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201Y1 - 곡물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이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6201Y1 KR200216201Y1 KR2019980011285U KR19980011285U KR200216201Y1 KR 200216201 Y1 KR200216201 Y1 KR 200216201Y1 KR 2019980011285 U KR2019980011285 U KR 2019980011285U KR 19980011285 U KR19980011285 U KR 19980011285U KR 200216201 Y1 KR200216201 Y1 KR 20021620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in
- screw conveyor
- grains
- conveying apparatus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립자 형태를 취하는 각종 곡물의 가공작업시 곡물을 이송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곡물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해 곡물을 이송시키고, 이 스크류컨베이어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회동되는 배출구가 구성되며, 자체 이동수단으로서 바퀴를 구성되어 곡물을 가공기로 이송되도록함은 물론 한 곡물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곡물이송수단으로 스크류컨베이어를 사용하고, 각 가공기 곡물투입구의 위치에 따라 배출구의 위치가 변환되게하며, 자체 이동수단을 구성시키므로서 각종 가공기에 적용되도록 한 곡물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곡물의 이송수단으로 이송날개가 구성되는 주지의 스크류컨베이어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이송되는 곡물을 안내하며 저면이 5각형으로 절곡되는 안내통과, 상기 스크류컨베이어로 곡물을 공급하며 잔곡수거수단으로서의 수거함이 결합되는 공급조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구동수단인 주지의 구동모터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경사각을 조절하며 상기 안내통의 받침수단으로서 이송수단인 바퀴의 축과 연결되는 높이조절부와, 곡물배출수단으로서의 배출구로 구성되어 곡물을 가공기로 이송, 공급하도록 한 곡물이송장치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미립자 형태를 취하는 각종 곡물의 가공가업시 곡물을 이송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곡물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해 곡물을 이송시키고, 이 스크류컨베이어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회동되는 배출구가 구성되며, 자체 이동수단으로서 바퀴를 구성되어 곡물을 가공기로 이송되도록함은 물론 한 곡물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미소, 제분소에서 행하여지는 곡물의 가공작업에는 가공할 곡물을 가공기(예: 곡물 건조기 등) 내로 공급하는 수단으로 가공기의 곡물투입구 상단에 호퍼가 구성되는데, 이와같은 호퍼는 자체가 갖는 용량이 한정되어 일정한 시간을 두고 계속적으로 곡물을 공급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갖게 되어 근래에 들어서는 에스컬레이터의 방식을 적용한 별도의 이송부를 가공기의 일측으로 구성시켜, 이송벨트에 구성된 다수개의 호퍼에 의해 벼 등을 곡물투입구로 퍼올리므로서 곡물을 가공기로 공급하는 이송장치가 범용되고 있다.
이는 전술한 호퍼가 갖는 문제점은 다소 해결하였으나, 각각의 가공기가 갖는 곡물투입구의 위치가 상이함 따라 그 사용이 일정 가공기에만 제한되는 것으로서, 각종 가공기에 개별적으로 설치구성해야 하므로 제작비가 상승되는 문제점과 함께 필요에 따른 설치장소의 이동시 별도의 이송수단이 불비되어 이송작업이 난이한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곡물이송장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곡물이송수단으로 스크류컨베이어를 사용하고, 각 가공기 곡물투입구의 위치에 따라 배출구의 위치가 변환되게하며, 자체 이동수단을 구성시키므로서 각종 가공기에 적용되도록 한 곡물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곡물의 이송수단으로 이송날개가 구성되는 주지의 스크류컨베이어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이송되는 곡물을 안내하며 저면이 5각형으로 절곡되는 안내통과, 상기 스크류컨베이어로 곡물을 공급하며 잔곡수거수단으로서의 수거함이 결합되는 공급조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구동수단인 주지의 구동모터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경사각을 조절하며 상기 안내통의 받침수단으로서 이송수단인 바퀴의 축과 연결되는 높이조절부와, 곡물배출수단으로서의 배출구로 구성되어 곡물을 가공기로 이송, 공급하도록 한 곡물이송장치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에 있어, 공급조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에 있어, 높이조절부의 작용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에 있어, 배출구의 작용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에 있어, 스크류컨베이어와 안내통의 결합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에 있어, 스크류컨베이어의 또다른 설치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의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이송장치 2:스크류컨베이어
3,3’:안내통 4:공급조
5:구동모터 6:높이조절부
7:배출구 21:이송날개
22,22’:결합구 31,31':결합편
32:배출공 321,321’:링
41:걸림방지망 42:수거함
43:결합편 44:통공
45:거치대 411:슬라이딩안내편
51:구동모터 축 52:고정프레임
61:바퀴축 62:경사각조절축
