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4169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4169A
KR19990074169A KR1019980007581A KR19980007581A KR19990074169A KR 19990074169 A KR19990074169 A KR 19990074169A KR 1019980007581 A KR1019980007581 A KR 1019980007581A KR 19980007581 A KR19980007581 A KR 19980007581A KR 19990074169 A KR19990074169 A KR 19990074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ristles
toothbrush
soft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호
Original Assignee
최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호 filed Critical 최용호
Priority to KR1019980007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4169A/ko
Publication of KR19990074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169A/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한쪽 끝에 형성되는 헤드를 갖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한쪽 면 소정 부분에 식재되는 강모들과, 상기 헤드의 나머지 부분에 식재되는 연질모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에 의하면, 하나의 칫솔에 강모들과 연질모들이 구비되어 치아를 잘 닦는 것과 함께 잇몸을 보호하면서 잇몸의 마사지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칫솔
본 발명은 치아(齒牙) 및 구내의 청결을 위하여 치아 및 잇몸을 닦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를 닦아 주는 것과 함께 잇몸의 마사지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치아를 닦아 주는 도구로 칫솔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칫솔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한쪽 끝에 형성되는 헤드(head)를 가진다. 헤드의 한쪽 면에는 치아를 닦아 주는 강모(剛毛)들이 식재되고, 강모들은 대개의 경우 나일론(nylon)을 소재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강모들은 상당한 강도를 가지며 곧게 식재되어 있으므로, 사람이 이를 닦는 행위에 의해 강모와 치아의 표면 및 잇몸과 마찰을 일으킴으로써, 치아 및 구내의 청결과 위생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강모는 그 단면의 지름이 작기 때문에, 치아와 치아 사이의 틈새를 용이하게 닦아 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나일론 모를 사용하는 대신에, 비교적 연질의 모를 사용하면, 좀더 부드럽게 치아를 닦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실리콘 모로서 그 단면의 지름이 나일론 모의 지름보다 더 큰 연질모를 식재한 칫솔은 부드럽게 치아 및 잇몸과 마찰하기 때문에, 치아나 잇몸의 마모,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마사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칫솔의 강모들은 잇몸을 손상시킬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가 있었다. 즉, 강모들은 가늘고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강모들의 선단이 잇몸에 닿을 경우에는 잇몸이 비교적 쉽게 손상될 뿐만 아니라, 잇몸의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치골을 마모시키거나 치주염을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강모들을 사용할 때에는 칫솔질에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주게 된다.
또한, 연질모들은 강도가 약해서 청결 효과가 강모에 비해 비교적 떨어짐은 물론, 치아의 틈새 등을 깨끗하게 닦아 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연질모들은 소재의 특성으로 인하여 가늘고 길게 제작할 경우에 변형이 심하게 발생되어 치아를 닦을 수 없으므로, 연질모들은 소정 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제작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연질모들이 소정 크기의 직경을 가질 경우에는, 연질모들의 선단이 치아의 틈새에 닿지 못하여 틈새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를 잘 닦은 청결 효과와 치아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고, 치아 및 잇몸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잇몸의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칫솔 12, 112: 손잡이
14, 114: 헤드 14, 114: 식재구멍
20, 120: 강모 30: 보호체
32, 132: 연질모 118: 조립구멍
130: 분리체 134: 결합홈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한쪽 끝에 형성되는 헤드를 갖는 칫솔에 있어서, 헤드의 한쪽 면 일부분에 식재되는 강모들과; 헤드의 나머지 부분에 식재되는 연질모들로 구성되는 칫솔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한쪽 끝에 형성되는 헤드를 갖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한쪽 면 앞쪽에 식재되는 강모들과, 상기 강모들과 인접되도록 상기 헤드에 형성되는 조립구멍과, 한쪽 면에 상기 강모들과 같은 방향으로 연질모들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는 상기 조립구멍의 테두리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탈착가능한 분리체로 구성되는 것을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칫솔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칫솔(10)은 사용자가 손으로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비교적 길이가 긴 손잡이(12)와, 이 손잡이(12)의 한쪽 끝에 형성되는 헤드(14)를 갖는다. 즉, 칫솔(10)은 막대 형상의 손잡이(12)에 헤드(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칫솔(10)의 손잡이(12)와 헤드(14)는 수지, 예를 들어 에이비에스 수지(ABS resin)를 소재로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헤드(14)는 사각형 또는 타원형, 기타의 형상으로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14)의 한쪽 면 소정 부분에 다수의 식재구멍(16)들이 형성되며, 헤드(14)의 식재구멍(16)들에는 나일론을 소재로 이루어지는 강모(20)들이 각각 식재된다. 본 발명에서 강모 또는 연질모의 식재라 함은 몰딩, 융착, 일체 성형 등 그 방법에 불구하고, 강모 또는 연질모를 헤드에 결합시켜 치아를 닦음에 있어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고 칫솔로서의 필요한 내구성을 갖도록 결합시키는 일체의 방법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헤드(14)의 식재구멍(16)들은 헤드(14)의 앞쪽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서 헤드(14)의 앞쪽에만 강모(20)들이 식재된 것을 나타냈으나, 강모(20)들은 헤드(14)의 중앙 또는 앞쪽과 중앙 등에 적절하게 배치하여 식재할 수도 있다. 상기한 강모(20)들은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강모(20)들의 선단은 잇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라운딩(rounding)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칫솔(10)은 그 헤드(14)의 표면에 강모(20)들이 노출되도록 실리콘을 소재로 이루어지는 보호체(30)가 장착된다. 즉, 헤드(14)의 표면에는 강모(20)들이 식재된 부분을 제외하고 보호체(30)가 전체적으로 감싸지게 장착된다.
