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754B1 - 층간재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층간재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754B1
KR100903754B1 KR1020020019263A KR20020019263A KR100903754B1 KR 100903754 B1 KR100903754 B1 KR 100903754B1 KR 1020020019263 A KR1020020019263 A KR 1020020019263A KR 20020019263 A KR20020019263 A KR 20020019263A KR 100903754 B1 KR100903754 B1 KR 100903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yer material
spacer
wound
interlayer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541A (ko
Inventor
도요까와신지
기무라히로시
시바가끼데쯔오
시미즈가즈요시
Original Assignee
우베-니토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베-니토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베-니토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9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자동적으로 층간재를 삽입하는 것.
(해결수단) 층간재 삽입장치는 회전구동되는 보빈 (10) 의 외주에 스페이서 (12) 를 트래버스기구 (14) 를 통하여 다층형상으로 감을 때에 시트형상 층간재 (16) 를 스페이서 (12) 의 상하층간에 삽입한다. 장치는 층간재 (16) 의 스톡부 (18) 로부터 한장의 층간재 (16) 의 단부를 흡인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트래버스기구 (14) 에 의해 안내된 상기 스페이서 (12) 가 하층측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위로 올리기 전에, 층간재 (16) 를 상기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에 가압하여 이것을 보빈 (10) 과 함께 회전시키고, 스페이서 (12) 가 하층측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위로 올리기 직전에 층간재 (16) 의 단부를 이들 사이로 삽입시키는 층간재 감음기구 (20) 와, 감음기구 (20) 가 층간재 (16) 를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에 가압하는 상태를 해제한 후에, 보빈 (10) 의 회전에 따라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위에 감겨지는 층간재 (16) 의 치켜 올라감을, 그 상방으로부터 규제하는 감음보조기구 (26) 를 구비하고 있다.
Figure R1020020019263
보빈, 층간재, 스페이서, 감음기구, 감음보조기구, 트래버스기구

Description

층간재 삽입장치 {INSETTING DEVICE OF INSERTED MATERIAL}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층간재 삽입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층간재 삽입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층간재 삽입장치의 스톡부의 상세 설명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낸 층간재 삽입장치의 감음보조기구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나타낸 층간재 삽입장치의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7 은 도 1 에 나타낸 층간재 삽입장치의 감음기구의 대기위치 (A) 에서의 상태 설명도이다.
도 8 은 도 6 에 나타낸 대기위치 (A) 로부터 감기개시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감음기구의 작동초기의 상태 설명도이다.
도 9 는 도 7 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계속하여 행해지는 감음기구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10 에 도 8 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계속하여 행해지는 감음기구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관한 층간재 삽입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스톡부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낸 스톡부의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13 은 도 11 에 나타낸 가장자리 커터부로 형성되는 슬릿의 설명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관한 층간재 삽입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감음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4 의 요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보빈 10a: 감기몸통부
12: 스페이서 12':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14: 트래버스기구 14a: 트래버스가이드
16: 층간재 18: 스톡부
18a: 원통형상홀더 18b: 고정플랜지
18c: 지지대 18d: 착탈스토퍼
20: 감음기구 20a: 흡착유지부
20b: 위치검출롤러 20c: 가압롤러
20d: 에어노즐 20e: 지지체
20i: 이동대차 실린더 22g: 이동대차
26: 감음보조기구 26a: 플라스틱체인
26b: 조출부 28: 제어부
29: 시퀀스 제어부 30: 조작부
30a: 조작입력부 30b: 조작출력부
31: 조작스위치류 32: 센서류
33: 전자밸브 34: 표시등류
35: 모터류 35a: 이동대 모터
36: 인버터 200a: 각형 파이프
200b: 롤러 본체 201a: 각형 파이프실린더
201b: 위치검출롤러 실린더 201c: 위치검출롤러 센서
201d: 후단검출 광전스위치 261b: 조출 모터
본 발명은 광섬유 케이블용 스페이서를 감을 때에 삽입되는 층간재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폴리에틸렌 (PE) 으로 성형되는 광섬유 케이블용 스페이서는 압출하여 성형한 후, 원통형상의 감기몸통부와 그 양단에 고착된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보빈(bobbin)에 감는 권취공정을 거쳐, 광섬유 케이블의 제조공정에 공급된다. 광섬유의 제조에서는 집합공정시에 스페이서의 복수 홈내에 각각 광섬유가 수납된다.
상기 보빈으로의 권취공정에서 스페이서끼리가 교차하면 리브의 변형이 발생 하기 쉽고, 리브의 변형은 광섬유 집합공정에서 집합이상이나, 최종 제품인 광섬유 케이블의 광전송성능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인접하는 스페이서가 교차하지 않는 권취방법, 이른바 정렬감기가 권장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광섬유 케이블의 가격이나 포설 (布設) 비용을 줄이기 위해, 케이블의 세경(細徑)화, 경량화, 광 (섬유) 고밀도화의 검토가 진행되고 있고, 광섬유를 수납하는 PE 스페이서에 관해서도 세경화의 요구가 엄격해지고 있다.
한편, 최근 가공 (架空) 광섬유 케이블에는 광고밀도화와 더불어 광섬유 중간에서의 분기성능이 필요로 되기 시작하여, 광섬유 수납홈의 꼬임방향이 교호 반전모양으로 형성된 SZ 형 PE 스페이서를 사용하고 또한, 각 홈에 복수의 테이프형상 광섬유를 수납한 SZ 형 광섬유 케이블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의 세경화가 진행되면, 광섬유 수납홈의 치수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수납홈을 구획하는 리브의 두께가 얇아져, 결과적으로 인접한 스페이서에서 리브가 부근의 스페이서 홈으로 들어가는, 이른바 맞물림이 발생되기 쉬워진다.
또, SZ 형 스페이서의 경우, 홈의 꼬임방향이 바뀌는, 이른바 반전부 (反轉部) 에서 이와 같은 맞물림이 발생하기 쉽고, 세경화에 의해 그 경향은 보다 한층 더 현저해진다.
