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693B1 -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693B1
KR101245693B1 KR1020100015347A KR20100015347A KR101245693B1 KR 101245693 B1 KR101245693 B1 KR 101245693B1 KR 1020100015347 A KR1020100015347 A KR 1020100015347A KR 20100015347 A KR20100015347 A KR 20100015347A KR 101245693 B1 KR101245693 B1 KR 101245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roll
deformation
seating unit
p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5722A (ko
Inventor
이선동
송재수
정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01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6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95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69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양한 길이를 갖는 가이드롤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는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로서, 하방향 충격이 흡수되는 완충수단(110)을 갖는 프레임부(100); 상기 프레임부(100) 상부에서 상기 완충수단(110)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 상에서 일정폭만큼 이격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베이스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된 2열의 가이드레일(220);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이동되는 1쌍의 이동유닛(230); 상기 이동유닛(23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로 가이드롤(10)에 마련되어 있는 베어링블록(11)이 안착되는 안착유닛(300);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110)은 상기 안착유닛(300) 상부에 안착 되는 가이드롤(10)의 하중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상기 안착유닛(3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이드롤(10)의 변형량이 측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유닛(230)은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안착유닛(300)의 이격거리가 상기 가이드롤(10)의 베어링블록(11) 위치에 맞게 조절된 후 다이얼게이지를 통해 가이드롤(10)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EMENT BENDING OF GUIDE ROLL}
본 발명은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주공장에서는 사용이 완료된 세그멘트를 수리공장으로 운송하여 세그멘트를 분해하는바, 이때 가이드롤의 수리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가이드롤의 벤딩량을 측정하게 된다.
세그멘트의 수리를 위한 작업공정은, 우선 연주공장에서 사용이 완료된 세그멘트를 운송 차량을 통해 연주 수리공장으로 운반한 후 수리작업을 실시한다.
세그멘트의 수리작업은 크게 프레임 분해 및 가이드롤 교체작업으로 이루어 지는데, 이때 가이드롤은 측정을 통해 수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종래 가이드롤의 변형측정작업을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종래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1에서 보듯이 가이드롤(10)을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롤러안착대(1) 위에 안착한 후, 가이드롤(10)의 롤 변형량(벤딩량)을 다이얼게이지(미도시)를 사용해서 측정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이드롤 변형량 측정장치는 롤러안착대(1)의 이격 거리가 조정 불가능하므로, 가이드롤(10)의 길이가 다를 경우에 일일이 롤러안착대(1)를 프레임(2) 상에서 이동하여 맞춘 후, 가이드롤(10)의 변형량을 측정해야 하는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정확한 변형량 측정이 어렵고, 사용되는 가이드롤(10)의 길이가 다양할 때에는 수리작업 시간이 과다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이드롤 변형량 측정장치는 가이드롤이 대략 1000kg의 무게를 갖는 중량물이므로, 안착시 가이드롤 무게에 의한 충격으로 롤러안착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양한 길이를 갖는 가이드롤에 대해서 그 가이드롤을 받치기 위한 하부 받침점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변형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거운 중량의 가이드롤이 안착될 때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가이드롤 변형량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길이를 갖는 가이드롤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는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로서,
하방향 충격이 흡수되는 완충수단을 갖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상부에서 상기 완충수단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서 일정폭만큼 이격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베이스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된 2열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1쌍의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로 가이드롤에 마련되어 있는 베어링블록이 안착되는 안착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안착유닛 상부에 안착 되는 가이드롤의 하중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상기 안착유닛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이드롤의 변형량이 측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안착유닛의 이격거리가 상기 가이드롤의 베어링블록 위치에 맞게 조절된 후 다이얼게이지를 통해 가이드롤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프레임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에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끼워지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에 상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가이드핀의 상단부가 상기 프레임부상에 일정높이로 돌출되도록 하는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공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톱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의 