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509B1 - 브레이크 압력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압력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509B1
KR100903509B1 KR1020080108197A KR20080108197A KR100903509B1 KR 100903509 B1 KR100903509 B1 KR 100903509B1 KR 1020080108197 A KR1020080108197 A KR 1020080108197A KR 20080108197 A KR20080108197 A KR 20080108197A KR 100903509 B1 KR100903509 B1 KR 100903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opening
brake
braking
brak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 배 이
Original Assignee
원 배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배 이 filed Critical 원 배 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509B1/ko
Priority to PCT/KR2009/00339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62019A1/ko
Priority to CN2009801497220A priority patent/CN102245450A/zh
Priority to US13/127,396 priority patent/US2011020471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30/00Monitoring, detecting special vehicle behaviour;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30/04Jerk, soft-stop; Anti-jerk, reduction of pitch or nose-dive when 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제동중인 차량에서 정지할 때 발생하는 전진관성력(앞 쏠림현상)과 후진반발력(뒤로 당기는 현상)이 일반적인상황에서 발생되는 관성력보다 더 크게 나타나는 현상은 차량이 정지할 때 짧은 순간 급정지 상태로 정지하여서 전진관성력과 후진반발력이 감소하거나 소진되는 시간(속도)을 갖지 못하고 정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제동중인 차량에서 정지직전에 나타나는 급정지 현상이 발생되기 전에 브레이크 압력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전진관성력과 후진반발력이 소진(일반제동시) 또는 상쇄(급제동시)되는데 필요한 차속(시간)을 얻어서 차량이 제동충격 없이 정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브레이크 압력조절 장치에 대한 것이다.
전진관성력, 후진반발력, 현가장치 복원력, 제동충격, 브레이크액 유입공간, 유입조절밸브, 유입구볼, 유입구볼 견지스프링, 출구볼, 출구볼 견지스프링, 피스톤 견지스프링, 피스톤 제어볼

Description

브레이크 압력 조절 장치 및 그 방법{A control device of brake pressu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차량이 정지할 때 순간적으로 급정지 상태로 정지되는 현상과 차량의 현가장치의 복원력에 의해 후진반발력이 발생되는 원인·과정 및 특성을 분석하여 차량의 완전 정지 시에 발생하는 전진관성력과 후진반발력을 브레이크 압력조절 방법에 의해 일반제동시에는 소진시키는 기능을, 급제동시에는 상쇄시키는 브레이크 압력조절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제동시의 기능은 주행중인 차량을 제동할 때는 항상 허용되는 제동거리가 있어 브레이크페달을 통해 필요한 브레이크 압력을 주게 된다. 이 브레이크 압력은 차량속도가 떨어질수록 제동력이 커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차륜의 회전속도가 적어질수록 브레이크 디스크가 브레이크 페드로부터 받는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동초기에 브레이크페달로 작동시킨 제동압력이 정지직전의 낮은 속도에 와서는 급 제동력의 힘(마찰력)을 갖고 있어서 차량은 정지할 때 짧은 순간 급정지하는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도 1참조).
이와 같은 순간적인 급정지 현상은 차량의 전진 관성력과 후진 반발력이 감소·소멸 되는 것에 있어 중요한 요건인 정지 직전에 필요한 차량속도(시간)를 가질 기회도 없이 정지시킨다. (도 1참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여 전진 관성력과 후진 반발력을 소진시키는데 필요한 차속(시간)을 얻기 위해 브레이크 압력을 조절장치 및 그 방법을 즉 조절시점, 조절의 완·급을 결정하는 기술이다.
종래의 급제동시의 기능은 차량의 현가장치는 여러 목적에 의해서 차량에 설치된 장치로 차량을 제동할 때는 전진 관성에 의해 앞 쏠림 현상이 발생하고 차량이 정지되면 그 복원력에 의해 후진 반발력이 발생한다. 이때 이 후진 반발력은 앞으로 쏠리는 관성이 약해지면 언제든지 독자적으로 반발력을 일으키는 자기성향을 갖고있어서 차량의 정지시 안정감이 없다.
본 발명은 차량이 급제동으로 발생한 전진 관성력과 현가장치의 복원력이 같이 나타나도록 하여 두 힘이 상쇄되도록 하기 위해 브레이크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장치 및 그 방법, 즉 조절시점, 조절의 완·급, 조절후의 압력크기 등을 결정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운전경험이 있는 대부분의 운전자가 제동 충격을 줄이기 위하여 차량 제동중에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해서 브레이크 압력을 조절하고 있다(도 3참조). 그러나 조절하는 시점과 조절에 필요한 힘이 매번 같지 않아서 조절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운전자는 피곤함을 갖게 된다.