여기에서, 하층 스페이서와의 맞물림 문제에 관해서는, 종래부터 두께 0.1㎜ 정도의 크라프트지나 두께가 1.1 ∼ 1.3㎜ 정도의 완충성이 있는 골판지 등의 층간재를 각 감은 것의 층간에 삽입함으로써 해소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층간재 삽입방법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층간재 삽입방법에서는, 각 층의 최종 감은 것과 보빈의 플랜지부 사이에 권취(卷取)하는 스페이서 직경의 1/2 이상의 틈이 발생하면, 상층측으로의 올릴 수 없고 빠져 맞물림의 발생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최종 감기의 5 감기 정도 전부터 감기불량이나 빠짐에 주의를 기울여 불량 등이 있으면 감기를 수정하고, 최종 감기를 할 때에 층간재를 직접 사람손으로 삽입하였기 때문에 많은 일손과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스페이서 자체에 테이프 형상물을 감아 홈의 맞물림을 방지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지만, 이 방법은 테이프 형상물의 탈착설비의 신설 등으로 인해 공정이 증가하여 생산성 효율이 저하하고 비용도 크게 증가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자동적 내지는 반자동적으로 층간재를 삽입시킴으로써, 비용과 일손의 저감을 가능하게 하는 광섬유 케이블용 스페이서를 권취할 때에 삽입되는 층간재의 삽입장치 및 삽입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구동되는 보빈의 외주에 광섬유 케이블용 스페이서를 트래버스기구를 통하여 다층형상으로 감을 때에, 크라프트지나 골판지형상 시트 등의 시트형상 층간재를, 감기는 상기 스페이서의 상하층간에 삽입하는 층간재 삽입장치에서, 상기 시트형상 층간재의 스톡부로부터 송출된 상기 층간재의 단부를 흡인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트래버스기구에 의해 안내된 상기 스페이서가 하층측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위로 올려지기 전에, 상기 층간재를 상기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에 가압하여 이것을 상기 보빈과 함께 회전시키고, 상기 스페이서가 하층측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위로 올려지기 직전에 상기 층간재의 단부를 이들 사이로 삽입시키는 층간재 감음기구와, 상기 층간재 감음기구가 상기 층간재를 상기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에 가압하는 상태를 해제한 후에, 상기 보빈의 회전에 따라 상기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위에 감겨지는 상기 층간재의 치켜 올라감을, 그 상방으로부터 규제하는 감음보조기구를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한 층간재 삽입장치에 의하면, 자동적 내지는 반자동적으로 층간재를 삽입할 수 있어 비용과 일손의 저감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스톡부는 소정 길이로 절단된 상기 층간재를 수납하는 복수의 원통형상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내에 수납된 상기 층간재의 일단측을 상기 홀더의 슬릿으로부터 각각 돌출시킴과 동시에, 돌출된 각 층간재의 단부를 가지런히 하여 적층할 수 있다.
상기 스톡부는 롤형상으로 감겨진 상기 층간재의 단부를, 상기 층간재 감음기구측으로 송출하는 송출부와, 상기 층간재가 소정 길이로 송출되었을 때에, 그 길이부분에서 상기 층간재를 절단하는 커트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톡부는 상기 송출부에서 송출된 상기 층간재 폭방향의 단부에 슬릿을 형성하는 가장자리 커터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톡부는 상기 송출로 송출된 상기 층간재의 스톡 스페이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층간재 감음기구는 상기 층간재의 단부를 흡인하여 유지하는 전후 자유로운 층간재 흡착유지부와, 상기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에 맞닿아 그 위치를 검지하는 전후 이동이 자유로운 위치검출롤러와, 상기 층간재의 단부를 상기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에 가압하는 전후 이동이 자유로운 가압롤러와, 상기 층간재 흡착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층간재의 단부를 상기 가압롤러측으로 유지시키는 에어를 분출하는 에어노즐과, 상기 층간재 흡착유지부와 상기 위치검출 및 가압롤러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선회이동부와, 상기 에어노즐과 상기 지지체 및 상기 선회이동부가 탑재되어, 이것들을 상기 보빈에 대해 근접 내지는 이간 이동시키는 대차 (臺車) 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감음보조기구는 상기 대차에 탑재된 플라스틱체인과, 그 것을 반복해서 풀어 내는(이하 "조출(繰出)" 이라 함)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플라스틱체인은 굴곡방향이 1 방향으로 규제된 판형상 링크를 연결한 것으로, 상기 조출부에 의해 상기 보빈측으로 조출되었을 때에, 상기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의 외주를 따라 만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감음보조기구는 상기 플라스틱체인의 조출 각도를 가변으로 하는 요동부를 가질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층간재 삽입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낸 삽입장치는 회전구동되는 보빈 (10) 의 외주에 광섬유 케이블용 스페이서 (12) 를, 트래버스기구 (14) 를 통하여 다층형상으로 감을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보빈 (10) 은 원통형상의 감기몸통부 (10a) 와, 감기몸통부 (10a) 의 양단에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 (10b) 를 구비하고, 감기몸통부 (10a) 가 거의 수평이 되도록 지지되어, 도 1 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감기몸통부 (10a) 의 외주에 스페이서 (12) 를 다층형상으로 정렬감기한다.
이 때, 감겨지는 스페이서 (12) 의 상하층간에 크라프트지나 골판지형상 시트 등의 시트형상 층간재 (16) 가 각각 형성된다. 트래버스기구 (14) 는, 예컨대 본 출원인의 제안에 관한 일본 특허출원 2000-72035 호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선단측에 스페이서 (12) 의 트래버스 가이드 (14a) 를 구비하고 있다.
