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310B1 -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310B1
KR100901310B1 KR1020090001419A KR20090001419A KR100901310B1 KR 100901310 B1 KR100901310 B1 KR 100901310B1 KR 1020090001419 A KR1020090001419 A KR 1020090001419A KR 20090001419 A KR20090001419 A KR 20090001419A KR 100901310 B1 KR100901310 B1 KR 100901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lever
moving plate
thickness
thickness measuring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양일
이종구
Original Assignee
전양일
이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양일, 이종구 filed Critical 전양일
Priority to KR102009000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8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5/00Control of dimensions of material
    • G05D5/02Control of dimensions of material of thickness, e.g. of rolled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되는 압연판과 같은 제품의 생산시에 압연되어 나오는 판상 제품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이동블럭을 구비하는 베드와; 상기 이동블럭 상부면에서 직립되게 연결되되 상기 이동블럭과의 사이에 놓이는 조정볼을 이용하여 기울어지게 위치조정이 될 수 있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외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며 전방측으로는 체결을 위한 다수의 브라켓이 구비되는 홀더와; 상기 브라켓과 다수의 링크로 연결되며 반대측 단부에 상기 롤러가 상하로 배치되되, 상기 상측롤러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상측롤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변화량을 측정하게 되는 접촉식 센서가 구비되는 측정부와; 상기 홀더에 일측단부가 연결되며 타측단부는 상기 측정아암의 좌우측면에서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탄성체와; 상기 홀더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방아쇠뭉치의 방아쇠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상측롤러를 강제적으로 상승될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판상부재의 두께 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하며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께측정장치, 압연, 압연강판, 판상체, 롤러, 접촉식 센서, 가동레버, 방아쇠

Description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Thickness measuring apparatus for a moving plate}
본 발명은 압연되는 압연판과 같은 제품의 생산시에 압연되어 나오는 판상 제품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압연이란 금속재료를 회전하는 압연롤러 사이에 넣어 가압함으로써 단면적을 감소시키면서 길이를 늘리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며, 보통 넓은 판상의 부재들은 이러한 압연가공을 통해 생산된다. 이와 같은 압연가공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압연품의 두께가 품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포인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압연시 생산되어 나오는 압연품의 두께를 일정한 스펙 범위내에서 관리할 필요성이 높다.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에 따라 제안된 종래기술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55201 및 소60-55221호의 기술이 있었다.
첨부되는 도1은 소60-55201의 발명에 따른 두께측정기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배치되는 두개의 롤러 사이로 측정대상 물이 지나도록 하면서 두께 변화를 측정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상기 장치는 상당히 복잡한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비싸고 고장이 잦고 유지보수에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상의 불편함 점도 많이 있이 개선의 필요성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유지보수도 편리하고 사용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조작이 간편하도록 구성되는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제시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이동하는 대상물의 상하면에서 접촉되어 구름운동하게 되는 롤러가 구비되는두께 측정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이동블럭을 구비하는 베드와; 상기 이동블럭 상부면에서 직립되게 연결되되 상기 이동블럭과의 사이에 놓이는 조정볼을 이용하여 기울어지게 위치조정이 될 수 있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외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며 전방측으로는 체결을 위한 다수의 브라켓이 구비되는 홀더와; 상기 브라켓과 다수의 링크로 연결되며 반대측 단부에 상기 롤러가 상하로 배치되되, 상기 상측롤러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상측롤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변화량을 측정하게 되는 접촉식 센서가 구비되는 측정부와; 상기 홀더에 일측단부 가 연결되며 타측단부는 상기 측정아암의 좌우측면에서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탄성체와; 상기 홀더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방아쇠뭉치의 방아쇠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상측롤러를 강제적으로 상승될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판상부재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부는, 상기 브라켓과 다수의 링크로 연결되되 반대측 단부는 길이가 짧은 상단아암과 그 하부에 길이가 긴 하단아암을 구비하게 되는 하우징과; 