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633B1 -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633B1
KR100900633B1 KR1020020062005A KR20020062005A KR100900633B1 KR 100900633 B1 KR100900633 B1 KR 100900633B1 KR 1020020062005 A KR1020020062005 A KR 1020020062005A KR 20020062005 A KR20020062005 A KR 20020062005A KR 100900633 B1 KR100900633 B1 KR 100900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steel sheet
air
cooling water
t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3107A (ko
Inventor
강대운
김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62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633B1/ko
Publication of KR2004003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18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strips, sheet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33Spray nozzles, Nozzle headers; Spr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냉식 또는 공냉식으로 강판을 냉각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열연코일(140)로부터 풀려져 냉간압연공정으로 투입되는 강판을 냉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판이 일방향 진행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하부탱크(11)(12)를 갖추고, 상기 상,하부탱크(11)(12)사이의 상하간격을 조절하는 상,하부실린더(13)(14)를 갖추어 상기 강판의 진행라인에 설치되는 본체부(10); 상기 상,하부탱크(11)(12)의 입측 내부에서 상기 강판의 상,하부면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상,하부냉각수분사관(31)(32)을 강판폭방향으로 각각 설치하고, 상기 하부탱크(12)의 하부공간에 강판과 열교환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펌프(36) 갖추어 상기 강판을 수냉시키는 수냉부(30); 상기 상,하부탱크(11)(12)의 중간측 내부에 상기 강판의 상,하부면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하부에어분사관(51)(52)을 강판폭방향으로 각각 설치하여 강판을 공냉시키는 공냉부(50) 및 상기 상,하부탱크(11)(12)의 출측 내부에 상기 강판의 상,하부면으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회전구동되는 상,하부팬(70a)(70b)을 갖추어 강판표면에 잔류하는 냉각수를 건조시키는 건조부(70)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팬(70a)(70b)은 전원인가시 회전구동원을 제공하는 모터부재(71)와, 상기 모터부재(71)의 구동축선단에 장착된 구동기어(71a)와 기어물림되는 피동기어(72a)를 키이(72b)로서 장착한 회전축(72) 및 상기 회전축(72)선단에 장착되는 날개(73)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상,하부탱크(11)(12)의 상부면에는 고온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구(74)를 갖추어 구성한다.
Figure R1020020062005
열연코일, 냉간압연, 냉각, 수냉, 공냉, 상,하부탱크, 냉각수분사관, 에어분사관

Description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AN APPARATUS FOR COOLING THE STRIP BY AIR OR WAT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열연코일을 냉각하는 작업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를 도시한 전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상부측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하부측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에 채용되는 압력조절펌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에 채용되는 냉각탑을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2 ... 상,하부탱크 13,14 ... 상,하부실린더
31,32 ... 상,하부냉각수분사관 33,34 ... 상,하부박스부재
40 ..... 압력조절펌프 41 ..... 연결잭
42 ..... 압력조절밸브 51,52 ... 상,하부에어분사관
53,54 ... 에어공급라인 61,62 ... 상,하부텐션롤
63 ..... 센서부재 70a,70b ... 상,하부팬
110 ..... 텐션릴 120 ..... 용접기
본 발명은 수냉식 또는 공냉식으로 강판을 냉각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열연코일을 풀어 냉간압연하는 공정시 열연코일을 냉각하는 시간을 단축하여 수요가가 원하는 납기를 만족시킬 수 있고, 냉간압연공정의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냉시 발생되는 녹결함을 예방하여 박판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수 있는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열연공장에서 생산된 열연코일을 냉연공장까지 운반한 다음, 압연기로서 압하하여 냉연강판을 제조하는 공정시 상기 열연코일의 표면온도가 상승하여 곧바로 냉간압연작업을 실시하기가 곤란하다.
이에 따라, 고온상태의 열연코일은 장시간 코일 야적장에다 쌓아놓고 코일을 일정온도이하로 냉각시킨후 언코일링하여 냉간압연을 위한 압연공정에 투입하였다.