이 트래버스 가이드 (14a) 는 거의 수평으로 지지되어 있는 보빈 (10) 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보빈 (10) 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트래버스 가이드 (14a) 의 선단으로부터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보빈 (10) 의 감기몸통부 (10a) 에 스페이서 (12) 를 감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층간재 삽입장치는 층간재 (16) 의 스톡부 (18) 와, 층간재 (16) 의 감음기구 (20) 와, 감음보조기구 (26) 와, 제어부 (28) 를 구비하고 있다. 스톡부 (18) 는 그 상세한 것을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층간재 (16) 를 지지하는 복수의 원통형상 홀더 (18a) 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형상 홀더 (18a) 에는 편단측에 플랜지 (18b) 가 고정되어 있고, 시트 위의 층간재 (16) 는 φ65㎜ 의 중공체형상에 일부가 감겨진 상태로 원통형상 홀더 (18a) 의 외주에 끼워지고, 반대단은 탈착이 가능한 스토퍼 (18d) 가 원통형상 홀더 (18a) 에 끼워진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세트되어 있다.
시트형상 층간재 (16) 는, 예컨대 크라프트지나 골판지형상 시트 등과 같은 시트형상으로, 보빈 (10) 의 감기몸통부 (10a) 와 거의 동일한 폭을 갖고, 감는 층에 따라 길이가 조정되어 있다.
즉, 시트형상 층간재 (16) 는 보빈 (10) 의 감기몸통부 (10a) 에 감겨져 있는 스페이서 (12) 의 일층분의 전체 둘레를 거의 덮는 길이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지만, 스페이서 (12) 를 순차적으로 층형상으로 감으면, 상층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져 그 외주를 덮는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그에 따라 길이가 조정되고 있다.
또, 스톡부 (18) 는 지지대 (18c) 와, 이 지지대 (18c) 일단에 면이 직교하도록 고정설치된 스토퍼 (18d) 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대 (18c) 위에는 복수의 홀더 (18a) 가 탑재되고, 각 홀더 (18a) 로부터 돌출된 층간재 (16) 의 단면부가 스토퍼 (18d) 에 닿아 가지런하게 적층된다.
스톡부 (18) 및 감음기구 (20), 감음보조기구 (26) 모두, 이동대차 (20g) 에 탑재되어 있어 전체가 실린더 (20h) 에 의해 이동된다. 또, 감음기구 (20), 감음보조기구 (26) 는 이동대 (20i) 에 탑재되어 있어 이동대 모터 (35a) 의 구동에 의해 이동대차 (20g) 와 분리되어 독자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 (18a) 의 층간재 (16) 가 없어진 경우 등에는, 스톡부 (18) 와 감음기구 (20), 감음보조기구 (26) 전체를 후방 이동시킨 후, 이동대 (20i) 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스페이서 (12) 의 감기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의 삽입작업 등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감음기구 (20) 는 도 4 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층간재 (16) 의 흡착유지부 (20a) 와, 위치검출롤러 (20b) 와, 가압롤러 (20c) 와, 에어노즐 (20d) 과, 지지체 (20e) 와, 지지체 (20e) 의 선회이동부 (20f) 를 갖고 있다.
흡착유지부 (20a) 는 층간재 (16) 의 폭보다 85㎜ 정도 짧은 중공 각형 파이프 (200a) 를 구비하고, 이 각형 파이프 (200a) 의 일측면에 흡인용의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각형 파이프 (200a) 를 도시하지 않는 진공펌프에 접속하고 있으며 각형 파이프 (200a) 내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지지대 (18c) 위에 적층되어 있는 한장의 층간재 (16) 의 단부를 흡착하여 유지한다.
이 경우, 흡착유지부 (20a) 의 각형 파이프 (200a) 에 의한 층간재 (16) 의 흡착위치는 층간재 (16) 의 단으로부터 약 75㎜ 정도 내측으로 편향이동된 위치로 되어 있다. 각형 파이프 (200a) 는 실린더 (201a) 의 신축단에 장착되어 있어, 실린더 (201a) 의 작동에 의해 전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위치검출롤러 (20b)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빈 (10) 의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12') 에 맞닿아 그 위치를 검지하는 것으로서, 선단에 형성된 롤러 본체 (200b) 와, 롤러 본체 (200b) 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또한 롤러 본체 (200b) 를 전후 이동시키는 실린더 (201b) 를 구비하고 있다.
가압롤러 (20c) 는 층간재 (16) 의 단부를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12') 에 가압하는 것으로, 선단에 형성된 롤러 본체 (200c) 와, 롤러 본체 (200c) 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또한 롤러 본체 (200c) 를 전후 이동시키는 실린더 (201c) 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노즐 (20d) 은 흡착유지부 (20a) 에 유지되어 있는 층간재 (16) 의 단부를 가압롤러 (20c) 측으로 유지시키는 에어를 분출하는 것으로, 지지대 (18c) 의 측방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하는 이동대차 (20h) 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체 (20e) 는 흡착유지부 (20a) 와 가압롤러 (20c) 및 위치검출롤러 (20b) 를 이 순서로 일렬모양으로 배열 지지하는 것으로서, 이 지지체 (20e) 는 선회이동부 (20f) 의 신축작동에 의해 선회이동된다.
이동대차 (20h) 는 층간재 (16) 의 흡착유지부 (20a), 위치검출롤러 (20b), 가압롤러 (20c), 에어노즐 (20d), 지지체 (20e), 지지체 (20e) 의 선회이동부 (20f) 를 탑재하고, 이들을 보빈 (10) 에 대해 근접 내지는 이간 이동시킨다.
감음보조기구 (26) 는 이동대차 (20h) 에 탑재된 플라스틱체인 (26a) 과, 그 조출부 (26b) 와, 플라스틱체인 (26a) 의 가이드부 (26c) 를 구비하고 있다.