63,63’:지지축 611:바퀴
612:연결편 613:지지대
621:내축 622:외축
623,623’:결합공 624:고정핀
631.631’:볼트구멍 P:풀리
V:밸트 H:회동홈
T:원형결합구 B:체결볼트
C:곡물 M:가공기
G:곡물투입구 A:포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에 있어, 공급조의 구성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에 있어, 높이조절부의 작용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에 있어, 배출구의 작용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에 있어, 스크류컨베이어와 안내통의 결합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에 있어, 스크류컨베이어의 또다른 설치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의 작용상태도로서 그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이송날개(21)가 구성되는 스크류컨베이어(2)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가 설치되는 안내통(3)과, 상기 안내통(3)의 일측으로 형성되며 걸림방지망(41)과 수거함(42)이 구성되는 공급조(4)와, 상기 안내통(3)의 타측으로 형성되며 스크류컨베이어(2)와 축연결되는 구동모터(5)와, 상기 안내통의 저면으로 바퀴의 축(61)과 결합되는 높이조절부(6)와 배출구(7)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는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기둥형태의 축 외둘레로 나사산형태를 취하는 이송날개(21)가 구성되는 통상의 그것과 상이함이 없는 것으로, 이는 일측과 타측에 결합구(22,22’)가 구성되어 그 일측이 후술하는 공급조(4)의 측면에 베어링결합되고 타측은 상기한 구동모터(5)의 축과 연결되는데, 이와같은 모터 축(51)과 스크류컨베이어(2) 결합구(22’)의 동력전달수단으로는 각 축상에 풀리(P)를 구성시켜 밸트(V)연결하므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스크류컨베이어(2)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상으로 절곡구성되며 일정한 길이를 갖는 안내통(3)의 내부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이와같이 내부로 스크류컨베이어가 삽설되는 안내통(3)은 그 일측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술하는 공급조(4)와 용접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한 구동모터(5)가 별도의 프레임(52)에 의해 볼트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내통(3) 저면의 중앙 상단으로는 볼트구멍을 갖는 한쌍의 결합편(31)이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되고 이 결합편(31)의 상단, 즉 구동모터(5)가 설치되는 안내통(3)의 저면으로는 원통형을 취하는 배출공(32)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공(32)의 끝단 외둘레로는 한쌍의 링(321,321’)이 일정간격을 두고 회동홈(H)이 구성되도록 용접에 의해 결합고정된다.
또한, 상기 공급조(4)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면이 개방되는 삼각체 용기형상을 취하되, 일측으로는 전술한 안내통(3)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가 내부 일측면에 베어링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조(4)의 저면 일측으로는 볼트구멍을 갖는 결합편(43)이 구성되며, 각 경사면이 맞닿는 꼭지점으로는 외둘레에 슬라이딩안내편(441)이 구성되는 사각통공(44)이 형성되어 판상체로 구성되는 수거함(42)이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때, 상기 안내통(3)이 결합되는 일측면의 타측으로는 판상체를 취하는 거치대(45)를 구성시켜, 포대 등에 담겨진 곡물을 공급조(4)로 공급할 경우 거치대(45)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곡물 공급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공급조(4)의 개방되는 상부면으로는 전술한 바와같이 포대 등에 담겨진 곡물을 공급조내부로 공급할 경우 회전되는 스크류컨베이어(2)의 이송날개(21)로 포대가 걸림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걸림방지망(41)을 결합고정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공급조(4)와 근접한 위치의 상기 안내통(3) 상단면 또한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걸림방지망(41)이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6)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각조절축(62)과 한쌍의 지지축(63,63’)이 바퀴(611)가 결합되는 바퀴축(61)에 연결되므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경사각조절축(62)은 상기 바퀴축(61)의 중앙으로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 결합되며 높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결합공(623)이 일측과 타측에 대향구성되는 내축(621)과, 이 내축(621)이 삽입되며 일측으로 구성되는 볼트구멍을 갖는 원형결합구(T)가 상기 안내통(3)의 결합편(31,31’)으로 볼트에 의해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되고 타측 길이방향으로는 한쌍의 결합공(623’)이 형성되는 외축(622)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결합공(623,623’)의 위치는 막대형태의 고정핀(624)이 상기 내축(621)과 외축(622)을 관통하여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내축(621)의 결합공(623)과 같은 위치로 형성되는 것이며, 고정핀(624)이 끼움결합되는 결합공(623’)의 상단 결합공으로는 별도로 볼트를 이중결합하므로서 내축(621)과 