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180B1 -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180B1
KR100902180B1 KR1020080022374A KR20080022374A KR100902180B1 KR 100902180 B1 KR100902180 B1 KR 100902180B1 KR 1020080022374 A KR1020080022374 A KR 1020080022374A KR 20080022374 A KR20080022374 A KR 20080022374A KR 100902180 B1 KR100902180 B1 KR 100902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absorbing material
sound absorbing
fib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호
이수남
유종남
이기용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80022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공 폴리에스터 섬유 65 내지 75 중량%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25 내지 35 중량%로 이루어지는 하드층 및 전술한 하드층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소프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제 1 혼섬단계, 하드층형성단계, 제 2 혼섬단계, 소프트층형성단계, 전술한 하드층의 상부면에 상기 소프트층을 적층하고 예열기를 통해 예열하는 적층예열단계 및 전술한 적층예열단계를 거친 적층체를 금형에서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자동차, 흡음재, 내장재, 중공, 저융점, 폴리에스터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및 제조방법 {Manufacture method of Automobile internal organs Sound-absorbing}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 폴리에스터 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혼섬하여 하드층을 형성하고 전술한 하드층의 상부면에 소프트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제 1 혼섬단계, 하드층형성단계, 제 2 혼섬단계, 소프트층형성단계, 전술한 하드층의 상부면에 전술한 소프트층을 적층하고 예열기를 통해 예열하는 적층예열단계 및 전술한 적층예열단계를 거친 적층체를 금형에서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이용한다.
도시의 밀집화가 이루어지면서 교통수단이나 기계장치뿐만 아니라 아파트나 주택 등이 밀집한 주거지역에서는 소음으로 인한 분쟁이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소음분쟁을 해결하기 위하여 방음 효과가 있는 흠음재가 널리 이용되 는데, 이러한 흠음재는 회의실, 호텔, 음악연주실 등과 같은 건물내부나 자동차와 같은 기계장치 또는 철로, 도로 등의 방음벽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자동차 내장용 흠음재의 경우는 레진펠트, 우레탄 폼, 울(Wool)등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재료를 이용한 흡음재의 경우 얇은 필름과 같은 섬유층을 적층하는 겹면방식, 펠트의 배열단면이 길이방향에 수직이 되는 버티컬 랩퍼(Vertical Lapper)방식, 겹면과 버티컬 랩퍼 방식을 결합한 제조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던 흡음재의 재료 중에서 레진펠트의 경우는 분진이나 냄새 및 건조과정에서 유해가스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우레탄 폼의 경우는 중량이 무겁고 고가일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울을 혼합한 재활용섬유의 경우는 재료비가 비싸다는 단점과 울과 혼합된 재활용 섬유의 2차적인 재활용이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활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던 종전에 폴리에스터 흡음재의 경우는 흡음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공 섬유를 포함하는 하드층 및 전술한 하드층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소프트층으로 이루어져 중량이 가벼우면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중량이 가벼운 특성을 갖는 자동차 내장용 흡음제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및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공 폴리에스터 섬유 65 내지 75 중량%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25 내지 35 중량%로 이루어지는 하드층 및 전술한 하드층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소프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소프트층은 폴리에스터계열 섬유 60 내지 70 중량%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3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폴리에스터계열 섬유는 폴리에스터 섬유 및 중공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 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중공 폴리에스터 섬유의 섬도는 3 내지 15 데니어이며, 중공율이 15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의 섬도는 2 내지 6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폴리에스터의 섬유의 섬도는 3 내지 15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하드층의 면밀도는 500 내지 10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소프트층의 면밀도는 600 내지 1800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는,