플라스틱체인 (26a)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곡방향이 1 방향으로 규제된 한쌍의 판형상 링 (260a) 을 평행하게 배치하여 선단측에 연결로드 (261a) 를 형성하여 연결한 것으로, 판형상 링 (260a) 사이의 간격은 보빈 (10) 의 플랜지 (10b)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 플라스틱체인 (26a) 은 조출부 (20b) 에 의해 보빈 (10) 측으로 조출되었을 때에, 가이드부 (26c) 에 의해 안내되어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12') 의 외주를 따라 만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출부 (26b) 는 플라스틱체인 (26a) 과 맞물리는 스프로킷 휠 (260b) 과, 이 스프로킷 휠 (260b) 을 회전구동시키는 브레이크가 부착된 모터 (261b) 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 (28)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퀀스 제어부 (29) 와 조작부 (30) 로 이루어지고, 조작부 (30) 는 조작입력부 (30a) 와 조작출력부 (30b) 를 갖고 있다. 조작입력부 (30a) 에는 조작스위치류 (31) 및 각 실린더의 센서류 (32) 가 접속되어 있다.
조작출력부 (30b) 에는 전자밸브류 (33), 표시등류 (34), 모터류 (35), 인버터 (36) 가 접속되고, 인버터 (36) 에는 플라스틱체인 (26a) 의 조출용 모터 (261b) 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시퀀스 제어부 (29) 에는 준비신호 (a) 와 감기개시신호 (b) 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준비신호 (a) 는 본 실시예의 층간재 삽입장치의 구동을 개시시키는 신호로서, 예컨대 조작스위치류 (31) 로부터 입력된다.
시퀀스 제어부 (29) 가 이 준비신호 (a) 를 받으면, 보빈 (10) 에 스페이서 (12) 가 감겨져 있는 것, 소정의 층간재 (16) 가 스톡부 (18) 에 있는 것이나, 감음기구 (20) 내지 감음보조기구 (26) 의 초기위치 등을 확인하여, 감음기구 (20) 를 대기위치 (A) 에 세트시킨다.
이 대기위치 (A) 는 도 1 에 가는 선으로 나타낸 위치 (A)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위치로서, 이 대기위치 (A) 에 감음기구 (20) 를 이동시킬 때에는, 우선 흡착유지부 (20a) 의 실린더 (201a) 를 신장시켜 각형 파이프 (200a) 로 스톡부 (18) 의 지지대 (18c) 위에 탑재되어 있는 최상단의 한장의 층간재 (16) 를 흡착유지시키고, 실린더 (201a) 를 수축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지지체 (20e) 의 선회이동부 (20f) 를 구동시켜 지지체 (20e) 를 약 90°선회시키고, 도 1 에 B 로 나타낸 상태로 한다. 이 상태 (B) 에서는 각형 파이프 (200a) 에 흡착유지되어 있는 층간재 (16) 의 단부는, 그 하방측에 위치하는 에어노즐 (20d) 로부터 분출되는 에어를 받아 가압롤러 (20c) 의 롤러 본체 (200c) 전면측에 맞닿도록 유지 되어 있다.
또, 상태 (B) 에서는 각형 파이프 (200a) 가 보빈 (10) 에 대해 가장 후퇴한 위치에 있어서, 그 약간 전방에 가압롤러 (20c) 의 롤러 본체 (200c) 가 있고, 이 롤러 본체 (200c) 의 선단보다 전진한 위치에 위치검출롤러 (20b) 의 롤러 본체 (200b) 가 위치하고 있고, 각형 파이프 (200a) 와 롤러 본체 (200c) 사이에 보빈 (10) 의 중심축이 위치하고 있다.
선회이동부 (20f) 를 구동시켜 지지체 (20e) 를 약 90°선회시킴으로써 상태 (B) 에 위치하게 된 감음기구 (20) 는, 그 후 위치검출롤러 본체 (201b) 의 동작에 의해 위치검출롤러 (20b) 가 전방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대 (20i) 를 전방, 즉 보빈 (10) 에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위치검출롤러 (20b) 가 스페이서 (12) 와 접촉되고, 감은 것의 직경을 위치검출롤러의 센서가 검출하여 이동대 (20i) 를 정지시키고, 위치검출롤러 (20b) 는 스페이서 (12) 와 접촉하면서 회전한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 층간재 (16) 를 흡인하면서 대기한다.
이 대기위치 (A) 는 가장 전방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위치검출롤러 (20b) 에 대하여, 가압롤러 (20c) 의 롤러 본체 (200c) 는 보빈 (10) 에 감겨져 있는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12') 로부터 소정 간격 L (약 10 ∼ 25㎜) 만큼 이간된 위치로 되어 있다.
또, 감음기구 (20) 가 이 대기위치 (A) 로 이동하면, 이동대 (20i) 에 탑재되어 있는 감음보조기구 (26) 도 동일하게 전진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시퀀스 제어부 (29) 에 감기개시신호 (b) 가 입력되면, 층간재 삽입장치는 도 7 내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흡착유지부 (20a) 의 각형 파이프 (200a) 에 의해 유지하고 있는 층간재 (16) 를 1 층째의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12') 와 그 상방에 감겨지는 2 층째의 스페이서 (12) 사이에 삽입한다.
감기개시신호 (b) 와 트래버스기구 (14) 에 의해 보빈 (10) 에 감겨져 있는 스페이서 (12) 의 위치와, 보빈 (10) 의 감기속도를 고려하여 그 송출타이밍이 설정된다.
즉, 층간재 (16) 는 대기위치 (A) 의 근방에서 가압롤러 (20c) 의 롤러 본체 (200c) 를 전방으로 압출시킴으로써,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12') 위에 가압됨과 동시에 위치검출롤러 (20b) 를 원래로 복귀시킨다. 그 후는, 보빈 (10) 의 회전에 따라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12') 위에 순차적으로 감겨지고, 이것이 스페이서 (12) 가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12') 에 탑승하고자 하는 위치 (도 9 에 나타낸 위치 d) 에 도달하면, 그 직전에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12') 와 이후 그 상층에 감겨지는 스페이서 (12) 사이에 삽입되게 된다.
