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228B1 - 그리트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그리트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228B1
KR100902228B1 KR1020020055493A KR20020055493A KR100902228B1 KR 100902228 B1 KR100902228 B1 KR 100902228B1 KR 1020020055493 A KR1020020055493 A KR 1020020055493A KR 20020055493 A KR20020055493 A KR 20020055493A KR 100902228 B1 KR100902228 B1 KR 100902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t
fixed
case
lower portion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4027A (ko
Inventor
김익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228B1/ko
Publication of KR20040024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분리망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분리되지 않은 덩어리 형상의 그리트가 선별된 그리트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그리트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리트를 선별하는 그리트 선별장치에있어서, 그리트가 주입되는 주입구와, 주입구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분배판과, 분배판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콘형상의 상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콘형상의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싱부;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표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회전통과, 회전통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과, 하부케이스의 내향돌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는 분배망과, 분배망 하부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며 선단이 하향경사진 회전날로 이루어지는 회전부; 회전날과 대응되도록 하부케이스에 고정 설치된 콘형상의 선별망;을 포함하는 그리트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케이스, 회전통, 콘, 분배망

Description

그리트 선별장치{Apparatus for selecting of grit}
도 1은 압연롤 표면 거칠기 가공 작업을 나타내는 작업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그리트 선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 선별장치 외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 선별장치의 상부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 선별장치의 하부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그리트 12 : 선별망
20 : 주입구 22 : 분배판
24 : 상부케이스 26 : 하부케이스
50 : 회전통 52 : 회전축
54 : 분배망 56 : 회전날
본 발명은 압연롤의 표면 거칠기 가공에 사용되는 그리트를 선별하는 그리트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덩어리로 형성된 그리트의 분리시 분리망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그리트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간압연을 통하여 생산된 제품은 도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적당한 표면거칠기를 부여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품의 표면에 적당한 표면거칠기를 부여하기 위해서 제품의 표면에 밀착되는 압연롤에 그리트를 분사하여 압연롤의 표면이 적당한 표면거칠기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그리트를 공급하는 그리트 공급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리트를 보충하는 보충탱크(106)와, 보충탱크(106)로부터 그리트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101)와, 이송컨베이어(101)에 의해 이송된 그리트가 분리되는 분리기(100)와, 분리기(100)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된 분리망(107)과, 분리망(107)을 통과한 그리트를 압연롤(104)에 고속으로 분사하는 분사기(103)와, 압연롤(104)을 이송시키는 이송대차(105)로 이루어진다.
한편 그리트는 습기와 자력 및 이물 등에 의하여 서로 엉기면서 덩어리로 형성되어 너무 입도가 커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데, 이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리망(107)의 상부에 편심된 축(109)을 설치하고, 이 축(109)을 회전시켜 상하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 덩어리 형상의 그리트가 분리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그리트 선별장치장치는 분리망에 공급된 덩어리 형상의 그리트가 튕겨져 나가면서 서로 분리되므로 그 충격에 의해 분리망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리망이 파손되므로 덩어리 형상의 그리트가 분리망을 관통하여 선별된 그리트와 섞이게 된다.
따라서 그리트의 충돌에 의해 형성된 압연롤은 표면거칠기의 정밀도가 떨어져 냉간압연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분리망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분리되지 않은 덩어리 형상의 그리트가 선별된 그리트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그리트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리트를 선별하는 그리트 선별장치에있어서, 그리트가 주입되는 주입구와, 주입구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분배판과, 분배판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콘형상의 상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콘형상의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싱부;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표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회전통과, 회전통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과, 하부케이스의 내향돌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는 분배망과, 분배망 하부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며 선단이 하향경사진 회전날로 이 루어지는 회전부; 회전날과 대응되도록 하부케이스에 고정 설치된 콘형상의 선별망;을 포함하는 그리트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부케이스는 내면에 나선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 선별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 선별장치 외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 선별장치의 상부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 선별장치의 하부 일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 선별장치는 그리트(10)가 관통되는 케이싱부와, 케이싱부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부 및 그리트(10)를 선별하는 선별망(12)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케이싱부는 그리트(10)가 주입되는 주입구(20)와, 주입구(2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분배판(22)과, 분배판(22)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콘형상의 상부케이스(24)와, 상부케이스(24)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콘형상의 하부케이스(26)로 이루어진다.
