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690B1 -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690B1
KR100900690B1 KR1020020066045A KR20020066045A KR100900690B1 KR 100900690 B1 KR100900690 B1 KR 100900690B1 KR 1020020066045 A KR1020020066045 A KR 1020020066045A KR 20020066045 A KR20020066045 A KR 20020066045A KR 100900690 B1 KR100900690 B1 KR 100900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le
trolley
molten iron
locking device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7519A (ko
Inventor
박충식
전판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6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690B1/ko
Publication of KR20040037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6Equipment for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선래들에 고정용접 되어있는 용선래들의 안착대에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고, 래들이 대차상에 안착시에는 래들 자중에 의하여 상기 홈으로 돌출하는 걸림레버들을 대차의 상부스탠드에 마련하여 래들과 대차를 결합 고정함으로써 래들의 경동시에 래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차의 상부 스탠드 오목부에 용선래들의 안착대를 위치시킨 후, 래들을 경동시켜 용선상의 슬래그를 제거하는 공정에서 용선래들을 대차상에서 경동시 발생되는 래들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선래들의 안착대 일측에는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고, 래들이 대차상에 안착시에는 래들 자중에 의하여 하향되는 눌림봉과, 상기 눌림봉의 하향이동에 의해서 상기 홈으로 돌출하는 걸림레버들을 대차의 상부스탠드에 다수개 마련하여 래들의 경동시에 상기 걸림레버와 요홈의 결합을 통하여 래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20066045
대차, 용선래들, 경동, 래들 흔들림,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

Description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CKING LADLE TO A MOVING CART}
제 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 래들이 대차의 상부측에서 경사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 대차상에 래들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3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 대차상에 래들이 안착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측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를 구비하여 래들이 대차의 상부측에서 경사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를 상세히 분해하여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를 도시한 작동 상세도로서,
a)도는 대차상에 래들이 안착되지 않은 경우,
b)도는 대차상에 래들이 안착된 경우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요홈 15..... 눌림봉
17..... 구멍 20.... 걸림레버
21a.... 접촉면 21b.... 피스톤부
21c.... 직선부 21d.... 구형 지지면
30..... 링크부재 40.... 수직대
42,47.... 핀 45.... 힌지(hinge)
50.... 구멍 52.... 쐐기형 절단부
55.... 경사면 60.... 경사진 구멍
70.... 스토퍼 100.... 래들
110... 대차 112... 스탠드
115.... 경동 받침대 117.... 핀
120.... 슬래그 스키머(slag skimmer)
122.... 유압 실린더 124.... 로드
본 발명은 용선래들을 안착 후 경동시켜 용선상의 슬래그를 제거하는 설비에서 용선래들을 대차상에서 경동시 발생되는 래들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용선래들에 고정용접 되어있는 용선래들의 안착대에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고, 래들이 대차상에 안착시에는 래들 자중에 의하여 상기 홈으로 돌출하는 걸림레버들을 대차의 상부스탠드에 마련하여 래들과 대차를 결합 고정함으로써 래들의 경동시에 래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래들(100)은 그 내부에 용선을 담는 용기이고, 이러한 래들(100)은 대차(110)상에 실려서 후속공정으로 이동되어진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들(100)에 담긴 용선상부에 위치하는 슬래그를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며, 이와 같이 슬래그를 제거하는 공정에서는 대차(110)상에서 래들(100)을 일정각도로 기울이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기울어진 래들(100)의 상부측으로 슬래그 스키머(slag skimmer)(120)가 위치되어 용선상의 슬래그를 래들(100)의 외측으로 긁어 제거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차(110)의 상부에는 스탠드(112)가 마련되어 래들(100)이 안착되며, 상기 상부 스탠드(112)의 상부측으로는 래들(100)의 양측에 마련된 안착대(102)가 중앙에 위치되어 지지되는 경동 받침대(115)이 위치된다.