이 삽입위치를 적절하고 확실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스페이서 (12) 의 감기위치와, 대기위치 (A) 사이의 거리와, 보빈 (10) 의 권취속도를 고려하여 그 송출타이밍을 설정한다.
이 경우,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12') 는 감기의 진행에 따라 그 직경이 커져 대기위치 (A) 는 감기층의 회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것을 고려하여 감기개시신호 (b) 는 감기층의 회수마다 설정할 필요가 있다.
시퀀스 제어부 (29) 는 감기개시신호 (b) 를 받으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롤러 (20c) 를 신장시켜 롤러 본체 (200c) 외주에 에어노즐 (20d) 로부터의 분출 에어로 유지 되어 있는 층간재 (16) 를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12') 에 가압시킨다.
이 때, 이 가압조작과 동시에 에어노즐 (20d) 에 의한 에어유지를 정지시키고, 흡착유지부 (20a) 의 각형 파이프 (200a) 에 의한 흡착도 해제하여 롤러 본체 (200c) 만으로 가압한다.
롤러 본체 (200c) 만으로 층간재 (16) 를 가압하면, 층간재 (16) 는 도 9 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본체 (200c) 로 가압된 상태로 보빈 (10) 의 회전에 따라 송출된다.
그리고, 보빈 (10) 이 소정 각도, 예컨대 25 ∼ 30°정도 회전하여 송출된 층간재 (16) 의 선단이 감음보조기구 (26) 의 근방에 도달하면, 감음보조기구 (26) 의 조출부 (26b) 가 구동되어 플라스틱체인 (26a) 이 보빈 (10) 측으로 조출된다.
또한, 가압롤러 (20c) 에 의한 층간재 (16) 의 가압은 송출된 층간재 (16) 가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12') 와 스페이서 (12) 사이에 삽입되면, 롤러 본체 (200c) 를 후퇴시켜 그 가압을 해제한다.
조출부 (26b) 의 구동에 의해 조출된 플라스틱체인 (26a) 은 굴곡방향이 1 방향으로 규제된 한쌍의 판형상 링 (260a) 을 평행하게 배치하고, 선단측에 연결로드 (261a) 를 형성하여 연결한 것으로, 조출부 (26b) 에 의해 보빈 (10) 측으로 송출되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12') 의 외주를 따라 만곡하도록 되어 층간재 (16) 의 상방으로의 치켜 올라감을 규제한다.
이 경우의 플라스틱체인 (26a) 의 조출량은, 예컨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 (10) 의 감기몸통부 (10a) 를 거의 반바퀴 감을 정도가 바람직하고, 그 위치까지 조출된 플라스틱체인 (26a) 은 그 후, 층간재 (16) 의 후단검출 광전스위치 (201d) 와 반사미러 (201e) 의 검출에 의해 조출부 (26b) 가 역조작됨에 따라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상의 일련의 동작이 완료되면 감음기구 (20) 와 감음보조기구 (26) 는 도 1 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복귀되어 다음 층으로의 층간재 (16) 의 삽입준비에 들어가고, 그 후는 상기 서술한 동작이 순차적으로 계속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층간재 삽입장치에 의하면, 자동적으로 층간재를 삽입할 수 있어 비용과 일손의 저감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층간재 삽입장치에서는 준비신호 (a) 나 감기개시신호 (b) 를 받아 자동적으로 층 간재 (16) 를 삽입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예컨대 감기개시신호 (b) 는 작업자가 보빈 (10) 에 감겨져 있는 스페이서 (12) 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인위적으로 송출하도록 해도 된다.
도 11 내지 도 13 은 본 발명에 관한 층간재 삽입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함과 동시에, 이하에 그 특징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1 은 본 실시예의 층간재 삽입장치의 스톡부 (180) 를 나타내고 있고, 이 스톡부 (180) 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스톡부 (18) 로 대체되는 것으로, 이 스톡부 (180) 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대 (18c) 와 이 지지대 (18c) 일단에 면이 직교하도록 고정설치된 스토퍼 (18d) 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스톡부 (180) 는 층간재 (16) 를 감음기구 (20) 측으로 송출하는 송출부 (181) 와, 커트부 (182) 와 가장자리 커터부 (183) 와, 스톡 스페이스 (184) 와, 게이트 (185) 를 구비하고 있다.
층간재 (16) 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감기 심 (16a) 에 롤형상으로 감겨져 있고, 지지대 (18c) 의 스토퍼 (18d) 반대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송출부 (181) 는 롤형상으로 감겨진 층간재 (16) 의 근방에 배치되어 층간재 (16) 를 상하로 사이에 끼우는 한쌍의 상, 하부 롤러 (181a, 181b) 와, 하부 롤러 (181b) 를 회전구동시키는 모터 (181c) 와, 상부 롤러 (181a) 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층간재 (16) 의 송출량을 측정하는 인코더 (181d) 와, 상부 롤러 (181a) 의 강하이동용 실린더 (181e) 를 구비하고 있다.
송출부 (181) 의 상, 하부 롤러 (181a, 181b) 에 층간재 (16) 의 단부를 끼워 모터 (181c) 를 회전구동하면, 층간재 (16) 가 감음기구 (20) 측으로 송출되고, 그 때의 송출량이 인코더 (181d) 에 의해 측정된다.
커트부 (182) 는 송출부 (181) 의 상, 하부 롤러 (181a, 181b) 에 근접배치되어 절단날 (182a) 과, 절단날 (182a) 을 커트위치로 상승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 (182b) 와, 누름실린더 (182c) 와, 층간재 (16) 의 폭방향으로 신축되는 로드레스 실린더 (182d) 를 갖고 있다.