중공 폴리에스터 섬유 65 내지 75 중량%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25 내지 35 중량%를 혼섬하는 제 1 혼섬단계, 전술한 혼섬단계를 거쳐 형성된 섬유층을 카딩 및 니들펀칭하여 하드층을 형성하는 하드층형성단계, 폴리에스터계열 섬유 60 내지 70 중량%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30 내지 40 중량%를 혼섬하는 제 2 혼섬단계, 전술한 혼섬단계에서 혼합된 섬유를 터보송풍기를 이용하여 높이가 다르게 제작된 타공판 지그가 구비된 금형내부에 적층하여 소프트층을 형성하는 소프트층형성단계, 전술한 하드층의 상부면에 전술한 소프트층을 적층하고 예열기를 통해 예열하는 적층예열단계 및 전술한 적층예열단계를 거친 적층체를 압축금형에서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스터계열 섬유는 폴리에스터 및 저융점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터보송풍기는 1200 내지 1800의 rpm에서 30초 내지 55초의 송풍시간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랍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타공판 지그의 높이는 5 내지 30 센티미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및 제조방법은 필요한 부분에 따라 밀도가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흡음률이 높으면서도 중공 폴리에스터의 사용을 통하여 중량이 가벼운 흡음재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스터 계열의 재료만 사용되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 친화적인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를 구성하는 소프트층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를 구성하는 하드층의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의 흡음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를 구성하는 소프트층의 실시예 3과 비교예 3의 흡음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의 실시예 4와 비교예 4, 5를 실차 장착 후 주행 중 음성인지 지수(AI, articulation index)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한 자동차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의 제조방법은 중공 폴리에스터 섬유 65 내지 75 중량%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25 내지 35 중량%를 혼섬하는 제 1 혼섬단계(S101), 전술한 제 1 혼섬단계(S101)를 거쳐 형성된 섬유층을 카딩 및 니들펀칭하여 하드층(100)을 형성하는 하드층형성단계(S103), 폴리에스터 계열 섬유 60 내지 70 중량%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30 내지 40 중량%를 혼섬하는 제 2 혼섬단계(S105), 전술한 제 2 혼섬단계(S105)에서 혼합된 섬유소재(23)를 터보송풍기(10)를 이용하여 높이가 5 내지 30 센티미터로 다르게 제작된 타공판 지그(22)가 구비된 금형(20)내부에 적층하여 소프트층을 형성하는 소프트층형성단계(S107), 전술한 하드층(100)의 상부면에 전술한 소프트층(200)을 적층하고 예열기를 통해 예열하는 적층예열단계(S109) 및 전술한 적층예열단계(S109)를 거친 적층체를 압축금형에서 성형하는 성형단계(S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 1 혼섬단계(S101)는, 중공 폴리에스터 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혼섬하는 단계로, 섬도가 3 내지 15 데니어이며, 중공율이 15 내지 40%인 중공 폴리에서터 섬유 65 내지 75 중량%와 섬도가 2 내지 6 데니어인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25 내지 35 중량%를 혼섬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하드층형성단계(S103)는 전술한 제 1 혼섬단계(S101)를 거쳐 형성된 섬유층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한 니들펀칭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 2 혼섬단계(S105)는, 폴리에스터계열 섬유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혼섬하는 단계로, 섬도가 3 내지 15 데니어인 폴리에스터계열 섬유 60 내지 70 중량%와 섬도가 2 내지 6 데니어인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30 내지 40 중량%를 혼섬하여 이루어지는데, 전술한 폴리에스터 계열 섬유는 폴리에스터 또는 중공율이 15 내지 40%인 중공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며, 제품의 표면을 개선하기 위해 카딩공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섬유의 혼합을 균일하게 할 수도 있다.
전술한 소프트층 형성단계(S107)는, 섬도가 3 내지 15 데니어인 폴리에스터계열 섬유 60 내지 70 중량%와 섬도가 2 내지 6 데니어인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30 내지 40 중량%를 혼섬하여 섬유소재를 구성하는데, 전술한 폴리에스터계열 섬유는 폴리에스터 및 중공율이 15 내지 40%인 중공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섬유들로 이루어진 섬유소재를 터보송풍기(10)를 이용하여 높이가 다르게 제작된 타공판 지그(22)가 구비되는 금형(20)내부에 적층하는데, 이때 금형(20)내부에 구비되는 타공판 지그(22)의 높이는 적용하는 부위에 따라 5 내지 30 센티미터로 각각 다르게 구성되며, 적층되는 순서는 금형(20)내부에 구비된 타공판 지그(22)의 일측에 형성된 플랩(21)이 가장 안쪽부터 차례로 열리게 되면 터보송풍기로(10)부터 유입된 공기는 열려진 플랩(21)을 통해 배출되고, 터보송풍기 바람에 실려온 섬유소재(23)는 금형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전술한 과정 이후에는 플랩(21)이 차례대로 열리게 되고 처음 열렸던 플 랩(21)은 닫히게 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적층된다.
이때, 금형(20)의 부위별로 일정한 양의 섬유소재(23)를 이송하기 위해, 섬유소재(23)가 금형(20)내에 이송되어 적층되는 속도가 빠르면 다음구간의 플랩(21)이 빠르게 열리고, 섬유소재(23)의 이송 및 적층속도가 느리면 다음 구간의 플랩(21)도 느리게 열린다.
