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701A -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 - Google Patents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701A
KR20240017701A KR1020220095713A KR20220095713A KR20240017701A KR 20240017701 A KR20240017701 A KR 20240017701A KR 1020220095713 A KR1020220095713 A KR 1020220095713A KR 20220095713 A KR20220095713 A KR 20220095713A KR 20240017701 A KR20240017701 A KR 20240017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bristles
head portion
head
pla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윤
Original Assignee
올커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커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올커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5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7701A/ko
Publication of KR20240017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70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 및 상기 헤드부에 식재된 칫솔모로 구성된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으로써, 헤드부에는 칫솔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부가 구비되어 있고, 헤드부의 칫솔모는 식재되는 위치에 따라 그 형태, 두께 또는 유연성이 상이한 일반모 또는 미세모를 구비하고 있어 잇몸에 닿는 칫솔모(미세모)와 치아에 닿는 칫솔모의 형태, 두께 또는 유연성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치아 세척의 효과를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잇몸이 자극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toothbrush with gum protection}
본 발명은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 및 상기 헤드부에 식재된 칫솔모로 구성된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으로써, 헤드부에는 칫솔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부가 구비되어 있고, 헤드부의 칫솔모는 식재되는 위치에 따라 그 형태, 두께 또는 유연성이 상이한 일반모 또는 미세모를 구비하고 있는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은 식사 후 치아의 표면 및 치간에 잔재해 있는 음식물을 제거하기 위해 하루에도 수회씩 사용되고 있으며, 그 세척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칫솔모가 칫솔의 헤드부에 식재되게 된다. 최근에는 미세모를 칫솔 헤드부에 식재하여, 치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잇몸에 밸생하는 상처를 최소화하고 있다. 출원번호 제20-2003-0001468호 부드럽고 가는 미세모가 단일 묶음으로 촘촘하게 형성된 엄마용 체크 칫솔에서는 유연하고 적절한 탄력을 가지게끔 끝단부가 테이퍼져서 뾰족하며 부드럽고 가는 미세모로 된 칫솔모를 촘촘하게 배열하여 한꺼번에 모아서 알루미늄재 결속구로 압착하여 형성된 뾰족한 끝단부를 가지는 칫솔모가 압입된 단일 묶음의 구간 브러시를 칫솔대의 선단 헤드 테두리에 삽입공이 형성된 삽입부에 삽착하고 복수개의 삽입돌기가 삽입공에 일치되도록 형성된 덮개를 삽입공에 삽입돌기가 강제 끼움 결합되어 밀착 고정되도록 덮어서 목부가 경사진 헤드를 형성하므로서, 감촉이 좋아서 유아의 치아와 연약한 잇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평탄면뿐 아니라 미세한 부분까지 닦아낼 수 있으며 헤드의 목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손에 잡고 칫솔질 하기 편리한 구조로 구성된 부드럽고 가는 미세모가 단일 묶음으로 촘촘하게 형성된 엄마용 체크 칫솔을 제안하였다. 이는 부드러운 미세모를 구비함으로써 잇몸은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었으나, 칫솔 사용 후 칫솔모 사이에 흡착된 음식물을 칫솔의 헤드부로부터 청결하게 제거할 수 없었으며, 또한, 칫솔 미세모는 치아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원 발명은 칫솔의 헤드부에 복수개의 통공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더욱이, 칫솔 헤드부의 테두리부에 식재된 칫솔모를 미세모로 구성하고, 내향부의 칫솔모는 일반 칫솔모로 구성하여, 잇몸에 닿는 칫솔모와 치아에 닿는 칫솔모의 형태, 두께 또는 유연성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치아 세척의 효과를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잇몸이 자극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으로써, 칫솔 헤드부에 흡착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잇몸을 보호하고 치아 및 치간의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헤드부에 식재된 헤드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헤드부에는 복수개의 통공부를 구비하고 있어, 칫솔에 흡착된 음식물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칫솔 헤드부의 테두리부에 식재된 미세모와; 테두리부의 안쪽 내형부에 식재된 일반모로; 구별, 식재하여, 잇몸에 닿는 칫솔모(미세모)와 치아에 닿는 칫솔모의 형태, 두께 또는 유연성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치아 세척의 효과를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잇몸이 자극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으로써
칫솔의 헤드부에 복수개의 통공부를 구비하고 있어, 칫솔에 흡착된 음식물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더욱이, 잇몸에 닿는 칫솔모(미세모)와 치아에 닿는 칫솔모의 형태, 두께 또는 유연성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치아 세척의 효과를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잇몸이 자극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에 대한 전체도이다.
도 2는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의 헤드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헤드부(10),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20) 및 상기 헤드부에 식재된 칫솔모(30)로 구성된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으로써, 헤드부에는 사용 후 칫솔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부(13)가 구비되어 있고, 헤드부(10)에 식재되는 위치에 따라 그 형태, 두께 또는 유연성이 상이한 칫솔모(30)를 구비하고 있는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헤드부(10)는 테두리부(11)와; 상기 테두리부의 안쪽에 내향부(12)와; 상기 테두리부 또는 내향부 중 1 이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부(1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부에 식재되어 있는 칫솔모(30)는 테두리부(11)에 식재되는 미세모(31)와; 상기 내향부(12)에 식재되는 일반모(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미세모(31)는 가늘며 끝단부가 뾰족하고 유연성을 구비하도록 성형되어 있으며, 이를 테두리부(11)에 촘촘하게 식재할 수 있으여, 미세모보다 두꺼운 일반모는 내향부에 식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경이 0.008인치 이상을 일반모라고 호칭하며, 외경이 0.007 이하는 미세모, 외경이 0.006인치 이하의 경우에는 초미세모로 호칭된다.
실시 예로는,
칫솔 헤드부(10)의 테두리부(11)에는 미세모(31)가 식재되어 있어 부드러운 미세모가 잇몸에 닿을 때, 발생될 수 있는 상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일반모(32)는 딱딱한 치아에 닿아 브러쉬 됨으로써, 치아에 흡착된 잔여물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칫솔의 사용 후에는 헤드부 및 칫솔모 사이에 흡착된 음식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통공부(13)에 물을 흘려 내보내주면 보다 용이하게 흡착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헤드부
11. 테두리부
12. 내향부
13. 통공부
20.손잡이부
30.칫솔모
31. 미세모
32. 일반모

