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280B1 -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 - Google Patents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280B1
KR100904280B1 KR1020070093419A KR20070093419A KR100904280B1 KR 100904280 B1 KR100904280 B1 KR 100904280B1 KR 1020070093419 A KR1020070093419 A KR 1020070093419A KR 20070093419 A KR20070093419 A KR 20070093419A KR 100904280 B1 KR100904280 B1 KR 100904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r
pressing plate
mixed
sug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105A (ko
Inventor
전상숙
Original Assignee
전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숙 filed Critical 전상숙
Priority to KR1020070093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280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야초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에 관한 것으로, 바닥이 막힌 원통기둥 모양의 항아리 바닥에 담긴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를 누름판을 이용해 외부 공기와 잘 섞이도록 하여 발효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항아리 입구에 방충망을 설치하여 항아리 내부로의 날파리나 초파리 등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의 재료즙 및 발효액 추출이 보다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를 제공한다.
산야초, 추출, 발효, 항아리

Description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JAR FOR EXTRACTING FERMENTATIVE FEED}
본 발명은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항아리 바닥에 담긴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의 발효효율을 향상시키고 발효액 추출이 보다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효액을 만드는 과정은 산야초 재료와 설탕을 혼합하여 용기에 넣은 다음 창호지나 방충망으로 윗부분을 막고 용기 뚜껑을 덮어둔다. 이후 약 3개월 동안 2~3일 간격으로 용기 뚜껑을 열고 방충망을 떼어낸 다음 내용물(산야초)을 위아래로 섞어주면서 산소의 공급을 돕는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3개월의 기간이 경과하면 산야초의 재료즙이 추출되는데 산야초 찌꺼기는 걸러내고 재료즙만 따로 모아서 용기에 다시 넣고 약 1년간에 걸쳐 2~3일 간격으로 재료즙을 저어줌으로서 통성혐기성 미생물의 활동을 돕게 된다. 이렇게 되면 우리 몸에 유익한 유산균이 풍부 한 발효효소가 만들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산야초 발효액 제조방법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용기 뚜껑을 열고 내용물을 섞는 과정에서 날파리나 초파리 등이 들어가 구더기가 생겨 내용물을 버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둘째, 산야초 재료의 발효를 위해서는 산야초 재료가 설탕액에 충분히 잠겨야 하는데 산야초 발효과정에서 산야초 재료가 설탕액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 위로 뜨게 되어 부패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 방지를 위해 돌이나 나뭇가지 등을 이용해 산야초 위에 올려놓게 되는데 종래의 용기 모양이 가운데는 넓고 위아래는 좁도록 되어 있어 돌이나 나뭇가지 등을 이용하여도 산야초가 설탕액 위로 뜨는 현상을 방지하기가 어렵다.
셋째, 공기의 용기 내부로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설탕액과 산야초 재료를 섞어주는 과정에서 손을 직접 사용하게 되는데 손과 팔에 발효액이 노출되어 피부병이 발생됨은 물론, 손을 통해 설탕액과 산야초 재료를 섞어주는 과정에서 발효액이 용기 밖으로 흘러나옴에 따라 초파리와 날파리 등이 모여들어 위생불량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산야초 발효 과정에 있어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이 막힌 원통기둥 모양의 항아리 바닥에 담긴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를 누름판을 이용해 재료즙 추출을 돕고 외부 공기와 잘 섞이도록 하여 발효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아리 입구에 방충망을 설치하여 항아리 내부로의 날파리나 초파리 등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의 재료즙 및 발효액 추출이 보다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는 산야초 재료와 설탕이 혼합된 재료가 담기도록 입구에서부터 바닥부분까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항아리; 상기 항아리에 담긴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를 눌러 줌으로써 재료즙 추출과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산야초 재료즙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하로 움직여 상기 추출된 재료즙에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항아리 내부 하부에 위치하는 중앙에 형성된 홀과 전체에 걸쳐 다수 개가 형성된 공기유입용 미세 홀로 이루어진 토기 재질의 누름판; 외부 해충 유입을 방지하도록 전체면적에 걸쳐 미세 홀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전체를 4등분하는 열십자 모양의 지지대로 이루어진 상기 항아리 입구에 설치되는 방충망; 상기 