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741Y1 - 분쇄목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분쇄목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741Y1
KR200157741Y1 KR2019970005979U KR19970005979U KR200157741Y1 KR 200157741 Y1 KR200157741 Y1 KR 200157741Y1 KR 2019970005979 U KR2019970005979 U KR 2019970005979U KR 19970005979 U KR19970005979 U KR 19970005979U KR 200157741 Y1 KR200157741 Y1 KR 200157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crushed wood
wood
transfer
cr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714U (ko
Inventor
김택열
Original Assignee
김택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열 filed Critical 김택열
Priority to KR2019970005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74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17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7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7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2Transporting devices for wood or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05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쇄목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레그(25)에 의해 지지되고 분쇄목이 그 내부에서 이송되는 이송덕트(20)와, 상기 이송덕트(20)의 내부에 구비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분쇄목을 이송시키는 이송용 스크류(30)와, 이송덕트(20)의 하단에 구비되어 분쇄목을 그 입자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다수개의 선별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분쇄목을 입자 크기별로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선별 작업시에 분쇄목이 흩날리지 않아 작업환경이 쾌적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분쇄목 선별장치
본 고안은 분쇄목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쇄목 제조기에서 제조된 분쇄목이 날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분쇄목을 원하는 크기 별로 선별하여 원하는 위치에 쌓을 수 있도록 구성된 분쇄목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쇄목 제조기는 다양한 종류의 목재를 재료로 하여 톱밥이나 우드칩(이하 '분쇄목'이라 함)을 만들어 내는 장치이다. 상기 분쇄목 제조기에서 분쇄목을 제조함에 있어서 제조된 분쇄목을 용도에 따라 크기별로 선별하거나 또는 미처 분쇄되지 않은 목재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분쇄목 선별기이다.
제1도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쇄목 선별기의 요부가 도시되어 있고, 제2도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쇄목 선별기를 사용하여 분쇄목을 선별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분쇄목 선별기는 모터(14)에 의해 회전되면서 분쇄목을 선별하는 선별통(10)과, 상기 선별통(10)을 지지하는 지지대(17)로 구성된다.
상기 선별통(10)의 내부 중앙에는 회전축(11)이 구비되어 있고, 원통형의 프레임(12)에는 일정한 크기의 구멍이 구비되어 있는 선별체(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1)의 일측 말단부에는 모터(14)의 회전력을 모터(14)에 구비된 스프라켓(15)에 연결된 체인(16)에 의해 전달받는 스프라켓(15')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별통(10)은 상기 지지대(17)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분쇄목 선별장치는 분쇄목 제조기(1)에서 제조된 분쇄목이 상기 선별통(10)의 내부로 전달되면,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된 선별통(10)이 회전하면서 일정 크기 이하의 분쇄목이 상기 선별통(10)의 하단으로 낙하되어 모아지게 된다. 그리고 일정 크기 이상의 분쇄목은 상기 선별통(10)의 타측 말단부로까지 전달되어 한 곳에 모아지게 된다. 제1도 중 미설명 부호 2는 배출구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분쇄목 선별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불어내어진 분쇄목이 회전하는 상기 선별통(10) 내에서 흩날리면서 일정 크기 이하의 분쇄목이 작업장 주변에 날리게 되어 작업환경이 나빠지게 된다. 이는 분쇄목을 팬에 날려서 선별통(10)으로 전달하고, 이와 같이 전달된 분쇄목이 상기 선별통(10) 내에서 흩날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의한 분쇄목 선별장치는 그 크기가 커서 이동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장을 옮기기 위해서는 분쇄목 선별장치의 이동과 그 세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의한 분쇄목 선별장치는 분쇄목을 2가지 종류로 밖에 선별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상기 선별통(10)의 선별체(13)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의 크기가 일정하기 때문이며, 설사 상기 구멍의 크기를 달리하더라도 상기 선별통(10)이 회전하고 그 내부에서 분쇄목이 흩날리기 때문에 보다 세분된 크기로 분쇄목을 선별할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쇄목을 선별함에 있어 분쇄목이 흩날리지 않도록 하여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분쇄목을 다양한 크기로 세분하여 선별할 수 있는 분쇄목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쇄목 선별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분쇄목 선별장치를 사용하여 분쇄목을 선별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분쇄목 선별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분쇄목 선별장치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분쇄목 선별장치를 사용하여 분쇄목을 선별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쇄목 제조기 5 : 분쇄목 이송기
20 : 이송덕트 21 : 배출구
25 : 지지레그 30 : 이송용 스크류
31 : 회전축 32 : 나선형 이송판
35 : 모터 36,36' : 스프라켓
37 : 체인 40 : 선별부
41 : 선별판 42 : 통공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지레그에 의해 지지되고 분쇄목이 그 내부에서 이송되는 이송덕트와, 상기 이송덕트의 내부에 구비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분쇄목을 이송시키는 이송용 스크류와, 이송덕트의 하단에 구비되어 분쇄목을 그 입자 크기에 따라 선별하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되어 있는 다수개의 선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목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분쇄목 선별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이송덕트(20)가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지지레그(2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이송덕트(20)는 상부가 개방되어 그 내부가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이송덕트(20)는 그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덕트(20)의 하류부에는 배출구(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레그(25)의 말단부에는 본 고안에 의한 선별장치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캐스터(26)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이송덕트(20)의 내부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분쇄목을 