상기 경동 받침대(115)는 그 일단이 대차(110)의 상부 스탠드(112)의 후단에 핀(117)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경동 받침대(115)의 타단에는 상기 핀(117)의 반대측에서 각각 유압 실린더(122)가 배치되어 그 로드(124)의 단부가 상기 경동 받침대(115)의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대차(110)상에 래들(100)을 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압 실린더(122)의 로드(124)가 축소된 상태로 경동 받침대(115)을 수평으로 유지한 다음, 경동 받침대(115)의 중앙 오목부(115a)에 래들(100)의 안착대(102)가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래들(100)은 대차(110)상에서 수평으로 유지되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수평상태의 래들(100)을 대차(110)상에서 경사시키기 위해서는 대차(110)의 유압 실린더(122)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상기 래들(100)은 경동 받침대(115)의 일측이 들려짐에 따라서 오목부(115a)에 위치된 안착대(102)를 통하여 래들(100)이 들려짐으로서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사과정에서 래들(100)내에 담긴 용선은 그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출렁거림이 발생되고, 이러한 출렁거림은 안착대(102)가 오목부(115a)에 위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출렁거림에 의한 관성력으로 인하여 경사과정중에 상기 래들(100)이 대차(110)의 후방으로 넘어가려는 작용력이 돌발적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래들(100)이 대차(110)상에서 들썩거리게 되어 작업안전상 매우 위험하다. 그리고, 용선래들(100) 내부에 차 있는 용선이 흔들려서 용선래들(100)에 담겨져 있는 슬래그를 배재시키는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초래된다. 또한 용선이 진동과 출렁거림으로 인해 래들(100)의 외부로 유출된다.
따라서, 설비사고의 위험성과 작업 안전의 위험성이 매우 큰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용선 래들의 이송과정에서 용선상부의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하여 래들을 대차상에서 경사시키는 경우, 용선의 출렁거림이 발생하여도 래들을 대차상에 견고히 고정하여 래들이 대차의 후방측으로 넘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서 안정된 상태의 래들 경사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차의 상부 스탠드 오목부에 용선래들의 안착대를 위치시킨 후, 래들을 경동시켜 용선상의 슬래그를 제거하는 공정에서 용선래들을 대차상에서 경동시 발생되는 래들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선래들의 안착대 일측에는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고, 래들이 대차상에 안착시에는 래들 자중에 의하여 하향되는 눌림봉과, 상기 눌림봉의 하향이동에 의해서 상기 홈으로 돌출하는 걸림레버들을 대차의 상부스탠드에 다수개 마련하여 래들의 경동시에 상기 걸림레버와 요홈의 결합을 통하여 래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1)는 도 4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선래들(100)의 안착대(102) 일측에는 다수의 요홈(10)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10)에 걸려서 결합되는 다수의 걸림레버(20)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요홈(10)은 안착대(102)의 일측면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는 래들(100)의 전방측면에 요홈(10)들이 형성되는 바, 이는 래들(100)이 후방으로 경사 회동되어지는 경우, 요홈(10)과 걸림레버(20)의 보다 효과적인 걸림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대차(110)의 상부 스탠드(112)에는 래들(100)이 대차(110)상에 안착되는 경우 래들(100) 자중에 의하여 하향되는 눌림봉(15)과, 상기 눌림봉(15)의 하향이동에 의해서 상기 요홈(10)으로 돌출하는 걸림레버(20)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눌림봉(15)은 상부 스탠드(112), 특히 상기 안착대(102)를 지지하는 오목부(115a)가 형성된 경동 받침대(115)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구멍(17)내에 장착되며, 상기 구멍(17)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눌림봉(15)은 링크부재(30)를 통하여 상기 걸림레버(20)들을 승,하강시키는 수직대(40)를 상하 작동시키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눌림봉(15)의 하단은 핀(42)을 통하여 링크부재(3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링크부재(30)의 중앙은 힌지(hinge)(45)를 통하여 상기 경동 받침대(115)의 하부측 공간에 배치되어 상부 스탠드(112)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30)의 타단은 수직대(40)측으로 연장되어 핀(47)을 통하여 상기 수직대(4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직대(40)는 상기 경동 받침대(115)의 일측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구멍(50)내에서 활주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직대(40)는 사각단면을 가진 것으로서 상기 구멍(50)에 일치하여 승하강하고, 일측면에는 다수의 쐐기형 절단부(52)를 형성하여 상기 절단부(52)에서 각각 경사면(55)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사면(55)은 걸림레버(20)의 후단부를 밀어 올리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경사면(55)들은 상기 구멍(50)과 연통하여 있고, 걸림레버(20)들이 삽입되는 경동 받침대(115)상의 경사진 구멍(60)들을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걸림레버(20)들은 