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821B1 - 컨베이어의 이종 이송물 매립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의 이종 이송물 매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821B1
KR100902821B1 KR1020020051995A KR20020051995A KR100902821B1 KR 100902821 B1 KR100902821 B1 KR 100902821B1 KR 1020020051995 A KR1020020051995 A KR 1020020051995A KR 20020051995 A KR20020051995 A KR 20020051995A KR 100902821 B1 KR100902821 B1 KR 100902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veyor
iron ore
guide
lime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0396A (ko
Inventor
오은석
이용호
황준영
황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821B1/ko
Publication of KR2004002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의해서 수송되는 원료 중 수분이 과다하게 포함된 원료에 의한 수송불량 및 낙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원료에 포함된 수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원료의 중앙부에 석회석을 매립 할 수 있는 컨베이어의 이종 이송물 매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철광석(1)을 수송하는 컨베이어(3)의 중앙부를 지지하도록 베이스(2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롤(21)과, 상기 지지롤(21)의 양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3)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힌지(23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회동롤(24)과, 상기 회동롤(24)을 지지하는 지지축(25)의 선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안내핀(26)과, 상기 안내핀(26)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27a)이 구비된 가이드(27)와, 상기 회동롤(24)을 회동시키도록 안내핀(26)에 연결된 회동실린더(28)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철광석, 석회석, 매립장치, 쟁기, 컨베이어

Description

컨베이어의 이종 이송물 매립장치{A different kind transfer material landfill apparatus of conveyer}
도 1은 종래의 매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장치 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광석 3 : 컨베이어
20 : 베이스 21 : 지지롤
23a : 힌지 24 : 회동롤
25 : 지지축 26 : 안내핀
27 : 가이드 27a : 가이드홈
28 : 회동실린더 30 : 진동수단
31 : 하우징 32 : 피스톤
33 : 전자석 34 : 지지봉
35 : 스프링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이종 이송물 매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에 의해서 수송되는 원료 중 수분이 과다하게 포함된 원료에 의한 수송불량 및 낙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원료에 포함된 수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원료의 중앙부에 석회석을 매립 할 수 있는 컨베이어의 이종 이송물 매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 조업의 진행시에는 그 원료로서 철광석과 함께 석회석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철광석에는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수분에 의하여 컨베이어에 철광석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회석을 철광석의 내부에 매립시키고 있다.
종래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광석(1)을 운송하는 컨베이어(3)의 상부 중앙에는 석회석(2)을 공급하는 호퍼(4)가 설치되어 있고, 그 호퍼(4)가 설치된 컨베이어(3)의 전단부 양측면에는 지지대(5)가 설치되어 있되, 그 지지대(5)의 사이에는 한 쌍의 나사축(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축(6)의 일측 단부에는 모터(8)가 구동됨에 따라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베벨기어(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나사축(6)에는 이동판(9)이 나사 결합되어 있고, 그 이동판(9)의 상면에는 승강실린더(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동판(9)의 저부에는 승강실린더(10)에 의해서 승강되면서 컨베이어(3)에 의해서 이송되는 철광석(1)의 중앙부에 골을 형성하는 쟁기(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호퍼(4)의 후단부에는 철광석(1)의 상면을 평탄하게 하는 덮개(13)가 지지빔(12)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3)에 의해서 수송되는 철광석(1)의 내부에 석회석(2)을 매립시킬 때에는 쟁기(11)가 컨베이어(3)의 중앙부분으로 이동시킨다. 