한편, 종래에도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제동충격을 감소시키는 노력은 여러 각도에서 개발되어 왔으나 문제해결의 핵심 사항인, 차량이 정지하기 직전에 짧은 순간 급정지상태가 일어나는 문제점과 현가장치의 복원력이 갖고 있는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편적인 조절방식 이여서 제동조건이 매번 달라지는 사항에 대해 적응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 결과 제동압력을 조절한 후에 새로운 관성이 다시 발생하거나(도 3참조) 이미 차량에 제동충격이 일어나는 상태에서 제동압력이 감압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제동 충격을 다소 감소시키는 효과에 만족하는 상황이어서 현재로서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기술이 없는 상태다.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
[문헌1] KR2019990037714U
[문헌2] KR00199799 B1
[문헌3] KR1019990061293A
[문헌4] KR1020060014148A
[문헌5] KR100599312B1
[문헌6] JP05201321A
[문헌7] US4941712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인, 차량이 정지할 때 발생하는 전진 관성력과 후진 반발력이 일반 제동시는 소진되고 급 제동시에는 상쇄되는데 필요한 차속(시간)을 얻기 위하여서 브레이크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서는
1) 제동중인 차량에서 브레이크압력을 감압하는 감압기술이 있어야하고,
2) 감압시점이 차량에 급정지 현상이 나타나기 직전에 실행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차량이 정지할 때 짧은 순간 급정지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특성이 있어 전진 관성력을 소진·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차속)을 갖지 못하고 오히려 증폭시키기 때문이다.
3) 제동압력을 감압할 때 점진적으로 감압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제동압력을 단편적인 형태로 감압하면 감압된 이후에 새로운 관성과 급정지 현상이 다시 발생되기 때문이다. (도 3참조)
4) 제동압력을 감압시킬 때 그 압력의 크기에 따라 감압의 완·급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제동환경에 의해 매번 달라지는 브레이크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제동 충격을 소진·상쇄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감압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5) 차량이 급제동할 때에는 짧은 순간에 전진 관성과 후진 반발력을 해결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차량을 급제동하는 이유가 주행속도에 비해 제동거리가 짧은 상황에 있기 때문이다.
삭제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1) 제동중인 차량에서 브레이크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동압력이 있는 브레이크액을 기존 브레이크 라인과는 별도의 유입공간인 실린더(102)로 유입하여 브레이크 압력을 감압하는 기술을 사용하였으며,
2) 제동 중에 일정시점에서 브레이크액을 감압시키기 위해서 영구자석을 가지는 개·패 장치를 장착하여 차속센서(W/S,ECU)와 연결된 전자석(302)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솔레노이드 밸브방식) 하였다.
3) 제동압력의 감압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면서,
4) 제동압력의 크기에 따라 필요로하는 유입속도를 얻기 위해서는, 유입액의 압력크기에 따라 유입구의 크기가 변하는 내부구조(도 10 및 도 11참조)로 구성된 유입조절밸브(200)를 장착하여 유입액이 점진적으로 유입되면서 유입의 완·급이 조절되는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5) 차량이 급제동하여 제동거리가 짧은 상황에서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전진 관성력과 후진 반발력의 특성을 이용해서 상호 상쇄되는 차속(시간)을 만드는 기술을 사용하였다. 이 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에 있어서, 전진 관성력과 후진 반발력은 일반적인 관성과 다른 특성을 갖고있다. 일반적인 관성은 어떠한 경우에도 후진 반발력은 전진 관성력이 끝난 후에 이어서 발생된다(도 4참조). 그러나 차량이 정지할 때 발생하는 후진 반발력은 차량의 여러 목적에 의하여 설치된 현가장치가 앞으로 쏠렸다가 자기 성향인 복원력이 반발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이 급제동할 때 완전 정지 직전에 유입조절밸브(200)에 의해 짧은 순간 점진적인 감압 방식으로 제동 압력을 감압하여 전진 관성력이 발생하고 있는 시간은 연장시키고 현가장치 복원력의 발생시점은 앞당겨서 전진 관성력과 후진 반발력이 같은 시간대에 나타나도록 하여 그 힘이 서로 상쇄되도록 하였다(도 5참조).