한편, 압연공정의 변화와 수요가의 만족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열연공장에서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된 열연코일을 냉각하는 종래의 작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크레인(130)을 이용하여 권취된 열연코일(140)을 권상하고, 권상된 코일(140)을 일정량의 냉각수가 채워진 냉각탱크(160)에 대부분을 담그어 고온상태의 열연코일(140)을 냉각한 다음, 냉각된 열연코일(140)은 이동대차에 적재하여 냉연공장으로 운반하고, 운반된 열연코일(140)은 냉간압연을 통하여 최종제품으로 생 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열연코일 냉각작업은 권취된 열연코일의 강판의 두께가 0.6T 이상인 후판의 경우, 상기 냉각탱크(150)의 냉각수로서 수냉하여도 강판제품에 별다른 결함이 발생되지 않지만, 판두께가 0.6T이하인 박판의 경우에는 판표면에 수냉시 침투된 냉각수에 의하여 녹이 발생되고, 상기 녹에 의하여 판표면에 마크등이 발생되어 강판제품의 품질 및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열연코일의 냉간압연을 위한 코일냉각을 최단시간내에 수행하여 수요가의 납기를 만족시킬 수 있고,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녹에 의한 강판표면의 부식을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의 압연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수공냉식 강판냉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열연코일로부터 풀려져 냉간압연공정으로 투입되는 강판을 냉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판이 일방향 진행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하부탱크를 갖추고, 상기 상,하부탱크사이의 상하간격을 조절하는 상,하부실린더를 갖추어 상기 강판의 진행라인에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상,하부탱크의 입측 내부에서 상기 강판의 상,하부면으로 냉각수를 분 사하도록 상,하부냉각수분사관을 강판폭방향으로 각각 설치하고, 상기 하부탱크의 하부공간에 강판과 열교환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펌프를 갖추어 상기 강판을 수냉시키는 수냉부;
상기 상,하부탱크의 중간측 내부에 상기 강판의 상,하부면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하부에어분사관을 강판폭방향으로 각각 설치하여 강판을 공냉시키는 공냉부 및
상기 상,하부탱크의 출측 내부에 상기 강판의 상,하부면으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회전구동되는 상,하부팬을 갖추어 강판표면에 잔류하는 냉각수를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팬은 전원인가시 회전구동원을 제공하는 모터부재와, 상기 모터부재의 구동축선단에 장착된 구동기어와 기어물림되는 피동기어를 키이로서 장착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선단에 장착되는 날개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상,하부탱크의 상부면에는 고온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구를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상부측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하부측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에 채용되는 압력조절펌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에 채용되는 냉각탑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1)는 도 2 내지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열간압연공정에 의해 압연된 강판이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된 열연코일(140)을 일방향으로 풀림진행시키는 텐션릴(110)과 선,후행강판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용접기(120)사이에 구비되어 열연 코일의 열연강판을 냉간압연공정으로 최소한의 짧은 시간내에 투입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풀림진행되는 강판을 냉각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1)는 본체부(10), 수냉부(30), 공냉부(50) 및 건조부(7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텐션릴(110)로부터 풀려진 강판이 용접기(120)측으로 일방향 진행되는 강판라인에 갖추어지는 본체부(10)는 상부탱크(11)와 하부탱크(12)로 구성되는바, 상기 상,하부탱크(11)(12)는 상기 강판이 일방향 진행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하합형되고, 상기 상부탱크(11)에 설치되는 상부실린더(13)의 