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783B1 - 이물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783B1
KR101461783B1 KR1020130024100A KR20130024100A KR101461783B1 KR 101461783 B1 KR101461783 B1 KR 101461783B1 KR 1020130024100 A KR1020130024100 A KR 1020130024100A KR 20130024100 A KR20130024100 A KR 20130024100A KR 101461783 B1 KR101461783 B1 KR 101461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unit
foreign
wat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9733A (ko
Inventor
한경룡
유호
최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24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783B1/ko
Publication of KR20140109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7/00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4C1/00, B04C3/00, or B04C5/00; Multiple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of the groups B04C1/00, B04C3/00, or B04C5/00; Combinations of apparatus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B04C1/00, B04C3/00, or B04C5/00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프레임과 상기 장치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혼합수에서 이물질 농축액을 분리하는 제1 이물처리수단 및 상기 장치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물처리수단에서 배출되는 이물질 농축액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제2 이물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이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 등의 구조물 내부에 존재하는 슬러지 등의 이물을 하이드로 사이클론과 침전 작용의 2단 분리작업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물과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물처리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본 발명은 이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하이드로 사이클론 원리와 침전 작용의 2단의 분리작업을 통해 수조 등의 구조물 내부에 존재하는 슬러지 등의 이물을 물과 분리하여 제거하는 이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열되는 설비가 많은 제철소는 제철 설비나 철강 제품의 냉각을 위해서 다량의 냉각수를 사용하게 된다. 이 냉각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수조가 필수적으로 존재해야 하며,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이 냉각수 내에는 물리적 이물질, 화학적 이물질 등이 유입되게 된다.
결국 이러한 이물질 함유 용수가 수조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 이물질이 침전되어 슬러지를 형성하게 된다. 이것을 제거하지 않고 계속 사용하게 되면 수조 설비 자체가 파손될 뿐만 아니라 냉각수를 사용하는 제철 설비 및 장치 또한 고장 발생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결론적으로 수조 내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제거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수조 내의 용수를 모두 방류하고 작업자가 직접 수조 내부로 들어가 슬러지를 제거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이 경우 해당 수조를 사용하는 공정은 일시 정지되게 되고, 이는 제철공정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또는 수조 설비에 구비된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수조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긁어 모아 수조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토록 하였다. 그런데 이 경우 용수와 슬러지가 잘 분리되지 않아 많은 용수가 그대로 버려지게 되어 물 회수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수조 등의 구조물 내부에 존재하는 슬러지 등의 이물을 하이드로 사이클론과 침전 작용의 2단 분리작업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물과 분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이물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장치프레임과 상기 장치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혼합수에서 이물질 농축액을 분리하는 제1 이물처리수단 및 상기 장치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물처리수단에서 배출되는 이물질 농축액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제2 이물처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이물처리수단은, 혼합수 유입부와 연결되며, 혼합수를 이물질 농축액과 처리수로 분리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부와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부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승하는 처리수가 배출되는 오버플로우부 및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부의 하단에 연결되며, 하강하는 이물질 농축액이 배출되는 이물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이물처리수단은, 상기 이물배출부에서 배출된 이물질 농축액이 축적되도록 상기 제1 이물처리수단의 하부에 배치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에 축적된 이물질 농축액에서 이물질을 추출토록, 상기 침전조의 내면 하단에 배치되는 추출스크류 및 상기 침전조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추출스크류의 의해 추출된 이물질이 수집되는 이물수집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침전조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추출스크류는 상기 경사면에 장착되어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 침전되는 이물질을 추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이물처리수단은, 상기 침전조를 지지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장치프레임간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조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장치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에서 소정거리가 이격되어 상기 장치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고정홀을 구비하는 유선형 고정브라켓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장치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부재와 상기 힌지부재에서 소정거리가 이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장치프레임간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이물처리수단은, 상기 침전조에 축적되는 이물질 농축액에서 분리된 물을 배출토록, 상기 침전조의 하단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가 이격되어 장착되는 드레인밸브 및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드레인밸브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집토록 제공되는 드레인수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물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이물질 