상기 상단아암 내부로 삽입되어 그 끝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동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부에는 상부롤러가 설치되는 가동레버와; 상기 하단아암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롤러와 마주하게 되는 하부롤러와; 상기 가동레버와 결합되며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마스터와 접촉상태를 이루어 상기 가동레버가 움직일 때 그 변화량을 측정하게 되는 접촉식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동레버는, 하우징에 대해 회동되게 연결되되 상기 조작부의 전달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방아쇠를 당김에 따라 힘이 전달되어 상기 가동레버가 강제적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를 제안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는, 측정부의 하우징 후단부 상측면과 접촉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제1쇼바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 부로부터 설치되어 가동레버의 하면을 지지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제2쇼바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아암과 가동레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레버의 상하 이동 반발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상기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에는,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설치박스를 두도록 하며 상기 설치박스의 좌우측면에서 회동될 수 있게 ㄱ 자형의 푸셔를 설치하되, 상기 푸셔의 하단부는 상기 방아쇠와 연결되어 상기 푸셔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방아쇠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를 제안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에는, 상기 이동블럭이 설치되는 베드의 가이드면에 연속적으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함몰되는 다수의 멈춤홈이 구비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이동블럭의 하부면에는 탄력적으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멈춤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는 조작이 용이하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이루고 있음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측정오차를 유발할 수 있는 복잡한 구성 대신에 최적화된 구성으로 측정의 정밀도를 높여 신뢰성이 높은 우수한 품질의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압연판 등 다양한 판상체의 형상을 갖는 제품이나 소재의 두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서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수단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관련도면을 첨부토록 한다. 첨부 도면들은 청구항 기재발명에 따라 구체화된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며, 따라서 타인에 의한 단순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고 보호범위에도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이하, 두께 측정장치라 한다)는 주요한 구성요소로 베드(100), 포스트(200), 홀더(300), 측정부(400), 탄성체(500) 및 조작부(600)를 구비하게 되며, 이들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연속적 혹은 단속적으로 이동되는 다양한 종류의 판상체(p)의 두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되는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두께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3은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두께 측정장치는 종래기술과 같이 구름운동하는 상하 2개의 롤러(r1,r2)를 이용하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크기를 최소화하며 구조를 비교적 간단히 하고 조작의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결합구조를 갖추도록 구성함에 특징을 두고 있다.
본 발명에서의 두께 측정장치가 갖는 두께측정의 기본원리는 상하 두개의 롤러(r1,r2) 사이로 판상체(p)가 끼워져 이동됨에 따라 상기 판상체(p)의 두께 변화가 있게 되면 상측롤러(r1)가 그 변화량만큼 상부 혹은 하부로 움직이게 되고 이러한 상측롤러(r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수단이 이를 감지하여 그 변화량을 디지털 혹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게 되는 요소의 하나로 베드(100)가 있으며, 상기 베드(100)는 측정 대상물이 생산되는 생산현장등의 테이블에 고정 설치되는 부위가 된다. 특히 상기 베드(100)에는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10)에는 슬라이딩되는 이동블럭(120)이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정된 베드(100)에 대해 상기 이동블럭(120)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적당한 위치에 멈추도록 하면 된다.
상기 이동블럭(120)의 상부면에는 길다란 봉상의 포스트(200)가 설치되는데, 기본적으로 상기 포스트(200)는 이동블럭(120)에 대해 다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하며 직립되게 설치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포스트(200)를 직립상태뿐 아니라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조정이 가능한 것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조정볼(210)을 이용하게 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럭(120)과 포스트(200)의 사이에 상기 조정볼(210)을 두도록 하여 구면상의 조정볼(210)에 대해 상기 포스트(200)가 자유롭게 소정의 범위내에서 기울어지게 변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정볼(210)의 설치와 관련한 보다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다.
