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701Y1 -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 - Google Patents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701Y1
KR200177701Y1 KR2019990025469U KR19990025469U KR200177701Y1 KR 200177701 Y1 KR200177701 Y1 KR 200177701Y1 KR 2019990025469 U KR2019990025469 U KR 2019990025469U KR 19990025469 U KR19990025469 U KR 19990025469U KR 200177701 Y1 KR200177701 Y1 KR 200177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belt conveyor
raw material
rotary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원식
박태진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5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7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으로부터 하역된 원료를 벨트컨베이어를 통해 수송작업을 할 때 가역 벨트컨베이어의 회전방향 변경과 사각슈트 구조상의 결함으로 수송량의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및 편적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환경오염 방지는 물론 원료의 품질향상 및 하역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스윙 벨트컨베이어 하부에 회전축을 설치하고 원형레일을 구비하여 모터의 동력을 이용한 휠이 레일을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과 아울러 원형슈트의 하측에 회전날개가 부착된 회전슈트를 부설하되 회전슈트의 외측에 기어를 형성하여 이 회전기어가 모터와 치합되도록 함으로써 원료 이송중 루트 변경시에도 벨트컨베이어의 회전방향이 바뀌지 않고 수송량의 과다에 관계없이 각도 변화가 없으며 회전슈트의 회전에 의해 슈트날개가 낙하되는 원료를 중앙으로 유도하게 되므로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및 편적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SLEWING BELT CONVEYOR AND ROTATING CHUTE FOR CARRYING ORE IN UNLOADER}
본 고안은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을 통해 운반된 광석 및 석탄 등의 원료를 호퍼에 하역하여 벨트컨베이어를 통해 수송작업을 할 때 하역기내 가역 벨트컨베이어에서 발생되는 사행과 사각슈트의 편적으로 인해 발생되는 벨트컨베이어의 사행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낙광에 의한 환경오염의 방지는 물론 하역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통해 운반된 원료를 호퍼에 하역하여 벨트컨베이어를 통해 수송작업을 수행할 때에 하역기내 가역 벨트컨베이어의 작업조건, 이를테면 좌측방향으로 진행하는 원료불출 작업중 우측방향으로 불출작업을 전환할 때 주로 사행이 발생되게 된다.
특히, 사각슈트의 구조상 각도에 따른 하부 벨트컨베이어의 편적이 발생되어 수송작업중 벨트컨베이어의 과도한 사행을 유발하게 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으로부터 호퍼(4)에 하역된 원료는 그 하부의 피더(2)의 진동에 의해 벨트컨베이어(1)에 유도되어 가역 벨트컨베이어(6)를 통해 후속공정으로 진행하기 위해 육상라인(101)(201)(301)(401)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이송되게 된다.
이러한 수송작업중 상기 벨트컨베이어(1)에 이송되는 원료의 양은 대략 시간당 1500∼2000톤 내외로 상당히 과다하므로 원료의 불출작업이 일정하게 수행되지 못하여 불출량의 편차가 심하고 이에 따라 수송량의 과대, 과소가 반복됨에 따라 사각슈트(8)에서 하부라인으로 낙광될 때에 편적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원료(5)는 가역 벨트컨베이어(6)의 작업조건, 즉 2개의 육상라인(101)(201)은 좌측방향으로 회전하고 나머지 육상라인(301)(401)은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료(5)를 수송하게 됨에 따라 모터(12)의 동력을 이용하여 슈틀(7)이 이동휠(11)의 구동으로 레일(10) 위를 이동하여 육상라인(101)(201)(301)(401)중 어느 한 라인을 선택하게 되고 이어 수송하게 되므로 상기 슈틀(7)의 위치와 가역 벨트컨베이어(6)의 회전방향 전환에 따라 수송되는 원료(5)의 편적이 발생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편적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역 벨트컨베이어(6)의 하부에 자동조절롤러(미도시)와 사각슈트(8) 내부에 댐퍼(DAMPER)를 설치한 것도 있으나 이는 상기 가역 벨트컨베이어(6)의 회전방향이 바뀔 때 마다 자동조절롤러를 재조정하여야 하며, 또한 수송되는 원료의 양에 따라 댐퍼를 조정하거나 슈틀을 이동시켜 사행 및 편적을 방지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사행 및 편적에 의해 수송되는 원료의 낙광 발생시 혼석이 발생되어 원료의 품질저하는 물론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수반하므로 사행 및 편적의 방지책이 절실히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원료의 이송시 가역 벨트컨베이어의 회전방향 변경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사행과 불출량 즉, 수송량의 많고 작음에 따라 발생되는 편적현상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하역기내 벨트컨베이어의 원료 수송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 하역기내 벨트컨베이어의 원료 수송시 오버로드와 사행현상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역기내 원료 수송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및 회전슈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및 회전슈트의 요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윙 벨트컨베이어와 회전슈트의 작동상태를 확대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피더, 5 : 원료,
20 : 스윙 벨트컨베이어, 21 : 원형슈트,
22 : 회전슈트, 23 : 슈트날개,
27 : 베어링, 28 : 원형레일,
29 : 구동휠, 30 : 구동모터,
32 : 피더슈트, 34a : 프레임,