농축액이 상기 침전조에 폭방향으로 균일 배출되도록, 상기 이물배출부와 상기 침전조 사이에 배치되는 배출안정화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안정화수단은, 상기 장치프레임에서 상기 이물배출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과 샤프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유동패널 및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유동패널간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이물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는 하이드로 사이클론을 통해 일차적으로 슬러지 등의 이물을 물과 분리하며, 침전 작용을 통해 이차적으로 물과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분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침전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이물의 종류나 점도 등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서 추출스크류를 통해 이물을 수월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하이드로 사이클론 과정뿐만 아니라 침전 과정에서도 물을 분리회수하여 물의 재사용률을 향상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제철공정 등에서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물처리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하이드로 사이클론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배출안정화수단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각도조절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구동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제1 이물처리수단을 이동 형태로 접었을 때의 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이물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수조 등의 구조물 내부에 존재하는 슬러지 등의 이물을 하이드로 사이클론과 침전 작용의 2단 분리작업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물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물처리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명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하이드로 사이클론부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배출안정화수단의 부분확대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각도조절부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발명에서 구동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이물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는 장치프레임(200)과 상기 장치프레임(200)의 상부에 배치되며, 혼합수에서 이물질 농축액을 분리하는 제1 이물처리수단(300) 및 상기 장치프레임(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물처리수단(30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 농축액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제2 이물처리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프레임(200)은 복수의 빔이 서로 용접접합 또는 볼트체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2 이물처리수단(300,400)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진 스틸 재질일 수 있다.
여기서 혼합수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이 함유된 용수를 의미할 수 있고, 이물질 농축액은 혼합수에서 일부 물이 제거된 용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물처리수단(300)은 수조로부터 유입된 혼합수를 원심분리를 통해 물의 일부를 회수하여 이물질 농축액으로 만드는데, 이러한 상기 제1 이물처리수단(300)은 하이드로사이클론부(310), 오버플로우부(320) 및 이물배출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부(310)는 수조와 연결된 혼합수 유입부(340)와 연결되며, 상기 혼합수 유입부(34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수를 원리분리하여 이물질 농축액과 처리수로 분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버플로우부(320)는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부(310)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부(310)에서 원심분리된 처리수가 상승하며 상기 오버플로우부(3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1차적으로 처리수, 즉 물이 회수되게 된다. 회수된 물은 제철공정에 있어서 설비, 제품 등의 냉각에 재사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배출부(330)는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부(3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부(310)에서 원심분리된 이물질 농축액이 하강하며 상기 이물배출부(330)를 통해 상기 제2 이물처리수단(4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물배출부(330)에서 유입된 이물질 농축액은 상기 제2 이물처리수단(400)에서 다시 한번 이물질이 추출하여 2차적으로 물을 회수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제2 이물처리수단(400)은 침전조(410), 추출스크류(420) 및 이물수집조(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이물처리수단(300)의 하부에는 상기 침전조(410)가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물배출부(330)에서 배출된 이물질 농축액은 상기 침전조(410)에 축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침전조(410)의 내면 하단에는 상기 추출스크류(420)가 배치되며, 상기 침전조(410)에 축적된 이물질 농축액 중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침전조(410)의 하단에 침전된 이물질을 추출하게 된다. 침전된 이물질은 상기 추출스크류(420)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이물수집조(43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물수집조(430)는 상기 침전조(410)의 일측, 자세하게는 상기 추출스크류(420)의 회전에 의해 이물질이 이동하는 방향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추출스크류(420)에 의해 이동된 이물질이 수집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추출스크류(420)는 상기 침전조(410)의 바닥면 전체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침전조(410)의 일부에 이물질이 누락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추출스크류(420)의 일측은 스텝핑모터, 인버터모터, 서보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부(47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추출스크류(420)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구동부(470)와 타이밍벨트(472) 및 풀리(473) 구조로 연결되는 기어박스(4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471)에 의해 구동부(470)이 작동될 때 복수개의 상기 추출스크류(420)는 동시에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침전조(410)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추출스크류(420)는 상기 경사면에 장착되어 상기 침전조(410)의 하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끌어올리며 추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침전조(410)는 