도면상 도시된 것처럼 이동블럭(120)의 상면과 포스트(200)의 하단면 사이에 조정볼(210)이 설치되며, 상기 조정볼(210)의 설치를 위해 이동블럭(120)의 상면과 포스트(200) 하면에는 볼좌대(220)가 하나씩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각 볼좌대(220)의 중심부에는 상기 조정볼(210)이 놓일 수 있는 비스듬한 테이퍼부(221)가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포스트(200)는 조정볼(210)에 대해서 소정의 범위내에서는 전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이며, 희망하는 각도로 상기 포스트(200)를 기울인 후에는 볼트로써 이동블럭(120)과 고정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포스트(200)의 외면에는 홀더(300)가 결합되며 상기 홀더(300)는 포스트(20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연결이 되는 것으로 하고 상기 홀더(300)의 전방측으로 체결을 위한 다수의 브라켓(310)이 구비되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시된 것처럼 홀더(300)의 전방측에 돌출된 형태로 상하 2단으로 브라켓(310)들이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포스트(200)에 결합되는 홀더(300)는 상황에 따라 그 설치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며 고정볼트(320)를 풀어서 홀더(300)의 위치를 잡은 후 상기 고정볼트(320)를 재차 조임함으로써 홀더의 위치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상기 홀더(300)의 후방측에는 방아쇠뭉치(610)가 더 결합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측정부(4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측정부(400)는 상기 홀더(300)에 구비되는 브라켓(310)과 다수의 링크(401)로 연결된다. 즉, 측정부(400)의 후단측에서 링크(401)를 이용한 브라켓(310)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며 반 대측 단부인 전단측에는 두개의 상하롤러(r1,r2)가 배치되고, 그 중 상기 상측롤러(r1)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형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측정부(400)에는 상기 상측롤러(r1)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그 변화량을 측정하는 수단으로서 접촉식 센서(410)가 구비된다. 즉, 두개의 상하롤러(r1,r2) 사이로 측정대상물인 판상체(p)가 끼워져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판상체(p)의 두께가 일정치 못한 경우 상기 상측롤러(r1)가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접촉식 센서(410)에서 그 변화량이 측정되므로 실시간으로 이동되는 판상체(p)의 두께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촉식 센서라 함은 기계적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변화하여 변화량을 측정하게 되는 센서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엘브이디티(LVDT)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4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첨부되는 관련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5는 측정부를 이루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6은 가동레버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상기 측정부(400)를 이루는 주요한 요소로 하우징(420), 가동레버(430), 하부롤러(r2), 상부롤러(r1), 접촉식 센서(410) 등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게 된다.
하우징(420)은 측정부(400)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서 후방측 단부 근처에서 다수의 링크(401)를 이용하여 홀더(300)의 브라켓(310)과 연결되며 반대측 단부인 전방부에는 상단아암(420a)과 하단아암(420b)이 구비된다. 상기 하단아암(420b)은 그 길이가 상단아암(420a)에 비교하여 길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42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아암(420b)의 말단부 내부로 하부롤러(r2)가 회전될 수 있는 형태 로 결합이 되며, 상기 하부롤러(r2)에 대응하여 그 상부에 상부롤러(r1)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롤러(r1)의 설치를 위한 수단으로 가동레버(430)가 구비되며 상기 가동레버(430)는 하우징(420)과는 독립적인 부품으로서 상기 상단아암(420a)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고 일부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룬다. 