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136B1 - 1-트랜지스터형 디램 - Google Patents

1-트랜지스터형 디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136B1
KR100900136B1 KR1020070104561A KR20070104561A KR100900136B1 KR 100900136 B1 KR100900136 B1 KR 100900136B1 KR 1020070104561 A KR1020070104561 A KR 1020070104561A KR 20070104561 A KR20070104561 A KR 20070104561A KR 100900136 B1 KR100900136 B1 KR 100900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region
region
word lines
contact plug
metal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9110A (ko
Inventor
장헌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70104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136B1/ko
Priority to US12/164,153 priority patent/US20090101981A1/en
Publication of KR20090039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2Bit lines

Landscapes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트랜지스터형 디램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트랜지스터가 하나의 소스를 공유하고, 비트라인이 활성영역 상부를 지나가도록 배치하여 셀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활성영역과 소자분리막을 가로지르는 제 1 및 제 2 워드라인과, 제 1 및 제 2 워드라인 사이의 활성영역 내에 형성된 공통 소스 영역과, 제 1 및 제 2 워드라인 외측부의 활성영역 내에 형성된 드레인 영역과, 공통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각각 접속된 제 1 및 제 2 금속배선 및 제 2 금속배선과 접속된 비트라인을 포함한다.
1-트랜지스터, 공통 소스

Description

1-트랜지스터형 디램{ONE TRANSISTOR TYPE DRAM}
본 발명은 1-트랜지스터형 디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1-트랜지스터형 디램 구조에서 두 개의 트랜지스터가 하나의 소스를 공유하고, 비트라인이 활성영역 상부를 지나가도록 배치하여 셀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반도체 메모리장치로서 대표적인 소자는 디램(DRAM)이다. 디램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트랜지스터(transistor)와 하나의 캐패시터(capacitor)로 이루어진 구성이 하나의 단위 셀(unit cell)을 이루게 된다.
디지탈 데이터(digital data) 1(=high) 또는 0(=low)은 캐패시터에 저장되며, 상기 캐패시터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레벨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디램은 일정 시간간격을 갖고 데이터 재충전동작인 리프레쉬(refresh)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위 셀을 갖는 디램은 디디알 시리즈(DDR(Double Data Rate SDRAM) series)로 불리우는 동기형 반도체 메모리 장치까지 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디램의 집적도(density)가 기가(Giga)급으로 갈수록 칩의 면적은 점점 더 크게 구현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는 칩의 크기가 소형화될수록 유리하게 되는 시스템(system)의 입장에서는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단위 셀을 구성하는 캐패시터는 캐패시터의 정전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부 전극의 높이를 2μm 이상으로 높게 형성하고, 유전율이 높은 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캐패시터를 패터닝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누설전류 발생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단위 셀 구조에 의해서는 비트라인이 활성영역 상부가 아닌 소자분리막 상부를 지나가도록 배치되어 디램(DRAM) 소자가 6F2 이하의 구조를 갖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
첫째, 1-트랜지스터형 디램을 구현하여 캐패시터 공정을 없앰으로써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칩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두 개의 트랜지스터가 하나의 소스를 공유하고, 비트라인이 활성영역 상부를 지나가도록 배치하여 셀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상부에 섬(island)형 금속배선을 형성하고, 섬형 금속배선과 접속하는 콘택플러그를 형성하여 드레인과 비트라인을 연결함으로써 콘택플러그의 높이를 낮춰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드레인의 표면 데미지를 방지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1-트랜지스터형 디램은 활성영역과 소자분리막을 가로지르는 제 1 및 제 2 워드라인; 제 1 및 제 2 워드라인 사이의 활성영역 내에 형성된 공통 소스 영역; 제 1 및 제 2 워드라인 외측부의 활성영역 내에 형성된 드레인 영역; 공통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각각 접속된 제 1 및 제 2 금속배선; 및 제 2 금속배선과 접속된 비트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1-트랜지스터형 디램을 구현하여 캐패시터 공정을 없앰으로써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칩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두 개의 트랜지스터가 하나의 소스를 공유하고, 비트라인이 활성영역 상부를 지나가도록 배치하여 셀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상부에 섬(island)형 금속배선을 형성하고, 섬형 금속배선과 접속하는 콘택플러그를 형성하여 드레인과 비트라인을 연결함으로써 콘택플러그의 높이를 낮춰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드레인의 표면 데미지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1-트랜지스터형 디램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0)에 활성영역(102)을 정의하는 소자분리막(104)을 형성한다.