방충망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해충 등이 항아리로 유입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홀을 폐쇄하는 마개 역할을 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누름판을 상하로 움직이도록 단부는 상기 누름판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덮개와 연결되는 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효액 추출방법은 산야초를 재취하여 맑은 물에 씻은 다음 물기를 제거하는 산야초 재료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물기를 제거한 산야초 재료와 설탕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항아리 바닥에 넣는 제2단계; 상기 항아리 바닥에 놓인 혼합된 재료위에 상기 누름판을 올려놓는 제3단계; 덮개를 상하로 움직여 항아리 바닥에 놓은 혼합된 재료를 누르고 있는 누름판을 상하로 이동시켜 누름판의 무게에 의해 혼합된 재료를 섞어주면서 공기를 공급하는 제4단계; 상기 혼합된 재료를 섞어주는 과정을 혼합된 재료로부터 재료즙이 추출될 때까지 약 3개월 동안 매 2~3일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섞어주는 제5단계; 상기 3개월 동안 반복적으로 섞어주는 단계를 거처 재료즙이 추출되면 상기 항아리로부터 재료즙을 분리한 후, 항아리에 담긴 산야초 재료를 제거하는 제6단계; 상기 산야초 재료가 제거된 항아리에 추출된 재료즙을 재차 넣는 제7단계; 및 상기 항아리에 넣은 추출된 재료즙을 약 1년 동안 매 2~3일 마다 상기 덮개를 상하로 움직여 재료즙을 섞어주면서 발효액으로 숙성시키는 제8단계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의 다른 실시예로 입구에서부터 바닥부분까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항아리;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가 수납되어 상기 항아리 내부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에 담긴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를 눌러 줌으로써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산야초 재료즙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하로 움직여 상기 추출된 재료즙에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수납부 상부에 결합되어 항아리 내부 하부에 위치하는 중앙에 형성된 홀과 전체에 걸쳐 다수 개가 형성된 공기유입용 미세 홀로 이루어진 토기 재질의 누름판; 외부 해충 유입을 방지하도록 전체면적에 걸쳐 미세 홀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전체를 4등분하는 열십자 모양의 지지대로 이루어진 상기 항아리 입구에 설치되는 방충망; 상기 방충망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해충 등이 항아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홀을 폐쇄하는 마개 역할을 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누름판을 상하로 움직이도록 단부는 상기 누름판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덮개와 연결되는 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의 수납부 표면은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가 공기와의 접촉이 활발해져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미세 홀이 다수 개 형성되되, 상기 누름판과 결합되어 누름판의 상하 움직임에 의해 수납부에 수납된 혼합된 산야초 재료를 눌러줌은 물론, 공기가 유입되어 재료즙 추출이 가능하도록 천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발효액 추출방법은 산야초를 재취하여 맑은 물에 씻은 다음 물기를 제거하는 산야초 재료를 준비하는 제10단계; 상기 물기를 제거한 산야초 재료와 설탕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수납부에 넣는 제11단계; 상기 수납부를 누름판과 결합하는 제12단계; 덮개를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누름판과 결합되어 있는 수납부 내부에 놓인 혼합된 산야초 재료를 섞어주면서 공기를 공급하는 제13 단계; 상기 혼합된 재료를 섞어주는 과정을 혼합된 재료로부터 재료즙이 추출될 때까지 약 3개월 동안 매 2~3일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섞어주는 제14단계; 상기 3개월 동안 반복적으로 섞어주는 단계를 거처 재료즙이 추출되면 누름판과 결합되어 있는 혼합된 산야초 재료가 놓인 수납부를 제거하는 제15단계; 상기 수납부를 제거한 후, 누름판을 추출된 재료즙이 담긴 항아리에 재차 넣는 제16단계; 및 약 1년 동안 매 2~3일 마다 상기 덮개를 상하로 움직여 재료즙을 섞어주면서 발효액으로 숙성시키는 제17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뛰어난 잇점이 있다.
첫째, 방충망을 오픈하지 않고 항아리 바닥에 담긴 설탕과 산야초 재료의 원활한 혼합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날파리나 초파리 등의 항아리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하여 산야초 재료를 보호할 수 있다.
둘째, 누름판을 이용하여 설탕과 산야초 재료에 대한 공기의 원활한 공급과 재료즙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위생적인 발효액 추출이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셋째, 설탕과 산야초 재료 수납 도구를 이용하여 발효 완료 후 발효액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효액이란 각종 산야초 재료로부터 즙을 추출한 후에 미생물이 활발하게 작용하여 살아있는 발효효소로 만드는 것이며, 이때 발효액에 작용하는 효소는 통성혐기성 미생물로서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해주면 알콜로 변하거나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고 유익한 발효가 되게하는 미생물을 말한다.