이때에는 모터(8)를 작동시키면 그 모터(8)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베벨기어(7)를 통하여 나사축(6)으로 절달되므로 상기 나사축(6)이 회전하게 되고 그 나사축(6)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서 나사축(6)에 나사 결합된 이동판(9)이 이동되므로 상기 모터(8)를 정/역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8)의 구동으로 쟁기(11)가 컨베이어(3)의 중앙부분으로 이동된 후 이동판(9)의 상부에 설치된 승강실린더(10)를 정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이동판(9)의 저부에 설치된 쟁기(11)는 철광석(1)의 중앙부분으로 삽입되므로 컨베이어(3)가 연속적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쟁기(11)가 삽입된 부분에는 골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철광석(1)에 발생된 골이 호퍼(4)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상기 호퍼(4)를 통하여 석회석(2)을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석회석(2)은 철광석(1)에 형성된 골의 내부로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석회석(2)이 수용된 철광석(1)이 컨베이어(3)의 이동으로 인하여 덮개(13)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덮개(13)에 의해서 철광석(1)의 상면이 평탄하게 되면서 석회석(2)은 철광석(1)의 내부에 매립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덮개(13)에 의해서 철광석(1)의 상면이 평탄하 게 됨에 따라서 석회석(2)이 매립되므로 상기 석회석(2)이 과다하게 공급되거나 철광석(1)의 상면이 덮개(13)보다 낮을 경우에는 석회석(2)이 매립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철광석(1)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철광석이 부착되어 수송이 불가능하게 되었으며, 상기 석회석(2)이 비산되어 주변설비를 오염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수분이 포함된 철광석(1)이 덮개(13)에 부착되었으며, 이러한 상태로 장시간 운전할 경우에는 철광석(1)이 컨베이어(3)의 외부로 낙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철광석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의 양측면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서 이송되는 철광석의 중앙부에 수용된 석회석의 상부로 철광석이 덮여지도록 석회석을 매립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의 이종 이송물 매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컨베이어의 이종 이송물 매립장치는 철광석을 수송하는 컨베이어의 중앙부를 지지하도록 베이스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롤과, 상기 지지롤의 양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회동롤과, 상기 회동롤을 지지하는 지지축의 선단부를 연결하 도록 결합된 안내핀과, 상기 안내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구비된 가이드와, 상기 회동롤을 회동시키도록 안내핀에 연결된 회동실린더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종래장치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광석(1)의 중앙부에 석회석을 공급하는 호퍼(4)의 후단부에 베이스(20)가 설치되어 있고, 그 베이스(20)의 상면 중앙에는 복수개의 지지롤(21)이 설치되어 있되, 그 지지롤(21)은 진동수단(30)을 매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동수단(30)은 베이스(20)의 상면에 하우징(31)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하우징(31)의 내부에는 피스톤(32)이 내장되어 있으며, 그 피스톤(32)의 저면에는 피스톤(32)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자력이 발생되는 전자석(3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32)의 상면 중앙에는 지지봉(34)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지지봉(34)의 상단부는 지지롤(21)의 중심축(22)에 연결되도록 하우징(31)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는 전자석(33)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35)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롤(21)의 양측면에는 고정바(23)가 설치되어 있고, 그 고정바(23)의 상단부에는 컨베이어(3)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회동롤(24)에 설치된 지지축(25)의 일단부가 힌지(23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축(25)의 타단은 안내핀(26)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컨베이어(3)의 양측에는 가이드(27)가 설치되어 있되, 그 가이드(27)에는 상기 안내핀(26)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27a)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가이드홈(27a)은 컨베이어(3)의 양단부가 중앙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상단부가 중앙으로 향하는 만곡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0)의 양 측면에는 회동실린더(28)가 설치되어 있되, 그 회동실린더(28)는 회동롤(24)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안내핀(26)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베이어(3)에 의해서 수송되는 철광석(1)의 내부에 석회석(2)을 매립시킬 때에는 상기 철광석(1)의 중앙부분에 골을 형성시키고 있으며, 이때에는 모터(8)를 작동시키면, 그 모터(8)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은 베벨기어(7)를 통하여 나사축(6)으로 전달되어, 상기 나사축(6)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나사축(6)이 회전하게 되면, 나사축(6)에 나사 결합된 이동판(9)이 이동되므로 상기 모터(8)를 정/역 방향으로 구동시키면서 상기 이동판(9)의 저면에 설치된 쟁기(11)를 컨베이어(3)의 중앙부에 위치시킨다.