절단날 (182a) 은 두께가 1.2㎜ 이고, 길이가 60㎜ 인 쌍날형으로, 로드레스 실린더 (182d) 에 비스듬하게 경사진 상태로 장착되어 층간재 (16) 의 하방에 배치되고, 누름실린더 (182c) 는 층간재 (16)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커트부 (182) 는 층간재 (16) 가 송출부 (181) 에 의해 소정 길이 송출되면 그 길이부분에서 절단날 (182a) 이 취부된 로드 실린더 (182d) 를 구동실린더 (182b) 에 의해 상승시킨다.
LS14 가 작동된 후, 절단날 (182a) 을 로드레스 실린더 (182d) 에 의해 층간재 (16) 의 폭방향으로 전진시켜 층간재 (16) 를 절단한다. 또한, 이 절단시에는 누름실린더 (182c) 는 소정 위치까지 하강시켜 둔다. 그 후, 절단날 (182a) 과 로드레스 실린더 (182d) 를 구동실린더 (182b) 에 의해 하강시킨다. 그리고, 로드레스 실린더 (182d) 에 의해 절단날 (182a) 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가장자리 커터부 (183) 는 커트부 (182) 의 근방에 배치되어 슬릿날 (183a) 과, 그 구동실린더 (183b) 를 갖고 있다. 이 가장자리 커터부 (183) 는 슬릿날 (183a) 이 지지대 (18c) 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 실린더 (183b) 를 구동하면, 슬릿날 (183a) 이 층간재 (16) 를 지지대 (18c) 로 가압하여,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층간재 (16) 의 폭방향의 양단에 슬릿 (s) 을 형성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슬릿 (s) 이 층간재 (16) 의 폭방향의 양단에 형성되기 때문에, 도 11 에서는 한쌍의 가장자리 가장자리 커터부 (183) 가 소정 간격을 형성하여 배치되어 있다.
슬릿 (s) 은 소정 폭을 갖고, 일단이 층간재 (16) 에 도달하도록, 그리고 층간재 (16) 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층간재 (16) 의 폭방향의 단부에서 동일 장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릿 (s) 을 형성해 두면, 층간재 (16) 를 감을 때에 층간재 (16) 자체의 강성에 의해 감기가 곤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이트 (185) 는 지지대 (18c) 의 스토퍼 (18d) 측에 상방으로 배치되고, 롤러 (185a) 와 구동실린더 (185b) 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게이트 (185) 는 송출부 (181) 에서 송출된 층간재 (16) 의 단부가 스토퍼 (18d) 에 도달되면, 실린더 (185b) 에 의해 롤러 (185a) 가 지지대 (18c) 의 상방으로 근접이동되고, 그 이후에 송출되는 층간재 (16) 를 스톡 스페이스 (184) 에 지그재그로 폴딩하도록 하여 수용된다.
또한, 이 스톡 스페이스 (184) 는 상판 (184a) 과, L 자판 (184b) 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1 에 LS 부호로 나타낸 부재는 실린더 등의 이동스트로크를 검출하는 한계스위치이고, 또 PH 5, 6 은 각각 층간재 (16) 의 전후 단부를 검출하는 광전방식의 근접 센서이다. 이 경우의 플라스틱 체인 (26a) 의 조출량은, 전술한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 (10) 의 감기몸통부 (10a) 를 거의 반바퀴 감을 정도가 바람직하고, 그 위치까지 조출된 플라스틱 체인 (26a) 은 그 후, 층간재 16 의 후단부가 근접 센서 PH 6 에 의해 검출되는 것과 조출부 (26b) 의 역조작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스톡부 (180) 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어부 (28) 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출부 모터 (181c), 가장자리 커터부 구동실린더 (183b) 등이 시퀀스 제어부 (29) 의 제어신호를 받아 조작출력부 (30b) 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에 의해 구동이 제어됨과 동시에, 커트신호 (c) 가 시퀀스 제어부 (29) 에 입력되고, 이 커트신호 (c) 는 각 층마다 스페이서 (12) 의 권취기측으로부터 송출된다.
커트신호 (c) 가 입력되면, 송출부 (181) 에 구동신호가 송출되어 층간재 (16) 가 소정 길이만큼 송출된다. 이 때, 우선 소정 시간 층간재 (16) 의 선단위치가 정해지기 쉽도록 저속으로 송출하여 정지한다.
그리고, 이 송출 후의 소정 시간 후 (0.5 초 정도) 에 가장자리 커트부 (183) 를 구동시켜 층간재 (16) 에 슬릿 (s) 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층간재 (16) 의 송출과 가장자리 커터부 (183) 의 구동을 교대로 반복하면서 층간재 (16) 를 송출한다.
그리고, 층간재 (16) 의 선단을 근접 센서 (PH5) 에 의해 검출하면, 게이트 (185) 가 하강 구동되어 롤러 (185b) 에 의해 층간재 (16) 를 지지대 (18c) 위로 눌러 층간재 (16) 의 흡착위치 어긋남을 방지한다.
그 후에는 조작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송출부 (181) 의 송출속도를 고속으로 하여 스톡 스페이스 (184) 에 저장한다. 송출부 (181) 의 송출량이 소정량이 되면 송출을 정지하고, 커트부 (182) 로 구동신호를 송출하여 층간재 (16) 를 그 부분에서 절단한다.
커트부 (182) 를 하방이동시켜 대기상태로 하면 층간재 (16) 의 감기준비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흡인 각형 파이프 (200a) 가 하강하여 층간재 (16) 의 단부를 흡착유지하여 상승시키고, 감음기구 (20) 가 수평이동된 후, 분무에어노즐 (40a) 에 의해 단부가 흡착유지되어 있는 층간재 (16) 의 후방에 어시스트 에어를 분무한다.