로드하부단은 상기 하부탱크(12)의 상부면테두리에 형성된 하부요홈(13a)에 접하고, 상기 하부탱크(12)에 설치되는 하부실린더(14)의 로드상부단은 상기 상부탱크(11)의 하부면데두리에 형성된 상부요홈(미도시)에 접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상,하부탱크(11)(12)간의 간격은 상기 탱크(11)(12)에 설치된 상,하부실린더(13)(14)의 상하작동에 의해서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탱크(12)의 일측은 지지빔(19)에 지지되고, 타측은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상부탱크(11)의 좌우양측면에는 상기 상,하부탱크(11)(12)사이의 틈새로 냉각수가 외부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개의 고정볼트(15c)로서 측면비산방지용 커튼(15a)을 장착하고, 상기 상,하부탱크(11)(12)의 입구측에도 상기 강판표면상으로 분사된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또다른 고정볼트(15c)로서 전면비산방지용 커버(15b)(15d)를 각각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탱크(11)(12)사이의 통로를 통하여 일방향 진행되는 강판표면을 냉각수로서 냉각하는 수냉부(30)는 상기 상,하부탱크(11)(12)의 입측 내부에서 상기 강판의 상,하부면과 서로 대응하는 복수개 분사노즐(31a)(32a)을 각각 갖는 상,하부냉각수분사관(31)(32)을 각각 갖추어 구성하는바, 상기 분사관(31)(32)은 상기 상,하부탱크(11)(12) 입구측에 볼트부재(35)로서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기 강판의 상,하부면과 대응하는 면이 개구된 상,하부박스부재(33)(34)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부면이 개구된 하부박스부재(34)의 바다면에는 상기 강판측으로 분사된 냉각수를 하부로 낙하배출할 수 있도록 낙수공(34a)을 복수개 관통형성하며, 상기 상,하부냉각수분사관(31)(32)의 각 일단은 냉각수공급라인에 각각 연통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탱크(12)의 하부공간에는 강판과 열교환된 냉각수를 일시저장할수 있는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공간에는 드레인배관(36a)을 통하여 상기 하부탱크(12)내의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인펌프(36)를 장착한다.
또한, 상기 하부탱크(12)내부에는 강판과 열교환된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37a)를 갖추며, 상기 필터부재(37a)는 상기 하부탱크(12)내,외부로 인출입가능하게 조립된 프레임(37)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냉각수분사관(31)(32)을 통과하면서 수냉된 강판을 연속하여 공냉시키는 공냉부(50)는 상기 상,하부탱크(11)(12)의 길이중간인 중간측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진행하면서 1차로 수냉된 강판의 상,하부면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분사노즐(51a)(52a)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에어공급 라인(53)(54)과 각각 연결된 상,하부에어분사관(51)(52)을 강판폭방향으로 각각 수평하게 장착한다.
한편, 상기 수냉부(30), 공냉부(50)를 연속하여 거치면서 1,2차에 걸쳐 냉각되는 동안에도 강판표면에 잔류하는 냉각수를 제거하는 건조부(70)는 상기 상,하부탱크(11)(12)의 출측 내부에서 상기 강판의 상,하부면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표면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도록 회전구동되는 상,하부팬(70a)(70b)을 각각 갖추어 구성하는바, 상기 상,하부팬(70a)(70b)은 전원인가시 회전구동원을 제공하는 모터부재(71)와, 상기 모터부재(71)의 구동축선단에 장착된 구동기어(71a)와 기어물림되는 피동기어(72a)를 키이(72b)로서 장착한 회전축(72) 및 상기 회전축(72)선단에 장착되는 날개(73)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상,하부탱크(11)(12)의 상부면에는 고온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구(74)를 갖추어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부재(71)는 상기 상,하부탱크(11)(12)상부면에 관통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피동기어(72a)를 갖는 회전축(72)의 상단은 상기 상,하부탱크(11)(12)에 고정설치되는 플레이트(75)에 한쌍의 슬리브(75a)(75c), 베어링부재(75b)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회전축(72)의 하단부는 날개(73)의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스토퍼링(72c)이 장착되는 한편, 상기 배기구(74)에는 이물의 내부유입이 곤란하도록 철망이 갖추어져도 좋다.
