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232B1 - 호스트 장치 및 화상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호스트 장치 및 화상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232B1
KR100901232B1 KR1020070016045A KR20070016045A KR100901232B1 KR 100901232 B1 KR100901232 B1 KR 100901232B1 KR 1020070016045 A KR1020070016045 A KR 1020070016045A KR 20070016045 A KR20070016045 A KR 20070016045A KR 100901232 B1 KR100901232 B1 KR 100901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arrangement order
length
print media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2565A (ko
Inventor
요시노리 야마구찌
다다노부 후지따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4Local printer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8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mproved quality of the output result, e.g. print layout, colours, workflows, print previe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원하는 레이아웃 구성을 반영할 수 있는 호스트 장치 및 화상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화상을 인쇄 매체 상에 배치 및 인쇄할 수 있는 인쇄 장치에 접속되어,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는, 다음 방식으로 복수의 화상을 레이아웃한다. 인쇄에 사용될 인쇄 매체의 방향을 지정한다. 이어서, 인쇄에 사용될 인쇄 매체의 길이를 지정한다. 상기 지정에 기초하여, 복수의 화상의 선택가능 배치 순서를 결정하고,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마지막으로, 원하는 배치 순서를 디스플레이된 선택가능 배치 순서로부터 선택한다.
호스트 장치, 인쇄 매체, 인쇄 장치, 프린터 언어, 레이아웃

Description

호스트 장치 및 화상 편집 방법{HOST APPARATUS AND IMAGE EDIT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통상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잉크젯 인쇄 장치(200)의 외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PC(100)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레이아웃 처리기의 프리뷰부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체 프리뷰 윈도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용지 정보 설정 윈도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자동 배치의 결정까지의 절차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결정된 선택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용지 방향 설정 윈도우의 "용지의 길이측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정의함" 및 용지 길이 설정 윈도우의 "길이측이 고정 길이인 용지"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의 배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용지 방향 설정 윈도우의 "용지의 길이측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정의함" 및 용지 길이 설정 윈도우의 "길이측이 고정 길이인 용지"를 사용자가 선택하 는 경우의 배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용지 방향 설정 윈도우의 "용지의 길이측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정의함" 및 용지 길이 설정 윈도우의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인 용지"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의 배치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용지 방향 설정 윈도우의 "용지의 길이측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정의함" 및 용지 길이 설정 윈도우의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인 용지"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의 배치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PC
101: CPU
102: ROM
103: RAM
104: 디스크
105: I/F
107: CPU 버스
200: 인쇄 장치
본 발명은, 호스트 장치 및 화상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롤 지 또는 커트지도 출력 용지로서 선택할 수 있는 대형 사이즈의 프린터 등의 잉크젯 인쇄 장치를 접속하는 호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으로 배열된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종래의 인쇄 시스템은, 사용자로 하여금 인쇄출력(printout) 용의 인쇄 매체(예컨대, 인쇄 용지)의 사이즈를 선택하도록 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배열 방법을 선택할 수 없으며, 항상 동일한 배열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예컨대, 일본특개평 제2001-10153호(도 4 및 6페이지 참조)).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의 인쇄 장치가 지원하는 출력 용지 형태에 따라서 출력 용지 상으로의 화상 배열 방법이 자동으로 결정된다. 그러므로, 종종 사용자가 원하는 레이아웃을 획득하기가 불가능하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 기술의 결점들에 대한 방안으로 착안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 및 화상 편집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레이아웃 구성을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인쇄 매체 상에 복수의 화상을 배열하여 인쇄할 수 있는 인쇄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인쇄 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로서, 인쇄에 이용될 인쇄 매체의 방향을 지정하는 제1 지정 수단; 인쇄에 이용될 상기 인쇄 매체의 길이를 지정하는 제2 지정 수단; 상기 제1 지정 수단 및 상기 제2 지정 수단에 의한 지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의 선 택가능 배치 순서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로부터 원하는 배치 순서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하는 호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인쇄 매체 상에 복수의 화상을 배열하여 인쇄할 수 있는 인쇄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인쇄 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에서의 화상 편집 방법으로서, 인쇄에 이용될 인쇄 매체의 방향을 지정하는 제1 지정 단계; 인쇄에 이용될 상기 인쇄 매체의 길이를 지정하는 제2 지정 단계; 상기 제1 지정 단계 및 상기 제2 지정 단계에서의 지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의 선택가능 배치 순서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 상기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로부터 원하는 배치 순서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편집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레이아웃 구조를 반영하는 화상 배치를 허용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이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선호도(예컨대, 고정 길이의 커트지 또는 정의되지 않은 길이의 롤지)에 따라서 출력 용지 타입을 선택하여, 매 용지 타입마다 적절한 자동 배치를 확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인쇄" 및 "인쇄하는"은 문자 및 그래픽 등의 중요 정보의 형성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중요한지 중요하지 않은지 그리고 인간이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시각화되어 있는지와 관계없이, 인쇄 매체 상에의 화상, 도면, 패턴 등의 형성 또는 그 매체의 처리까지 광범위하게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용어 "인쇄 매체"는 통상의 인쇄 장치에 사용되는 용지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잉크를 수용할 수 있는 천, 플라스틱 막, 금속판, 유리, 세라믹, 나무, 및 가죽 등의 재료들까지 광범위하게 포함하는 것이다.