여기서, 활성영역(102)은 I자 형태, T자 형태 및 Z자 형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활성영역(102)의 길이(a) 방향으로 중 심부의 폭과 가장자리부의 폭을 동일하거나 다르게 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활성영역(102)의 장축방향 길이(a)는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비트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축방향 길이(b) 보다 크게 형성하고, 활성영역(102)의 단축방향 길이(b)는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워드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영역(102)의 장축방향 길이(a) 방향으로 이웃한 활성영역(102) 사이에 있는 영역의 길이(c)와 활성영역(102)의 단축방향 길이(b) 방향으로 이웃한 활성영역(102) 사이에 있는 영역의 길이(d)는 서로 다르게 형성하며, 길이(c)가 길이(d)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활성영역(102)의 장축방향 길이(a)와 이웃한 활성영역(102) 사이에 있는 영역의 길이(c)는 서로 다르게 형성하며, 길이(a)가 길이(c)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활성영역(102)의 장축방향 길이(a) 내에는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2개의 워드라인, 2개의 드레인 영역 및 1개의 소스 영역이 형성되어야 하고, 활성영역(102) 사이에 있는 영역의 길이(c)는 활성영역(102) 내에 형성되는 2개의 워드라인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는 영역만 확보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활성영역(102)의 단축방향 길이(b)와 이웃한 활성영역(102) 사이에 있는 영역의 길이(d)는 서로 다르게 형성하며, 길이(b)가 길이(d)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활성영역(102)의 단축방향 길이(b)를 크게 해야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비트라인과 접속되는 드레인 영역과 반도체 기판(100)의 바디(body) 간에 전계(electric field)를 높여 터널링 효과(tunneling effect)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0) 상부에 복수개의 워드라인(106)을 형성한다.
여기서, 워드라인(106)은 활성영역(102)과 소자분리막(104)을 동시에 가로지르며, 활성영역(102) 하나에 두 개의 워드라인(10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워드라인(106)은 셀 어레이 블럭(미도시)의 일측에 위치한 서브 워드라인(미도시) 부터 셀 어레이 블럭의 타측에 위치한 서브 워드라인(미도시) 까지 라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개의 워드라인(106) 중 n번째 워드라인(106)과 n+1번째 워드라인(106)은 서로 다른 서브 워드라인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워드라인(106)은 활성영역(102) 상의 단축방향 길이(e1)와 소자분리막(102) 상의 단축방향 길이(e2)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활성영역(102) 상의 단축방향 길이(e1)는 소자의 고집적화를 위해 작게 형성하고, 소자분리막(104) 상의 단축방향 길이(e2)는 워드라인(106)에 인가되는 전압이 강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워드라인(106) 사이에 있는 영역의 길이(f)는 워드라인(106)의 단축방향 길이(e)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워드라인(106) 양측벽에 게이트 스페이서(미도시)를 형성하고, 소스/드레인 이온 주입 공정을 수행하여 워드라인(106) 양측의 활성영역(102) 내에 소스 영역(108a) 및 드레인 영역(108b)을 형성한다.
여기서, 소스 영역(108a)은 두 개의 워드라인(106) 사이의 활성영역(102) 내에 형성하고, 드레인 영역(108b)은 활성영역(102) 에지부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c를 참조하면, 소스 및 드레인 영역(108a, 108b)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개의 제 1 콘택플러그(110)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콘택플러그(110)는 소스 및 드레인 영역(108a, 108b)과 일대일 대응하여 형성하고, 제 1 콘택플러그(110)의 선폭(g)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콘택플러그(110)는 원형 형태 또는 타원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콘택플러그(110)의 선폭(g)은 워드라인(106) 사이에 있는 영역의 길이(f)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1 콘택플러그(110)는 높이가 낮아 수직(vertical) 하게 형성할 수 있어 콘택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d를 참조하면, 소스 영역(108a)과 접속되는 제 1 콘택플러그(110) 상부에 제 1 금속배선(112a)을 형성한다. 동시에, 드레인 영역(108b)과 접속되는 제 1 콘택플러그(110) 상부에 제 2 금속배선(112b)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금속배선(112a)은 소스 영역(108a)을 서로 연결하여 공통 소스 로 사용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워드라인(106)과 평행한 방향에서 양쪽의 워드라인(106)과 각각 10~100nm 만큼 중첩되도록 라인(line)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셀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워드라인(106)에 인가되는 전압이 강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 1 금속배선(112a)에는 트랜지스터 동작시 소스 영역(108a)에서 드레인 영역(108b)으로 전류 경로가 형성되도록 접지전압 VSS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금속배선(112b)은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제 2 콘택플러그와 중첩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섬(island)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섬 형태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금속배선(112b)은 활성영역(102) 상의 워드라인(106)과 소자분리막(104) 상의 워드라인(106)에 각각 10~100nm 만큼 중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활성영역(102) 상의 워드라인(106)에 중첩되는 폭과 소자분리막(104) 상의 워드라인(106)에 중첩되는 폭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금속배선(112a)의 단축방향 길이(h)는 제 2 금속배선(112b)의 길이(i)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금속배선(112b)은 활성영역(102) 상의 단축방향 길이(h)와 소자분리막(104) 상의 단축방향 길이(h)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금속배선(112b) 상부에 제 2 콘택플러 그(114)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 2 콘택플러그(114)는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비트라인과 드레인 영역(108b)을 접속시키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원형 형태 또는 타원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콘택플러그(114)는 제 1 콘택플러그(110)과 축(on-axis)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제 1 콘택플러그(110)와 중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금속배선(112b)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콘택플러그(114) 상부에 복수개의 비트라인(116)을 형성한다.