그리고, 상기 공냉부(50)와 건조부(70)사이에는 일방향 진행하는 강판을 지지하도록 그 외부면에 외접한 상태에서 구동모터(61a)(62a)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상,하부텐션롤(61)(62)과, 상기 강판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재(63)를 갖추어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냉각수분사관(31)(32)에는 제 1,2냉각수공급라인(31b)(32b)을 매개로 압력조절펌프(40)를 갖추어 구성하는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펌프(40)는 일정온도로 냉각된 냉각수가 유입되는 메인냉각수라인(49)과 연결되는 연결잭(41)과, 냉각수공급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밸브(42)와, 조절된 압력을 확인할수 있는 압력게이지(43)를 갖추어 구성한다.
도 5에서 미설명부호 42a는 상기 압력조절볼트를 고정하는 스토퍼이고, 44는 펌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이며, 45는 밸브고정용 볼트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탱크(12)내에 설치된 드레인펌프(36)의 드레인배관(36a)을 통하여 외부로 드레인되는 냉각수를 수거하여 재사용가능하도록 냉각수를 일정온도이하로 냉각시키는 냉각탑(80)을 갖추어 구성하는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냉각탑(80)은 상기 드레인배관(36a)을 통하여 유입된 냉각수를 하부로 분사하도록 복수개의 분사노즐(81a)을 갖는 상부관(81)과, 충진재(82)를 통과하면서 이물이 제거된 냉각수가 유입되고, 메인냉각수라인(49)에 연결된 하부조(83) 및 내부공간으로 찬외부공기를 공급하도록 냉각팬(84)를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부재(8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탑(80)의 상부면에는 외기의 흡입 및 배기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관통구(88)를 형성하고, 상기 모터부재(85)는 벨트부재 ,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수단(89)을 매개로 하여 상기 냉각팬(84)의 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도록 구성 하는 한편, 상기 상부관(81)의 직상부에는 비산된 냉각수를 흡수제거하는 비산제거부재(86)를 장착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두루마리형태로 감겨진 열연코일을 텐션릴로부터 풀어 냉각압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텐션릴(110)에 인입된 열연코일(140)의 강판은 용접기(120)측으로 서서히 풀려지면서 강판진행라인을 따라 이동되는바, 상기 풀려진 강판은 상,하부탱크(11)(12)사이에 형성된 통로의 입측으로 진입되어 출측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탱크(11)(12)의 입측에 설치된 수냉부(30)에서의 수냉작업은 상,하부냉각수분사관(31)(32)으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일방향 진행하는 강판의 상,하부면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강판을 1차로 수냉시킨다.
그리고, 상기 강판과 열교환된 냉각수는 하부탱크(12)의 필터부재(37)를 통과하면서 이물이 제거되고, 상기 하부탱크(12)의 일측 하부에 저장된 다음, 드레인펌프(36)의 작동에 의해서 드레인배관(36a)을 통하여 냉각탑(80)으로 이송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일정온도이하로 냉각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탑(80)은 냉각수의 요구열량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85)의 구동에 의해 냉각팬(84)을 회전구동시키면, 관통구(88)를 통하여 대기중의 공기가 최적의 상태로 내부흡입되고, 고온의 강판과의 열교환에 의해서 열부하를 갖는 냉각수는 상부관(81)의 물분배계 분사노즐(81a)에서 잘게 부서져 상기 충진재(82)의 상부 전면에 고르게 분사되고, 상기 충진재(82)의 골을 따라 중력아래로 낙하하는 동안 차가운 공기와 냉각수가 직접 접촉하면서 증발잠열과 공기와 물의 온도차에 의해서 드레인된 냉각수를 일정온도이하로 냉각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냉각된 냉각수는 하부조(83)를 통하여 압력조절펌프(40)로 공급되어 상기 상,하부냉각수분사관(31)(32)을 통하여 분사되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수냉부(30)를 통과하면서 1차로 냉각된 강판은 상,하부에어분사관(51)(52)을 통과하면서 분사노즐(51a)(52a)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서 2차로 냉각됨과 동시에 강판표면에 잔류하는 냉각수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냉부(50)를 통과하는 강판을 감지하는 센서부재(63)에 의해서 강판진입이 감지되면, 구동모터(61a)(62a)의 구동에 의해서 상,하부텐션롤(61)(62)이 회전구동되어 일방향 진행하는 강판을 지지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건조부(70)의 상,하부팬(70a)(70a)의 모터부재(71)를 작동시켜 날개(73)를 일방향으로 회전구동킨다.