특히, 상기 가동레버(430)는 상단아암(420a)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단 끝단부에서 하우징(420)과 연결되되, 상기 가동레버(430)가 회동될 수 있도록 체결핀(431)으로 구속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동레버(430)의 삽입단 말단에는 체결핀(431)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432)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단의 반대측 단부(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상기 하부롤러(r2)에 대응하는 상부롤러(r1)가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로 인해 상기 가동레버(430)는 상부롤러(r1)와 하부롤러(r2) 사이에 놓여 이동되는 판상체(p)의 두께 변화에 따라 상기 체결핀(431)을 회동점으로 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레버(430)에는 가동레버가 움직일 때 그 변화량을 측정하게 되는 접촉식 센서(410)가 설치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동레버(430)의 대략 중간부분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센서홀(433)에 접촉식 센서(410)가 설치되고 상기 접촉식 센서(410)의 하단부는 하우징(420)에 구비되는 마스터(421)와 접촉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접촉식 센서(410)의 하단부는 마스터(421)와 접촉되어 움직이게 되는 부분으로 2개의 롤러(r1,r2) 사이에 놓인 판상체(p)가 이동됨에 따른 두께 변화가 생기는 경우 가동레버(430)가 회동되기 때문에 이에 연동하여 상기 접촉식 센서(410)에서 그 변화량이 측정될 수 있다. 접촉식 센서로서 바람직한 것은 엘브이디티(LVDT)를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엘브이디티(LVDT) 자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하고, 그 외 알려진 접촉식 센서들도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400)는 다수의 링크(401)를 통해서 홀더(300)와 연결됨은 설명한 바와 같으며, 링크(401)를 통해 측정부(400)를 연결한 것은 측정부(400)가 고정된 홀더(300)에 대해 움직이는 것이 가능함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400)가 외력(여기에서의 외력이라 함은 두개의 롤러 사이에서 이동되는 판상체가 출렁일때 발생되는 힘과 같은 것을 의미함)의 작용이 없는 경우에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외력에 의해 움직이는 경우에도 그 외력에 상응하는 정도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자 상기 측정부(400)와 홀더(300)를 연결시키는 탄성체(500)를 두도록 한다. 상기 탄성체(500)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코일스프링을 활용토록 하고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스프링을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하여 일단부는 홀더(300) 상단근처 일측에 연결시키도록 하고 타단부는 측정부(400)의 후단부 근처에 연결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두개의 코일스프링을 좌우측에 하나씩 두어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측정부(400)의 자체 하중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스프링상수를 갖는 코일스프링을 선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두께측정장치에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측정대상물인 판상체(p)를 2개의 상하롤러(r1,r2)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작부(600)를 갖추는 것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600)는 크게 방아쇠뭉치(610), 방아쇠(620) 및 전달부재(630)를 포함하게 되며 상기 방아쇠뭉치(610)는 홀더(30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전달부재(630)는 방아쇠(620) 조작에 따라 움직여서 상측롤러(r1)가 결합된 가동레버(430)를 강제적으로 회동될 수 있게 힘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방아쇠뭉치(610)에는 방아쇠(620)가 설치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620)를 당기면 방아쇠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전달부재(630)로 힘을 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달부재(630)를 ㄴ 자 형태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수직재(631)라 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수평재(632)라 부르기로 한다. 상기 수직재(631)와 수평재(632)는 서로 연결되며 상기 수직재(631)의 상단부는 가동레버(430)에 연결되고, 상기 수평재(632)는 홀더(300) 및 포스트(200)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즉, 도면상 수평재(632)의 전방단부는 수직재(631)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재(632)의 후방단부는 방아쇠(62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로 인해 상기 방아쇠를 당기게 되면 수평재 및 수직재로 이루어진 전달부재로 힘이 전달되고 결국에는 가동레버(430)가 측정부(400)를 이루는 하우징(420)에 대해서 회동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가동레버(430)가 회동되면서 상승되면 고정된 하부롤러(r2)에 대해 상부롤러(r1)도 상승되고 두 롤러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므로 간단하게 판상체(p)를 롤러(r1,r2)들 사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두께측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보다 안정적이 고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하기 위해 제1쇼바(700), 제2쇼바(800) 및 조정스프링(900)을 두는 것으로 함이 적합하다.