더구나, 용어 "잉크"(이후 "액체"로 언급되기도 함)는 상술된 "인쇄"의 정의와 유사하게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즉, "잉크"는, 인쇄 매체 상에 적용될 경우, 화상, 도면, 패턴 등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잉크를 처리할 수 있는 (예컨대, 그 인쇄 매체에 적용된 잉크에 포함된 착색제를 응고시키거나 불용화할 수 있는)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구나,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용어 "노즐"은 한 세트의 배출 오리피스, 그 오리피스에 접속된 액체 채널 및 잉크 배출에 이용되는 에너지를 생성하는 소자를 의미한다.
< 인쇄 시스템 및 잉크젯 인쇄 장치 본체의 개요의 설명 (도 1 및 도 2) >
도 1은 본 발명의 통상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호스트 장치로서 역할을 하는 퍼스널 컴퓨터(이후, PC로 언급됨) 및 A0 또는 B0 등의 큰 사이즈의 인쇄 용지를 이용하여 인쇄하기 위한 잉크젯 인쇄 장치를 포함한다.
PC(100)는 전체 호스트 장치를 제어하는 CPU(101), 제어 프로그램 및 상수를 저장하는 ROM(102), 및 후술될 제어 프로그램 및 응용 프로그램을 CPU(101)가 실행하기 위한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하는 RAM(103)을 포함한다. PC(100)는 또한 대량의 정보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이후 어플리케이션으로 언급됨)을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DISK)(104), 및 인쇄 장치(200)로의 인터페이스(I/F)(105)를 포함한다. PC(100)는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인쇄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PC(100)는 디바이스 제어기(CNL)(106)를 통해 키보드(KB)(108) 및 포인팅 디바이스(PD)에 접속한다. LCD 등의 디스플레이(DPY)(110)를 PC(100)에 접속한다.
키보드(KB)(108), 포인팅 디바이스(PD)(109), 디스플레이(DPY)(110)는 사용자가 PC(1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사람-기계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도 2는 잉크젯 인쇄 장치(이후 인쇄 장치로 언급됨)(200)의 외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부 덮개를 제거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장치(200)는 전면 상에 수동 피드 포트(88)를 갖는다. 그 전면이 개폐가능한 롤지 카세트(89)가 수동 피드 포트(88)의 아래에 제공된다. 사용자는 소정 길이의 커트지를 수동 피드 포트(88)에 삽입할 수 있 다. 인쇄 용지 등의 인쇄 매체(이후 인쇄 매체로 언급됨)가 수동 피드 포트(88) 또는 롤지 카세트(89)로부터 인쇄 장치 내로 공급된다. 인쇄 장치는 두 개의 다리(93)로 지지된 장치 본체(94), 배출된 인쇄 매체를 유지하는 스택커(90), 및 개폐가능한 투명 상부 커버(91)를 포함한다. 장치 본체(94)는 조작 패널(105), 잉크 공급 유닛, 및 그 우측에 잉크 탱크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장치(200)는 화살표 B 방향(서브 스캐닝 방향)으로 인쇄 용지 등의 인쇄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롤러(170)를 갖는다. 인쇄 장치(200)는 또한 인쇄 매체의 폭 방향(화살표 A 방향, 즉 주주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지지 및 안내되는 캐리지 유닛(이후 캐리지로 언급됨)(104)을 갖는다. 인쇄 장치(200)는 또한 화살표 A 방향으로 캐리지(104)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캐리지 모터(도시되지 않음) 및 캐리지 벨트(이후 벨트로 언급됨)(270)를 갖는다. 잉크 프린트헤드(이후 프린트헤드로 언급됨)(111)를 캐리지(104) 상에 장착한다. 인쇄 장치(200)는 또한 잉크를 프린트헤드(111)에 공급하는 잉크 탱크(80) 및 예컨대, 프린트헤드의 오리피스의 막힘(clogging)에 의해 야기되는 잉크 배출 고장을 해결하기 위한 흡입 잉크 회복 유닛(112)을 포함한다.