이러한 경우, 일방향 회전구동되는 날개(73)에 의해서 발생된 건조한 바람이 상기 상,하부탱크(11)(12)의 내부를 통과하는 강판 상,하부면에 부딪히면서 강판에 잔류하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게 되고, 탱크내의 공기는 배기구(74)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간압연 작업시 연속적인 작업에서도 열연코일로부터 풀려진 강판의 냉각을 고압,고속으로 상,하부 냉각수분사관에서 1차로 수냉시키고, 상,하부에어분사관에서 2차로 공냉시킴과 동시에 상,하부팬으로 완전 건조시킴으로써, 열연코일의 강판을 종래와 같이 장시간 방치하여 냉각할 필요없이 최단시간내에 일정온도로 냉각하여 냉간압연공정에 투입할수 있기 때문에 수요가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고객만족도를 높일수 있으며, 작업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한편, 녹에 의한 강판표면의 부식을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의 압연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열연코일(140)로부터 풀려져 냉간압연공정으로 투입되는 강판을 냉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판이 일방향 진행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하부탱크(11)(12)를 갖추고, 상기 상,하부탱크(11)(12)사이의 상하간격을 조절하는 상,하부실린더(13)(14)를 갖추어 상기 강판의 진행라인에 설치되는 본체부(10);
    상기 상,하부탱크(11)(12)의 입측 내부에서 상기 강판의 상,하부면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상,하부냉각수분사관(31)(32)을 강판폭방향으로 각각 설치하고, 상기 하부탱크(12)의 하부공간에 강판과 열교환된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펌프(36) 갖추어 상기 강판을 수냉시키는 수냉부(30)
    상기 상,하부탱크(11)(12)의 중간측 내부에 상기 강판의 상,하부면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하부에어분사관(51)(52)을 강판폭방향으로 각각 설치하여 강판을 공냉시키는 공냉부(50) 및
    상기 상,하부탱크(11)(12)의 출측 내부에 상기 강판의 상,하부면으로 외기를 공급하도록 회전구동되는 상,하부팬(70a)(70b)을 갖추어 강판표면에 잔류하는 냉각수를 건조시키는 건조부(70)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팬(70a)(70b)은 전원인가시 회전구동원을 제공하는 모터부재(71)와, 상기 모터부재(71)의 구동축선단에 장착된 구동기어(71a)와 기어물림되는 피동기어(72a)를 키이(72b)로서 장착한 회전축(72) 및 상기 회전축(72)선단에 장착되는 날개(73)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상,하부탱크(11)(12)의 상부면에는 고온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구(74)를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탱크(12)내부에는 강판과 열교환된 냉각수에 포함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37a)를 갖추며, 상기 필터부재(37a)는 상기 하부탱크(12)내,외부로 인출입가능하게 조립된 프레임(37)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냉부(50)와 건조부(70)사이에는 일방향 진행하는 강판을 지지하도록 그 외부면에 외접한 상태에서 구동모터(61a)(62a)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상,하부텐션롤(61)(62)과, 상기 강판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재(63)를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냉각수분사관(31)(32)에는 제 1,2냉각수공급라인(31b)(32b)을 매개로 압력조절펌프(40)를 갖추며, 상기 펌프(40)는 일정온도로 냉각된 냉각수가 유입되는 메인냉각수라인(49)과 연결되는 연결잭(41)과, 냉각수공급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밸브(42)와, 조절된 압력을 확인할수 있는 압력게이지(4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탱크(12)의 드레인배관(36a)에는 드레인된 냉각수를 알정온도이하로 냉각시키는 냉각탑(80)을 갖추는바, 상기 냉각탑(80)은 복수개의 분사노즐(81a)을 갖는 상부관(81)과, 충진재(82)를 통과하면서 이물이 제거된 냉각수가 유입되고, 메인냉각수라인(49)에 연결된 하부조(83) 및 내부공간으로 찬외부공기를 공급하도록 날개(84)를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부재(8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