상기 제1쇼바(700)는 측정부(400)를 이루는 하우징(420)이 접촉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하우징(420) 후단부 상측면에 그 끝단부가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측정부(400) 전체가 상하로 움직일 때에 적절하게 완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홀더(300)의 전방측 중앙에 돌출된 설치단(330)을 두고 상기 설치단(330)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상기 제1쇼바(70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한다. 즉, 상기 설치단(330)은 홀더(300)에 구비되는 브라켓(31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쇼바(800)는 가동레버(430)와 접촉되어 상기 가동레버(430)가 회동되어 상승된 후 하강될 때에 급속하게 하강되지 않고 서서히 하강될 수 있게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420)의 하부로부터 제2쇼바(800)가 삽입되게 하며 그 상단부가 가동레버(430)의 하부면을 받쳐 지지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조정스프링(900)은 가동레버(430)와 하우징(420)의 상단아암(420a) 사이에 형성되며 조정스프링(900)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가동레버(430)를 적절한 힘으로 누르게 되도록 한다. 즉, 상기 조정스프링(900)의 조정으로 가동레버(430)의 상하 이동 반발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정스프링(900)을 조정하여 지나치게 가동레버(430)의 회동시에 지나치게 큰힘이 소요되지 않도록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두께측정장치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하며, 도7은 이에 따른 두께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8은 단면도이고 도9는 베드부에 대한 단면도를 보여주고, 도10은 측면도에 해당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포스트(200)의 상단부에 설치박스(IB)를 더 두도록 하고 상기 설치박스(IB)에 푸셔(K)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켜서 상기 푸셔(K)의 조작으로도 방아쇠(62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두께측정장치는 경우에 따라서는 협소한 장소에 설치될 수도 있는 바 이런 경우 작업자가 방아쇠(620)를 조작하기 위해 장치의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치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제2실시예에서는 대략 ㄱ 자형태의 푸셔(K)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방아쇠(620)를 간접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스트(200) 상단에 푸셔(K)의 설치를 위한 설치박스(IB)를 결합시키도록 하고 상기 포스트(20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푸셔(K)는 ㄱ 자 형태를 갖는데 수평부(K1)와 수직부(K2)로 이루어지고 수평부(K1)는 수직부(K2)보다 길게 형성되어 그 끝단부가 상부롤러(r1) 상측 정도에 오도록 한다. 그리고 수직부(K2)의 단부는 방아쇠(620)에 연결시키도록 하여 상기 푸셔(K)의 수평부(K1)를 하방으로 누르거나 상방으로 당기게 되면 푸셔(K)가 회동되면서 방아쇠(620)를 당겨주게 된다.
이런 구조로 함으로써 작업자는 판상체(p)를 두개의 롤러(r1,r2) 사이에 끼울때 보다 편하게 방아쇠(620)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1인의 작업자로도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드(100)에 설치되는 이동블럭(120)이 진동 등에 의해 미소하게 움직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베드(100)의 가이드면(130)에는 등간격을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멈춤홈(131)을 두는 것으로 하며, 상기 멈춤홈(131)에 끼워질 수 있는 멈춤볼(121)을 상기 이동블럭(120)의 하부면에 하나 이상 설치토록 한다.
상기 멈춤볼(121)은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멈춤홈(131)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멈춤볼(121)이 멈춤홈(131)에 일치되어 삽입 상태로 되면 상기 멈춤볼(121)이 멈춤홈(131)을 타고 넘을 수 있는 최소한의 외력이 부여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블럭(120)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현장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부주의로 인한 충격 발생시에도 상기 이동블럭(120)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인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두께측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판상체의 두께변화량을 실시간으로 작업자가 확인하거나 측정치가 저장될 수 있도록 PC와 연결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측정치가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두께측정장치는 측정부의 구조가 간결하고 이동하는 판상체의 흔들림이나 출렁임이 발생되더라도 측정부가 함께 상하로 움직이게 구성됨으로써 두개의 롤러에 접촉되는 판상체의 두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조작이 간편하며 콤팩트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는 압연공장과 같이 판상체의 연속제조 공정에 설치되어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함에 기여할 수 있어 그 이용 가능성은 매우 높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압연강판 뿐 아니라 각종 재질로 성형되는 판상형태의 중간재나 완성품의 두께 측정에 활용될 수 있다.
