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905Y1 - 설태 제거기 - Google Patents

설태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905Y1
KR200292905Y1 KR2020020021319U KR20020021319U KR200292905Y1 KR 200292905 Y1 KR200292905 Y1 KR 200292905Y1 KR 2020020021319 U KR2020020021319 U KR 2020020021319U KR 20020021319 U KR20020021319 U KR 20020021319U KR 200292905 Y1 KR200292905 Y1 KR 200292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brush
removal
remover
rem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정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욱 filed Critical 정재욱
Priority to KR2020020021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9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905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혀의 표면에 발생되는 설태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설태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끼움구의 일측에 제거날을 복수개로 구비함과 아울러, 이와 반대측에 위치된 브러시를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설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끼움구(2)와 자루(3)로 구성되어 입안의 설태를 제거토록 하는 설태제거기(1)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2)의 일측 상부에는 은으로 되는 다수의 제거날(4)을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고, 그 하부에는 복수개의 돌기(5)를 일체로 형성하며, 타측에는 상단에 홈(6)이 구비된 수납공간(7)을 형성하되, 이 수납공간(7)에는 브러시판(8)에 브러시모(9)가 식모된 브러시(10)를 탈착 가능하게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태제거기이다.

Description

설태 제거기{Implement for removing a coated tongue}
본 고안은 혀의 표면에 발생되는 설태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설태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끼움구의 일측에 설태 제거를 위해 형성된 제거날을 복수개로 구비하여 혀를 긁어내릴때 상기 제거날들이 혀를 순차적으로 지나게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설태를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그 반대측에 설치되어 설태를 혀로 부터 분리시키도록 하는 브러시를 탈착 가능하게 하여 사용 불가능해짐에 따라 브러시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설태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태는 주로 혀에서 떨어져 나오는 유두각질, 모상유두 사이사이에 음식물 찌꺼기, 혈구 , 구강미생물 등이 쌓여서 발생되는 것으로 정상적인 설태는 백색으로 엷게 끼게 되며, 위열(胃熱)등 내부 장기나 소화기 계통이 좋지 않게 되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혀의 점막은 음식물 찌꺼기와 구강 미생물에게 좋은 환경을 제공하여 휘발성 황화합물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구취의 주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설태를 제거하는 것이 구취를 치료하는 한 방편,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설태제거기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설태 제거기는 대표적으로 칫솔과 유사한 브러시를 이용하는 방식과 편상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지만 브러시를 이용하는 방식은 혀에 브러시를 접촉한 상태에서 문질러서 설태를 혀로 부터 분리시키는 방식이나, 이방식은 설태를 입밖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분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브러시모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식모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수차례 사용후에는 칫솔과 마찬가지로 브러시의처짐 등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어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결국, 버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편상을 이용하는 방식은 제거날을 혀의 표면에 접촉상 상태에서 긁어 내리는 것에 의해 설태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부로 호형면을 갖는 띠형상의 제거날(200)이 형성되고, 이 제거날(200)의 양측에는 일체로 연장되는 손잡이(300)가 형성된 설태제거기(100)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설태제거기(100)는 혀를 긁어 설태를 제거하는 제거날(200)이 한개 밖에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거시 혀를 여러번 긁어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음은 물론, 상기 제거날(200)에 연장된 손잡이(300)가 두개로 이루어져 손으로 잡기가 불편하여 결국, 제거 효율이 떨어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설태제거기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끼움구의 일측에 제거날을 복수개로 구비하여 사용시 혀를 순차적으로 긁어내리도록 하여 설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설태제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거날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설태를 혀로 부터 분리시키도록 하는 브러시를 탈착 가능하게 하여 사용 불가능해짐에 따라 브러시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설태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브러시를 탈착 가능하게 형성하여 사용 불가능해짐에 따라 브러시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설태제거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태제거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반대측에 위치된 브러시가 탈착 가능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I - I 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캡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설태제거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설태제거기 2 - 끼움구
3 - 자루 4 - 제거날
5 - 돌기 6 - 홈
7 - 수납공간 8 - 브러시판
9 - 브러시모 10 - 브러시
20 - 캡 21 - 걸림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설태제거기는, 끼움구(2)와 자루(3)로 구성되어 입안의 설태를 제거토록 하는 설태제거기(1)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2)의 일측 상부에는 은으로 되는 다수의 제거날(4)을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고, 그 하부에는 복수개의 돌기(5)를 일체로 형성하며, 타측에는 상단에 홈(6)이 구비된 수납공간(7)을 형성하되, 이 수납공간(7)에는 브러시판(8)에 브러시모(9)가 식모된 브러시(10)를 탈착 가능하게 끼워 결합한 것을 구성으로 하여 달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끼움구(2)에는, 제거날(4) 및 브러시(7)의 청결을 위해 하단 내부 양측으로 걸림턱(21)이 구비된 캡(20)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태제거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반대측에 위치된 브러시가 탈착 가능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I - I 선 단면도이다.