측면에는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를 연결하여 프레임부를 운반하기 위한 결속러그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열의 가이드레일은 서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서 중간부위가 끊어져 서로 분리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유닛의 하부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슬라이더가 마련되고,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에는 상기 안착유닛의 하부에 마련되는 결합홈에 끼워지는 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블록과, 상기 블록의 가이드홈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롤이 안착되는 씸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어링포켓과, 상기 베어링포켓 상에 일정한 축 간격을 가지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베어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하부 양단을 받치는 안착유닛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기 때문에 다양한 길이를 갖는 가이드롤의 변형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부에 마련된 완충수단의 작용으로 무거운 가이드롤의 충격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 변형량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2에 대한 일부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 변형량 측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도4에 대한 일부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가이드롤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가이드롤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프레임부(100), 베이스플레이트(210), 가이드레일(220), 1쌍의 이동유닛(230), 안착유닛(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상기 프레임부(100)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부(100)에는 하방향의 충격이 흡수되는 완충수단(110)이 구비되는데, 상기 완충수단(110)은 상기 프레임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소에 상기 완충수단(110)이 설치되지만, 반드시 여기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상기 완충수단(110)은 크게 가이드공(111)과, 가이드핀(112)과, 스프링(113)과, 스톱링(1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가이드공(111)은 완충수단(1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프레임부(100) 상에 형성되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공(111)이 총 6개소에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핀(112)은 상기 가이드공(111)에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끼워지는 것으로, 스템부(112a)와 헤드부(112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프링(113)은 상기 가이드핀(112)에 상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가이드핀(112)의 상단부(즉, 헤드부(112b))가 상기 프레임부(100) 상에 일정높이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113)은 상기 스템부(112a)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스톱링(114)은 상기 가이드공(111)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113)의 하단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스프링(113)이 상기 가이드공(111) 내부에서 하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스프링(11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핀(112)의 헤드부(112b)가 상기 프레임부(100) 상에 소정높이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수단(110)이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핀(112)의 헤드부(112b)가 프레임부(100) 상에 돌출되면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부로부터 하방향의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가이드핀(112)과 스프링(113)의 작용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가 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그 충격에너지가 상기 스프링(113)에서 흡수되는바, 무거운 가이드롤(10)의 하중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안착유닛(30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2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0)의 측면에는 프레임부(100)의 운반을 위한 결속러그(120)가 마련되는데, 상기 결속러그(120)의 상부는 걸림고리 형태로 이루어져서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를 상기 결속러그(120)에 연결하면 프레임부(100)의 운반이 가능하다.
상기 결속러그(120)는 프레임부(100) 만을 운반할 때도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모두 조립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장치 전체를 운반할 때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상기 프레임부(100) 상부에서 상기 완충수단(110)에 결합되는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핀(112)의 헤드부(112b)에 끼워지는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은 별도로 도시하지 않아도 충분히 예측할 수 있고 도면상 가려지는 부분이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공이 상기 가이드핀(112)의 위치와 개수에 대응되게 6개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부면에는 서로 평행한 2열의 가이드레일(220)이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레일(22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 상에서 일정폭만큼 이격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베이스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220)은 서로 평행한 2열의 가이드레일(220)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끊어지지 않고 연속되게 배치되어도 무방하지만, 실제로 가이드레일(220)의 중간 부위는 사용될 일이 거의 없으므로 그 중간부위는 없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2열의 가이드레일(220)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 