따라서 발효액 제조를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내용물을 섞어 주어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함으로서 통성혐기성 미생물이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산야초 발효액 추출을 위한 본 발명의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에 산야초 재료와 설탕이 혼합된 재료가 담기도록 입구에서부터 바닥부분까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항아리(10); 상기 항아리(10) 바닥에 담긴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를 눌러 줌으로써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산야초 재료즙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하로 움직여 상기 추출된 재료즙에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항아리(10) 내부 하부에 위치하는 토기 재질의 누름판(20); 날파리나 초파리 등의 상기 항아리(10)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항아리(10) 입구에 설치되는 방충망(3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상기 누름판(20)은 상하 이동에 의한 공기 유입에 의해 발효효율이 향상되도록 공기유입용 미세 홀(22)이 누름판(20) 전체에 걸쳐 다수 개가 형성되며, 크기는 상기 항아리(10)의 직경보다 1㎝ 내외로 작고 2㎝ 내외로의 두께를 갖도록 한다.
이에 따라 누름판(20)은 자체 무게에 의해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의 부피가 줄어들어도 항시 산야초 재료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항아리 외부에서의 사람에 의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후술하는 끈을 누름판(20) 바닥에 묶기 위한 홀(21)이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미세 홀(22)은 누름판(20)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누름판(20) 아래쪽에 있는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에 공기가 유입되어 산야초 재료로부터 재료즙 추출 및 추출된 재료즙의 발효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방충망(30)은 외부 해충 유입을 방지하도록 그 전체면적에 걸쳐 미세 홀(33)이 형성되며, 그 중앙에는 상기 누름판(20)에 묶인 끈(50)이 통과하여 외부에서 사람에 의해 누름판(20)의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홀(31)이 형성된다. 또한 전체를 4등분하는 열십자 모양의 지지대(32)가 방충망(30)에 구성되어 방충망(3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항아리(10) 입구에 대한 견고한 폐쇄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후술하는 덮개의 지지대 역할을 한다.
상기 누름판(20)과 연결되어 있는 끈(50)은 누름판(20) 중앙에 형성된 홀(21)에 삽입시킨 후, 누름판(20) 중앙 홀(21)의 직경보다 큰 매듭(도시 생략)을 지어 끈(50)이 위쪽으로 이동할 경우 누름판(20)이 끈(5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끈(50)의 단부는 상기 방충망(30)의 중앙 홀(31)을 통한 해충 등의 항아리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홀(31)을 폐쇄하는 마개 역할의 덮개(40)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끈(50)이 연결되어 있는 덮개(40)를 잡아당김에 따라 타측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누름판(20)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방충망(30) 중앙에 형성된 홀(31)의 마개 역할을 하는 덮개(40)의 크기는 방충망(30) 중앙에 형성된 홀(31)의 직경보다 크게 하며, 상기 덮개(40)는 방충망(30) 상부에 열십자로 형성된 지지대(32) 중앙 단부에 거치되도록 한다.
상기 누름판(20)과 덮개(40) 사이에 연결된 끈(50)의 길이는 혼합된 산야초 재료가 발효되어 부피가 줄어듬에 따라 누름판(20)이 내려갈 수 있도록 느슨하게 한다. 즉, 최초 혼합된 산야초 재료의 부피에 따른 높이와 발효가 완전히 이루어진 부피의 높이 차이만큼 끈(50)을 느슨하게 하여 산야초 재료의 발효 진행상황에 따라 항시 산야초 재료를 누름판(20)이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항아리(10) 바닥에 담긴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는 산야초 재료와 설탕은 1:1 비율로 하되, 건조하여 습기가 없는 산야초 재료(예를 들어 나무, 나무열매 및 솔잎 등)의 경우 설탕의 비율을 1.3:1로 하고, 물기가 많은 습한 산야초 재료(예를 들어 과일, 열매류 등)와 설탕의 비율을 1:1.3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의 발효액 추출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산야초를 재취하여 맑은 물에 씻은 다음 물기를 제거하는 산야초 재료를 준비하는 제1단계(S1); 상기 물기를 제거한 산야초 재료와 설탕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항아리(10) 바닥에 넣는 제2단계(S2); 상기 항아리(10) 바닥에 놓인 혼합된 재료위에 상기 누름판(20)을 올려놓는 제3단계(S3); 덮개(40)를 상하로 움직여 항아리(10) 바닥에 놓은 혼합된 재료를 누르고 있는 누름판(20)을 상하로 이동시켜 누름판(20)의 무게에 의해 혼합된 재료를 섞어주면서 공기를 공급하는 제4단계(S4); 상기 혼합된 재료를 섞어주는 과정을 혼합된 재료로부터 재료즙이 추출될 때까지 약 3개월 동안 매 2~3일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섞어주는 제5단계(S5); 상기 3개월 동안 반복적으로 섞어주는 단계를 거처 재료즙이 추출되면 상기 항아리(10)로부터 재료즙을 분리한 후, 항아리(10)에 담긴 산야초 재료를 제거하는 제6단계(S6); 상기 산야초 재료가 제거된 항아리(10)에 추출된 재료즙을 재차 넣는 제7단계(S7); 및 상기 항아리(10)에 넣은 추출된 재료즙을 약 1년 동안 매 2~3일 마다 상기 덮개(40)를 상하로 움직여 재료즙을 섞어주면서 발효액으로 숙성시키는 제8단계(S8)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의 다른 실시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아리(10), 누름판(20) 및 방충망(30)의 주요구성에 상기 누름판(20) 하부에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60)를 추가로 구성한다.