도1은 종래기술로서 소60-55201의 발명에 따른 두께측정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두께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3은 측면도.
도4는 단면도.
도5는 측정부를 이루는 하우징의 사시도.
도6은 가동레버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두께측정장치의 사시도.
도8은 단면도.
도9는 베드부에 대한 단면도.
도10은 측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베드 110 : 가이드부
120 : 이동블럭 121 : 멈춤볼
130 : 가이드면 131 : 멈춤홈
200 : 포스트 210 : 조정볼
220 : 볼좌대 221 : 테이퍼부
300 : 홀더 310 : 브라켓
320 : 고정볼트 330 : 설치단
400 : 측정부 401 : 링크
410 : 접촉식 센서 420 : 하우징
420a: 상단아암 420b: 하단아암
421 : 마스터 430 : 가동레버
431 : 체결핀 432 : 삽입홀
433 : 센서홀 500 : 탄성체
600 : 조작부 610 : 방아쇠뭉치
620 : 방아쇠 630 : 전달부재
631 : 수직재 632 : 수평재
700 : 제1쇼바 800 : 제2쇼바
900 : 조정스프링 IB : 설치박스
K : 푸셔 K1 : 수평부
K2 : 수직부 r1 : 상부롤러
r2 : 하부롤러 p : 판상체

Claims (6)

  1. 이동하는 대상물의 상하면에서 접촉되어 구름운동하게 되는 롤러가 구비되는두께 측정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이동블럭을 구비하는 베드와;
    상기 이동블럭 상부면에서 직립되게 연결되되 상기 이동블럭과의 사이에 놓이는 조정볼을 이용하여 기울어지게 위치조정이 될 수 있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외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며 전방측으로는 체결을 위한 다수의 브라켓이 구비되는 홀더와;
    상기 브라켓과 다수의 링크로 연결되며 반대측 단부에 상기 롤러가 상하로 배치되되, 상기 상측롤러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상측롤러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변화량을 측정하게 되는 접촉식 센서가 구비되는 측정부와;
    상기 홀더에 일측단부가 연결되며 타측단부는 대각선 방향을 이루도록 상기 측정부의 좌우측면에서 연결되어 상기 측정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탄성체와;
    상기 홀더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방아쇠뭉치의 방아쇠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상측롤러를 강제적으로 상승될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판상부재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브라켓과 다수의 링크로 연결되되 반대측 단부는 길이가 짧은 상단아암과 그 하부에 길이가 긴 하단아암을 구비하게 되는 하우징과;
    상기 상단아암 내부로 삽입되어 그 끝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동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부에는 상부롤러가 설치되는 가동레버와;
    상기 하단아암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롤러와 마주하게 되는 하부롤러와;
    상기 가동레버와 결합되며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마스터와 접촉상태를 이루어 상기 가동레버가 움직일 때 그 변화량을 측정하게 되는 접촉식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레버는,
    하우징에 대해 회동되게 연결되되 상기 조작부의 전달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방아쇠를 당김에 따라 힘이 전달되어 상기 가동레버가 강제적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는,
    측정부의 하우징 후단부 상측면과 접촉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제1쇼바가 구비 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부터 설치되어 가동레버의 하면을 지지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제2쇼바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아암과 가동레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레버의 상하 이동 반발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에는,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설치박스를 두도록 하며 상기 설치박스의 좌우측면에서 회동될 수 있게 ㄱ 자형의 푸셔를 설치하되, 상기 푸셔의 하단부는 상기 방아쇠와 연결되어 상기 푸셔를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방아쇠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에는,
    상기 이동블럭이 설치되는 베드의 가이드면에 연속적으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함몰되는 다수의 멈춤홈이 구비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이동블럭의 하부면에는 탄력적으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멈춤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