이러한 인쇄 장치에서, 캐리지(104)는 인쇄 매체 상에 컬러 인쇄를 수행하기 위해 4색 컬러 잉크에 대응하는 4개의 헤드를 구비한 프린트헤드(111)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린트헤드(111)는, 예컨대, K(블랙)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K 헤드, C(시안)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C 헤드, M(마젠타)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M 헤드, 및 Y(옐로우) 잉크를 배출하기 위한 Y 헤드를 포함한다.
인쇄 매체 상에 인쇄하기 위해, 반송 롤러(170)는 소정의 인쇄 시작 위치에 인쇄 매체를 반송한다. 이어서, 캐리지(104)가 주주사 방향으로 프린트헤드(111)를 주사하도록 하는 조작 및 반송 롤러(170)가 부주사 방향으로 인쇄 매체를 반송하도록 하는 조작을 반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벨트(270) 및 캐리지 모터(도시되지 않음)는 도 2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캐리지(104)를 이동시켜, 인쇄 매체 상에 인쇄를 수행한다. 캐리지(104)가 주사 개시 전에 위치되어 있던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반송 롤러는 인쇄 매체를 부주사 방향(도 2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반송한다. 캐리지는 다시 도 2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주사하여, 인쇄 매체 상에 화상 및 텍스트를 인쇄한다. 상술된 조작들을 반복하여, 한장의 인쇄 매체 상에 인쇄를 완료한다. 이어서, 인쇄 매체는 스택커(90)로 배지되어, 한장의 용지 상에 인쇄를 완료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인쇄 장치는 A0 또는 B0 등의 큰 사이즈의 인쇄 용지를 이용하여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일의 인쇄 용지 상에 복수의 화상을 레이아웃하여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PC(100)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PC(100)에서, 어플리케이션 A(1), B(2), C(3)이 윈도우즈(등록상표) 등의 운영체제(4) 하에서 실행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들로부터 출력된 인쇄 데이터는 프린터 드라이버(5)로 전달된다.
프린터 드라이버(5)는 프린터 언어 제어기(6) 및 레이아웃 처리기(9)를 포함 한다. 프린터 언어 제어기(6)는 UI(사용자 인터페이스)(7) 및 프린터 언어 처리기(8)로 나눌 수 있다. 레이아웃 처리기(9)는 UI(사용자 인터페이스)(10), 레이아웃 제어기(11), 및 프리뷰 부(12)로 나눌 수 있다.
프린터 드라이버(5)로 전송된 인쇄 데이터는 프린터 언어 제어기(6)로부터 레이아웃 처리기(9)로 일시적으로 전송되어, 레이아웃 처리 후에, 프린터 언어 제어기(6)로 복귀된다. 프린터 언어 제어기(6)로 복귀된 인쇄 데이터는 프린터 언어 처리기(8)에 의해 인쇄 언어로 변환되어 스풀러(13)로 보내진다. 레이아웃 처리가 불필요하다면, 인쇄 데이터는 프린터 언어 제어기(6) 내의 프린터 언어 처리기(8)에 의해 프린터 언어로 즉시 변환되어 스풀러(13)로 보내진다. 이러한 동작의 스위칭은 UI(사용자 인터페이스)(7)의 설정에 의해 구현된다.