34b : 베이스, 101,201,301,401 : 육상라인.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진동모터를 구비하여 일정량의 원료만이 배출되도록 피더의 직하방에 구비된 원통형의 피더슈트와; 상기 피더슈트에서 낙하된 원료를 수송하도록 베이스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프레임 상에 설치된 스윙 벨트컨베이어와; 상기 스윙 벨트컨베이어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 하단면에 고정된 구동휠을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휠과 치합되어 상기 스윙 벨트컨베이어를 회전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상에 배설된 원형레일과; 상기 스윙 벨트컨베이어와 연통되고 반송된 원료를 하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이를 관통하여 고정된 원형슈트와; 상기 원형슈트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슈트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양호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역기내 원료 수송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에 따르면, 피더(2)의 하측에는 피더슈트(32)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진동모터(3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피더슈트(32)의 하측에 구비된 프레임(34a)상에는 스윙 벨트컨베이어(20)가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34a)의 저면에는 회전축(31)이 구비되는 바, 상기 프레임(34a)과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설치된 베이스(34b)와 상기 프레임(34a)과의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34a)의 중앙부 하측에는 상기 프레임(34a)을 회전시키는 구동원인 구동모터(3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30)의 회동축에는 구동휠(29)이 고정되며, 상기 구동휠(29)은 이와 대응되게 상기 베이스(34b)상에 설치된 원형레일(28)에 치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0)가 구동되게 되면 상기 프레임(34a)은 상기 베이스(34b)상에 배설된 원형레일(28)을 따라 활주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34a)의 일단, 즉 상기 피더슈트(32)의 대향단에는 상기 스윙 벨트컨베이어(20)와 연통되는 원형슈트(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슈트(2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34a)의 일단 하부에는 구동원인 구동모터(25)가 별도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피더슈트(32)를 통해 불출된 원료(5)는 상기 스윙 벨트컨베이어(20)를 타고 반송되다가 상기 원형슈트(21) 내부로 안내되어 낙광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및 회전슈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 및 회전슈트의 요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원형슈트(21)는 양단이 개방된 관상체로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베어링(27)이 설치된다.
상기 원형슈트(21)의 개방된 상단측은 스윙 벨트컨베이어(도 3의 '20')와 연통되며 하단측은 프레임(도 3의 '34a')을 관통하여 상기 베어링(27)이 설치된 단부가 상기 프레임(34a)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27)이 설치된 부위에는 회전슈트(22)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회전슈트(22)는 내부가 중공된 중공체로 형성되는 바, 상측이 넓고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좁아지는 절두원추형의 역상형태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슈트(22)의 상단측 내주연에는 슈트날개(23)가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바, 상기 슈트날개(23)는 내주연에서 중심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그리하여, 낙광되는 원료가 회전슈트(22)의 중심쪽으로 원활하게 모일 수 있도록 안내하여 준다.
또한, 상기 회전슈트(22)의 상단측 외주에는 기어(24)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24)는 구동모터(도 3의 '25')에 치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 6을 참조하면, 스윙 벨트컨베이어(20)는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과 같이 방향전환이 필요없게 되어 사행이 방지된다.
즉, 호퍼(4)를 통해 피더(2)로 불출된 원료(5)는 진동모터(33)에 의해 일정량을 불출하는 피더슈트(32)를 통해 상기 스윙 벨트컨베이어(20)에 적치되게 된다.
동시에, 스윙 벨트컨베이어(20)는 구동되게 되고 원료(5)는 원형슈트(21)로 안내된 후 회전슈트(22)를 통해 육상라인(101)(201)(301)(401)으로 반출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하여 스윙 벨트컨베이어(20)를 회전시킴으로서 해당 육상라인(101)(201)(301)(401)으로 불출되는 원료(5)의 양을 조절하게 되는 바, 예컨대 최우측의 육상라인(401)으로 일정량 불출한 후 다른 육상라인(101)(201)(301)으로 불출방향을 전환코자 한다면, 이를테면 최좌측의 육상라인(101)일 경우 상기 구동모터(30)를 구동시켜 회전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30)에 고정된 구동휠(29)이 구동되어 베이스(34b)에 배설된 원형레일(28)을 따라 회전되다가 해당 육상라인(101)에 상기 회전슈트(22)가 위치되면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정지시켜 원료 불출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따라서, 매우 용이하고 원활한 불출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슈트(22)가 정위치되면 동시에 구동모터(25)가 구동되어 상기 회전슈트(2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슈트(22) 내부로 유입된 원료(5)는 와류되면서 원활한 낙광을 이룰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회전슈트(22) 내부에는 슈트날개(2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회전되던 원료(5)는 대부분 회전슈트(22)의 중심을 향하게 된다.
