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255B1 - 이중 세정 클리너 - Google Patents

이중 세정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255B1
KR101477255B1 KR1020080088830A KR20080088830A KR101477255B1 KR 101477255 B1 KR101477255 B1 KR 101477255B1 KR 1020080088830 A KR1020080088830 A KR 1020080088830A KR 20080088830 A KR20080088830 A KR 20080088830A KR 101477255 B1 KR101477255 B1 KR 101477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ead portion
tongue
flock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0058A (ko
Inventor
이경섭
김성진
은상태
안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80088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2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0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17/2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for cleaning of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81Brushes with a scraper, e.g. tongue scraper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세정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중 세정 클리너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선단에 미리 정해진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본체; 헤드부의 일면 내측으로 모(毛)가 식모(植毛)되어 형성된 식모부; 및 식모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헤드부의 일면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세정, 혀, 클리너, 헤드부, 식모

Description

이중 세정 클리너{Double washing cleaner}
본 발명은 혀를 세척하기 위한 이중 세정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혓바닥에 낀 음식물 찌꺼기나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이중 세정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태(舌苔)는 혀에서 떨어져 나오는 유두각질, 모상유두 사이사이의 음식물 찌꺼기, 혈구, 구강미생물 등이 쌓여서 발생한다. 이러한 설태는 정상적일 때에 백색으로 엷게 끼게 되며, 위열, 열병(熱病), 소화기병(消化器病) 등 내부 장기나 소화기 계통이 좋지 않게 되면 회색이나 황갈색으로 발생하게 된다.
상기 유두의 상피에는 많은 미뢰(taste bud)가 자리하고 있어 매우 예민하고 상처 받기 쉬운 조직이다. 이러한 유두는 그 길이가 1mm 내외이며, 유두 사이에 많은 음식물의 잔사 및 이물질이 끼여 있게 된다. 따라서, 입안의 혓바닥에 낀 음식물의 잔사나 이물질에 의하여 좋지 않은 구취를 풍기게 된다.
또한, 혀의 점막은 음식물 찌꺼기와 구강미생물에게 좋은 환경을 제공하여 휘발성 황화합물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구취의 주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즉, 혓바닥에 쌓이는 설태를 제거하는 것이 구취를 치료하는 한 방편이다. 이에, 혓바 닥에 쌓인 설태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혀 세정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혀 세정기는 대표적으로 칫솔과 유사한 브러쉬를 이용한 방식과, 도 1에 도시된 편상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브러쉬를 이용하는 방식은 혀에 브러쉬를 접촉한 상태에서 문질러 설태를 혀로부터 분리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브러쉬를 이용하는 방식은 브러쉬의 모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식모한 것에 불과하여 설태를 입 밖으로 배출시켜 제거하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편상(10)을 이용한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날(11)을 구비하여 제거날(11)을 혀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긁어 내리는 것에 의해 설태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편상(10)을 이용한 방식은 강도가 강한 제거날(11)을 이용하여 혀를 긁어 설태를 제거하기 때문에 설태 제거시 혀를 상하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혀의 유두 사이에 쌓인 설태(음식물 잔사 및 이물질)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중 세정 클리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태 제거시에 혀의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중 세정 클리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중 세정 클리너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선단에 미리 정해진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본체; 헤드부의 일면 내측으로 모(毛)가 식모(植毛)되어 형성된 식모부; 및 식모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헤드부의 일면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때, 헤드부의 일부가 관통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되, 헤드부의 일면 선단으로부터 돌출부, 식모부 및, 공간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중 세정 클리너는, 손잡이와, 손잡이의 선단에 미리 정해진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본체; 헤드부의 일면에 형성되고, 헤드부의 선단 중앙 일부분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넓어지도록 모(毛)가 식모(植毛)되어 형성된 식모부; 및 식모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헤드부의 일면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헤드부의 선단 중앙 일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헤드부의 일부가 관통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는 헤드부의 선단 중앙 일부분을 기준으로 식모부가 형성된 헤드부의 일부가 일정 압력에 의하여 회동가능하도록 헤드부의 선단 중앙 일부분을 기준으로 식모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돌출부는 헤드부의 선단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선단을 따라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모된 모의 높이는 돌출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식모된 모의 높이와 돌출부의 높이 차이는 0.1mm 이상 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돌출부는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세정 클리너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헤드부의 내측에 위치한 식모부에 의하여 혓바닥에 쌓인 이물질(설태)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헤드부의 외측에 위치한 돌출부에 의하여 이물질을 입 밖으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제거할 수 있다.