여기서, 비트라인(116)은 워드라인(106) 및 제 1 금속배선(112a)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비트라인(116)의 단축방향 길이(k)는 활성영역(102)의 단축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트라인(116) 사이에 있는 영역의 길이(l)는 비트라인(116)의 단축방향 길이(k)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개의 워드라인(106)이 하나의 소스 영역(108a)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비트라인(116)이 활성영역(102) 상부를 지나도록 배치함으로써 단위 셀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비트라인(116)을 드레인 영역(108b)과 접속시키는 비트라인 콘택플러그를 제 1 및 제 2 콘택플러그(110, 114)로 나누어 형성함으로써 콘택 깊이를 낮추어 콘택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1-트랜지스터형 디램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2a 내지 도 2e에 따른 제 2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금속배선(212a, 212b)을 동시에 형성하는 하는 것이 아닌 라인 형태의 제 1 금속배선(212a)을 형성한 이후에 섬 형태의 제 2 금속배선(212b)을 형성하는 것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200)에 활성영역(202)을 형성하여 소자분리막(204)을 정의한다.
그 다음, 반도체 기판(200) 상부에 복수개의 워드라인(206)을 형성한다. 여기서, 워드라인(206)은 활성영역(202)과 소자분리막(204)을 동시에 가로지르며, 활성영역(202) 하나에 두 개의 워드라인(20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워드라인(206)은 셀 어레이 블럭(미도시)의 일측에 위치한 서브 워드라인(미도시) 부터 셀 어레이 블럭의 타측에 위치한 서브 워드라인(미도시) 까지 라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워드라인(206) 양측벽에 게이트 스페이서(미도시)를 형성하고, 소스/드레인 이온 주입 공정을 수행하여 워드라인(206) 양측의 활성영역(202) 내에 소스 영역(208a) 및 드레인 영역(208b)을 형성한다.
여기서, 소스 영역(208a)은 두 개의 워드라인(206) 사이의 활성영역(202) 내에 형성하고, 드레인 영역(208b)은 활성영역(202) 에지부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소스 및 드레인 영역(108a, 108b)과 각각 접속하는 복수개의 제 1 콘택플러그(210)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콘택플러그(210)는 일대일 대응하여 형성하고, 원형 형태 또는 타원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영역(208a)에 접속되는 제 1 콘택플러그(210) 상부에 제 1 금속배선(212a)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금속배선(212a)은 소스 영역(208a)을 서로 연결하여 공통 소스로 사용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워드라인(206)과 평행한 방향에서 양쪽의 워드라인(206)과 각각 10~100nm 만큼 중첩되도록 라인(line)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금속배선(212a)에는 트랜지스터 동작시 소스 영역(208a)에서 드레인 영역(208b)으로 전류 경로가 형성되도록 접지전압 VSS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영역(208b)에 접속되는 제 1 콘택플러그(210) 상부에 제 2 금속배선(212b)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 2 금속배선(212b)은 드레인 영역(208b) 상부에만 섬(island)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섬 형태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금속배선(212b)은 활성영역(202) 상의 워드라인(206)과 소자분리막(204) 상의 워드라인(206)에 각각 10~100nm 만큼 중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활성영역(202) 상의 워드라인(206)에 중첩되는 폭과 소자분리막(204) 상의 워드라인(206)에 중첩되는 폭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금속배선(212a)을 형성한 후에 제 2 금속배선(212b)을 형성 함으로써 공정 마진의 부족으로 인해 제 2 금속배선(212b)의 모서리 부분이 과도 식각되어 제 2 금속배선(212b)의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금속배선(212b) 상부에 제 2 콘택플러그(214)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 2 콘택플러그(214)는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비트라인과 드레인 영역(208b)을 접속시키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원형 형태 또는 타원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콘택플러그(214)는 제 1 콘택플러그(210)과 축(on-axis)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제 1 콘택플러그(210)와 중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금속배선(212b)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콘택플러그(214) 상부에 복수개의 비트라인(216)을 형성한다.
