄성헤드부(10)가 일반헤드부(2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구성되므로 칫솔질할 때에 헤드부가 치아 및 잇몸 등에 부딪혀 충격 및 과도한 자극에 따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도 7 내지 도 9의 제 3 실시예와 같이, 상기 탄성헤드부(10)의 식모면(11)에 식모되는 칫솔모(13)가 칫솔 헤드부의 식모면 외측에 위치하게 되고 일반헤드부(20)의 식모면(21)에 식모되는 칫솔모(23)가 내측에 위치하게 되면, 칫솔 헤드부의 양측과 상하단에 탄력정도가 강한 칫솔모가 위치하게 되어 치아와 잇몸 사이의 프라그 등의 노폐물을 제거하기 편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잇몸 마사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헤드부(10)의 형태는 바람직하게 실시된 예에만 국한되지 않고 구강 내부의 치아, 잇몸, 치아와 잇몸 사이 등의 부위별 요구 사항에 따라 예측 가능한 다른 형태로 얼마든지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0 과 같이 일반헤드부(20)의 상단부 식모면(21)의 두께(3.60mm~7.00mm)만을 두껍게 구성하게 되면 치아 구석부분의 세정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 과 같이 상기 일반헤드부(20)의 상하단부의 식모면(21)을 연질의 탄성헤드부(10)로 씌워 덮는 형태로 구성하되, 상기 탄성헤드부(10)의 상하단의 식모면(11)의 두께(0.50mm~3.00mm)만을 더 두껍게 구성하게 되면 치아 구석부분의 세정효과를 높일 수 있고 칫솔질할 때에 칫솔 헤드부가 치아 및 잇몸 등에 부딪혀 충격 및 과도한 자극에 따른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칫솔 헤드부(120)는 칫솔모(13)(23)가 심어진 경질의 합성수지재의 일반헤드부(20)와 연질의 탄성헤드부(10)의 두께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양치 시 구강의 각 부위에 적절한 칫솔모(13)(23)의 탄력 정도를 제공함으로써 치아세정 및 잇몸마사지 효과를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칫솔 헤드부(120)는 금형 설계로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써 다양한 탄력의 정도를 정밀하게 간단한 공정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에 내에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칫솔 헤드부의 정면, 평면, 저면을 동시에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A-A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칫솔 헤드부의 정면, 평면을 동시에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B-B선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분해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칫솔 헤드부의 정면, 평면을 동시에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A-A선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헤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모의 단차를 나타낸 정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탄성헤드부 11, 21 : 식모면
12, 22 : 식모홈 13, 23 : 칫솔모
20 : 일반헤드부 100 : 칫솔
110 : 파지부 120 : 헤드부
a: 일정두께의 단차 b : 일정높이의 단차

Claims (7)