주입구(20)는 입구가 확장되어 그리트(10)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분배판(22)은 디스크 형상으로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8)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28)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주입구(20)와 결합 설치되 며, 엣지부에는 플랜지(30)가 형성된다.
여기서 분배판(22)의 하부에는 연결부재에 의해 분배가이드(32)가 고정 설치되고 분배가이드(32)의 하면에는 회전통(50) 상부에 설치된 연결판(60)의 돌기(64)에 삽입된다. 이러한, 분배가이드(32)는 주입구(20)를 통하여 주입되는 그리트가 분산되도록 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케이스(24)는 콘 형상으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며 상단 및 하단에는 플랜지(34, 36)가 설치되어 상단 플랜지(34)는 분배판(22)의 플랜지(30)와 볼트(38)로 결합 설치되며 하단 플랜지(36)는 후술하는 하부케이스(26)의 상단 플랜지(40)와 볼트(38)로 결합 설치된다.
여기서 상부케이스(24)의 내측면에는 나선홈(42)이 형성되어 그리트(10)가 낙하하면서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덩어리가 용이하게 파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케이스(26)는 콘 형상으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며 하부에는 베어링(44)이 삽입 설치되고, 상단에는 플랜지(4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케이스(26)의 내측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후술하는 분배망(54)이 안착되는 내향돌기(46)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회전부는 상부케이스(2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표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회전통(50)과, 회전통(5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52)과, 하부케이스(26)의 내향돌기(46)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회전축(52)에 고정 설치되는 분배망(54)과, 분배망(54) 하부의 회전축(52)에 고정 설치되며 선단이 하향경사진 회전날(56)로 이루어진다.
회전통(50)은 위로 볼록한 콘 형상으로 측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홀(58)이 형 성되어 잘게 파쇄된 그리트(10)가 관통하여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통(50)은 상부에는 연결판(60)과 하부에는 조립판(62)이 각각 고정 설치되며, 연결판(60)의 상부에 돌출된 돌기(64)는 분배 가이드(32)의 하단에 설치된 베어링(33)에 삽입되고, 조립판(62)은 하부에 후술하는 회전축(52)이 고정 설치된다.
회전축(52)은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립판(62)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홀에 치합 설치된다.
이 회전축(52)에는 회전통(50), 후술하는 분배망(54) 및 회전날(56)이 고정 설치되어 회전축(52)이 회전함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전축(52)의 하부에는 구동모터(66)가 연결 설치되어 회전축(52)을 회전시킨다.
분배망(54)은 콘 형상으로 하부케이스(26)의 내향돌기(46)에 안착되며 중심에 회전축(52)이 고정 설치되어 회전축(52)이 회전함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분배망(54)의 엣지부와 이 엣지부가 안착되는 내향돌기(46) 사이에는 볼(67)이 삽입되어 분배망(54)이 내향돌기(46)에 구름마찰하므로 용이하게 회전된다.
회전날(56)은 분배망(54)의 하부에 선단이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중심에 회전축(52)이 고정 설치되어 회전축(52)이 회전함에 따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선별망(12)은 회전날(56)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하부케이스(26)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선별망(12)은 고정되고 회전날(56)은 회전되므로 선별망(12) 위에 위치한 그리트(10)는 회전날(56)에 의해서 반경방향으로 균일하게 퍼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그리트 선별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모터(66)를 회전시켜 회전축(52)이 회전되도록 하고, 회전축(52)을 회전시켜 회전축(52)에 고정 설치된 회전통(50), 분배망(54) 및 회전날(56)이 일체로 회전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주입구(20)를 통하여 그리트(10)를 투입하면 그리트(10)는 상부케이스(24)의 내측면 나선홈(42)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나선홈(42)에 의해 유도되면서 낙하하는 그리트(10)는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입도가 작은 그리트(10)는 회전통(50)을 관통홀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덩어리를 형성한 것과 가루 형상을 가진 그리트(10)가 동시에 유입되면 분배 가이드(32)에 의해서 한방향으로 그리트(10)가 집중되지 않고 원주면에 고르게 분배되어 투입된다.
투입된 덩어리 그리트(10)는 상부케이스(24)와 회전되는 회전통(50) 사이에서 분쇄되어 그리트(10)의 자중에 의해 낙하된다.
여기서 상부케이스(24)와 회전통(50) 엣지부 사이를 통과한 그리트(10)는 회전하는 분배망(54)으로 낙하되어 분배망(54)의 기울기에 의해 내부로 균일 하게 펴진 상태에서 선별망(12)에 떨어진다.
선별망(12)에 떨어진 그리트(10)는 회전되는 회전날(56)에 의해 더욱 고르게 펴지며, 입도가 작은 그리트(10)는 선별망(12)을 통과하여 하부로 낙하되고, 입도가 큰 그리트(10)는 선별망(12)의 엣지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선별망(12)의 엣지부로 이동된 그리트(12)는 하부케이스(26)의 측면에 가공된 이동구(68)를 통하여 배출되어 배관을 통하여 보관함으로 이동하게 되고, 선별망(12)을 통과하여 낙하된 그리트(12)는 회전축(52)에 가공된 다수의 홀을 통하여 하부로 흘러내려 배출구(7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는 분리망에 공급된 덩어리 형상의 그리트가 회전통과 상부케이스 사이에서 파쇄되어 분리되므로 덩어리 형상의 그리트가 분배망을 파손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따라서 선별된 그리트가 덩어리 형상의 그리트와 섞이는 것이 방지되므로 그리트의 입도가 균일하여 압연롤 및 압연롤에 의해 생산된 제품의 표면거칠기의 균일하여 품질이 향상된다.