상기와 같은 본원발명은 차량의 일반제동시에는 차량이 정지할 때 발생하는 전진 관성력과 후진 반발력을 차량 자체 속도 안에서 소진시켜서 좋은 승차감으로 정지하게 하며, 종래 제동충격을 감소하기 위하여 매번 다른 힘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므로 해서 운전자가 갖게 되는 피로감과 운전의 집중력이 분산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 운전에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급제동시에는 차량이 급정지할 때에 발생하는 강한 전진 관성력과 후진 반발력을 같은 시간대에 발생시켜서 상쇄함으로서, 강한 전진력과 후진력이 짧은 시차를 갖고 전·후로 진동 할 때에 인체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인 목과 뇌에서 받게 될 충격을 방지하여 줌으로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에 기여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의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반제동시 브레이크압력이 정지직전에 조절된 후에 차량속도를 나타내는 도표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급제동시 브레이크 압력이 조절된 후 전진관성력과 후진반발력이 같은 시간대에 발생을 나타낸 도표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브레이크 압력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a는 브레이크액이 유입되기 전의 정단면도이고, 도 7b는 브레이크액이 유입되기 전의 측단면도이고,도 7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브레이크액 입·출 및 개·폐 작동판을 보인 본 발명의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유입조절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유입조절밸브의 평면과 정, 배면 단면도 및 저면도를 보인 구조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유입조절밸브의 유입량 조절홈을 보이기 위한 평면, 전면 전개도 및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 압력조절 장치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상부에 기존 브레이크 라인과 연결되는 유입구(105)를 갖고 하부에 공기출입구(106)를 가지는 실린더(102);
상기 실린더 내 저부에 피스톤 견지 스프링(104)과 피스톤 제어볼(107)로 견지되는 피스톤(103);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고정되어 실린더 내부를 분리하는 개폐 작동판(101);
상기 개폐 작동판(101)의 중앙에 관통된 유로(H)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부면에 유입구(201)를 갖는 캡형 몸체(200B)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201)를 유입구 볼 견지스프링(204)으로 착탈하는 유입구 볼(202)을 가지고, 상기 몸체(200B)의 내부벽에 원주상 등간격의 높이방향으로 도 11에서와 같이 순차적인 높이(h1, h2, h3, h4)를 가지며 복수로 형성되는 유입량 조절홈(203)을 구비하여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유입조절밸브(200);
전방에 영구자석(300)을 가지고 후방에는 개폐 작동스프링(301)에 탄동 설치되는 개폐구(B)가 상기 개폐 작동판(101)의 유로(H)를 교차하여 설치되는 유로 개폐장치(300C);
상기 실린더 외부면의 상기 영구자석(300) 대응 위치에 설치되는 차속센서와 연결되는 전자석(302); 및
상기 개폐 작동판(101)의 유로(H) 양측에 상기 개폐 작동판의 상, 하부를 관통하여 내장되는 출구볼 견지스프링(402)으로 견지되어 브레이크액 출구볼(401)로 개폐되는 브레이크액 출구(400)로 구성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미설명 부호 106은 브레이크 압력에 따라 하강하는 피스톤(103)의 진공 부압을 상쇄시키기 위한 공기출입구이고, 미설명부호 303은 유로개폐장치(300C)의 영구자석(300) 및 개폐구(B)가 작동함에 따른 부압의 발생을 예방하는 유동구이다.
상기 장치에 의한 브레이크 압력조절 방법은 아래와 같다.