도 4는 레이아웃 처리기(9)의 프리뷰 부(12) 상에 디스플레이된 전체 프리뷰 윈도우(2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제로, PC(100)의 디스플레이(DPY)(110)는 프리뷰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레이아웃 프리뷰 윈도우(22)에서, 인쇄 전에 어플리케이션 A(1), B(2), C(3)에 의해 생성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의 레이아웃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레이아웃 조건을 바꾸고 싶으면, 키보드(KB)(108)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PD)(109)를 조작함으로써 용지 정보 설정 버튼(23)을 클릭하여, 용지 정보 설정 윈도우(31)를 디스플레이한다. 레이아웃된 인쇄 데이터는, 인쇄 버튼(24)을 클릭하는 경우 스풀러(13)로 전송된다. 그 전에, 사용자는 임의의 횟수만큼 레이아웃을 다시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3 개의 화상을 레이아웃 프리뷰 윈도우(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인쇄 버튼(24)은 또한 레이아웃 설계를 판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5는 용지 정보 설정 윈도우(31)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이 윈도우 및 사람-기계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레이아웃에 관한 각종 조건들을 바꿀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용지 폭 설정 윈도우(32)에서 레이아웃에 사용될 출력 용지의 폭을 지정할 수 있다. 용지 폭 설정은 레이아웃의 배치 순서에 어떠한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사용자는 용지 방향 설정 윈도우(33)에서 레이아웃용으로 사용될 용지 방향을 지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용지의 길이측 방향을 정의하기 위해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용지 길이 설정 윈도우(34)에서, 사용자는 길이측이 고정 길이인 용지 또는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인 용지를 선택할 수 있다. "자동 설정"은 정의되지 않은 길이의 설정으로 디스플레이되며, "수동 설정"은 고정 길이의 설정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롤지"를 정의되지 않은 길이의 설정으로, "커트지"를 고정 길이의 설정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에서 배치 순서를 선택할 수 있다. 용지 방향 설정 윈도우(33) 및 용지 길이 설정 윈도우(34)가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에 디스플레이된 선택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자동 배치의 결정까지의 절차를 상세히 기술한다.
도 6은 자동 배치의 결정까지의 절차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DPY)(110)가 용지 방향 설정 윈도우(33)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용지의 길이측 방향을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 중 어느 하나로 정의한다 (단계 S11). 다음으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DPY)(110)가 용지 길이 설정 윈도우(34)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길이측이 고정 길이인 용지 또는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인 용지 중 하나를 선택한다 (단계 S12). 이 절차에 의해,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에 디스플레이될 선택이 결정된다.
배치 순서의 선택이 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된다 (단계 S13).
도 7은 결정된 선택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측이 고정 길이인 용지를 길이측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는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으로(디폴트)" 및 "좌측 상부로부터 하부로"의 두가지 선택을 디스플레이한다. 길이측이 고정 길이인 용지를 길이측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는 "좌측 상부로부터 하부로(디폴트)" 및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으로"의 두가지 선택을 디스플레이한다.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인 용지를 길이측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는 단지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으로"만 디스플레이한다.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인 용지를 길이측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는 단지 "좌측 상부로부터 하부로"만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를 참조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된 선택으로부터 원하는 자동 배치 순서를 선택하고 결정한다 (단계 S14).
PC(100)는 이렇게 결정된 배치 순서의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결정된 배치 순서로 인쇄되도록 편집하고, 그 화상을 인쇄 장치(200)로 전송한다. 인쇄 장치(200)는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복수의 화상을 인쇄한다.
이하에는, 실제로 결정된 자동 배치 순서에 기초하여 화상을 배치하는 방법을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 8 내지 도 11에서는, 굵은 실선이 인쇄 용지를 나타내고, 가는 실선이 레이아웃된 화상을 나타내고, 가는 실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첨부된 숫자는 화상의 배치 순서를 나타낸다.
도 8은 사용자가 용지 방향 설정 윈도우(33)에서 "용지의 길이측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정의함"을 선택하고, 용지 길이 설정 윈도우(34)에서 "길이측이 고정 길이인 용지"를 선택한 경우의 배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예는, 사용자가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에서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으로"를 선택한 경우에 취득되는 자동 배치 결과(51) 및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에서 "좌측 상부로부터 하부로"를 선택한 경우에 취득되는 자동 배치 결과(52)를 나타낸다.
도 9는 사용자가 용지 방향 설정 윈도우(33)에서 "용지의 길이측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정의함"을 선택하고, 용지 길이 설정 윈도우(34)에서 "길이측이 고정 길이인 용지"를 선택한 경우의 배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예는, 사용자가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에서 "좌측 상부로부터 하부로"를 선택한 경우에 취득되는 자동 배치 결과(61) 및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에서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으로"를 선택한 경우에 취득되는 자동 배치 결과(62)를 나타낸다.