도 1 ~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설태제거기(1)는 손으로 감아 쥘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형태의 자루(3)가 형성되며, 그 선단으로는 대략 사각 형태를 갖는 끼움구(2)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구(2)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그 일측으로는 설태를 입밖으로 제거시키도록 하는 은 재질의 제거날(4)이 구비되는바, 그 제거날(4)은 적어도 두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거날(4)을 복수개로 구비하여 혀를 긁어내릴때 혀의 표면에 접촉된 제거날(4)들이 혀를 순차적으로 지나가게 함으로써 한번의 긁어내림으로 여러번 긁어내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즉, 제거날(4)들이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첫번째 제거날(4a)이 지나가면 그 다음 제거날(4b)이 그 부분을 한번 더 긁어 주게 되고 이를 반복하여 마지막 제거날(4c)이 혀에 잔존하고 있는 설태를 입밖으로 제거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거날(4)은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혀와 접촉될 시 그 접촉각이 직각이 아닌 예각을 이루도록 하여 그 제거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구(2)의 제거날(4)은 은(銀)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로부터 은의 효능은 알려진바와 같이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변색되는 반응을 나타내 주므로 건강체크 포인트가 됨은 물론, 몸에 지니고 있으면 오장이 편안하고, 심신이 안정되며, 사기(邪氣)를 내쫓고 몸을 가볍게 하여 명을 길 게 하고, 간질 및 경기 등 정신질환과 내 대하와 같은 부인병 예방 및 치료에 효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유해 세균을 살균하는 작용을 하므로 위생적으로도 양호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거날(4)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5)가 구비된다. 이는 혀는 위와 같은 내장 및 소화기계통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혀에 지압이나 마사지를 해줌으로서 위열(胃熱)과 같은 내부 장기의 이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돌기(5)의 끝단은 혀에 상처를 입히지 않고 부드러운 접촉형태를 이루기 위하여 라운드 형상으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거날(4)의 반대측에는 수납공간(7)이 형성된다. 이 수납공간(7)에는 브러시(10)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수납공간(7)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브러시판(8)에 한국산업규격 KS G3103의 규정에 따라 브러시모(9)가 식모된 브러시(10)를 끼우는 것에 의해 수납공간(7)에 고정이 되는바, 상기 브러시판(8)은 수납공간(7)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여 억지 끼워맞춤하여 고정되도록 하며, 이를 분리할 때에는 상기 수납공간(7)의 상부와 서로 연장된 홈(6)에 예리한 도구등을 넣어 바깥쪽으로 밀어 주게 되면 간편하게 수납공간(7)으로 부터 브러시(10)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시 자루(3)를 파지한 상태에서 먼저 브러시(10)로 혀를 가볍게 문질러 설태를 혀로부터 분리시키고, 이를 다시 제거날(4)을 이용하여 입밖으로 제거시킬 수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사용중에 브러시(10)의 처짐 등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수납공간(7)으로 부터 브러시(10)를 분리하고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캡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구(2)를 보호토록 캡(20)이 형성된다. 이는 사용후, 보관시 끼움구(2)에 형성된 브러시(10), 및 제거날(4)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끼움구(2)의 형상과 비슷한 사각 형태를 갖고, 하단 내부 양측에 걸림턱(21)이 구비된 캡(20)을 형성하여, 끼움구(2)에 끼워 넣게 되면 자체 탄성으로인해 끼움구(2)의 양측 하단에 걸려 상기 끼움구(2)를 지지하는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강제로 빼지 않는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시에는 캡을 빼서 사용하고, 사용후에는 캡을 끼워 보관할 수 있으므로 끼움구(2)에 형성된 브러시(10) 및 제거날(4)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설태제거기에 의하면, 손잡이 상측의 끼움구에 복수개의 제거날을 구비하여 사용시 혀를 순차적으로 긁어내리도록 하여 설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하부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혀에 대한 지압이나 마사지의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제거날이 은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체에도 유익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거날의 반대측에 설치된 브러시가 처짐 등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여 사용하지 못하게 될 경우, 수납공간으로 부터 간편하게 브러시를 분리시킨후, 새로운 브러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그 수명을 연장 시킴은 물론,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끼움구(2)와 자루(3)로 구성되어 입안의 설태를 제거토록 하는 설태제거기(1)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2)의 일측 상부에는 은으로 되는 다수의 제거날(4)을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고, 그 하부에는 복수개의 돌기(5)를 일체로 형성하며, 타측에는 상단에 홈(6)이 구비된 수납공간(7)을 형성하되, 이 수납공간(7)에는 브러시판(8)에 브러시모(9)가 식모된 브러시(10)를 탈착 가능하게 끼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태제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구(2)에는, 제거날(4) 및 브러시(7)의 청결을 위해 하단 내부 양측으로 걸림턱(21)이 구비된 캡(20)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태제거기.
KR2020020021319U 2002-07-16 2002-07-16 설태 제거기 KR200292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319U KR200292905Y1 (ko) 2002-07-16 2002-07-16 설태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319U KR200292905Y1 (ko) 2002-07-16 2002-07-16 설태 제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611A Division KR20040006986A (ko) 2002-07-16 2002-07-16 설태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905Y1 true KR200292905Y1 (ko) 2002-10-25