둘째, 설태 제거시에 혀의 자극을 최소화하여 혓바닥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셋째, 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물질에 따른 구취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세정 클리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이중 세정 클리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상기 이중 세정 클리너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중 세정 클리너(100)는 손잡이(112)와 헤드부(114)를 구비하는 본체(110), 헤드부(114)의 일면 내측에 형성된 식모부(120), 헤드부(114)의 일면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130) 및, 헤드부(114)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공간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112)와, 손잡이(112)의 선단에 형성된 헤드부(114)를 포함한다. 이때, 손잡이(112)와 헤드부(114)는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손잡이(112)의 선단에 헤드부(114)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112)는 사용자가 충분히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손잡이(112)는 곧은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선택에 따라 굴곡지거나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14)는 손잡이(112)의 선단에 형성된다. 헤드부(114)는 원형, 타원형,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헤드부(114)가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헤드부(114)는 구강(口腔)속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헤드부(114)의 선단부가 원형, 타원형, 반원형 및 호의 각을 이룸으로써 구강 내 다른 부위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
한편, 헤드부(114)의 크기, 즉 지름은 15mm 이상 40mm 이하이다. 헤드부(114)의 지름이 15mm보다 작을 경우 혀 전체를 커버하는데 면적이 부족하므로 여러 번의 혀 솔질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며, 지름이 40mm보다 클 경우 구강내의 움직임에 있어서 제약을 받게 되어 불편하고 입안에 상처를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식모부(120)는 헤드부(114)의 일면 내측에 형성된다. 식모부(120)는 모(毛)(도 5의 '122' 참조)가 미리 정해진 부분에 식모(植毛)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식모부(120)는 혀의 유두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 혀에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 부드러워야 한다. 따라서, 개개의 단모(122)는 직경이 0.05mm 이상 0.15mm 이하이다. 이에 비해, 통상적인 칫솔에 사용되는 칫솔모(미도 시)의 직경은 0.18mm 내지 0.20mm이다. 즉,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중 세정 클리너(100)에 사용되는 모(122)의 직경은 칫솔모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혀 세정에 있어서 칫솔모의 강성이 강할 경우 혀를 상하게 할 수 있어 모(122)의 유연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더불어 후술할 돌출부(130)가 모(122)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경우, 모(122)의 강성이 너무 강하면 돌출부(130)의 설태 스크래핑 효과를 충분히 나타낼 정도로 돌출부(130)가 혀 바닥에 닿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헤드부(114)에 식모된 모(122)의 길이는 2.5mm 이상 5.5mm 이하이다. 상기 수치범위에 대하여, 모(122)의 길이가 5.5mm를 초과할 경우 내구성에 한계를 가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2.5mm 미만일 경우 모(122)의 부드러움의 저하로 혀에 자극 또는 상처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모(122)의 길이가 짧으면, 식모된 후 모의 선단부가 둥글도록 라운딩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랑운딩 작업이 어려워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식모부(120)는 복수의 단모(122)가 다발로 묶여져서 그룹모(124)가 형성되고, 그룹모(124)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식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부(114)에 형성된 홀(121)의 직경은 1.2mm 이상 2.0mm 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홀(121)의 직경은 1.5mm 이상 1.7mm 이하이다. 홀(121)의 직경이 1.2mm 미만일 경우에는 식모할 수 있는 모(122)의 개수가 너무 작아서 충분한 힘을 발휘하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2.0mm를 초과할 경우 모의 개수가 많아져 상대적으로 너무 강한 힘으로 인하여 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 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그룹모(124)가 헤드부(114)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복수개 식모됨으로써 식모부(120)가 형성된다.
돌출부(130)는 헤드부(114)의 일면 외측에 형성된다. 즉, 식모부(12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30)는 헤드부(114)의 선단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30)의 폭은 0.5mm 이상 3.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30) 폭이 0.5mm 미만이면 사출시의 어려움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3.0mm를 초과하면 돌출부(130)의 높이 대비 폭이 커서 스크래핑의 역할을 하는데 있어서 큰 강성으로 혀에 자극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돌출부(130)의 재질은 손잡이(112)의 재질인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돌출부(130)에 유연성을 더해주기 위하여 고무 재질로 돌출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무의 사용은 감촉에 있어서 혀의 자극을 덜어주며, 일반 플라스틱에 비하여 돌출부(130)의 힘이 약하므로 혀에 대한 상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고무의 경도가 Shore A 경도로 35 이상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의 경도 수치범위에 대하여, 고무의 경도가 35에 미달하면 돌출부(130)가 스크래핑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부드러워져 바람직하지 못하고, 80을 초과하면 경도가 커져 감촉이 좋지 않으며 혀에 자극 및 상처를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돌출부(130)의 높이는 2mm 이상 5mm 이하인 범위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30)의 높이는 혀의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스크래핑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높이라고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헤드부(114)의 일면 내측에 식모된 모(도 5의 '122' 참조)의 높이와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130)의 높이 차이는 0.1mm 이상 2mm 이하이다. 이는 돌출부(130)의 높이가 식모부(120)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식모부(120)가 혓바닥에 닿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모(122)의 기능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돌출부(130)는 헤드부(114)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태를 입 밖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면 소정 각도, 예컨대 30° 이상 150° 이하, 바람직하게 60° 이상 120°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이중 세정 클리너(100)를 이용하여 혓바닥에 쌓인 설태를 제거할 때, 혀의 안쪽을 자극하게 되면 사용자의 구토 및 헛구역질을 유발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는 이중 세정 클리너(100)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에 발생 되기도 하지만, 민감한 부위에 많은 면적이 자극을 주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중 세정 클리너(100)의 헤드부(114)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공간부(140)를 형성하였다.