외축(622)의 고정력이 배가되도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쌍의 지지축(63,63’)은 볼트구멍(631,631’)이 형성되는 일측 끝단을 절곡하여 제3도에 도시된 형태로 상기 공급조(4)의 저면으로 구성된 결합편(43)에 볼트결합되므로서 일정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각 지지축(63,63’)의 타측은 상기 바퀴축(61)에 구성된 연결편(612)과 볼트결합되어 일정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퀴축(61)의 양측에 자체이동수단으로 사용되는 바퀴(611)는 바퀴결합구상으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탈착하여 제4도에 도시된 별도의 지지대(613)를 교체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출구(7)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통형을 취하되 일측으로 절곡구성되며 상단 외둘레 4방향으로는 체결볼트(B)가 결합되어 전술한 배출공(32)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배출공(32)으로의 결합시에는 상기 배출공(32)의 외둘레로 고정된 한쌍의 링(321,321’) 사이의 공간인 회동홈(H)상으로 상기 체결볼트(B)를 4방향에서 걸림되도록 결합시켜, 배출구(7)가 상기 회동홈(H)상에서 360° 회동되게하므로서 필요에 따라 배출되는 곡물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의 결합상태와 상호 작용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를 상기 안내통(3)의 내부로 고정설치시키되;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의 일측 결합구(22)는 상기 공급조(4)에 베어링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통(3)을 공급조(4)와 일체화시키고, 타측은 상기 구동모터 축(51)과 축연결되며 이 안내통(3)의 저면으로 상기 높이조절부(6)와 배출구(7)를 결합시키므로서 그 조립이 완성되는데, 이렇게 조립이 완성된 곡물이송장치(1)는 그 배출구(7)를 곡물(C)의 탈곡 또는 제분하는 가공기(M)의 곡물 투입기(G)로 위치시켜 곡물(C)을 공급하는 것으로, 포대(A) 등에 담겨진 곡물(C)을 수작업에 의해 공급조(4)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포대(A)를 거치대(45)에 걸치는 형태로 위치시킨 후 작업을 행하게 되며, 차량적재함에 하역작업에 의해 곡물을 공급조(4)로 적재시키게 되고, 이렇게 공급조(4)로 적재된 곡물(C)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측이 구동모터 축(51)과 축연결된 스크류컨베이어(2)에 의해 배출구(7)로 이송, 일정량의 곡물(C)을 배출구(7)를 통해 가공기(M)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공급조(4)의 상부면으로 고정결합된 걸림방지방(41)은 포대(A)에 담긴 곡물(C)을 공급조(4)내로의 이동작업시 포대(A)가 작동되는 스크류컨베이어(2)와 접촉되어 감기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되고, 공급조(4)의 저면에 구성된 수거함(42)을 통해 단일종류의 곡물이송작업을 마친 후, 다른종류의 곡물을 가공기로 이송할 시 공급조(4)내에 잔류된 미립자 형태의 잔곡을 수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와 안내통(3)의 설치간격은 이송하는 곡물(C)이 미립자 형태이므로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내통(3,3’)의 저면을 5각형으로 절곡하거나 원형으로 절곡시켜, 스크류컨베이어(2)의 이송날개(21)와의 설치간격을 최소화시킴이 바람직하며, 안내통(3,3’)상에 개방면을 구성시키지 않고 안내통(3,3’) 자체를 원통형으로 구성시키므로서 스크류컨베이어(2)에 의한 곡물의 이송시, 이송되는 곡물(C)이 안내통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동되는 배출구(7)는 스크류컨베이어(2)에 의해 이송된 곡물(C)을 가공기(M)의 곡물투입구(G)로 공급시 곡물(C)의 배출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가공기(M)로의 곡물공급이 용이한 것이며, 이와같이 가공기(M)로의 곡물공급을 위한 위치설정은 높이조절부(6)의 경사각조절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고정핀(624)과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경사각조절축(62)의 내축(621) 결합공(623)과 외축(622)의 결합공(623’)의 결합위치를 상·하로 조절하므로서 스크류컨베이어(2)를 갖는 안내통(3)의 경사각이 조절되어 배출구(7)의 배출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1)는 필요에 따라 자체가 이동하게 될 경우에는 바퀴(611)를 이용, 별도의 차량에 연결되어 자체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바퀴(611)는 전술한 바와같이 선택적으로 별도의 지지대(613)와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1)는 가공기(M)로의 곡물이송량을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 스크류컨베이어(2)가 내설되는 안내통(3,3’)을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수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방식에 의해 복수개의 스크류컨베이어(2,2’)가 배출구(7)를 통해 가공기(M)로 곡물(C)을 공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곡물이송장치는 스크류컨베이어를 곡물의 이송수단으로 적용하되, 이 스크류컨베이어가 내설되는 안내통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와 회동되는 배출구가 구성되어 각각의 가공기에 별도로 곡물이송장치를 구성시키지 않고 단수개의 곡물이송장치로 곡물투입구의 위치가 상이한 각종 가공기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서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이동수단으로서 바퀴가 구성되어 자체이동이 용이한 것이다.