상기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이물질과 분리된 물이 수용되며, 이물질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면 상기 이물수집조(430)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이물처리수단(400)은 상기 침전조(41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이동프레임(440)과 각도조절부(4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물질의 종류나 점도 등에 따라 상기 침전조(41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추출스크류(420)가 보다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이물질의 크기가 크거나 점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침전조(410)의 각도를 낮추어 상기 추출스크류(420)가 수월하게 이물질을 추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물질의 점도가 낮은 경우에는 무르므로 상기 경사면의 각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기 추출스크류(420)에 의해 제대로 추출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상기 이동프레임(4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전조(410)의 하단을 지지토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450)는 상기 이동프레임(440)과 상기 장치프레임(200)간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조(41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각도조절부(450)의 일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재(451), 고정브라켓(453) 및 고정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440)은 상기 장치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부재(451)에 의해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재(451)가 설치된 지점에서 소정거리가 이격되어 상기 장치프레임(200)에 상하방향으로 유선형으로 배치되며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고정홀을 구비하는 상기 고정브라켓(453)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바는 상기 이동프레임(440)는 설치되고,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프레임(440)의 회전 각도를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44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침전조(410)의 각도가 조절되고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450)의 다른 실시예는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힌지부재 및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440)은 상기 장치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재가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소정거리가 이격되어 상기 유압실린더가 상기 장치프레임(200)과 상기 이동프레임(440)간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유압실린더를 가동하면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가 신축되며 상기 이동프레임(440)을 상기 힌지부재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44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침전조(410)의 경사 각도가 조절되고 유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물처리수단(400)은 상기 침전조(410)에서 이물질과 분리된 물을 회수토록, 드레인밸브(461) 및 드레인수조(46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밸브(461)는 상기 침전조(410)의 하단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가 이격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침전조(410)에 축적되는 이물질 농축액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리된 물이 배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수조(463)는 상기 침전조(4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드레인밸브(461)를 통해 배출된 물을 수집토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물배출부(33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 농축액이 상기 침전조(410)에 폭방향으로 균일 배출되도록, 상기 이물배출부(330)와 상기 침전조(410) 사이에 배치되는 배출안정화수단(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배출안정화수단(500)은 고정패널(510) 및 유동패널(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510)은 상기 제1 이물처리수단(300)을 지지하는 상기 장치프레임(200)의 하단에 용접접합 또는 볼트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동패널(520)은 상기 고정패널(510)과 일정 각도를 이루며 힌지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물배출부(330)를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 농축액은 상기 유동패널(520)을 타고 고르게 흐르며 상기 침전조(41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침전조(410)에 이물질 농축액이 고르게 유입되게 되면, 상기 침전조(410) 하단에 이물질이 비교적 고르게 침전되게 되므로, 상기 추출스크류(420)에 의한 추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뤄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510)과 상기 유동패널(520)은 샤프트(530)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530)는 감속기(540) 및 구동모터(550)에 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패널(510)과 상기 유동패널(520)간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의 종류나 점도 등에 따라 상기 유동패널(520)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해 줌으로써, 상기 침전조(410)로의 이물질 농축액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이물질의 점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 유동패널(520)을 흐르는 시간이 짧으므로 상기 고정패널(510)에 대해 상기 유동패널(520)이 이루는 각도를 작게 하여 체류시간을 늘려 상기 유동패널(520)상에서 비교적 고르게 퍼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물질을 추출하고자 하는 수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동부(600)는 바퀴부재(610)와 회전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바퀴부재(610)는 상기 드레인수조(463) 및 상기 이물수집조(430)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제1,2 이물처리수단(300,400)를 포함한 상기 장치프레임(200)이 수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상기 회전부재(620)는 이동간에 상기 제1 이물처리수단(300)이 기타 제철설비상에 간섭되지 않도록,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이물처리수단(300)을 지지하는 지지블록(210)을 눕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다시 도 1를 참고하면, 먼저 수조와 연결된 상기 혼합수 유입부를 통해 혼합수가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부(310)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부(310)에서는 원심분리를 통해 혼합수를 이물질 농축액과 처리수, 즉 물로 분리하게 된다.