차량의 일반적인 제동을 할 때에는 정지 직전에 짧은 순간 급제동 상태가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전진 관성력과 후진 반발력을 소진시키는 시간(속도)을 갖게 하며, 차량이 급제동할 때에는 전진 관성력과 후진 반발력이 서로 상쇄되는 시간(속도)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제동중인 차량에서 급정지 현상이 나타나기 직전에 브레이크 압력을 감압 조절하기 위해 기존 브레이크라인으로부터 유입된 브레이크액이 실린더(102)의 유입구(105)로 유입되고, 차속센서에 연결된 전자석(302)에 의해 작동스프링(301)에 탄동 설치된 개폐구(B)가 개방되어 유로(H)를 여는 개폐장치(300C)의 개로단계;
견지 스프링(204)으로 착탈되는 유입구 볼(201)에 의해 유입구(201)로 브레이크 액을 유입시켜 유입조절홈(203)에 의해 브레이크 액 유입유량을 조절하는 브레이크액 유입 조절단계;
상기 유입 조절된 브레이크 액의 유입으로 기존 브레이크 라인의 브레이크 압력이 감압될 때 감압한계가 피스톤 스프링(104)에 의해 조절되는 단계; 및
상기 유입 조절된 브레이크 액이 견지 스프링(402)으로 견지되는 브레이크 액 출구볼(401)을 갖는 출구(400)를 통하여 기존 브레이크 라인으로 환송되는 단계로 일반 제동 또는 급제동에 의해 제동 압력의 크기가 변동함에 따라 필요로 하는 감압 속도가 달라지는데 따라서 브레이크 압력을 감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조절방법으로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기존 브레이크라인(105)으로부터 유입된 브레이크액이 유로 개폐장치(300C)의 개폐와 유입조절밸브(200)로 유입되는 브레이크액의 차단과 유입 내지는 양을 조절하고, 유입된 브레이크액이 피스톤(103)을 견지하는 피스톤 견지 스프링(104)에 의해 압력 조절되고, 견지 스프링(402)으로 견지되는 브레이크액 출구볼(401)을 갖는 출구(400)를 통하여 기존 브레이크 라인으로 환송되면서 일반 제동 또는 급제동에 의해 제동 압력의 크기가 변동함에 따라 필요로 하는 감압 속도가 달라지는데 따라서 브레이크 압력을 감압시키는 방법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 브레이크 압력 조절장치는 기존 브레이크라인에 연결하여 장착하는 것으로, 제동중인 차량에서 급정지 현상이 나타나기 직전에 차속센서(W/S,ECU)(도시 안됨)와 연결된 전자석(302)에 의해 영구자석(300)으로 된 개폐장치(300c)의 개폐구(B)가 유로(H)를 열면서 제동압력이 있는 브레이크액이 브레이크라인 연결구(105)를 통해 유입조절밸브(200)의 유입구(201)를 통해 유입구 볼(202)을 밀어 붙여서 통과하여 상대적으로 힘이 적은 피스톤 견지스프링(104)을 밀면서 압축하여 유입공간인 실린더(102)로 유입된다. 이때 브레이크액이 유입조절밸브(200)를 통과할 때 유입되는 압력크기에 따라 유입구의 크기가 조절되는 유입조절밸브(200)의 몸체(200B) 내부구조[몸체(200B)의 내부벽에 원주상 등간격의 높이방향으로 순차적인 높이(h1, h2, h3, h4)를 가지며 복수로 형성되는 유입량 조절홈(203)](도 10도 및 도 11참조)에 의해 유입량의 완·급이 조절되고 브레이크액이 점진적으로 유입되면서 제동압력을 감압시켜 차량속도는 정지 시까지 짧은 순간을 부드럽게 감속된다.
따라서 차량은 급정지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전진관성력과 후진반발력이 소진되는데 필요한 차량속도(시간)를 얻게 된다. 한편 제동압력의 감압으로 차량에 새로운 관성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피스톤 견지스프링(104)의 계산된 탄발력에 의해 브레이크액의 유입한도가 기존 브레이크라인의 압력이 최저 정지압력이 유지되는 선을 한도로 결정되고, 운전자가 차량을 정차하거나 일시정지 한 후 재출발을 하기 위해서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멈추면 실린더(102)에 유입되어 있는 브레이크액이 피스톤 견지스프링(104)의 탄발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힘이 적은 출구볼 견지스프링(402)을 밀면서 브레이크액 출구볼(401)이 브레이크액 출구(400)를 개방하여 연결구(105)를 통해 압력이 약한(0인) 기존 브레이크 라인으로 다시 환원시켜 브레이크 압력조절 장치(100)는 재작동을 위한 초기상태가 된다.