도 10은 사용자가 용지 방향 설정 윈도우(33)에서 "용지의 길이측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정의함"을 선택하고, 용지 길이 설정 윈도우(34)에서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인 용지"를 선택한 경우의 배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예는, 사용자가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에서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으로"를 선택한 경우에 취득되는 자동 배치 결과(71)를 나타낸다. 도 10의 참조번호 72는, 사용자가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인 용지"를 선택한 때에는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좌측 상부로부터 하부로"에 대응하는 배치 순서를 선택하는 경우에 취득되는 배치 순서를 도시하는 가상 자동 배치 결과를 나타낸다. "좌측 상부로부터 하부로"에 대응하는 배치 순서가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이유는 "x" 표시된 가상 자동 배치 결과(72)로부터 알 수 있다. 즉, 가상 자동 배치 결과(72)는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인 용지"에 대한 배치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화상 배치 위치의 복귀 지점(returning point)은 정의되지 않고, 화상은 일렬로 정렬된다. 이는 자동 배치로서는 부적절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용지의 길이측 방향이 세로 방향으로 정의됨" 및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인 용지"를 선택한 경우, "좌측 상부로부터 하부로"에 대응하는 배치 순서는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즉, 디스플레이가 억제된다.
도 11은 사용자가 용지 방향 설정 윈도우(33)에서 "용지의 길이측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정의함"을 선택하고, 용지 길이 설정 윈도우(34)에서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인 용지"를 선택한 경우의 배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예는, 사용자가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에서 "좌측 상부로부터 하부로"를 선택한 경우에 취득되는 자동 배치 결과(81)를 나타낸다. 도 11의 참조번호 82는, 사용자가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인 용지"를 선택한 때에는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으로"에 대응하는 배치 순서를 선택하는 경우에 취득되는 배치 순서를 도시하는 가상 자동 배치 결과를 나타낸다.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으로"에 대응하는 배치 순서가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이유는 "x" 표시된 가상 자동 배치 결과(82)로부터 알 수 있다. 즉, 가상 자동 배치 결과(82)는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인 용지"에 대한 배치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화상 배치 위치의 복귀 지점이 정의되고, 화상은 일렬로 정렬된다. 이는 자동 배치로서는 부적절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용지의 길이측 방향이 가로 방향으로 정의됨" 및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인 용지"를 선택한 경우, "좌측 상부로부터 우측으로"에 대응하는 배치 순서는 배치 순서 설정 윈도우(35)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즉, 디스플레이가 억제된다.
상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용지 방향 설정 윈도우 및 용지 길이 설정 윈도우의 설정들에 따라서 명확히 디스플레이되는 화상 배치 순서의 선택으로부 터 원하는 배치 순서를 선택함으로써 화상을 레이아웃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화상이 A0 또는 B0 등의 큰 사이즈의 인쇄 용지 상에 인쇄되는 경우의 화상 배치 순서에 사용자 의도를 반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프린트헤드로부터 배출된 방울은 잉크 방울이고, 잉크 탱크에 저장된 액체는 잉크이다. 그러나, 그 저장된 액체가 잉크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쇄된 화상의 정착(fixing) 효과 및 방수성(water repellency)을 증가시키거나 화상 품질을 증가시키기 위해 인쇄 매체에 배출되는 일종의 처리액이 잉크 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특히, 잉크젯 인쇄 시스템 중에서, 잉크 배출을 위한 열 에너지를 생성하는 수단(예컨대, 전열 변환기(electrothermal trnsducer))을 포함하고, 그 열 에너지에 의해 잉크 상태를 변화시키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에, 인쇄 밀도 및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직렬 주사형 잉크젯 인쇄 장치가 예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그 장치에 의해 인쇄가능한 인쇄 매체의 최대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풀 라인형 프린트헤드(full line type printhed)를 이용한 잉크젯 인쇄 장치에도 본 발명을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린트헤드는 복수의 프린트헤드들을 조합하거나 단일의 집적 프린트헤드 구조에 의해서도 이러한 길이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젯 인쇄 장치는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의 화상 출력 디바이스로서 이용된다. 