Claims (3)

  1. 그리트를 선별하는 그리트 선별장치에있어서,
    상기 그리트가 주입되는 주입구와, 상기 주입구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분배판과, 상기 분배판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콘형상의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콘형상의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싱부;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표면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향돌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는 분배망과, 상기 분배망 하부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며 선단이 하향경사진 회전날로 이루어지는 회전부;
    상기 회전날과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고정 설치된 콘형상의 선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트 선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되는 그리트를 분산하도록 상기 분배판의 하부에 연결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콘형상의 분배가이드가 더욱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트 선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내면에 나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트 선별장치.
KR1020020055493A 2002-09-12 2002-09-12 그리트 선별장치 KR100902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493A KR100902228B1 (ko) 2002-09-12 2002-09-12 그리트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493A KR100902228B1 (ko) 2002-09-12 2002-09-12 그리트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027A KR20040024027A (ko) 2004-03-20
KR100902228B1 true KR100902228B1 (ko) 2009-06-11

Family

ID=3732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493A KR100902228B1 (ko) 2002-09-12 2002-09-12 그리트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2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800B1 (ko) * 2006-05-15 2009-11-2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조도편차 균일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8926U (ko) * 1988-03-01 1989-10-05 얀마-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곡립선별장치
KR20020044238A (ko) * 2000-12-05 2002-06-15 이구택 그리트의 달머신 투입장치
JP2002301384A (ja) * 2001-04-10 2002-10-15 Iseki & Co Ltd 籾摺選別機の混合米選別装置
JP2003220351A (ja) * 2002-01-30 2003-08-05 Kotobuki Sangyo Kk タイヤの粉砕物の分離選別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8926U (ko) * 1988-03-01 1989-10-05 얀마-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곡립선별장치
KR20020044238A (ko) * 2000-12-05 2002-06-15 이구택 그리트의 달머신 투입장치
JP2002301384A (ja) * 2001-04-10 2002-10-15 Iseki & Co Ltd 籾摺選別機の混合米選別装置
JP2003220351A (ja) * 2002-01-30 2003-08-05 Kotobuki Sangyo Kk タイヤの粉砕物の分離選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027A (ko) 200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5336B2 (en) Agitator ball mill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gitator ball mill
JPS6243731B2 (ko)
JPS58186449A (ja) 粉砕された材料を分類する方法および該方法を使用する垂直型ロ−ラミル
CN107964849B (zh) 一种具有连续碎土和连续搅拌作用的路基改良土搅拌机
KR910001232B1 (ko) 수직축 및 마찰형 정미기
JP2023015281A (ja) ミル
CN210010022U (zh) 一种粉体粉碎设备
US2981489A (en) Reduction apparatus
KR100902228B1 (ko) 그리트 선별장치
CN113399048A (zh) 一种二氧化硅颗粒研磨、搅拌一体装置及工作方法
US66918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parts
KR20030053724A (ko) 코크스 파쇄 시스템
US204454A (en) Improvement in flour-bolt feeders
JP2003181316A (ja) 媒体撹拌粉砕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有する粉砕処理システム
CN202845339U (zh) 圆锥滚筒式水稻种子清选机
KR100507705B1 (ko) 모래제조장치
CN108906296B (zh) 一种超细粉体处理工艺及其制造设备
JPH09206620A (ja) ジェット粉砕機
CN207401718U (zh) 一种微细矿物高效分级装置
CN219550981U (zh) 粉碎干燥设备
CN219898979U (zh) 一种均料器及具有该均料器的粮食清选机
CN215235731U (zh) 一种谷糙分离机的均匀供料装置
CN211538594U (zh) 一种分拣机
KR100493118B1 (ko) 원통형곡물선별기의 선별통 미강제거장치
KR200157741Y1 (ko) 분쇄목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