차량이 급제동 할 때에는 차속센서의 신호를 받은 전자석(302)의 신호로 영구자석(300)을 밀어 내어 차량이 정지하기 직전에 개폐장치(300C)의 개폐구(B)가 유로(H)를 열면서 강한 제동압이 있는 브레이크액이 유입조절밸브(200)를 통해 유입될 때 짧은 순간 점진적으로 유입되어서 브레이크액에 필요한 감압을 일으켜서 차량의 전진관성이 발생되고 있는 시간은 연장(도 5참조)시키고 현가장치의 복원력인 후진반발력의 발생시점은 앞당겨서(도 5참조) 두 힘이 같은 시간대에 공존되어 상쇄됨으로서 차량은 제동 충격없이 두 힘의 완충력인 부드러운 상승기운으로 정차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정지 시 나타나는 순간적인 급정지 현상의 차량속도를 나타낸 도표,
도 2는 본 발명의 일반제동시 브레이크압력이 정지직전에 조절된 후에 차량속도를 나타내는 도표,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브레이크 압력 조절시의 차량속도를 나타낸 도표,
삭제
도 4는 종래의 차량정지시의 전진 관성력과 후진 반발력의 발생을 나타낸 도표,
도 5는 본 발명의 급제동시 브레이크 압력이 조절된 후 전진 관성력과 후진반발력이 같은 시간대에 발생을 나타낸 도표,
삭제
도 6은 본 발명의 브레이크 압력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 브레이크 압력 조절장치의 브레이크액이 유입되기 전의 정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 브레이크 압력 조절장치의 브레이크액이 유입되기 전의 측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 브레이크 압력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8은 브레이크액 입·출 및 개·폐 작동판을 보인 본 발명의 평단면도,
삭제
도 9는 본 발명의 유입조절밸브의 분해 사시도,
삭제
삭제
도 10은 본 발명의 유입조절밸브의 평면과 정, 배면 단면도 및 저면도를 보인 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유입조절밸브의 유입량 조절홈을 보이기 위한 평면, 전면 전개도 및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브레이크 압력 조절장치
101: 개폐 작동판
H: 유로
102: 실린더
103: 피스톤
104: 피스톤 견지스프링
105: 연결구
106: 공기 출입구
107: 피스톤 제어볼
200: 유입조절밸브
200B: 몸체
201: 유입구
202: 유입구 볼
203: 유입량 조절 홈
204: 유입구볼 견지스프링
300A: 유로 개폐장치
개폐구(B)
300: 영구자석
301: 작동 스프링
302: 전자석
303: 유동구
400: 브레이크액 출구
401: 브레이크액 출구볼
402: 출구볼 견지스프링

Claims (4)

  1. 상부에 기존 브레이크 라인과 연결되는 유입구(105)를 갖고 하부에 공기출입구(106)를 가지는 실린더(102);
    상기 실린더 내 저부에 피스톤 견지 스프링(104)과 피스톤 제어볼(107)로 견지되는 피스톤(103);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고정되어 실린더 내부를 분리하는 개폐 작동판(101);
    상기 개폐 작동판(101)의 중앙에 관통된 유로(H)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부면에 유입구(201)를 갖는 캡형 몸체(200B)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201)를 유입구 볼 견지스프링(204)으로 착탈하는 유입구 볼(201)을 가지고, 상기 몸체의 내부벽에 원주상 등간격의 높이방향으로 순차적인 높이를 가지며 복수로 형성되는 유입량 조절홈(203)을 구비하여 유입 유량을 조절하는 유입조절밸브(200);
    전방에 영구자석(300)을 가지고 후방에는 개폐 작동스프링(301)에 탄동 설치되는 개폐구(B)가 상기 개폐 작동판(101)의 유로(H)를 교차하여 설치되는 유로 개폐장치(300C);
    상기 실린더 외부면의 상기 영구자석(300) 대응 위치에 설치되는 차속센서와 연결되는 전자석(302); 및
    상기 개폐 작동판(101)의 유로(H) 양측에 상기 개폐 작동판의 상, 하부를 관통하여 내장되는 출구볼 견지스프링(402)으로 견지되어 브레이크액 출구볼(401)로 개폐되는 브레이크액 출구(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브레이크 압력조절장치.