처리수는 상승작용을 통해 상기 오버플로우부(320)로 배출되어 다시 제철공정상에서 재사용되게 되며, 이물질 농축액은 하강작용을 통해 상기 이물배출부(330)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이물배출부(330)로 배출되는 이물질 농축액은 상기 제1 이물처리수단(300)과 상기 제2 이물처리수단(400)간에 배치된 상기 배출안정화수단(500)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이물질의 종류나 점도 등에 따라 상기 고정패널(510)과 상기 유동패널(520)간의 각도를 조절하여 이물질 농축액이 상기 침전조(410)로 고르게 분산되며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침전조(410)로 고르게 배출된 이물질 농축액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침전조(410)의 하부에는 이물질이 침전되게 되고, 상부에는 물이 분리되게 된다.
작업자는 상기 구동부(470)를 구동하여 상기 추출스크류(42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침전조(410)의 하부에 침전된 이물질을 끌어올려 상기 이물수집조(430)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드레인밸브(461)를 개방하여 상기 침전조(410)의 상부에 분리된 물을 상기 드레인수조(463)로 배출되도록 한다. 2차적으로 회수된 물은 다시 제철공정상에서 재사용된다.
여기서 작업자는 이물질의 종류나 점도 등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부(450)를 이용하여 상기 침전조(410)의 경사면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추출스크류(420)에 의해 이물질 추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원리를 가지고, 수조 등의 구조물 내부에 존재하는 슬러지 등의 이물을 하이드로 사이클론과 침전 작용의 2단 분리작업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물과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이물처리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00...장치프레임 300...제1 이물처리수단
310...하이드로사이클론부 320...오버플로우부
330...이물배출부 400...제2 이물처리수단
410...침전조 420...추출스크류
430...이물수집조 440...이동프레임
450...각도조절부 451...힌지부재
453...고정브라켓 454...고정바
460...드레인부 461...드레인밸브
463...드레인수조 500...배출안정화수단
510...고정패널 520...유동패널
530...샤프트 540...감속기
550...구동모터 600...이동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장치프레임;
    상기 장치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혼합수 유입부와 연결되어 혼합수를 이물질 농축액과 처리수로 분리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부와,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부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승하는 처리수가 배출되는 오버플로우부, 그리고 상기 하이드로사이클론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강하는 이물질 농축액이 배출되는 이물배출부로 구비되는 제1 이물처리수단;
    상기 장치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물배출부에서 배출된 이물질 농축액이 축적되도록 상기 제1 이물처리수단의 하부에 배치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에 축적된 이물질 농축액에서 이물질을 추출토록 상기 침전조의 내면 하단에 배치되는 추출스크류, 그리고 상기 침전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추출스크류에 의해 추출된 이물질이 수집되는 이물수집조로 구비되는 제2 이물처리수단; 및
    상기 이물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이물질 농축액이 상기 침전조에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장치프레임에서 상기 이물배출부의 하단에 배치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과 샤프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유동패널, 그리고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이물질 농축액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유동패널간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비되는 배출안정화수단;
    을 포함하는 이물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추출스크류는 상기 경사면에 장착되어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 침전되는 이물질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물처리수단은,
    상기 침전조를 지지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장치프레임간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조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장치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에서 소정거리가 이격되어 상기 장치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고정홀을 구비하는 유선형 고정브라켓;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장치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에서 소정거리가 이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장치프레임간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처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물처리수단은,
    상기 침전조에 축적되는 이물질 농축액에서 분리된 물을 배출토록, 상기 침전조의 하단면으로부터 일정 높이가 이격되어 장착되는 드레인밸브; 및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드레인밸브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집토록 제공되는 드레인수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처리장치.