상기 추가로 구성된 상기 수납부(60) 표면에는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가 공기와의 접촉이 활발해져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미세 홀(61)이 다수 개 형성되되, 상기 누름판(20)과 결합되어 누름판(20)의 상하 움직임에 의해 수납부(60)에 수납된 혼합된 산야초 재료를 눌러줌은 물론, 공기가 유입되어 재료즙 추출이 가능하도록 재질을 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부(60)와 누름판(20)의 결합방법은 누름판(20)으로부터 수납부(60)를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결합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본 발명에서는 수납부(60)와 누름판(20)을 끈을 이용해 결합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의 발효액 추출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산야초를 재취하여 맑은 물에 씻은 다음 물기를 제거하는 산야초 재료를 준비하는 제10단계(S10); 상기 물기를 제거한 산야초 재료와 설탕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수납부(60)에 넣는 제11단계(S11); 상기 수납부(60)를 누름판(20)과 결합하는 제12단계(S12); 덮개(40)를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누름판(20)과 결합되어 있는 수납부(60) 내부에 놓인 혼합된 산야초 재료를 섞어주면서 공기를 공급하는 제13단계(S13); 상기 혼합된 재료를 섞어주는 과정을 혼합된 재료로부터 재료즙이 추출될 때까지 약 3개월 동안 매 2~3일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섞어주는 제14단계(S14); 상기 3개월 동안 반복적으로 섞어주는 단계를 거처 재료즙이 추출되면 누름판(20)과 결합되어 있는 혼합된 산야초 재료가 놓인 수납부(60)를 제거하는 제15단계(S15); 상기 수납부(60)를 제거한 후, 누름판(20)을 추출된 재료즙이 담긴 항아리(10)에 재차 넣는 제16단계(S16); 및 약 1년 동안 매 2~3일 마다 상기 덮개(40)를 상하로 움직여 재료즙을 섞어주면서 발효액으로 숙성시키는 제17단계(S17)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의 범주내에서는 수정 및 변형 실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의 방충망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의 누름판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의 추출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의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의 다른 실시예의 추출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항아리 20 : 누름판
22, 33, 61 : 미세홀 30 : 방충망
32 : 지지대 40 : 덮개
50 : 끈 60 : 수납부

Claims (5)

  1. 바닥에 건조된 산야초 재료와 설탕이 혼합된 재료가 담기도록 입구에서부터 바닥부분까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항아리(10);
    상기 항아리(10) 바닥에 담긴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를 눌러 줌으로써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산야초 재료즙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하로 움직여 상기 추출된 재료즙에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항아리(10) 내부 하부에 위치하는 중앙에 형성된 홀(21)과 전체에 걸쳐 다수 개가 형성된 공기유입용 미세 홀(22)로 이루어진 토기 재질의 누름판(20);
    외부 해충 유입을 방지하도록 전체면적에 걸쳐 미세 홀(33)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홀(31)이 형성되며, 전체를 4등분하는 열십자 모양의 지지대(32)로 이루어진 상기 항아리(10) 입구에 설치되는 방충망(30);
    상기 방충망(30) 중앙에 형성된 홀(31)을 통해 해충 등이 항아리(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홀(31)을 폐쇄하는 마개 역할을 하는 덮개(40); 및
    상기 덮개(40)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누름판(20)을 상하로 움직이도록 단부는 상기 누름판(20)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덮개(40)와 연결되는 끈(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
  2. 삭제
  3. 입구에서부터 바닥부분까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항아리(10);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가 수납되어 상기 항아리(10) 내부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부(60);
    상기 수납부에(60)에 담긴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를 눌러 줌으로써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산야초 재료즙 추출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하로 움직여 상기 추출된 재료즙에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수납부(60) 상부에 결합되어 항아리(10) 내부 하부에 위치하는 중앙에 형성된 홀(21)과 전체에 걸쳐 다수 개가 형성된 공기유입용 미세 홀(22)로 이루어진 토기 재질의 누름판(20);