KR1020020062005A 2002-10-11 2002-10-11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 KR100900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005A KR100900633B1 (ko) 2002-10-11 2002-10-11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005A KR100900633B1 (ko) 2002-10-11 2002-10-11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07A KR20040033107A (ko) 2004-04-21
KR100900633B1 true KR100900633B1 (ko) 2009-06-02

Family

ID=3733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005A KR100900633B1 (ko) 2002-10-11 2002-10-11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2015A (zh) * 2020-06-20 2020-09-25 刘天芳 一种冷轧机用异常高温下辅助降温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8312A (ja) * 1993-02-18 1994-08-30 Sumitomo Metal Ind Ltd 熱延鋼板の冷却制御方法
JPH08269574A (ja) * 1995-03-30 1996-10-15 Nisshin Steel Co Ltd 金属帯板の空気冷却装置
KR970033221A (ko) * 1995-12-29 1997-07-22 한승준 비조질강의 열간단조후 냉각방법
JPH11285723A (ja) * 1998-04-02 1999-10-19 Nippon Steel Corp 薄鋼板の均一冷却方法
KR200179070Y1 (ko) * 1999-11-27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내지문 수지코팅 스트립의 혼합형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8312A (ja) * 1993-02-18 1994-08-30 Sumitomo Metal Ind Ltd 熱延鋼板の冷却制御方法
JPH08269574A (ja) * 1995-03-30 1996-10-15 Nisshin Steel Co Ltd 金属帯板の空気冷却装置
KR970033221A (ko) * 1995-12-29 1997-07-22 한승준 비조질강의 열간단조후 냉각방법
JPH11285723A (ja) * 1998-04-02 1999-10-19 Nippon Steel Corp 薄鋼板の均一冷却方法
KR200179070Y1 (ko) * 1999-11-27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내지문 수지코팅 스트립의 혼합형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107A (ko)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4556B2 (ja) スラリー噴射スケール除去セルでのスケール除去により錆抑制薄板金を作成する方法
US72998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lized control of heat flux in thin cast strip
US7922830B1 (en) Immersion cleaner for print rollers
JP6233341B2 (ja) 金属帯の水切り装置および金属帯の水切り方法
JP2009525182A5 (ko)
KR100723185B1 (ko) 강판 탈지 장치
KR100643363B1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압연유 분사장치
KR100900633B1 (ko) 수공냉식 강판 냉각장치
CN206519387U (zh) 工件表面污垢的清洗机
JP4897478B2 (ja) スラブ或いはシートを冷却槽内の水中で冷却する、或いは焼入れする装置
KR101189515B1 (ko) 스케일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A11121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trip
KR101134452B1 (ko) 압연 및 열연 공정에서의 강판 열전달 촉진장치 및 방법
JP4926592B2 (ja) 塗布製品の製造方法
KR101421835B1 (ko) 압연유 흄 제거 시스템
KR200205538Y1 (ko) 산세라인 솔트린스의 분사노즐 막힘 방지장치
KR101442902B1 (ko) 쿨링 타워의 필터링 장치
JP4983324B2 (ja) パイプ焼入れ装置
KR101990950B1 (ko) 열간압연공정의 분말 도포장치 및 분말 도포방법
CN206519382U (zh) 蒸汽排放控制装置以及清洗机的蒸汽排放装置
KR20040042633A (ko) 산세척설비의 브러쉬 피트에 설치된 스케일 제거장치
KR100525647B1 (ko) 연속소둔라인의 스트립 부착 간지 제거장치
CN218611608U (zh) 一种高合金钢铸轧一体化设备
CN213357765U (zh) 一种摇摆式铸件酸洗装置
KR100957988B1 (ko) 산세탱크 내의 부유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