  9. 삭제
KR1020130024100A 2013-03-06 2013-03-06 이물처리장치 KR101461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100A KR101461783B1 (ko) 2013-03-06 2013-03-06 이물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100A KR101461783B1 (ko) 2013-03-06 2013-03-06 이물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733A KR20140109733A (ko) 2014-09-16
KR101461783B1 true KR101461783B1 (ko) 2014-11-13

Family

ID=5175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100A KR101461783B1 (ko) 2013-03-06 2013-03-06 이물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0359B (zh) * 2015-04-29 2017-03-08 马旭东 污泥水分离处理装置
KR102090026B1 (ko) * 2018-01-11 2020-03-17 윤태일 무 방류 폐액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529U (ko) * 1998-06-26 2000-01-25 박종오 곡물이송장치
KR200378894Y1 (ko) * 2004-12-17 2005-03-16 박성덕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JP3759811B2 (ja) * 1997-04-11 2006-03-29 清一 二星 屎尿・浄化槽汚泥からの除砂装置と同装置を備えた屎尿・浄化槽汚泥処理設備
JP2007253034A (ja) * 2006-03-22 2007-10-04 Shimizu Corp 微細砂回収装置および泥水処理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9811B2 (ja) * 1997-04-11 2006-03-29 清一 二星 屎尿・浄化槽汚泥からの除砂装置と同装置を備えた屎尿・浄化槽汚泥処理設備
KR20000001529U (ko) * 1998-06-26 2000-01-25 박종오 곡물이송장치
KR200378894Y1 (ko) * 2004-12-17 2005-03-16 박성덕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JP2007253034A (ja) * 2006-03-22 2007-10-04 Shimizu Corp 微細砂回収装置および泥水処理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733A (ko) 201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707B1 (ko) 원형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
KR100773752B1 (ko) 수처리용 가변형 경사판 침전장치
KR101461783B1 (ko) 이물처리장치
JP5393065B2 (ja) 浮上分離装置
JP4885169B2 (ja) 浮上分離装置
JP5497873B2 (ja) 浮上分離装置
US6500232B2 (en) Interfacial crud removal system for solvent extraction and method for solvent extraction
KR101474202B1 (ko) 무가교 링 구동 원형 슬러지 수집기
KR102166169B1 (ko) 이동식 저류판이 구비된 원형 슬러지 수집기
KR101278957B1 (ko) 폐수처리용 침전부상장치
AU2001283028A1 (en) Crud removal system and method for solvent extraction
KR100834445B1 (ko)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재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
JP2008155104A (ja) 油水分離装置
KR200420116Y1 (ko)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KR101830540B1 (ko) 협잡물 종합 처리기
KR20120000823A (ko) 협잡물 분리장치
KR20090059759A (ko) 원형 수조의 스컴 및 슬러지 수집제거장치
US2417688A (en) Sewage clarifier
KR100499979B1 (ko) 상하수 처리장용 원격제어식 스컴스키머
DE10235917B3 (de) Kombinierte Klarwasser-Schwimmschlammabzugsvorrichtung
CN207356683U (zh) 一种螺旋分离式污水处理装置
KR100967035B1 (ko) 부상 슬러지 침전장치
JP5886518B2 (ja) 浮上分離装置
JP2021090912A (ja) 固液分離システム
KR100910480B1 (ko) 부상 슬러지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