각각 경동 받침대(115)상에 마련된 다수의 경사진 구멍(60)들내에서 미끄러짐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 그 전단부는 둥근 구형의 접촉면(21a)을 가지고, 상기 접촉면(21a)에 연이어서 상기 경사진 구멍(60)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활주이동하는 피스톤부(21b)을 형성하며, 그 후방으로는 직경이 축소된 직선부(21c)를 형성하고, 상기 직선부(21c)의 후단에는 구형 지지면(21d)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레버(20)는 그 후단의 지지면(21d)이 상기 수직대(40)의 경사면(55)에 접촉되어 수직대(40)의 상승으로 상기 걸림레버(20)는 상승하여 상기 경사진 구멍(60)의 전방측으로 돌출하고 접촉면(21a)들이 상기 래들(100)의 안착대(102)의 요홈(10)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부(21b)들은 경사진 구멍(60)내에서 직선적으로 활주 이동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70)는 스토퍼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1)는 대차(110)의 상부스탠드(112)에 걸림레버(20)들을 다수개 마련하여 래들(100)의 경동시에 상기 걸림레버(20)와 래들(100)의 요홈(10)의 결합을 통하여 래들(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대차(110)상에 래들(100)이 안착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도 6a) 에서와 같이, 수직대(40)의 자중이 눌림봉(15)의 자중보다 현저하게 크므로, 수직대(40)는 하강하고 눌림봉(15)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 수직대(40)는 그 경사면(55)들이 하강한 상태이므로 걸림레버(20)들은 경사진 구멍(60)내에서 하강하여 공간(52)내에 지지면(21d)이 위치되어짐으로서 안착대(102)가 위치할 오목부(115a) 공간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이며, 수직대(40)의 하단은 스토퍼(70)에 지지되어 정지되며, 상기 눌림봉(15)은 안착대(102)가 위치할 오목부(115a)의 공간측으로 그 상단이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대차(110)상에 래들(100)을 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유압 실린더(122)의 로드(124)가 축소된 상태로 경동 받침대(115)를 수평으로 유지한 다음, 경동 받침대(115)의 중앙 오목부(115a)에 래들(100)의 안착대(102)가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래들(100)은 대차(110)상에서 수평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대차(110)상에 래들(100)이 위치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들(100)의 안착대(102)가 오목부(115a)로 위치되면서, 래들(100)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안착대(102)의 하면이 눌림봉(15)을 하부측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눌림봉(15)의 하향 이동은 링크부재(30)를 통하여 수직대(40)의 상승을 초래하고, 이러한 수직대(40)의 상승은 경사면(55)의 상승을 초래하여 경사면(55)들이 걸림레버(20)의 후단을 밀어 올림으로서 걸림레버(20)가 상기 안착대(102)의 요홈(10)들의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래들(100)의 안착대(102)가 상기 중앙 오목부(115a)에 위치된 후에 상기 래들(100)이 후방으로 경사회동되는 경우 상기 경동받침대(115)의 중앙 오목부(115a)는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래들(10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안착대(102)는 상기 중앙 오목부(115a)의 측면을 따라 아래방향으로 미끄러지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래들(100)이 후방으로 경사회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안착대(102)의 하면이 상기 중앙 오목부(115a)에 돌출된 눌림봉(15)을 누르게 되므로 상기 걸림레버(20)가 상기 안착대(102)의 요홈(10)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려있는 상태가 유지되어 래들(100)을 대차(110)상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용선래들(100)에 고정 용접된 용선래들 안착대(102)를 대차(110)상에 견고히 고정한다. 이렇게 하면 경동대차(110)가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하여 경동하는 경우라도, 래들(100)의 그 내부에 담긴 용선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안착대(102)가 경동 받침대(115)에 걸림레버(20)와 요홈(10)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흔들림 없이 자연스럽게 경동되어진다.
따라서, 용선의 진동으로 인한 용선유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래들(100)이 대차(110)로 전도되어지는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설비 자체내 충격에 의한 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슬래그의 제거가 완료되어 래들(100)을 다시 수평으로 원위치시키고, 래들(100)을 대차(110)로 부터 들어 올리면, 래들(100)의 상승과 함께 수직대(40)가 하강하고 눌림봉(15)이 상승하면서 걸림레버(20)들은 경사진 구멍(60)의 내측으 로 하강됨으로서 래들(100)의 안착대(102)의 요홈(10)으로 부터 빠지게 되어 대차(110)로 부터 래들(100)이 상승되어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안착대(102)의 일측방에 요홈(10)들이 다수개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안착대(102)의 양측방에 요홈(10)들을 형성하고 걸림레버(20)들을 이에 맞추어 대향 배치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1)에 의하면, 용선 래들(100)의 이송과정에서 용선상부의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하여 