여기서 플랩(21)이 열리는 시간은 터보송풍기(10)로 부터 전술한 금형(2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측정하여 일정량의 공기가 유입되면 다음구간의 플랩(21)이 열리거나 터보송풍기(10)의 회전 속도에 따라 일정시간이 지나면 플랩(21)을 열리게 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금형(20) 내부에 압력을 측정하여 일정압력 이상이 되면 플랩(21)을 열리게 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전술한 방식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터보송풍기(10)는 RPM이 1200 내지 1800이고, 30 내지 50초 동안 고속이동 및 고속충진이 가능한 것을 사용한다.
전술한 적층예열단계(S109)는, 전술한 하드층(100)의 상부면에 전술한 소프트층(200)을 적층하고 열풍오븐기를 이용하여 예열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전술한 성형단계(S111)는, 전술한 적층예열단계(S109)를 통해 예열된 적층체를 압축금형내부로 이송시킨 후에 압축성형하는 단계로, 이러한 성형단계(S111)를 통해 구간별로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던 소프트층(200)과 하드층(100)이 접착 되어 흡음재로 성형된다.
도 2에 도시한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는 중공 폴리에스터 섬유 65 내지 75 중량%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25 내지 35 중량%로 이루어지는 하드층(100) 및 전술한 하드층(100)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소프트층(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하드층(100)은 500 내지 1000g/m2의 면밀도를 가지며 전술한 소프트층(20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데, 섬도가 3 내지 15 데니어이며, 중공율이 15 내지 40%인 중공 폴리에스터 섬유 65 내지 75 중량%와 섬도가 2 내지 6 데니어인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25 내지 35 중량%를 혼섬하고, 카딩 및 니들펀칭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전술한 하드층(100)은 15 내지 40%의 중공율을 갖는 중공폴리에스터 섬유가 혼섬되어 중량이 가벼워진다.
전술한 소프트층(200)은 구간별로 600 내지 1800g/m2의 면밀도를 가지며 전술한 하드층(1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데, 섬도가 3 내지 15 데니어인 폴리에스터 계열 섬유 60 내지 70 중량%와 섬도가 2 내지 6 데니어인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3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진 섬유소재(23)를 터보송풍기(10)를 이용하여 높이가 다르게 제작된 타공판 지그(22)가 구비된 금형(20)내부에 적층하여 구간별로 면밀 도가 다르게 제조되기 때문에 흡음재의 성능을 높여주고 중량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폴리에스터계열 섬유는 중공율이 15 내지 40%인 중공 폴리에스터 섬유 및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의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비교예 1>
6 데니어의 폴리에스터 섬유 70중량%와, 4 데니어의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30중량%를 혼섬하여 카딩공정과 니들펀칭 공정을 거쳐 면밀도가 600g/m2인 펠트를 제조하고 평판 예열 금형으로 열을 가한 후에 평판 냉각 금형에서 압착하여 5mm 두께의 하드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중공율이 30%이며, 섬도가 6 데니어인 중공 폴리에스터 섬유 70중량%와, 4 데니어의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30중량%를 혼섬하여 카딩공정과 니들펀칭 공정을 거쳐 면밀도가 600g/m2인 펠트를 제조하고 평판 예열 금형으로 열을 가한 후에 평판 냉각 금형에서 압착하여 5mm 두께의 하드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같은 공정으로 면밀도가 800g/m2인 펠트를 제조하고 평판 예열 금형으로 열을 가한 후에 평판 냉각 금형에서 압착하여 5mm 두께의 하드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은 공정으로 면밀도가 800g/m2인 펠트를 제조하고 평판 예열 금형으로 열을 가한 후에 평판 냉각 금형에서 압착하여 5mm 두께의 하드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6 데니어의 폴리에스터 섬유 70중량%와 4 데니어의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30 중량%를 혼섬하고 견면 공정을 거쳐 면밀도가 1000g/m2인 펠트를 제조한다. 전술한 펠트를 오븐에서 열을 가한 후에 평판 냉각 금형을 이용하여 두께가 20mm인 소프트 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6 데니어의 폴리에스터 섬유 70중량%와 4 데니어의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를 혼섬하고 1500 RPM의 터보송풍기를 이용하여 높이가 일정한 타공판 지그에 혼합된 섬유를 적층시켜 면밀도가 1,000g/m2인 펠트를 제조하고, 전술한 펠트를 오븐에서 열을 가한 후 평판 냉각 금형을 이용하여 두께가 20 mm인 소프트층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6 데니어의 폴리에스터 섬유 70중량%와 4 데니어의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30 중량%를 혼섬하여 카딩공정과 니들펀칭 공정을 거쳐 제조된 펠트의 상부면에 폴리올레핀과 나일론을 혼합하여 제조된 필름을 가부착시키고 평판금형에서 열압착 하여 면밀도가 800g/m2인 하드층을 제조하였다.