인쇄 장치는 또한 판독기와 조합된 복사 장치 또는 송수신 기능을 갖는 팩시밀리 장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공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 청구항의 범위는 그러한 모든 변경들 및 등가의 구조 및 기능들까지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레이아웃 구조를 반영하는 화상 배치를 허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서 출력 용지 타입을 선택하여, 매 용지 타입마다 적절한 자동 배치를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4)

  1. 인쇄 매체 상에 복수의 화상을 배열하여 인쇄할 수 있는 인쇄 장치(200)에 접속되어, 상기 인쇄 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100)로서,
    인쇄에 이용될 인쇄 매체의 방향을 지정하는 제1 지정 수단(108, 109);
    상기 인쇄 장치에서 롤 타입 인쇄 매체 세트를 커트 타입 인쇄 매체 또는 정의되지 않은 길이의 롤 타입 인쇄 매체 중 하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인쇄에 이용될 상기 인쇄 매체의 길이측 방향의 길이를, 고정 길이 또는 정의되지 않은 길이 중 하나로 취급하도록 지정하는 제2 지정 수단(108, 109);
    상기 제1 지정 수단 및 상기 제2 지정 수단에 의한 지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의 선택가능 배치 순서 및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의 수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101);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를 디스플레이 화면(41)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1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로부터 원하는 배치 순서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108, 109)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정 수단은, 상기 인쇄 매체의 길이측 방향을,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 중 하나로 정의하는 것을 지정하는 호스트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배치 순서를 확정하는 확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호스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순서를 확정하는 상기 확정 수단에 의한 확정 후,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인쇄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105)을 더 포함하는 호스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대형 인쇄 매체를 이용할 수 있는 호스트 장치.
  9. 인쇄 매체 상에 복수의 화상을 배열하여 인쇄할 수 있는 인쇄 장치(200)에 접속되어, 상기 인쇄 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100)에서의 화상 편집 방법으로서,
    인쇄에 이용될 인쇄 매체의 방향을 지정하는 제1 지정 단계(S11);
    상기 인쇄 장치에서 롤 타입 인쇄 매체 세트를 커트 타입 인쇄 매체 또는 정의되지 않은 길이의 롤 타입 인쇄 매체 중 하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인쇄에 이용될 상기 인쇄 매체의 길이측 방향의 길이를, 고정 길이 또는 정의되지 않은 길이 중 하나로 취급하도록 지정하는 제2 지정 단계(S12);
    상기 제1 지정 단계 및 상기 제2 지정 단계에서의 지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의 선택가능 배치 순서 및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의 수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
    상기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를 디스플레이 화면(41)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로부터 원하는 배치 순서를 선택하는 선택 단계(S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편집 방법.
  10. 롤 타입 인쇄 매체 상에 복수의 화상을 배열하여 인쇄할 수 있는 인쇄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인쇄 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로서,
    상기 인쇄 장치에서 롤 타입 인쇄 매체 세트를 커트 타입 인쇄 매체 또는 정의되지 않은 길이의 롤 타입 인쇄 매체 중 하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인쇄 매체를 길이측이 고정 길이를 갖는 인쇄 매체 또는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를 갖는 인쇄 매체 중 하나로 취급하는 것으로 지정하는 지정 수단;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한 지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의 선택가능 배치 순서 및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의 수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로부터 원하는 배치 순서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
    을 포함하는 호스트 장치.