또한, 수거함의 구성에 의해 잔곡수거가 편리하고, 공급조에 걸림방지망이 구성되어 작업의 안정성을 고려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스크류컨베이어를 복수개로 구성시켜 대용량의 곡물을 가공기로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생산자 및 사용자에게 매우 괄목할 만한 기대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 곡물의 이송수단인 스크류컨베이어가 안내통에 내설되며, 이 안내통의 하부측으로는 곡물을 공급하는 공급조가 형성되고, 상부측으로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바퀴축과 연결되는 높이조절부에 의해 안내통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곡물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조의 저면으로는 슬라이딩안내편을 갖는 통공을 형성하여, 슬라이딩안내편을 통해 잔곡의 수거수단인 수거함을 장·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공급조의 상부면과 안내통의 상부면으로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걸림방지망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는 안내통으로 한쌍의 링에 의해 형성되는 회동홈을 갖는 배출공을 형성하고, 배출구로 체결볼트를 형성하여 이 체결볼트를 상기 회동홈으로 걸림결합시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이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1285U KR200216201Y1 (ko) | 1998-06-26 | 1998-06-26 | 곡물이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1285U KR200216201Y1 (ko) | 1998-06-26 | 1998-06-26 | 곡물이송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1529U KR20000001529U (ko) | 2000-01-25 |
KR200216201Y1 true KR200216201Y1 (ko) | 2001-03-15 |
Family
ID=69518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1285U KR200216201Y1 (ko) | 1998-06-26 | 1998-06-26 | 곡물이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620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3370B1 (ko) | 2010-03-03 | 2012-12-18 | 김한곤 | 유리강화 열처리로의 열처리용 분말 장입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5326B1 (ko) * | 2009-09-10 | 2011-01-05 | 김창곤 | 조립식 곡물이송장치 |
KR101461783B1 (ko) * | 2013-03-06 | 2014-11-13 | 주식회사 포스코 | 이물처리장치 |
-
1998
- 1998-06-26 KR KR2019980011285U patent/KR20021620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3370B1 (ko) | 2010-03-03 | 2012-12-18 | 김한곤 | 유리강화 열처리로의 열처리용 분말 장입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1529U (ko) | 2000-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24796A (en) | Screw feeder with multiple concentric flights | |
US6561342B2 (en) | Granular material conveyor | |
KR200216201Y1 (ko) | 곡물이송장치 | |
WO2008129384A1 (en) | Grinding system | |
CA1046970A (en) | Ball feeder device | |
CN220282505U (zh) | 一种无破碎垂旋斗式粮食提升机 | |
US2704995A (en) | Self-feeding storage structure | |
JPH0578494B2 (ko) | ||
CN213059342U (zh) | 微波烘干白钨精矿的给料装置 | |
US3580548A (en) | Conveyor attachment for portable feed mill | |
US3910508A (en) | Mixing apparatus for fluent material | |
US4475452A (en) | Bark processing machine | |
CN100459842C (zh) | 联合收割机 | |
CN212245179U (zh) | 一种饲料生产用快速高效自动上下料装置 | |
CN219984585U (zh) | 一种加工助剂搅拌设备的上料机构 | |
CN220657642U (zh) | 医药中间体自动研磨系统 | |
CN219580620U (zh) | 一种碾米机的提升上料机机构及供米总成 | |
CN220484751U (zh) | 一种茶叶加工用上料装置 | |
KR200177701Y1 (ko) |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 | |
CN221317912U (zh) | 一种饲料加工上料输送机 | |
CN214058907U (zh) | 一种喂料机的上料机构 | |
CN218452362U (zh) | 一种滚筒筛 | |
CN218560426U (zh) | 一种销轴加工自动化上料装置 | |
KR200151826Y1 (ko) | 분쇄목 이송장치 | |
JPS62201732A (ja) | ツインベルトアンロ−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