그러므로, 낙하하는 원료의 양에 상관없이 일정량을 정확하게 해당 육상라인(101)(201)(301)(401)으로 불출할 수 있게 되어 편적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진행방향이 동일한(일정한) 스윙 벨트컨베이어와 낙하되는 원료의 양에 관계없이 회전슈트가 낙하되는 원료를 중앙으로 모아 반송시키므로 수송량의 변동이 심할지라도 사행 및 편적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사행 및 편적이 방지되어 원료의 혼석 및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제공한다.
셋째, 슈틀과 가역 벨트컨베이어를 설치한 기존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오버로드 및 설비고장이 현저히 줄어들어 하역작업의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장점도 제공한다.

Claims (2)

  1. 진동모터(33)를 구비하여 일정량의 원료(5)만이 배출되도록 피더(2)의 직하방에 구비된 원통형의 피더슈트(32)와;
    상기 피더슈트(32)에서 낙하된 원료(5)를 수송하도록 베이스(34b)에 회전축(3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프레임(34a) 상에 설치된 스윙 벨트컨베이어(20)와;
    상기 스윙 벨트컨베이어(2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도록 상기 프레임(34a)의 중앙부 하단면에 고정된 구동휠(29)을 갖는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휠(29)과 치합되어 상기 스윙 벨트컨베이어(20)를 회전가능하게 안내하도록 상기 베이스(34b)상에 배설된 원형레일(28)과;
    상기 스윙 벨트컨베이어(20)와 연통되고 반송된 원료(5)를 하방향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프레임(34a)의 일단에 이를 관통하여 고정된 원형슈트(21)와;
    상기 원형슈트(21)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슈트(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슈트(22)는 그 내주연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슈트날개(23)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
KR2019990025469U 1999-11-19 1999-11-19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 KR200177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469U KR200177701Y1 (ko) 1999-11-19 1999-11-19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469U KR200177701Y1 (ko) 1999-11-19 1999-11-19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701Y1 true KR200177701Y1 (ko) 2000-04-15

Family

ID=1959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469U KR200177701Y1 (ko) 1999-11-19 1999-11-19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7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687B1 (ko) * 2001-12-21 2008-05-16 주식회사 포스코 리클레이머용 배출슈트
KR101424443B1 (ko) * 2012-11-28 2014-08-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CN110316405A (zh) * 2019-07-19 2019-10-11 甘肃酒钢集团西部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旋转提升下料布料机构及其布料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687B1 (ko) * 2001-12-21 2008-05-16 주식회사 포스코 리클레이머용 배출슈트
KR101424443B1 (ko) * 2012-11-28 2014-08-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CN110316405A (zh) * 2019-07-19 2019-10-11 甘肃酒钢集团西部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旋转提升下料布料机构及其布料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82446A (en) Vertical and horizontal auger circulating sets operating portable feed grinder mixers
PL152994B1 (en) Double-roll hooper
US5368153A (en) Transportation device having a driven shaftless spiral freely fitted in a casing and resting thereon
KR200177701Y1 (ko) 하역기내 원료수송용 스윙 벨트컨베이어 및 회전슈트
US6786631B2 (en) Mixing and reducing machine with an upward conveying mixing blade
CN117046376B (zh) 物料混合装置
JP4768316B2 (ja) 土粉砕装置
CN112224800B (zh) 一种旋转塔式石灰石堆料装置
CN215797152U (zh) 一种散装物料卸货装置
CA1238878A (en) Movable bucket elevator
US4261678A (en) Unloading device for ships, bunkers, storage yards or the like
KR200191145Y1 (ko) 선별장치
KR100991913B1 (ko) 가역 벨트 컨베이어 클리너 자동 절환장치
KR19990023014A (ko) 벌크 언로더용 벌크화물 충전장치
US6113335A (en) Unloader
CN220077518U (zh) 一种粮食运输提升机的防碎装置
KR200216201Y1 (ko) 곡물이송장치
KR102299561B1 (ko) 트리퍼용 공급장치
CN215755328U (zh) 螺旋搅拌输送机
CN219949287U (zh) 一种皮带机料斗
CN220559816U (zh) 一种稻米风选装置
CN219362396U (zh) 一种侧翻式提升机
CN214933125U (zh) 一种竖向物料提升机
KR200151826Y1 (ko) 분쇄목 이송장치
CN214003014U (zh) 一种自清式斗式提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