한편, 보호체(30)의 한쪽 면에는 치아를 닦아 주는 것과 함께 잇몸의 마사지를 행할 수 있도록 강모(20)들과 같은 방향으로 실리콘을 소재로 이루어지는 연질모(32)들이 일체로 형성된다. 연질모(32)들의 끝부분은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질모(32)들의 끝은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연질모(32)들의 단면을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냈으나, 연질모(32)들의 단면은 사각형 또는 타원형, 기타의 형상으로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강모(20)들과 연질모(32)들의 끝은 헤드(14)의 표면을 기준으로 동일 높이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체(30)는 카트리지(cartridge) 방식에 의해 헤드(14)와 착탈이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질모의 재질은 이들 연질모는, 치아를 닦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강도가 높은 강모와 대비하여 볼 때 비교적 부드러워 치아 및 잇몸을 닦음에 있어 마모나 손상의 염려가 적고 마사지 효과를 줄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것이면, 연질모의 재질은 실리콘,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플라스틱 등 어떠한 것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구강내 생체 적합성을 고려할 때 실리콘 재질의 연질모가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서 헤드(14)의 한쪽 면 앞쪽에 강모(20)들이 식재되고, 여기에 연질모(32)가 형성되는 보호체(30)를 장착된 것을 나타냈으나, 헤드(14)의 한쪽 면 앞쪽에 강모(20)들을 식재한 후, 헤드(14)의 나머지 부분에 연질모(32)를 식재할 수 있다. 그리고, 강모(20)들은 헤드(14)에 식재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강모(20)들을 보호체(30)에 식재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칫솔(110)은 사용자가 손으로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비교적 길이가 긴 손잡이(112)와, 이 손잡이(112)의 한쪽 끝에 형성되는 헤드(114)를 갖는다.
그리고, 헤드(114)의 한쪽 면 소정 부분에 다수의 식재구멍(116)들이 형성되고, 식재구멍(116)들의 한쪽에 조립구멍(118)이 형성된다. 헤드(114)의 식재구멍(116)들은 헤드(114)의 앞쪽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헤드(114)의 나머지 부분에 조립구멍(118)이 형성된다. 도면에서 헤드(114)의 조립구멍(118)은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냈으나, 조립구멍(118)은 타원형 또는 원형, 기타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헤드(114)들의 식재구멍(116)들에는 강모(120)들이 각각 식재되고, 강모(120)들은 가늘고 길게 형성되며, 강모(120)들의 선단은 잇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114)의 조립구멍(118)에는 실리콘을 소재로 이루어지는 분리체(130)가 장착되고, 분리체(130)의 한쪽 면에는 치아를 닦아 주는 것과 함께 잇몸의 마사지를 행할 수 있도록 강모(120)들과 같은 방향으로 실리콘을 소재로 이루어지는 연질모(132)들이 일체로 형성된다. 연질모(132)들의 끝부분은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질모(132)들의 끝은 라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연질모(132)들의 단면을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냈으나, 연질모(132)들의 단면은 사각형 또는 타원형, 기타의 형상으로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분리체(130)의 각 측면에는 조립구멍(118)의 테두리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홈(134)이 형성된다. 헤드(114)의 조립구멍(118)에 분리체(130)를 조립시킬 때, 분리체(130)는 소재의 특성에 의해 유연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분리체(130)의 결합홈(134)이 조립구멍(118)의 테두리에 용이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한 강모(120)들과 연질모(132)들의 끝은 헤드(114)의 표면을 기준으로 동일 높이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칫솔(10)의 헤드(14)에 식재된 강모(20)들은 비교적 딱딱하기 때문에 치아의 틈새나 요철을 효과적으로 닦아 줄 수 있다. 그리고, 보호체(30)의 연질모(32)들에 의해 잇몸을 부드럽게 마사지할 수 있다. 