전술한 하드층의 상부면에 폴리우레탄(85K)을 발포하여 형성된 소프트층을 적층하여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하드층의 상부면에 비교에 3에서 제조된 소프트층을 적층하고 예열기에서 예열한 후에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를 제 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하드층의 상부면에 1500 RPM의 터보송풍기를 이용하여 높이가 5 내지 30 센티미터로 다르게 제작된 타공판 지그에 섬유를 적층시켜 부위별로 800 내지 1,200 g/m2의 면밀도를 갖는 소프트층을 적층하고 오븐에서 열을 가한 후에 성형 금형을 이용하여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전술한 비교예 1 내지 2와, 실시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하드층의 가로 840mm, 새로 840mm, 두께 5mm 크기의 시편을 취하여 흡음율 측정방법인 표준 잔향실 1/3 축소 크기인 간이잔향실(SRC, Semi Reverberation Chamber)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8017515315-pat00001
전술한 비교예 3과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소프트층의 가로 840mm, 새로 840mm, 두께 20mm 크기의 시편을 취하여 흡음율 측정방법인 표준 잔향실 1/3 축소 크기인 간이잔향실(SRC, Semi Reverberation Chamber)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8017515315-pat00002
전술한 비교예 4 내지 5와 실시예 4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를 차량에 장착한 후에 주행실험을 실시하여 음성인지 지수(AI, Articulation Index) 결과를 표 3에 정리하였다.
<표 3>
Figure 112008017515315-pat00003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를 구성하는 소프트층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를 구성하는 하드층의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의 흡음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를 구성하는 소프트층의 실시예 3과 비교예 3의 흡음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의 실시예 4와 비교예 4, 5를 실차 장착 후 주행 중 음성인지 지수(AI, articulation index)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설명***
100 ; 하드층
200 ; 소프트층
10 ; 터보송풍기
20 ; 금형
21 ; 플랩
22 ; 타공판 지그
23 ; 섬유소재
30 ; 컨베이어

Claims (12)

  1. 중공 폴리에스터 섬유 65 내지 75 중량%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25 내지 35 중량%로 이루어지는 하드층(100); 및
    상기 하드층(100)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소프트층(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드층(100)의 면밀도는 500 내지 100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층(200)은 폴리에스터계열 섬유 60 내지 70 중량%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30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계열 섬유는 폴리에스터 섬유 및 중공 폴리에서터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중공 폴리에스터의 섬도는 3 내지 15 데니어이며, 중공율이 15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폴리에스터의 섬유의 섬도는 2 내지 6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의 섬유의 섬도는 3 내지 15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7. 삭제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층(200)의 면밀도는 600 내지 180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9.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공 폴리에스터 섬유 65 내지 75 중량%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25 내지 35 중량%를 혼섬하는 제 1 혼섬단계(S101);
    상기 혼섬단계를 거쳐 형성된 섬유층을 카딩 및 니들펀칭하여 하드층을 형성하는 하드층형성단계(S103);
    폴리에스터계열 섬유 60 내지 70 중량%와 저융점 폴리에스터 섬유 30 내지 40 중량%를 혼섬하는 제 2 혼섬단계(S105);
    상기 혼섬단계에서 혼합된 섬유소재를 터보송풍기를 이용하여 높이가 다르게 제작된 타공판 지그에 적층하여 소프트층을 형성하는 소프트층형성단계(S107);
    상기 하드층의 상부면에 상기 소프트층을 적층하고 예열기를 통해 예열하는 적층예열단계(S109); 및
    상기 적층예열단계를 거친 적층체를 압축금형에서 성형하는 성형단계(S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타공판 지그의 높이는 5 내지 30 센티미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계열 섬유는 폴리에스터 및 저융점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터보송풍기는 1200 내지 1800의 rpm에서 30초 내지 55초의 송풍시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의 제조방법.