  1. 칫솔 헤드부(120)에 있어서,
    상기 칫솔 헤드부(120)는 식모면(21)과 식모홈(22)이 형성된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19
    " 형상 또는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20
    " 의 형상으로 제조된 경질의 일반헤드부(20)와;
    상기 일반헤드부(20)에 부분적으로 씌워지는 형태로 사출 성형되어 부착되는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21
    " 형상 또는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22
    " 형상으로 제조되고, 식모면(11)과 식모홈(12)이 형성된 연질의 탄성헤드부(10)로 각각 구분되어 구성되고;
    상기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33
    " 형상의 일반헤드부(20)에는 상기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34
    " 형상의 탄성헤드부(10)가 결합되고, 상기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35
    " 형상의 일반헤드부(20)에는 상기 "
    Figure 112009031452794-pat00036
    " 형상의 탄성헤드부(10)가 결합되며;
    상기 일반헤드부(20)의 식모면(21)에 형성된 식모홈(22)에 식모된 칫솔모(23)와, 상기 탄성헤드부(10)의 식모면(11)에 형성된 식모홈(12)에 식모된 칫솔모(13)는 그 탄력정도를 각각 다르게 구성하고;
    상기 일반헤드부(20)에는 일반헤드부(20)의 배면, 측면 및 식모면에 상기 탄성헤드부(10)가 씌워지는 형태로 사출 성형되어 부착되도록 탄성헤드부(10)의 형상과 일치되는 삽착홈(24)(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헤드부(10)의 식모면(11)은 상기 일반헤드부(20)의 식모면(21) 보다 일정두께 높거나 또는 낮도록 높이 단차(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헤드부(10)의 칫솔모(13)는 상기 일반 헤드부(20)의 식모면(21)에 식모되는 칫솔모(23) 보다 그 끝단이 일정높이 높거나 또는 낮도록 높이 단차(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헤드부(20)의 식모면(21)과 상기 탄성헤드부(10)의 식모면(11)에 각각 식모되는 칫솔모(13)(23)는 합성수지재질의 일반모이거나 고무재질의 탄성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헤드부(20)의 상단의 식모면(21)이 상기 탄성헤드부(10)의 식모면(11)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헤드부(10)의 상,하단의 식모면(11)이 중앙의 식모면(11)보다 높게 다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헤드부.
KR1020070081156A 2007-08-13 2007-08-13 칫솔 헤드부 KR100904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156A KR100904603B1 (ko) 2007-08-13 2007-08-13 칫솔 헤드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156A KR100904603B1 (ko) 2007-08-13 2007-08-13 칫솔 헤드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864A KR20090016864A (ko) 2009-02-18
KR100904603B1 true KR100904603B1 (ko) 2009-06-25

Family

ID=4068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156A KR100904603B1 (ko) 2007-08-13 2007-08-13 칫솔 헤드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21Y1 (ko) 2010-08-09 2012-09-24 이팔형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110B1 (ko) * 2015-10-15 2021-08-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전동 칫솔용 칫솔 헤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8996U (ja) * 1996-03-13 1996-09-17 栃木精工株式会社 歯ブラシ
KR19990074169A (ko) * 1998-03-07 1999-10-05 최용호 칫솔
KR200393316Y1 (ko) 2005-05-24 2005-08-22 주식회사 크리오 칫솔
KR20070073817A (ko) * 2004-11-02 2007-07-10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칫솔 및 칫솔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8996U (ja) * 1996-03-13 1996-09-17 栃木精工株式会社 歯ブラシ
KR19990074169A (ko) * 1998-03-07 1999-10-05 최용호 칫솔
KR20070073817A (ko) * 2004-11-02 2007-07-10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칫솔 및 칫솔 제작 방법
KR200393316Y1 (ko) 2005-05-24 2005-08-22 주식회사 크리오 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21Y1 (ko) 2010-08-09 2012-09-24 이팔형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864A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137Y1 (ko) 칫솔
US5287584A (en) Toothbrush
JP3200749U (ja) 歯ブラシヘッド
CA2833721C (en) Tooth cleaning device with sectioned pad
RU2006101568A (ru)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EP1727444B1 (en) Toothbrush
JP3191472U (ja) 機能を向上した楊枝
KR100904603B1 (ko) 칫솔 헤드부
KR101331856B1 (ko) 잇몸 마사지 및 프라그 제거 의료용 칫솔
JP3126032U (ja) 全歯周ハブラシ
KR101329880B1 (ko) 칫솔판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칫솔의 헤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칫솔
KR100743809B1 (ko) 칫솔
JP2011083462A (ja) 歯ブラシ
KR20040077155A (ko) 잇몸보호 기능을 가지는 피넛 헤드 형태의 칫솔
KR20180093715A (ko) 다기능 칫솔
KR100592088B1 (ko) 칫솔헤드
KR20240017701A (ko)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
KR20040008296A (ko) 이중 헤드 타입의 칫솔
KR101477255B1 (ko) 이중 세정 클리너
KR100922317B1 (ko) 칫솔
KR100350325B1 (ko) 유연한 손잡이를 갖는 칫솔
KR200246637Y1 (ko) 다용도 치간칫솔
JP2001346633A (ja) 歯ブラシ
KR200313271Y1 (ko) 치솔
JP3087514U (ja) 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