이때, 보호체(30)는 치아나 잇몸에 부드럽게 닿아 치아나 잇몸을 보호해주며, 연질모(32)들은 소재의 특성에 의해 잇몸과 치아의 법랑질을 손상시키기 않을 뿐만 아니라, 치아를 변색시키는 세균성 녹과 치태(齒苔)를 제거해주기 때문에 치아의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요컨대, 칫솔(10)의 강모(20)들과 연질모(32)들에 의해 치아의 틈새나 요철을 닦아주는 것과 함께 잇몸의 마사지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칫솔(10)에 강모(20)들과 연질모(32)들이 함께 구비되어 칫솔(10)의 구입에 따른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이 감소되며, 결과적으로 제품의 구매력과 경쟁력이 확보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칫솔(110)의 헤드(114)에 강모(120)들을 식재하고, 이 헤드(114)의 조립구멍(118)에 연질모(132)들이 형성된 분리체(130)를 조립하는 경우에도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치아를 닦아 주는 것과 함께 잇몸의 마사지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칫솔(110)의 헤드(114)에 별도의 분리체(130)를 조립시키는 것은 칫솔(10)의 헤드(14)에 연질모(32)들이 형성되도록 보호체(30)를 형성하는 것과 비교하여 칫솔(110)의 제작이 단순하고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장기간의 사용으로 연질모의 손상이 있는 경우에, 연질모 분리체만을 교환함으로써 계속적인 칫솔의 사용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칫솔에 의하면, 하나의 칫솔에 강모들과 연질모들이 구비되어 치아를 잘 닦는 것과 함께 잇몸을 보호하면서 잇몸의 마사지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Claims (3)

  1.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한쪽 끝에 형성되는 헤드를 갖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한쪽 면 소정 부분에 식재되는 강모들과;
    상기 헤드의 나머지 부분에 식재되는 연질모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모들은 상기 헤드의 앞쪽에 위치되도록 식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한쪽 끝에 형성되는 헤드를 갖는 칫솔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한쪽 면 앞쪽에 식재되는 강모들과;
    상기 강모들과 인접되도록 상기 헤드에 형성되는 조립구멍과;
    한쪽 면에 상기 강모들과 같은 방향으로 연질모들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는 상기 조립구멍의 테두리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탈착가능한 분리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19980007581A 1998-03-07 1998-03-07 칫솔 KR19990074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581A KR19990074169A (ko) 1998-03-07 1998-03-07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581A KR19990074169A (ko) 1998-03-07 1998-03-07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169A true KR19990074169A (ko) 1999-10-05

Family

ID=6590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581A KR19990074169A (ko) 1998-03-07 1998-03-07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41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03B1 (ko) * 2007-08-13 2009-06-25 주식회사 크리오 칫솔 헤드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03B1 (ko) * 2007-08-13 2009-06-25 주식회사 크리오 칫솔 헤드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3650A1 (en) Electric toothbrush
CA2048790A1 (en) Toothbrush
KR20210092900A (ko) 혀 클리너가 구비된 칫솔
US11122882B2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US11051605B2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a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KR19990074169A (ko) 칫솔
KR200197161Y1 (ko) 칫솔
KR102337467B1 (ko) 칫솔
KR200225383Y1 (ko) 이중칫솔
KR100968599B1 (ko) 치솔
KR200234847Y1 (ko) 기능성 칫솔
KR200219014Y1 (ko) 칫솔
KR200171246Y1 (ko) 실리콘칫솔모와일반칫솔모가동시에내장된칫솔
KR20020036470A (ko) 이중칫솔
KR0114700Y1 (ko) 테이퍼링형 솔이 식모된 치솔
KR200242610Y1 (ko) 손가락 삽입식 치솔
KR200209689Y1 (ko) 치간 세정기능이 보강된 칫솔
KR200378703Y1 (ko) 잔모가 형성되어 있는 칫솔모 구조
KR200198352Y1 (ko) 칫솔
KR20240017701A (ko) 잇몸보호용 기능성 칫솔
CN112315177A (zh) 一种具备口腔保护功能的牙刷
GB2197203A (en) Tooth cleaning implement
KR20020085034A (ko) 손가락 삽입식 치솔
KR20040033080A (ko) 손가락 삽입식 칫솔
KR19990005288U (ko)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