상기 쟁기(11)가 컨베이어(3)의 중앙부분으로 이동된 후 이동판(9)의 상부에 설치된 승강실린더(10)를 정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이동판(9)의 저부에 설치된 쟁기(11)는 철광석(1)의 중앙부분으로 삽입되므로 컨베이어(3)가 연속적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쟁기(11)가 삽입된 부분에는 골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철광석(1)에 발생된 골이 호퍼(4)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상기 호퍼(4)를 통하여 석회석(2)을 공급하는 것이며, 상기 석회석(2)은 철광석(1)에 형성된 골의 내부로 수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석회석(2)이 수용된 철광석(1)이 본 발명의 매립장치로 이송된 후 승강실린더(10)를 작동시키면, 상기 승강실린더(10)는 안내핀(26)을 상부로 밀게 되는 것이며, 상기 안내핀(26)은 가이드(27)에 형성된 가이드홈(27a)을 따라서 이동된다.
상기 안내핀(26)이 이동됨에 따라서 그 안내핀(26)에 연결된 지지축(25)이 힌지(23a)를 중심으로 회동되게 되므로 상기 지지축(25)이 끼워진 회동롤(24)이 회동되므로 컨베이어(3)의 양측면은 상부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홈(27a)은 컨베이어(3)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만곡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동롤(24)의 상단부는 컨베이어(3)의 중앙으로 모아지게 되므로 컨베이어(3)의 양 측면에 공급된 철광석(1)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으로 모아지면서 석회석(2)을 매립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동롤(24)이 회동된 상태에서 철광석(1)이 중앙부분으로 모아지도록 하기 위해서 진동수단(30)을 작동시키는 것이며, 이때에는 하우징(31)의 내부에 설치된 전자석(33)에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상기 전자석(33)에서 발생되는 자력과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서 피스톤(32) 및 그 피스톤(32)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봉(34)이 진동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봉(34)이 진동됨에 따라서 그 지지봉(34)에 결합된 중심축(22)과 지지롤(21)이 함께 진동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롤(21)에 발생된 진동은 컨베이어(3)로 전달되어 상기 컨베이어(3)의 양측부분에 공급된 철광석(1)이 중앙으로 모아지면서 석회석(2)을 매립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석회석(2)의 매립이 완료되면 회동실린더(28)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석회석(2)은 철광석(1)에 매립된 상태로 목적지로 이송되면서 철광석(1)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게 되므로 철광석(1)의 부착 및 석회석(2)의 비산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철광석을 수송하는 컨베이어의 양측면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철광석의 중앙부에 수용된 석회석을 매립시키게 되므로 수분에 의하여 철광석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광석에 수용된 석회석을 원활하게 매립시켜 상기 석회석이 비산되지 않게되므로 주변설비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철광석(1)을 수송하는 컨베이어(3)의 중앙부를 지지하도록 베이스(2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롤(21)과, 상기 지지롤(21)의 양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3)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힌지(23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회동롤(24)과, 상기 회동롤(24)을 지지하는 지지축(25)의 선단부를 연결하도록 결합된 안내핀(26)과, 상기 안내핀(26)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27a)이 구비된 가이드(27)와, 상기 회동롤(24)을 회동시키도록 안내핀(26)에 연결된 회동실린더(28)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롤(21)은 진동수단(30)을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진동수단(30)은 베이스(20)의 상면에 설치된 하우징(31)과,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면에는 지지롤(21)의 중심축(22)을 지지하는 지지봉(34)이 돌출 설치된 피스톤(32)과, 상기 피스톤(32)의 저면에 부착되고 피스톤(32)을 상승시키도록 자력이 발생되는 전자석(33)과, 상기 하우징(31)의 내부에 내장되어 전자석(33)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의 이종 이송물 매립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20051995A 2002-08-30 2002-08-30 컨베이어의 이종 이송물 매립장치 KR100902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995A KR100902821B1 (ko) 2002-08-30 2002-08-30 컨베이어의 이종 이송물 매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995A KR100902821B1 (ko) 2002-08-30 2002-08-30 컨베이어의 이종 이송물 매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396A KR20040020396A (ko) 2004-03-09