상기 공간부(140)는 헤드부(114)의 적은 면적으로 효율적인 세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며, 구강 및 혀의 자극을 최소화하도록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14) 중 손잡이(112)의 선단과 인접된 부분에 공간부(140)가 형성되고, 헤드부(114)의 선단부쪽으로 돌출부(130)와 식모부(120)가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부(114)에 형성된 공간부(140)에 의하여 혀와 접 촉되는 면적이 최소화되고, 헤드부(114)의 강성을 완화시켜 구토 및 헛구역질을 예방하였다. 또한,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된 식모부(120)는 유두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고, 식모부(120)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130)는 제거된 이물질을 입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용이하게 설태를 제거하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세정 클리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중 세정 클리너(200)는 손잡이(212)와 헤드부(214)로 이루어진 본체(210), 헤드부(214)의 일면 내측에 형성된 식모부(220), 식모부(220)의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부(230) 및, 헤드부(214)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공간부(240)를 구비한다. 이때, 도 6의 손잡이(212), 헤드부(214), 식모부(220), 돌출부(230) 및, 공간부(240)는 앞선 실시예의 손잡이(112), 헤드부(114), 식모부(120), 돌출부(130) 및, 공간부(140)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이중 세정 클리너(2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이중 세정 클리너(100)의 형상에 있어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세정 클리너(200)는 헤드부(214)의 선단이 호의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예컨대, 헤드부(214)는 부채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114)(214)의 형상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의 일 예에 불과하고, 헤드부(114)(214)의 일면 외측에 돌출부(130)(230)가 형성되고, 일면 내측에 식모부(120)(220)가 형성된다면 헤드부(114)(214)는 타원형, 반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세정 클리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 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중 세정 클리너(300)는 손잡이(312)와 헤드부(314)로 이루어진 본체(310), 헤드부(314)의 일면 선단 중앙 일부분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된 식모부(320), 헤드부(314)의 일면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330) 및, 헤드부(314)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공간부(340)를 구비한다. 이때, 도 7의 손잡이(312), 헤드부(314), 식모부(320), 돌출부(330) 및, 공간부(340)는 앞선 실시예의 손잡이(112), 헤드부(114), 식모부(120), 돌출부(130) 및, 공간부(140)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이러한, 도 7에 도시된 이중 세정 클리너(300)는 식모부(320)가 형성된 부분이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세정 클리너(300)는 헤드부(314)의 선단으로부터 일면에 돌출부(330), 식모부(320) 및 공간부(340)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식모부(320)의 일부는 돌출부(330)가 형성된 헤드부(314)의 외측까지 형성된다. 즉, 식모부(320)는 헤드부(314)의 선단 중앙 일부분으로부터 헤드부(314)의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식모부(320)는 혓바닥의 깊은 곳까지 유두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돌출부(330)가 형성된 부분의 식모부(320)를 이용하여 혓바닥 깊은 곳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모부(320)가 헤드부(314)의 선단 중앙 일부분까지 형성됨으로써 돌출부(330)는 헤드부(314)의 선단 중앙 일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식모부(320)에 의하여 한 쌍으로 구획된 돌출부(330)는 식모부(320)에 의하여 제거된 이물질을 입 밖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아무런 문제가 없음은 자명하다.