상에서 분리되게 설치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중간 부위에는 가이드레일(220)이 부존재하게 되는바, 가이드레일(220)의 부분 삭제에 따른 중량을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때, 총 2쌍의 가이드레일(220)은 서로 평행하면서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이동유닛(230)은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이동되는 구성으로, 상기 이동유닛(230)의 양단 하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22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2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이동유닛(230)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평행한 가이드레일(220)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야 하므로 총 1쌍이 마련되고, 이 1쌍의 이동유닛(230)도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유닛(230)의 하부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슬라이더(231)가 마련되고, 상기 이동유닛(230)의 상부에는 안착유닛(300)의 하부에 마련되는 결합홈에 끼워지기 위한 핀돌기(232)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231)는 상기 이동유닛(2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도 무방하고 일체로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안착유닛(300)은 상기 이동유닛(230)의 상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착유닛(300)의 상부에는 연주기용 가이드롤(10)이 안착되는바, 상기 안착유닛(300)의 상부면은 실질적으로 가이드롤(10)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상기 안착유닛(300)의 하부면에는 상기 이동유닛(230)의 상부에 마련된 핀돌기(232)에 끼워지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홈의 구성은 별도로 도시하지 않아도 유추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바 도시를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유닛(300)은 본 발명에서 2개의 서로 다른 형태로 마련되는데, 도2 및 도3은 안착유닛(300)의 한 형태를 나타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도4 및 도5는 안착유닛(300)의 다른 한 형태를 나타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도2 및 도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착유닛(300)은, 블록(310)과 씸플레이트(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310)은 상기 이동유닛(2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블록(310)의 상부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3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씸플레이트(320)는 상기 블록(310)의 가이드홈(311)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주기용 가이드롤(10)과 실질적으로 접촉하여 가이드롤(10)이 안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안착유닛(300)은 도7 및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롤(10)에 마련되어 있는 베어링블록(11)이 안착되도록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베어링블록(11)의 하부를 상기 안착유닛(300)이 받쳐서 가이드롤(10)이 안정되도록 한 다음 상기 가이드롤(10)의 변형량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안착유닛(300)은 상기 가이드롤(10)의 길이에 따라 그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는바, 상기 이동유닛(230)을 움직여 상기 안착유닛(300)의 이격거리를 상기 가이드롤(10)의 베어링블록(11) 위치에 맞게 조절하면 된다.
한편, 도4 및 도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착유닛(300)은, 베어링포켓(330)과 롤러베어링(3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포켓(330)은 상기 이동유닛(23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어링포켓(330)의 하부면에는 상기 이동유닛(230)의 상부에 마련된 핀돌기(232)에 끼워지기 위한 결합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롤러베어링(340)은 상기 베어링포켓(330) 상에 일정한 축 간격을 가지면서 회전 가능하게 1쌍이 설치되는데, 상기 롤러베어링(340) 사이에 가이드롤(10)의 원주면이 안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착유닛(300)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착유닛(300)을 이동유닛(230)으로부터 제거하고 도8 및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롤(10)의 원주면이 상기 롤러베어링(340) 사이에 안착되도록 한 다음 상기 가이드롤(10)의 변형량을 측정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 : 가이드롤 100 : 프레임부
110 : 완충수단 111 : 가이드공
112 : 가이드핀 113 : 스프링
114 : 스톱링 120 : 결속러그
210 : 베이스플레이트 220 : 가이드레일
230 : 이동유닛 231 : 슬라이더
232 : 핀돌기 300 : 안착유닛
310 : 블록 320 : 씸플레이트
330 : 베어링포켓 340 : 롤러베어링

Claims (7)

  1. 다양한 길이를 갖는 가이드롤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는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로서,
    하방향 충격이 흡수되는 완충수단(110)을 갖는 프레임부(100);
    상기 프레임부(100) 상부에서 상기 완충수단(110)에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 상에서 일정폭만큼 이격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베이스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된 2열의 가이드레일(220);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이동되는 1쌍의 이동유닛(230);
    상기 이동유닛(23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로 가이드롤(10)에 마련되어 있는 베어링블록(11)이 안착되는 안착유닛(300);을 포함하되,
    상기 완충수단(110)은 상기 안착유닛(300) 상부에 안착 되는 가이드롤(10)의 하중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상기 안착유닛(3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이드롤(10)의 변형량이 측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유닛(230)은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안착유닛(300)의 이격거리가 상기 가이드롤(10)의 베어링블록(11) 위치에 맞게 조절된 후 다이얼게이지를 통해 가이드롤(10)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110)은,