KR100902821B1 true KR100902821B1 (ko) 2009-06-12

Family

ID=37324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995A KR100902821B1 (ko) 2002-08-30 2002-08-30 컨베이어의 이종 이송물 매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8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830B1 (ko) 2012-12-18 2014-07-23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벨트용 낙광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493B1 (ko) * 2008-06-05 2011-02-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량점검용 장치
KR101320120B1 (ko) * 2012-04-26 2013-10-29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9508A (ja) * 1981-11-18 1983-05-27 Yoshimori Nukaga 蛇行検出用被検体を有するベルトコンベア用ベルト並びにその蛇行修正方法
JPH02214580A (ja) * 1989-02-15 1990-08-27 Kawasaki Steel Corp ベルトコンベヤ上におけるばら物の粒度偏析助長方法
JPH10513586A (ja) * 1995-01-27 1998-12-22 ポール・ヨハンセン・ディベロップメント・エイ/エス 振動コンベヤ
KR19990022017U (ko) * 1999-02-12 1999-06-25 김병연 벨트컨베이어의행거형로울러장치
KR20000014716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벨트콘베어의 사행방지장치
JP2002234605A (ja) * 2001-02-07 2002-08-23 Kawasaki Heavy Ind Ltd ベルトコンベア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9508A (ja) * 1981-11-18 1983-05-27 Yoshimori Nukaga 蛇行検出用被検体を有するベルトコンベア用ベルト並びにその蛇行修正方法
JPH02214580A (ja) * 1989-02-15 1990-08-27 Kawasaki Steel Corp ベルトコンベヤ上におけるばら物の粒度偏析助長方法
JPH10513586A (ja) * 1995-01-27 1998-12-22 ポール・ヨハンセン・ディベロップメント・エイ/エス 振動コンベヤ
KR20000014716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벨트콘베어의 사행방지장치
KR19990022017U (ko) * 1999-02-12 1999-06-25 김병연 벨트컨베이어의행거형로울러장치
JP2002234605A (ja) * 2001-02-07 2002-08-23 Kawasaki Heavy Ind Ltd ベルトコンベ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830B1 (ko) 2012-12-18 2014-07-23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벨트용 낙광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396A (ko) 2004-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3905A (ko) 공급 컨베이어 및 파쇄기를 구동하기 위한 배열체
KR100902821B1 (ko) 컨베이어의 이종 이송물 매립장치
KR101999003B1 (ko)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JP2007174921A (ja) 農作業機
KR101572359B1 (ko) 벨트 이동 방지장치
US3229828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CN105798977A (zh) 一种废料自动排出的pcb板取放料机
KR101628026B1 (ko) 컨베이어의 낙하물 이송장치
KR101435050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20030034545A (ko) 벨트컨베어의 센트럴슈트 댐퍼 조정장치
ITMI20030306A1 (it) Apparecchiatura di taglio caricamento e miscelazione di prodotti fibrosi e suo metodo di funzionamento.
CN201104115Y (zh) 液压传动摆式布料机
KR100991913B1 (ko) 가역 벨트 컨베이어 클리너 자동 절환장치
JP2006206254A (ja) 自走式搬送装置
JP3281659B2 (ja) 育苗箱用播種装置用土供給装置
KR200284330Y1 (ko) 운송중인 벨트 콘베이어를 이용한 폐기물의 매립 처리장치
KR101344311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JP3059363B2 (ja) ベルトコンベアの溜水排出装置
CN220328950U (zh) 玻璃生产用的铁屑清理机构和玻璃配料装置
KR101553151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200429639Y1 (ko) 폐기물 이송장치
RU2172657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для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при его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е
US3356204A (en) Conveyor mechanism
KR20000021405U (ko) 소결원료 장입장치
JPH11114732A (ja) シール材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