이 에어분무는 선단측을 흡착유지하고 있는 층간재 (16) 의 후단측이 자체 무게에 의해 드리워져 보빈 (10) 의 플랜지내로 들어가 신속하게 감기거나, 또는 최종 감기를 감을 때에 거듭 감기거나 상하의 스페이서끼리가 직접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행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스톡부 (180) 를 채택한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의 작용효과에 더불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층간재 (16) 는 롤형상으로 감은 것을 사용하고, 자동적으로 커트부 (182) 에서 소정 길이로 절단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각 층에 대응시켜 길이를 설정할 필요가 없고, 또 카세트에 장착할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을 큰 폭으로 생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플라스틱체인 (26a) 의 조출속도와 스페이서 (12) 의 감기속도를 동기시키고 있다. 이 이유는, 이하의 지식에 기초하고 있다. 즉, 플라스틱체인 (26a) 의 조출속도가 스페이서 (12) 의 감기속도보다 늦어지면, 층간재 (16) 의 이송속도는 가압롤러 본체 (200c) 에 의해 스페이서 (12) 와 동일 속도로 진행하고 있고, 그 위에서 속도가 늦은 플라스틱체인 (26a) 의 선단부분에서 눌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이 되면, 나중에 송출된 층간재 (16) 가 스페이서 (12) 의 감기에 따르지 않고 주름이 되어 접히거나 밀려나 구부러진다. 또, 속도가 빠르면 층간재 (16) 의 선단으로부터 플라스틱체인 (26a) 이 나와 층간재 (16) 를 정확하게 누를 수 있거나,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12') 와 직접 접촉하여 진행되기 때문에 흠이 생기는 등 감기가 불량해진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 (12) 의 권취신호 (도시생략의 스페이서 (12) 의 제조장치의 인수기로부터 송출됨) (36a) 를, F/V 변환 (36b), 전류변환 (4 ∼ 20mA) 을 통하여 플라스틱체인 (26a) 의 조출모터 (261b) 를 제어하는 인버터 (36) 에 입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버터 (36) 의 제어를 채택하면, 플라스틱체인 (26a) 의 조출속도와 스페이서 (12) 의 권취속도를 동기시킬 수 있어 상기한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 는 본 발명에 관한 층간재 삽입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함과 동시에, 이하에 그 특징점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서술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감음보조기구 (26) 의 변형예로 제 1 실시예에서 나타낸 플라스틱체인 (26a) 의 조출각도 (K) 를 가변으로 하는 요동부 (50) 를 형 성하고 있다.
감음보조기구 (26) 의 가이드부 (26c) 는 플라스틱체인 (26a) 이 상방에 탑재되는 레일 (260c) 과, 이 레일 (260c) 을 덮는 커버 (261c) 를 구비하고 있고, 레일 (260c) 의 선단측을 절단하여 핀 (262c) 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한편, 요동부 (50) 는 레일 (260c) 의 선단측 하방에 일단이 고정설치된 L 자부재 (50a) 와, L 자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기어 (50b) 를 구비하고, 이들 각 부재는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레일 (260c) 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기어 (50b) 는 로드 (50c) 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한쪽의 기어 (50b) 에는 구동모터 (50d) 의 회전축에 고정설치된 원동기어 (50e) 가 맞물려 있다.
다른쪽의 기어 (50b) 에는 기어 (50b) 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앱설루트 인코더 (50f) 가 결합되고, 그 절대값 펄스출력을 컴포지셔너 (50g) 로 입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요동부 (50) 에 의하면, 구동모터 (50d) 를 회전구동시키면 이에 수반하여 핀 (262c) 으로부터 선단측 레일 (260c) 이 상하방향으로 요동이동하여, 레일 (260c) 에 탑재되어 있는 플라스틱체인 (26a) 의 조출각도 (K) 를 예컨대 20°, 30°, 40°등의 각도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컴포지셔너 (50g) 는 인코더 (50f) 의 출력을 각도로 환산하여, 설정된 플라스틱체인 (26a) 의 조출각도 (K) 에 대해 이것이 ±2°정도의 범위내가 되면, 조작출력부 (30b) 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 (50d) 의 회전제어를 행한다.
또한, 도 14, 도 15 에 부호 (263c) 로 나타낸 부재는 레일 (260c) 의 선단에 세워져 설치된 플라스틱체인 (26a) 의 가로어긋남방지용 가이드편이다.
이상과 같은 요동부 (50) 를 채택하면, 플라스틱체인 (26a) 의 조출각도 (K) 를 일정하게 했을 경우의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층간재 (16) 를 삽입할 때에 스페이서 (12) 의 보빈 (10) 에 대한 감기가 진행되어 감은 것의 직경이 극단적으로 커지고, 이것이 예컨대 φ1650㎜ 정도가 되면 감은 것의 직경으로의 탑승각도가 커진다.