래들(100)을 대차(110)상에서 경사시키는 경우, 용선의 출렁거림이 발생하여도 대차(110)의 경동 받침대(115)로 부터 돌출하는 걸림레버(20)들이 래들(100)의 안착대(102)에 마련된 요홈(10)으로 삽입되어 래들(100)을 대차(110)상에 견고히 고정시킴으로서, 래들(100)이 대차(110)의 후방측으로 넘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안정된 상태의 래들 경사작업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대차(110)의 상부 스탠드(112) 오목부(115a)에 용선래들(100)의 안착대(102)를 위치시킨 후 래들(100)을 경동시켜 용선상의 슬래그를 제거하는 공정에서 용선래들(100)을 대차(110)상에서 경동시 발생되는 래들(10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선래들(100)의 안착대(102) 일측에는 다수의 요홈(10)을 형성하고, 래들(100)이 대차(110)상에 안착시에는 래들 자중에 의하여 하향되는 눌림봉(15)과, 상기 눌림봉(15)의 하향이동에 의해서 상기 요홈(10)으로 돌출하는 걸림레버(20)들을 대차(110)의 상부스탠드(112)에 다수개 마련하여 래들(100)의 경동시에 상기 걸림레버(20)와 요홈(10)의 결합을 통하여 래들(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봉(15)은 링크부재(30)를 통하여 상기 걸림레버(20)들을 승,하강시키는 수직대(40)를 상하 작동시키고, 상기 눌림봉(15)의 하단은 핀(42)을 통하여 링크부재(3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링크부재(30)의 중앙은 힌지(hinge)(45)를 통하여 상기 경동 받침대(115)의 하부측 공간에 배치되어 상부 스탠드(112)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링크부재(30)의 타단은 수직대(40)측으로 연장되어 핀(47)을 통하여 상기 수직대(4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40)는 사각단면을 가진 것으로서 경동 받침대(115)에 마련된 구멍(50)에 일치하여 승하강하고, 일측면에는 다수의 쐐기형 절단부(52)를 형성하여 상기 절단부(52)에서 각각 경사면(55)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55)들은 상기 구멍(50)과 연통하여 있고, 걸림레버(20)들이 삽입되는 경동 받침대(115)상의 경사진 구멍(60)들을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레버(20)들은 각각 경동 받침대(115)상에 마련된 다수의 경사진 구멍(60)들내에서 미끄러짐 이동하기 위하여 그 전단부는 둥근 구형의 접촉면(21a)을 가지고, 상기 접촉면(21a)에 연이어서 상기 경사진 구멍(60)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활주이동하는 피스톤부(21b)을 형성하며, 그 후방으로는 직경이 축소된 직선부(21c)를 형성하고, 상기 직선부(21c)의 후단에는 구형 지지면(21d)을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102)의 양측방에는 요홈(10)들을 형성하고, 걸림레버(20)들을 이에 맞추어 대향 배치하여 결합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
KR1020020066045A 2002-10-29 2002-10-29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 KR100900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045A KR100900690B1 (ko) 2002-10-29 2002-10-29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045A KR100900690B1 (ko) 2002-10-29 2002-10-29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519A KR20040037519A (ko) 2004-05-07
KR100900690B1 true KR100900690B1 (ko) 2009-06-01

Family

ID=3733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045A KR100900690B1 (ko) 2002-10-29 2002-10-29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4395A (zh) * 2012-07-04 2012-10-24 新兴铸管股份有限公司 钢包车渣车整体移动装置
CN112974787A (zh) * 2021-02-09 2021-06-18 浙江友谊新材料有限公司 关于翻转钢包热修补的转运平板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429A (ko) * 1994-11-30 1996-06-17 배순훈 모니터의 화면 밝기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429A (ko) * 1994-11-30 1996-06-17 배순훈 모니터의 화면 밝기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519A (ko) 200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43280A (en) Lift truck stacker
JP6566504B1 (ja) バッテリーキャリア
KR100900690B1 (ko) 래들과 대차의 자동잠금장치
JP2004519568A (ja) 足場用連結装置
KR101667294B1 (ko) 원료 공급장치
JP2020069911A (ja) バッテリーキャリア
KR100817180B1 (ko) 스탠드 더스트 제거기능을 구비하는 래이들 안착장치
JP6336366B2 (ja) 積荷移動台車
JP4257953B2 (ja) パレット固定装置
JP3311659B2 (ja) アタッチメント固定装置
JP4817223B2 (ja) フォークリフト
JP5159446B2 (ja) 杭打機及びリーダの組立方法
KR20220117886A (ko) 콘솔의 틸트 구조 및 콘솔
JPS58119598A (ja) 車両用ホイスト
US4821106A (en) Apparatus for loading television camera or the like
KR20090000250U (ko) 무게 중심 축을 개량한 수직 적재식 손수레
JP3103512U (ja) 溝蓋取外し装置
KR100692707B1 (ko) 유압 잭
CN220701713U (zh) 一种用于倒锥型钝头体工件运输的底座结构
JP3299128B2 (ja) フォーク固定装置
JP2008062726A (ja) 折り畳み自在搬送用台車の荷支持台係止装置
KR20220166941A (ko) 팔레트 클램프 장치
JP2000344490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パレット固定装置
JP2022152495A (ja) 積荷移動台車
JP4586143B2 (ja) ロ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