    상기 프레임부(10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공(111)과, 상기 가이드공(111)에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끼워지는 가이드핀(112)과, 상기 가이드핀(112)에 상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가이드핀(112)의 상단부가 상기 프레임부(100)상에 일정높이로 돌출되도록 하는 스프링(113)과, 상기 가이드공(111)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113)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톱링(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0)의 측면에는 천정크레인의 와이어를 연결하여 프레임부(100)를 운반하기 위한 결속러그(12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열의 가이드레일(220)은 서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 상에서 중간부위가 끊어져 서로 분리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230)의 하부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는 슬라이더(231)가 마련되고, 상기 이동유닛(230)의 상부에는 상기 안착유닛(300)의 하부에 마련되는 결합홈에 끼워지는 핀돌기(2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유닛(300)은, 상기 이동유닛(2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311)이 형성된 블록(310)과, 상기 블록(310)의 가이드홈(311)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롤(10)이 안착되는 씸플레이트(3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유닛(300)은, 상기 이동유닛(2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베어링포켓(330)과, 상기 베어링포켓(330) 상에 일정한 축 간격을 가지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베어링(3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
KR1020100015347A 2010-02-19 2010-02-19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 KR101245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347A KR101245693B1 (ko) 2010-02-19 2010-02-19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347A KR101245693B1 (ko) 2010-02-19 2010-02-19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722A KR20110095722A (ko) 2011-08-25
KR101245693B1 true KR101245693B1 (ko) 2013-03-25

Family

ID=4493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347A KR101245693B1 (ko) 2010-02-19 2010-02-19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630B1 (ko) * 2013-12-24 2015-07-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스테이터 바 폼 검증을 위한 지그 및 이를 사용한 검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713B1 (ko) * 2012-09-10 2014-07-17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장치의 세그먼트 가이드 롤 베어링 탈착장치
CN104501710A (zh) * 2014-12-15 2015-04-08 贵州安吉航空精密铸造有限责任公司 一种金属铸件的变形检测及矫正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7862A (ja) 1997-08-27 1999-03-02 Kubota Corp 管体矯正設備
JP2002173289A (ja) * 2000-12-11 2002-06-21 Komai Technos:Kk 圧延ロールの吊り上げ装置
KR20030039205A (ko) * 2001-11-12 2003-05-17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체 변형 간이 측정장치
KR100898778B1 (ko) * 2007-04-10 2009-05-20 주식회사 신흥정밀 공작기계 자동화 라인 세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7862A (ja) 1997-08-27 1999-03-02 Kubota Corp 管体矯正設備
JP2002173289A (ja) * 2000-12-11 2002-06-21 Komai Technos:Kk 圧延ロールの吊り上げ装置
KR20030039205A (ko) * 2001-11-12 2003-05-17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체 변형 간이 측정장치
KR100898778B1 (ko) * 2007-04-10 2009-05-20 주식회사 신흥정밀 공작기계 자동화 라인 세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630B1 (ko) * 2013-12-24 2015-07-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스테이터 바 폼 검증을 위한 지그 및 이를 사용한 검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722A (ko)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185B1 (ko) 변위센서를 이용한 외경 측정장치
KR101245693B1 (ko) 연주기용 가이드롤의 변형량 측정장치
TW2007124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hape of both sides of a plate
CN106871760B (zh) 一种滚珠滑块的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03673819B (zh) 复合式排气管总成多元化利用检具
CN106706343B (zh) 一种弹性车轮的径向和轴向刚度测试方法及工装
CN106247908A (zh) 用于类岩石试样垂直度和端面平整度的测试仪及使用方法
CN102721342A (zh) 一种用于孔系位置检测的检具
KR20090026883A (ko) 슬래브 터닝장치
KR100959514B1 (ko) 용접용 형강 지그장치
JP5640069B2 (ja) 汎用受け治具
CN102778390B (zh) 一种硬质塑料材料应力对比测试夹具及测试方法
JP4622721B2 (ja) タイヤバランス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CN102114498A (zh) 半自动t型导轨扭曲校直机直线度检测装置
CN206311022U (zh) 一种多功能综合孔位检具
KR100943722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팔레트
WO2008068404A3 (fr) Tete de profilage antiflexion et machine a profiler equipee de telles tetes
KR20130006467U (ko) 작업발판
ITTV20130093A1 (it) Telaio multifilo per il taglio di blocchi di materiale lapideo in lastre
KR20080010755A (ko) 슬라이드 레일의 내측홈 측정장치
CN104897466B (zh) 驱动轴拉拔力检查装置
CN105537465B (zh) 一种建筑用钢筋矫直机
CN105965419A (zh) 一种定位精准的导轨固定工装
KR100979048B1 (ko) 압연기 작업롤 지지장치
CN201885675U (zh) 半自动t型导轨扭曲校直机直线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