  2. 차량의 일반적인 제동을 할 때에는 정지 직전에 짧은 순간 급제동 상태가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전진 관성력과 후진 반발력을 소진시키는 시간(속도)을 갖게 하며, 차량이 급제동할 때에는 전진 관성력과 후진 반발력이 서로 상쇄되는 시간(속도)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제동중인 차량에서 급정지 현상이 나타나기 직전에 브레이크 압력을 감압 조절하기 위해 기존 브레이크라인으로부터 유입된 브레이크액이 실린더(102)의 유입구(105)로 유입되고, 차속센서에 연결된 전자석(302)에 의해 작동스프링(301)에 탄동 설치된 개폐구(B)가 개방되어 유로(H)를 여는 개폐장치(300C)의 개로단계;
    견지 스프링(204)으로 착탈되는 유입구 볼(201)에 의해 유입구(201)로 브레이크 액을 유입시켜 유입조절홈(203)에 의해 브레이크 액 유입유량을 조절하는 브레이크액 유입 조절단계;
    상기 유입 조절된 브레이크 액의 유입으로 기존 브레이크 라인의 브레이크 압력이 감압될 때 감압한계가 피스톤 스프링(104)에 의해 조절되는 단계; 및
    상기 유입 조절된 브레이크 액이 견지 스프링(402)으로 견지되는 브레이크 액 출구볼(401)을 갖는 출구(400)를 통하여 기존 브레이크 라인으로 환송되는 단계로 일반 제동 또는 급제동에 의해 제동 압력의 크기가 변동함에 따라 필요로 하는 감압 속도가 달라지는데 따라서 브레이크 압력을 감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압력조절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080108197A 2008-10-20 2008-11-03 브레이크 압력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00903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3395 WO2010062019A1 (ko) 2008-11-03 2009-06-24 제동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정지시 감압의 완급을 조절하는 브레이크 압력 조절장치 및 그 방법
CN2009801497220A CN102245450A (zh) 2008-11-03 2009-06-24 在刹车时以制动力调节减压的制动压力调节装置及其方法
US13/127,396 US20110204710A1 (en) 2008-10-20 2009-06-24 Brake pressure control apparatus which regulates deceleration rate while braking according to brake pressur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7502 2008-10-20
KR1020080097502 2008-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509B1 true KR100903509B1 (ko) 2009-06-17

Family

ID=4098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197A KR100903509B1 (ko) 2008-10-20 2008-11-03 브레이크 압력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204710A1 (ko)
KR (1) KR100903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6939B (zh) * 2021-05-12 2022-04-08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双液压缸式线控制动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293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관성력 저감장치
KR19990037714U (ko) * 1998-03-11 1999-10-15 배길훈 자동차의 노즈 다운(nose-down) 방지 장치
KR20030003461A (ko) * 2001-07-02 2003-01-10 이기춘 차량의 제동거리 단축 방법 및 장치
KR20060025287A (ko) * 2004-09-15 2006-03-21 이재옥 이단 동작 에이비에스 브레이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1489A (en) * 1992-06-12 1995-07-11 Mando Machinery Corporation Hydraulic anti-skid braking systems for automobiles
JP3884941B2 (ja) * 2001-10-31 2007-02-21 住友電工ブレーキ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制動装置
JP4412343B2 (ja) * 2007-03-30 2010-0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液圧ブレーキ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293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관성력 저감장치
KR19990037714U (ko) * 1998-03-11 1999-10-15 배길훈 자동차의 노즈 다운(nose-down) 방지 장치
KR20030003461A (ko) * 2001-07-02 2003-01-10 이기춘 차량의 제동거리 단축 방법 및 장치
KR20060025287A (ko) * 2004-09-15 2006-03-21 이재옥 이단 동작 에이비에스 브레이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04710A1 (en)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1161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101438942B1 (ko) 페달 시뮬레이터의 반력제어장치
JP2006199146A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EP1693263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hydraulic brake system
JP2000006779A (ja) 鞍乗型車両の制動装置
JP5171756B2 (ja) 自動二輪車のブレーキ制御装置
JP5656677B2 (ja) 自動二輪車用ブレーキ装置
KR100903509B1 (ko) 브레이크 압력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01305565B1 (ko) 어쿠스틱 액티브 시트 장치
JPH0829646B2 (ja) 車輛の緩衝器
JP5407533B2 (ja) 液圧制御機構
JP2590958B2 (ja) 車体停止時の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931124B1 (ko) 브레이크 배관 장치
WO2010062019A1 (ko) 제동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정지시 감압의 완급을 조절하는 브레이크 압력 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2006027453A (ja) 電磁制御弁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S6250213A (ja) 電子制御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100610095B1 (ko) 차량용 듀얼 링크 타입 현가장치의 다이브 차단장치
JP4243011B2 (ja) 自動二輪車用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制御方法
JP2007230462A (ja) 車両におけるブレーキ装置
JPH06135308A (ja) バルブ機構
KR20160082553A (ko) 이륜차의 브레이크 제어 방법
KR20070007660A (ko) 차량의 자세 제어장치
WO2011024240A1 (ja) 制動力制御装置
JPH09309422A (ja) 自動車用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システムの油圧制御バルブ装置
JP2006062525A (ja) 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