    외부 해충 유입을 방지하도록 전체면적에 걸쳐 미세 홀(33)이 형성되고, 그 중앙에 홀(31)이 형성되며, 전체를 4등분하는 열십자 모양의 지지대(32)로 이루어진 상기 항아리(10) 입구에 설치되는 방충망(30);
    상기 방충망(30) 중앙에 형성된 홀(31)을 통해 해충 등이 항아리(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홀(31)을 폐쇄하는 마개 역할을 하는 덮개(40); 및
    상기 덮개(40)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누름판(20)을 상하로 움직이도록 단부는 상기 누름판(20)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덮개(40)와 연결되는 끈(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60)의 표면은 설탕과 혼합된 산야초 재료가 공기와의 접촉이 활발해져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미세 홀(61)이 다수 개 형성되되, 상기 누름판(20)과 결합되어 누름판(20)의 상하 움직임에 의해 수납부(60)에 수납된 혼합된 산야초 재료를 눌러줌은 물론, 공기가 유입되어 재료즙 추출이 가능하도록 천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
  5. 삭제
KR1020070093419A 2007-09-14 2007-09-14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 KR100904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419A KR100904280B1 (ko) 2007-09-14 2007-09-14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419A KR100904280B1 (ko) 2007-09-14 2007-09-14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005A Division KR100915588B1 (ko) 2009-01-21 2009-01-21 발효액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105A KR20090028105A (ko) 2009-03-18
KR100904280B1 true KR100904280B1 (ko) 2009-06-25

Family

ID=4069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419A KR100904280B1 (ko) 2007-09-14 2007-09-14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2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642B1 (ko) 2012-08-23 2013-12-09 김동환 액젓 제조방법
KR101400076B1 (ko) 2013-06-18 2014-05-28 이은재 저장식품 발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1817A (zh) * 2018-07-28 2018-11-16 陈桂芬 一种用于固体废物制备有机肥的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769A (ko) * 1999-01-18 1999-05-25 최종필 항아리뚜껑
KR19990041674U (ko) * 1998-05-23 1999-12-27 성기제 항아리 뚜껑
KR200316509Y1 (ko) 2003-03-11 2003-06-18 정재연 발효액비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1674U (ko) * 1998-05-23 1999-12-27 성기제 항아리 뚜껑
KR19990037769A (ko) * 1999-01-18 1999-05-25 최종필 항아리뚜껑
KR200316509Y1 (ko) 2003-03-11 2003-06-18 정재연 발효액비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642B1 (ko) 2012-08-23 2013-12-09 김동환 액젓 제조방법
KR101400076B1 (ko) 2013-06-18 2014-05-28 이은재 저장식품 발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105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280B1 (ko) 발효액 추출용 항아리
CN105707014B (zh) 一种台湾乳白蚁产业化养殖方法
CN104686194B (zh) 一种野生革耳的人工栽培方法
KR100915588B1 (ko) 발효액 추출방법
CN109315356A (zh) 一种适用于粉虱类或寄生蜂类昆虫孵化、饲喂装置及其使用方法
CN103875850A (zh) 一种保健灵芝茶的配方及其生产工艺
CN109392528A (zh) 一种园林苗木育苗容器
CN103667079B (zh) 一种伊氏杀线真菌生产工艺及其制剂和生产装置
CN109181945A (zh) 一种竹酒的制备工艺
CN206061622U (zh) 立体生态种植器
CN104031803A (zh) 一种含有刺梨果和余甘果提取物的养生延寿酒的制备方法
CN204107977U (zh) 一种医用棉棒棉头回收再利用装置
CN107771613A (zh) 一种黄褶裸伞新菌种及其栽培方法和用途
CN209234704U (zh) 一种适用于粉虱类或寄生蜂类昆虫孵化、饲喂装置
CN106434090A (zh) 一种刺葡萄酒的酿制方法
CN2505830Y (zh) 改进型线虫分离器
KR101400076B1 (ko) 저장식품 발효기
KR101485816B1 (ko) 숙취 해소용 기능성 발효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350358A (zh) 一种家用酿酒器
CN205695102U (zh) 一种果蝇孵化饲养装置
CN106962532B (zh) 红茶的静态发酵装置
CN112193630B (zh) 橙葡萄酒酿造工艺及酿造专用陶罐
CN111823306B (zh) 脐橙白兰地原料处理一体装置
CN106258999B (zh) 一种厚褶奥德蘑菌种、栽培方法及其用途
CN105537248B (zh) 香蕉茎叶的综合利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