이 때에 층간재 (16) 의 조출각도 (K) 가 일정한 경우에는 감은 것의 직경과의 각도 차이가 커져 플라스틱체인 (26a) 을 조출각도 (K) 로 조출해도 이것이 스페이서 (12) 를 따라 전방으로 진행되지 않고, 스페이서 (12) 위에서 아치형을 이루게 되어 층간재 (16) 를 원활하게 삽입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 플라스틱체인 (26a) 의 조출각도 (K) 를 변경하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체인 (26a) 선단측에 일부 상면측에 점착테이프 등을 부착하면, 상기한 문제점을 보다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층간재 삽입장치에 의하면, 자동적으로 층간재를 삽입할 수 있어 비용과 일손을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8)

  1. 회전구동되는 보빈의 외주에 광섬유 케이블용 스페이서를 트래버스기구를 통하여 다층형상으로 감을 때에, 시트형상 층간재를, 감기는 상기 스페이서의 상하층간에 삽입하는 층간재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상 층간재의 스톡부로부터 송출된 상기 층간재의 단부를 흡인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트래버스기구에 의해 안내된 상기 스페이서가 하층측의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위로 올려지기 전에, 상기 층간재를 상기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에 가압하여 상기 층간재를 상기 보빈과 함께 회전시키고, 상기 스페이서가 하층측의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위로 올려지기 직전에 상기 층간재의 단부를 상기 스페이서의 상하층 사이로 삽입시키는 층간재 감음기구와,
    상기 층간재 감음기구가 상기 층간재를 상기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에 가압하는 상태를 해제한 후에, 상기 보빈의 회전에 따라 상기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 위에 감기는 상기 층간재의 치켜 올라감을, 그 상방으로부터 규제하는 감음보조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재 삽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톡부는 소정 길이로 절단된 상기 층간재를 수납하는 복수의 원통형상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내에 수납된 상기 층간재의 일단측을, 상기 홀더의 슬릿으로부터 각각 돌출시킴과 동시에, 돌출된 각 층간재의 단부를 가지런히 하여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재 삽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톡부는 롤형상으로 감겨진 상기 층간재의 단부를, 상기 층간재 감음기구측으로 송출하는 송출부와, 상기 층간재가 소정 길이 송출되었을 때에 그 길이부분에서 상기 층간재를 절단하는 커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재 삽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톡부는 상기 송출부에서 송출된 상기 층간재 폭방향의 단부에 슬릿을 형성하는 가장자리 커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재 삽입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톡부는 상기 송출로 송출된 상기 층간재의 스톡 스페이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재 삽입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재 감음기구는,
    상기 층간재의 단부를 흡인하여 유지하는 전후 이동이 자유로운 층간재 흡착유지부와,
    상기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에 맞닿아 그 위치를 검지하는 전후 이동이 자유로운 위치검출롤러와,
    상기 층간재의 단부를 상기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에 가압하는 전후 이동이 자유로운 가압롤러와,
    상기 층간재 흡착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층간재의 단부를 상기 가압롤러측에 유지시키는 에어를 분출하는 에어노즐과,
    상기 층간재 흡착유지부와 상기 위치검출롤러 및 가압롤러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선회이동부와, 상기 에어노즐 및 상기 지지체가 탑재되어, 이들을 상기 보빈에 대해 근접 내지는 이간 이동시키는 대차(臺車)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재 삽입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음보조기구는 상기 대차에 탑재된 플라스틱체인과, 그 조출(繰出)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라스틱체인은 굴곡방향이 1 방향으로 규제된 판형상 링크를 연결한 것으로, 상기 조출부에 의해 상기 보빈측에 조출되었을 때에, 상기 미리 감겨진 스페이서의 외주를 따라 만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재 삽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음보조기구는 상기 플라스틱체인의 조출각도를 가변으로 하는 요동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재 삽입장치.
KR1020020019263A 2001-04-11 2002-04-09 층간재 삽입장치 KR100903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12881 2001-04-11
JP2001112881 2001-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541A KR20020079541A (ko) 2002-10-19
KR100903754B1 true KR100903754B1 (ko) 2009-06-18

Family

ID=1896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263A KR100903754B1 (ko) 2001-04-11 2002-04-09 층간재 삽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3754B1 (ko)
CN (1) CN122182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9928B2 (ja) * 2015-06-19 2017-09-20 矢崎総業株式会社 テープ巻き付け機
JP6560328B2 (ja) * 2017-12-13 2019-08-14 鋼鈑工業株式会社 パッド挿入装置及び結束システム、並びに結束バンドの結束方法
CN115236821B (zh) * 2022-08-23 2024-04-26 湖南美康光电有限公司 一种自承式连体缆架空装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3766A (ko) * 1991-12-28 1993-07-22 가쯔도시 요시다 슬로트 스페이서형 광케이블의 제조장치
JP2000329984A (ja) * 1999-05-25 2000-11-3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ケーブル集合方法及び光ケーブル集合装置
KR20000077004A (ko) * 1999-04-07 2000-12-26 오카야마 노리오 광 케이블 집합 장치 및 광 케이블 집합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3766A (ko) * 1991-12-28 1993-07-22 가쯔도시 요시다 슬로트 스페이서형 광케이블의 제조장치
KR20000077004A (ko) * 1999-04-07 2000-12-26 오카야마 노리오 광 케이블 집합 장치 및 광 케이블 집합 방법
JP2000329984A (ja) * 1999-05-25 2000-11-3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ケーブル集合方法及び光ケーブル集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0563A (zh) 2002-11-20
KR20020079541A (ko) 2002-10-19
CN1221829C (zh)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1629B (fi) Rullaleikkuri
US11186458B2 (en) Splicing device for web materials, unwinder including the splic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KR100863360B1 (ko) 광섬유 재권취장치
CN111302117B (zh) 用于卷起幅面状材料并更换卷材的设备及方法
CA2049006C (en) System for joining webs of material
CN1248606C (zh) 连接包裹棒状物品的卷筒纸的粘接带及其供给装置
FI92041C (fi) Pituusleikkurilaite
KR100903754B1 (ko) 층간재 삽입장치
US4134559A (en) Equipment for processing material in sheet or ribbon form
JP2774271B2 (ja) 自動巻取機
EP09590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packaging material from web roll
KR101758494B1 (ko) 스트립 권취 장치
US11254534B2 (en) Unwinder for reels and unwinding method
JP3910091B2 (ja) 層間材挿入装置
FI78048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foerbinda en foersta, till en bearbetningsmaskin avgaoende materialbana med boerjan av en andra materialbana.
JPH085574B2 (ja) 紙継ぎ準備装置
WO2017211269A1 (en) Reel unwinder with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reels
CN212488214U (zh) 一种夹层卷材成卷机器人
JP2003276915A (ja) 巻取部自動切替装置
EP3109192B1 (en) Reel-up for reeling of a fiber web
ITMI940191A1 (it) Metodo e macchina per svolgere e giuntare bobine di materiale in striscia
JP2004131295A (ja) 紙リールを高速リール交換用に準備する方法と装置
JPH0611631B2 (ja) ウエブ巻出し機の自動重ね継ぎ装置
JP5002314B2 (ja) 層間材挿入装置
KR20030015419A (ko) 코일릴의 간지제거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