이송시키는 이송용 스크류(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용 스크류(30)는 회전축(31)에 나선형 이송판(32)이 일체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나선형 이송판(32)은 상기 회전축(31)과 일체로 회전되면서 분쇄목을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모터(35), 스프라켓(36,36') 및 체인(37)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송덕트(20)의 하단에는 선별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선별부(40)에는 그 선별판(41)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다수개의 통공(4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통공(42)의 크기에 따라 선별부(40)에서 선별되는 분쇄목의 크기가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은 선별부(40)는 상기 이송덕트(20)의 하단에 차례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첨부 도면에는 선별부(40)가 하나만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만약 상기 선별부(40)가 다수개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상기 이송덕트(20)의 상류부에 있는 선별부(40)의 통공(42)의 직경이 하류부(배출구(21)가 구비되어 있는 쪽)에 있는 선별부(40)의 통공(42)의 직경에 비해 작도록 천공되어야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는 23은 이송덕트(20)의 양단을 형성하는 차폐판이고, 24는 상기 이송용 스크류(30)의 회전축(31)이 지지되는 지지브래키트이며, 43은 선별판(41)을 이송덕트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브래키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분쇄목 선별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분쇄목 선별장치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목 제조기(1)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분쇄목 제조기(1)에 장착되어 있는 분쇄목 이송기(5)의 배출구(5')를 이송덕트(20)의 상류부에 위치시켜 분쇄목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이송덕트(20)로 공급된 분쇄목은 상기 모터(35)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31)이 회전하는 이송용 스크류(30)에 의해 안내되어 이송덕트(20)의 하류부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송덕트(20)의 상류부에서 하류부로 분쇄목이 이동되면서 입자 크기 별로 분쇄목이 선별된다. 즉, 상기 선별부(40)에 천공되어 있는 통공(42)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분쇄목은 상기 통공(42)을 통해 낙하되어 이송덕트(20)의 하단에 쌓여지게 된다. 여기서 선별부(40)를 다수개 설치하게 되면, 원하는 크기별로 분쇄목을 선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선별부(40)의 통공(42)을 통과하지 못한 분쇄목은 상기 이송덕트(20)의 배출구(21)을 통해 배출되어 한곳에 모아진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분쇄목 선별장치는 분쇄목을 이송덕트의 내부에서 나선형 이송판으로 안내하여 이송시키면서 분쇄목을 크기에 따라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므로, 분쇄목이 흩날리지 않게 되어 작업환경이 쾌적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분쇄목 선별장치는 선별부를 다수개 설치하게 되면 분쇄목을 원하는 입자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어 제조되는 분쇄목의 품질을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지지레그(25)에 의해 지지되고 분쇄목이 그 내부에서 이송되는 이송덕트(20)와, 상기 이송덕트(20)의 내부에 구비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분쇄목을 이송시키는 이송용 스크류(30)와, 상기 이송덕트(20)의 하단에 구비되어 분쇄목을 그 입자 크기에 따라 선별하도록 다수개의 통공(42)이 천공되어 있는 다수개의 선별부(40)와, 상기 선별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레그(25)의 말단부에 설치된 캐스터(2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목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덕트(20)는 그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있고, 상기 이송용 스크류(3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은 모터(35)와, 상기 모터(35) 및 이송용 스크류(30)에 각각 결합되는 스프라켓(36)(36')과, 상기 스프라켓(36)(36')을 상호 연결하는 체인(3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목 선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덕트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선별부(40)의 통공(42)은 선별부(40)의 상류부에서 하류부로 진행되며 그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목 선별장치.
KR2019970005979U 1997-03-27 1997-03-27 분쇄목 선별장치 KR200157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979U KR200157741Y1 (ko) 1997-03-27 1997-03-27 분쇄목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979U KR200157741Y1 (ko) 1997-03-27 1997-03-27 분쇄목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714U KR19980061714U (ko) 1998-11-16
KR200157741Y1 true KR200157741Y1 (ko) 1999-10-01

Family

ID=1949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979U KR200157741Y1 (ko) 1997-03-27 1997-03-27 분쇄목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7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36Y1 (ko) * 2007-09-20 2009-12-2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톱밥 보일러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714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7757B1 (ko) 미립상물질이송장치
EP0629351B1 (de)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Tabak
US20210331871A1 (en) Auger conveyor for removing unwanted contaminants from a granular material
KR200157741Y1 (ko) 분쇄목 선별장치
CA132333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wood chips
US46517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ing cut tobacco from cigarette
JPH0578494B2 (ko)
KR200151826Y1 (ko) 분쇄목 이송장치
KR101539062B1 (ko) 콩 선별장치
KR200346440Y1 (ko) 전자부품용 핀 선별장치
KR200216201Y1 (ko) 곡물이송장치
JP2004074034A (ja) 破砕処理装置
EP0603816A1 (en) Sorter for grain
EP1027820A1 (de) Spreuverteiler für einen Mähdrescher
CN219898979U (zh) 一种均料器及具有该均料器的粮食清选机
KR200191145Y1 (ko) 선별장치
KR200335832Y1 (ko) 환약선별장치
KR200169301Y1 (ko) 벼 선별기
KR100902228B1 (ko) 그리트 선별장치
KR200324261Y1 (ko) 원통형 홈 스크린 선별장치
KR100493120B1 (ko) 원통형곡물선별기의 곡물투입장치
JP2008017706A (ja) 脱穀装置の選別部構造
RU2003129639A (ru) Подающая труба для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KR920000218Y1 (ko) 착유기의 깻묵배출 분산장치
KR200335863Y1 (ko) 미강 제거장치가 마련된 회전식 원통형 입선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