Family

ID=7312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319U KR200292905Y1 (ko) 2002-07-16 2002-07-16 설태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9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5293A (en) Oral cleaning apparatus
US5967152A (en) Oral cleaning apparatus
KR200493138Y1 (ko) 칫솔
US4356585A (en) Hygienic dental appliance
US5868769A (en) Tongue Scraper
US20060052805A1 (en) Tongue scraper and brush
JP2008540029A (ja) 口腔衛生器具
KR200479129Y1 (ko) 기능을 향상시킨 이쑤시개
CN108430349B (zh) 口腔护理器具
US20090130637A1 (en) Tongue scraper
JP2010264211A (ja) ブラシ掃除具付き歯ブラシ
US5827308A (en) Tongue scraping apparatus
KR200292905Y1 (ko) 설태 제거기
US9744011B2 (en) Dental clean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40006986A (ko) 설태 제거기
KR200489355Y1 (ko) 치약배출부를 갖는 혀크리너
US5682912A (en) Oral hygiene and lingual stimulation device
KR200371454Y1 (ko) 치아용 브러싱기구
WO2017213388A1 (ko) 교체 가능한 헤드를 구비한 칫솔
KR101865043B1 (ko) 칫솔
KR200283021Y1 (ko) 이쑤시개
KR102203708B1 (ko) 멀티 세정형 치간칫솔
KR101477255B1 (ko) 이중 세정 클리너
KR20140109055A (ko) 청결력 향상을 위한 치솔
KR102107528B1 (ko) 교정용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