  12. 삭제
KR1020080022374A 2008-03-11 2008-03-11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및 제조방법 KR100902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374A KR100902180B1 (ko) 2008-03-11 2008-03-11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374A KR100902180B1 (ko) 2008-03-11 2008-03-11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180B1 true KR100902180B1 (ko) 2009-06-10

Family

ID=40982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374A KR100902180B1 (ko) 2008-03-11 2008-03-11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18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1806A (zh) * 2011-11-02 2012-06-20 成都彩虹环保科技有限公司 涤纶纤维制的车用衬板
KR101170726B1 (ko) * 2009-12-02 2012-08-02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 내장용 생분해성 복합패널의 제조방법
CN102729546A (zh) * 2011-11-02 2012-10-17 成都彩虹环保科技有限公司 涤纶纤维材料制成的车用衬板
KR101216121B1 (ko) 2010-05-07 2012-12-2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차량 내장용 탄성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8143B1 (ko) * 2011-03-17 2013-01-31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 내장용 생분해성 복합패널의 제조방법
EP3611296A4 (en) * 2017-07-07 2020-09-23 Kolon Industries, Inc. NON-WOVEN FABRIC WITH IMPROVED WEIGHT REDUCTION AND SOUND ATTENU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EP4241979A1 (en) * 2022-03-10 2023-09-13 Carl Freudenberg KG Sustainable nonwoven laminate for structural part applica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933A (ja) 1999-01-18 2000-07-25 Nissan Motor Co Ltd 遮音材
KR20030022552A (ko) * 2001-09-11 2003-03-17 주식회사 풍진 자동차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6491A (ko) * 2004-09-20 2006-03-24 한국펠저 주식회사 흡차음재 제조 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라 제조된 흡차음재
JP2006106211A (ja) 2004-10-01 2006-04-20 Toyota Motor Corp 高剛性ダッシュサイレ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2933A (ja) 1999-01-18 2000-07-25 Nissan Motor Co Ltd 遮音材
KR20030022552A (ko) * 2001-09-11 2003-03-17 주식회사 풍진 자동차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6491A (ko) * 2004-09-20 2006-03-24 한국펠저 주식회사 흡차음재 제조 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라 제조된 흡차음재
JP2006106211A (ja) 2004-10-01 2006-04-20 Toyota Motor Corp 高剛性ダッシュサイレンサ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726B1 (ko) * 2009-12-02 2012-08-02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 내장용 생분해성 복합패널의 제조방법
KR101216121B1 (ko) 2010-05-07 2012-12-2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차량 내장용 탄성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8143B1 (ko) * 2011-03-17 2013-01-31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자동차 내장용 생분해성 복합패널의 제조방법
CN102501806A (zh) * 2011-11-02 2012-06-20 成都彩虹环保科技有限公司 涤纶纤维制的车用衬板
CN102729546A (zh) * 2011-11-02 2012-10-17 成都彩虹环保科技有限公司 涤纶纤维材料制成的车用衬板
EP3611296A4 (en) * 2017-07-07 2020-09-23 Kolon Industries, Inc. NON-WOVEN FABRIC WITH IMPROVED WEIGHT REDUCTION AND SOUND ATTENU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EP4241979A1 (en) * 2022-03-10 2023-09-13 Carl Freudenberg KG Sustainable nonwoven laminate for structural part applic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180B1 (ko)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및 제조방법
US7928025B2 (en) Nonwoven multilayered fibrous batts and multi-density molded articles made with same and processes of making thereof
KR101375442B1 (ko) 엔진 커버용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US20140124972A1 (en) Production process for a moulded multilyer lining
JPH0295838A (ja) 自動車用内装材
KR101923379B1 (ko) 차량용 언더바디 커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MX2009001792A (es) Material acustico reforzado que tiene propiedades de alta resistencia y alto modulo.
KR100950602B1 (ko) 자동차 내장용 방음재
JP5844339B2 (ja) 車両用防音材の製造方法
JP2019513620A (ja) 自動車の内装用防音トリム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756303B1 (ko) 차량용 언더커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71403A (ko) 자동차 내장재용 흡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WO2005084934A1 (en) Layered polymer fiber insulation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8142689B2 (en) Fire retardancy and shape retention reinforced polyester
JP3379565B2 (ja) 遮音構造体の製造方法
JP2016034828A (ja) 車両用防音材の製造方法
JP3284729B2 (ja) 自動車用遮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247629B2 (ja) 自動車用内装材
KR100910881B1 (ko)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및 제조방법
JP2019191345A (ja) 車両用耐熱防音材
KR101047163B1 (ko) 자동차 내장용 흡음재
JP3601542B2 (ja) 自動車内装材
KR101152187B1 (ko) 중공사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KR102516518B1 (ko) 자동차용 대쉬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8005B1 (ko)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및 그 언더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