한편, 헤드부(314)에는 식모부(320)가 소정 압력에 의하여 일정부분 회동되도록 공간부(340)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간부(340)는 헤드부(314)를 관통하여 형성되되, 식모부(320)가 형성된 헤드부(314)의 선단 중앙 일부분을 기준으로 헤드부(314)의 내측으로 넓게 형성된 식모부(32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부(314)의 선단 중앙 일부를 기준으로 헤드부(314)의 내측, 식모부(320)가 넓게 퍼져 형성된 부분이 일정 압력을 받으면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압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이중 세정 클리너(300)를 이용하여 혀의 설태를 제거시, 혀의 유두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는 식모부(320)로 혀를 일정 압력 이상으로 누르면 식모부(320)가 형성된 헤드부(314)의 일부가 화살표(도 7 참조)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혀에 무리한 자극을 주지않고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혀 세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세정 클리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중 세정 클리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이중 세정 클리너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이중 세정 클리너의 식모부를 나타내는 부분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세정 클리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세정 클리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이중 세정 클리너 110, 210, 310 : 본체
112, 212, 312 : 손잡이 114, 214, 314 : 헤드부
120, 220, 320 : 식모부 130, 230, 330 : 돌출부
140, 240, 340 : 공간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손잡이와, 손잡이의 선단에 미리 정해진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본체;
    헤드부의 일면에 모(毛)가 식모(植毛)되어 형성되되, 헤드부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부터 갈수록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식모부; 및
    식모부의 선단을 사이에 두고 헤드부의 일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되, 식모부와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세정 클리너.
  4. 제3항에 있어서,
    헤드부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되, 식모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일정 압력에 의하여 헤드부의 선단을 기준을 회동할 수 있도록 식모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세정 클리너.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헤드부의 선단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선단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세정 클리너.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식모된 모의 높이는 돌출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세정 클리너.
  7. 제6항에 있어서,
    식모된 모의 높이와 돌출부의 높이 차이는 0.1mm 이상 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세정 클리너.
  8. 제6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세정 클리너.
KR1020080088830A 2008-09-09 2008-09-09 이중 세정 클리너 KR101477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830A KR101477255B1 (ko) 2008-09-09 2008-09-09 이중 세정 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830A KR101477255B1 (ko) 2008-09-09 2008-09-09 이중 세정 클리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058A KR20100030058A (ko) 2010-03-18
KR101477255B1 true KR101477255B1 (ko) 2014-12-29

Family

ID=4218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830A KR101477255B1 (ko) 2008-09-09 2008-09-09 이중 세정 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334A (ko) 2017-09-12 2019-03-20 바이허브 주식회사 구강 내 혀 관리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6021U (ko) * 1990-04-04 1991-12-19
JP2001061849A (ja) * 1999-08-31 2001-03-13 Kunihisa Aizawa 舌垢の擦り取り具
JP2001161720A (ja) * 1999-12-14 2001-06-19 Lion Corp 舌クリーナー
KR200310859Y1 (ko) * 2003-01-07 2003-04-16 김장철 칫솔 겸용 혓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6021U (ko) * 1990-04-04 1991-12-19
JP2001061849A (ja) * 1999-08-31 2001-03-13 Kunihisa Aizawa 舌垢の擦り取り具
JP2001161720A (ja) * 1999-12-14 2001-06-19 Lion Corp 舌クリーナー
KR200310859Y1 (ko) * 2003-01-07 2003-04-16 김장철 칫솔 겸용 혓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334A (ko) 2017-09-12 2019-03-20 바이허브 주식회사 구강 내 혀 관리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058A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138Y1 (ko) 칫솔
US10172440B2 (en) Toothbrush having tufted bristles and tongue brush bristles emanating from the same surface
KR101555295B1 (ko) 기능성 칫솔
KR101375411B1 (ko) 지향식 세척을 하는 조직 세척요소를 가진 구강 관리기구
US20060052805A1 (en) Tongue scraper and brush
TW201328632A (zh) 牙刷
US20170105517A1 (en) Disposable toothbrush and flossing device
CN111556718A (zh) 牙刷
KR101477255B1 (ko) 이중 세정 클리너
KR20180081395A (ko) 혀 클리너
KR20090008288U (ko) 칫솔
KR101546306B1 (ko) 치간칫솔 겸용 개량형 칫솔
KR100904603B1 (ko) 칫솔 헤드부
KR20180093715A (ko) 다기능 칫솔
KR101865043B1 (ko) 칫솔
JP2017012531A (ja) 舌クリーナ付歯ブラシ
WO2017213388A1 (ko) 교체 가능한 헤드를 구비한 칫솔
JP3079573U (ja) 舌苔除去機能付歯ブラシ
KR102203708B1 (ko) 멀티 세정형 치간칫솔
JP2001346633A (ja) 歯ブラシ
KR200317601Y1 (ko) 잇몸마사지기가 내설된 칫솔
KR200292905Y1 (ko) 설태 제거기
EP3355743B1 (en) Oral care implement
KR200481656Y1 (ko) 물이 필요없는 양치 도구
KR20180024130A (ko) 헤드의 유연성 및 탄력성을 구비한 칫솔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