Claims (4)

  1. 헤드부(10),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20) 및 상기 헤드부에 식재된 칫솔모(30)로 구성된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에 있어서,
    헤드부는 테두리부(11)와; 상기 테두리부의 안쪽에 내향부(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칫솔모(30)는 일반모(32)와; 미세모(31)로 구성되는데,
    상기 테두리부(11)에는 미세모(31)가 식재되고, 상기 내향부(12)에는 일반모(32)가 식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
  2. 헤드부(10), 상기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20) 및 상기 헤드부에 식재된 칫솔모(30)로 구성된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에 있어서,
    헤드부에는 사용 후 칫솔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부(1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헤드부에는 사용 후 칫솔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부(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
  4. 제1항에 있어서,
    미세모는 일반모 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

KR1020220095713A 2022-08-01 2022-08-01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 KR20240017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713A KR20240017701A (ko) 2022-08-01 2022-08-01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713A KR20240017701A (ko) 2022-08-01 2022-08-01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701A true KR20240017701A (ko) 2024-02-08

Family

ID=8990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713A KR20240017701A (ko) 2022-08-01 2022-08-01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77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138Y1 (ko) 칫솔
US10172440B2 (en) Toothbrush having tufted bristles and tongue brush bristles emanating from the same surface
CA2833721C (en) Tooth cleaning device with sectioned pad
US5398368A (en) Toothbrush
JP7080379B2 (ja) 義歯から義歯接着剤を除去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道具を備えた口腔清掃器具
US11051604B2 (en) Infant toothbrush
JP2021512658A (ja) 歯ブラシ
US8997299B2 (en) Tooth cleaning device
US9532641B2 (en) L-shaped toothbrush
JP2007160073A (ja) 乳歯ブラシ
KR20240017701A (ko)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
KR20090008288U (ko) 칫솔
JP2011083462A (ja) 歯ブラシ
KR100904603B1 (ko) 칫솔 헤드부
KR101865043B1 (ko) 칫솔
KR102616822B1 (ko) 펜 그립형 칫솔
KR20140090790A (ko) 치은열구 칫솔
KR102107528B1 (ko) 교정용 칫솔
CN209965576U (zh) 一种牙刷头
JP2017192682A (ja) 歯ブラシ
CN218500208U (zh) 一种指套式口腔清洁刷
KR102120282B1 (ko) 칫솔
JP3205146U (ja) 乳幼児用歯ブラシ
KR200209689Y1 (ko) 치간 세정기능이 보강된 칫솔
KR200225383Y1 (ko) 이중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