KR1020090001419A 2009-01-08 2009-01-08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 KR100901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419A KR100901310B1 (ko) 2009-01-08 2009-01-08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419A KR100901310B1 (ko) 2009-01-08 2009-01-08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310B1 true KR100901310B1 (ko) 2009-06-09

Family

ID=40982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419A KR100901310B1 (ko) 2009-01-08 2009-01-08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3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703B1 (ko) * 2011-09-28 2014-01-28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의 표면 스케일 두께 측정장치
KR20160047195A (ko) 2014-10-22 2016-05-02 이종구 판상체의 두께 또는 폭 정밀연속측정장치
CN114485521A (zh) * 2022-02-23 2022-05-13 符仲特 一种三聚氢胺板材厚度检测装置
CN114935322A (zh) * 2022-04-07 2022-08-23 合肥施展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冰箱内胆用的厚度测试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5557A (en) 1978-04-13 1979-10-20 Ono Sokki Seisakusho Kk Thickness meter
JPS6055201A (ja) 1983-09-06 1985-03-30 Anritsu Corp 走間厚み計
JPH02167403A (ja) * 1988-12-21 1990-06-27 Toshiba Corp 紙葉類の厚さ検知装置
JPH03210401A (ja) * 1990-01-12 1991-09-13 Hokkaido Prefecture 製材品仕上がり厚さ計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5557A (en) 1978-04-13 1979-10-20 Ono Sokki Seisakusho Kk Thickness meter
JPS6055201A (ja) 1983-09-06 1985-03-30 Anritsu Corp 走間厚み計
JPH02167403A (ja) * 1988-12-21 1990-06-27 Toshiba Corp 紙葉類の厚さ検知装置
JPH03210401A (ja) * 1990-01-12 1991-09-13 Hokkaido Prefecture 製材品仕上がり厚さ計算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703B1 (ko) * 2011-09-28 2014-01-28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의 표면 스케일 두께 측정장치
KR20160047195A (ko) 2014-10-22 2016-05-02 이종구 판상체의 두께 또는 폭 정밀연속측정장치
KR101639127B1 (ko) 2014-10-22 2016-07-12 이종구 판상체의 두께 또는 폭 정밀연속측정장치
CN114485521A (zh) * 2022-02-23 2022-05-13 符仲特 一种三聚氢胺板材厚度检测装置
CN114935322A (zh) * 2022-04-07 2022-08-23 合肥施展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冰箱内胆用的厚度测试装置
CN114935322B (zh) * 2022-04-07 2023-11-21 合肥施展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冰箱内胆用的厚度测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5205B (zh) 弹片形变度测试装置
KR100901310B1 (ko) 이동하는 판상체의 두께 측정장치
JP5288110B2 (ja) 角度測定器
EP2078948B1 (en) Material deformation testing stand for the long-term monitoring of deformation characteristics under constant pressure
KR101484141B1 (ko) 차량용 도어 체커 시험장치
TW2007124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hape of both sides of a plate
CN110966946A (zh) 一种测厚仪
KR101691402B1 (ko) 두께측정장치
CN211347722U (zh) 一种砌筑用砖抗压强度检测仪
US6763604B2 (en) Column for measuring longitudinal dimensions
CN106352841A (zh) 一种电梯围裙板的平面度检测装置
TW201302335A (zh) 測量裝置,滾壓架以及用於檢出滾壓縫隙大小的方法
JP5139931B2 (ja) 連続鋳造用設備のガイドロールセグメント
JP6644142B2 (ja) エッジングスタンドのエッジングロール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
CN211784899U (zh) 一种公路检测用回弹仪
CN204831523U (zh) 一种带有传力机构的称重系统
KR20110095722A (ko)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
CN100478643C (zh) 探测物体和孔隙的传感器
KR101883653B1 (ko) 다각도 정하중 측정 장치
KR20120054956A (ko) 대용량 정적 압괴 시험기
CN2646686Y (zh) 弹力量测装置的改良结构
CN210981167U (zh) 一种测厚仪
CN205014924U (zh) 一种汽车冲压板件用的放大检测装置
JP5831777B1 (ja) スプリングレート測定装置
CN209783920U (zh) 一种平板式汽车制动检验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