  11. 삭제
  12. 롤 타입 인쇄 매체 상에 복수의 화상을 배열하여 인쇄할 수 있는 인쇄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인쇄 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에서의 화상편집 방법으로서,
    상기 인쇄 장치에서 롤 타입 인쇄 매체 세트를 커트 타입 인쇄 매체 또는 정의되지 않은 길이의 롤 타입 인쇄 매체 중 하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인쇄 매체를 길이측이 고정 길이를 갖는 인쇄 매체 또는 길이측이 정의되지 않은 길이를 갖는 인쇄 매체 중 하나로 취급하는 것으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지정 단계에서의 지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의 선택가능 배치 순서 및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상기 선택가능 배치 순서로부터 원하는 배치 순서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편집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의 화상 편집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 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070016045A 2006-02-15 2007-02-15 호스트 장치 및 화상 편집 방법 KR100901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38480 2006-02-15
JP2006038480 2006-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565A KR20070082565A (ko) 2007-08-21
KR100901232B1 true KR100901232B1 (ko) 2009-06-08

Family

ID=38038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045A KR100901232B1 (ko) 2006-02-15 2007-02-15 호스트 장치 및 화상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33184B2 (ko)
EP (1) EP1821189B1 (ko)
KR (1) KR100901232B1 (ko)
CN (1) CN10055756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1216B2 (ja) 2007-12-27 2012-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システム、記録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のプレビュー方法
JP6320088B2 (ja) 2014-03-06 2018-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83614B2 (ja) * 2017-10-16 2021-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
US11307818B2 (en) 2018-09-14 2022-04-19 Ccl Label, Inc. System and method for reprintable i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0153A (ja) * 1999-07-02 2001-01-16 Ricoh Co Ltd 印刷処理システム
US20030128865A1 (en) 2001-12-13 2003-07-10 White Ian H. Method of producing maps and other objects configured for presentation of spatially-related layers of data
JP2004126494A (ja) * 2002-07-30 2004-04-22 Takehiko Miyamura 地図、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システム
US20060010100A1 (en) 2004-07-29 2006-01-12 Rand Mcnally & Company Customized wall map prin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A (en) * 1841-03-16 Clamp for crimping leather
DE69313175T2 (de) * 1992-05-22 1998-01-22 Seiko Epson Corp Druck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sselben
US6141028A (en) * 1992-05-22 2000-10-31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3829898B2 (ja) 1997-06-16 2006-10-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の制御方法
JP3900700B2 (ja) * 1997-09-09 2007-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11314422A (ja) 1998-05-06 1999-11-16 Seiko Epson Corp 印刷制御方法及び装置、記録媒体
JP4261732B2 (ja) 2000-04-27 2009-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3854876B2 (ja) * 2001-03-08 2006-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印刷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7177045B2 (en) * 2001-04-13 2007-02-13 Electronics For Imaging, Inc. Process and system for mixed page imposition
EP1387289A1 (en) * 2002-08-02 2004-02-04 Agfa-Gevaert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n imposition plan
JP2006092185A (ja) 2004-09-22 2006-04-06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印刷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0153A (ja) * 1999-07-02 2001-01-16 Ricoh Co Ltd 印刷処理システム
US20030128865A1 (en) 2001-12-13 2003-07-10 White Ian H. Method of producing maps and other objects configured for presentation of spatially-related layers of data
JP2004126494A (ja) * 2002-07-30 2004-04-22 Takehiko Miyamura 地図、地図表示装置、地図表示システム
US20060010100A1 (en) 2004-07-29 2006-01-12 Rand Mcnally & Company Customized wall map prin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21189B1 (en) 2014-07-23
KR20070082565A (ko) 2007-08-21
CN101021771A (zh) 2007-08-22
US20070188807A1 (en) 2007-08-16
CN100557561C (zh) 2009-11-04
EP1821189A2 (en) 2007-08-22
EP1821189A3 (en) 2008-03-26
US8233184B2 (en)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9980A (ko) 인쇄 조건 변경 방법, 프로그램, 기억 매체, 인쇄 방법,프린터 및 인쇄 시스템
JP2009233883A (ja) 印刷装置、印刷制御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3554196B2 (ja) 広幅印刷モードを有するマルチヘッドプリンタ
KR100901232B1 (ko) 호스트 장치 및 화상 편집 방법
US7539454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US9216572B2 (en)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US8820872B2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having dual printing modes
JPH08216392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方法およびプリント装置
US8582167B2 (en) Print control apparatus, program, and print control method with reduced recording agent consumption
EP1080900B1 (en) Scanning apparatus
JP4475672B2 (ja) ホスト装置及び画像編集方法
JP2004017373A (ja) 印刷装置
JPH08104000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
JP2005288753A (ja) シリアルプリンタ、インクジェット式シリアルプリンタ、及び、ファクシミリ機能付きシリアルプリンタ
JP200710604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80555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29110B2 (ja) 画像形成指令装置及び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
JP7448417B2 (ja) 画像データ作成装置、印刷システムおよび画像データ作成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97243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シリアルプリンタ
JP6146498B2 (ja) 印刷制御装置、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印刷制御方法
JP2006289701A (ja) プリンタの制御方法、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タ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5022271A (ja) 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H0413496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71599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H11170490A (ja)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