여기서, 비트라인(216)은 워드라인(206) 및 제 1 금속배선(212a)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2 콘택플러그(214)와 중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1-트랜지스터형 디램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a 내지 도 3e에 따른 제 3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금속배선(312a, 312b)을 동시에 형성하는 하는 것이 아닌 섬 형태의 제 1 금속배선(312a)을 형성한 이후에 라인 형태의 제 2 금속배선(312b)을 형성하는 것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300)에 활성영역(302)을 형성하여 소자분리막(304)을 정의한다.
그 다음, 반도체 기판(300) 상부에 복수개의 워드라인(306)을 형성한다. 여기서, 워드라인(306)은 활성영역(302)과 소자분리막(304)을 동시에 가로지르며, 활성영역(302) 하나에 두 개의 워드라인(30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워드라인(306)은 셀 어레이 블럭(미도시)의 일측에 위치한 서브 워드라인(미도시) 부터 셀 어레이 블럭의 타측에 위치한 서브 워드라인(미도시) 까지 라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워드라인(306) 양측벽에 게이트 스페이서(미도시)를 형성하고, 소스/드레인 이온 주입 공정을 수행하여 워드라인(306) 양측의 활성영역(302) 내에 소스 영역(308a) 및 드레인 영역(308b)을 형성한다.
여기서, 소스 영역(308a)은 두 개의 워드라인(306) 사이의 활성영역(302) 내에 형성하고, 드레인 영역(308b)은 활성영역(302) 에지부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소스 및 드레인 영역(308a, 308b)과 각각 접속하는 복수개의 제 1 콘택플러그(310)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콘택플러그(310)는 일대일 대응하여 형성하고, 원형 형태 또는 타원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영역(308b)에 접속되는 제 1 콘택플러그(310) 상부에 제 1 금속배선(312a)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금속배선(312a)은 드레인 영역(308b) 상부에만 섬(island)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섬 형태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 금속배선(312a)은 활성영역(302) 상의 워드라인(306)과 소자분리막(304) 상의 워드라인(306)에 각각 10~100nm 만큼 중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활성영역(302) 상의 워드라인(306)에 중첩되는 폭과 소자분리막(304) 상의 워드라인(306)에 중첩되는 폭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영역(308a)에 접속되는 제 1 콘택플러그(310) 상부에 제 2 금속배선(312b)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 2 금속배선(312b)은 소스 영역(308a)을 서로 연결하여 공통 소스로 사용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워드라인(306)과 평행한 방향에서 양쪽의 워드라인(306)과 각각 10~100nm 만큼 중첩되도록 라인(line)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금속배선(312b)에는 트랜지스터 동작시 소스 영역(308a)에서 드레인 영역(308b)으로 전류 경로가 형성되도록 접지전압 VSS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1 금속배선(312a)을 형성한 후에 제 2 금속배선(312b)을 형성함으로써 공정 마진의 부족으로 인해 제 1 금속배선(312a)의 모서리 부분이 과도 식각되어 제 1 금속배선(312a)의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금속배선(312a) 상부에 제 2 콘택플러그(314)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 2 콘택플러그(314)는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비트라인과 드레인 영역(308b)을 접속시키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원형 형태 또는 타원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콘택플러그(314)는 제 1 콘택플러그(310)과 축(on-axis)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제 1 콘택플러그(310)와 중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금속배선(312a) 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콘택플러그(314) 상부에 복수개의 비트라인(316)을 형성한다.
여기서, 비트라인(316)은 워드라인(306) 및 제 2 금속배선(312b)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2 콘택플러그(314)와 중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1-트랜지스터형 디램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1-트랜지스터형 디램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1-트랜지스터형 디램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도면.

Claims (11)

  1. 활성영역과 소자분리막을 가로지르는 제 1 및 제 2 워드라인;
    상기 제 1 및 제 2 워드라인 사이의 상기 활성영역 내에 형성된 공통 소스 영역;
    상기 제 1 및 제 2 워드라인 외측부의 상기 활성영역 내에 형성된 드레인 영역;
    상기 공통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과 각각 접속된 제 1 및 제 2 금속배선; 및
    상기 제 2 금속배선과 접속되고 상기 활성영역 상부를 지나도록 형성된 비트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트랜지스터형 디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배선은 각각 제 1 콘택플러그를 통해 상기 공통 소스 영역 및 상기 드레인 영역과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트랜지스터형 디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택플러그는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트랜지스터형 디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배선은 상기 제 1 및 제 2 워드라인과 평 행한 방향으로 라인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트랜지스터형 디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배선은 상기 제 1 및 제 2 워드라인과 각각 10~100nm 만큼 중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트랜지스터형 디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배선은 섬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트랜지스터형 디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섬 형태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트랜지스터형 디램.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배선은 상기 제 1 및 제 2 워드라인과 각각 10~100nm 만큼 중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트랜지스터형 디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은 제 2 콘택플러그를 통해 상기 제 2 금속배선과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트랜지스터형 디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택플러그는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트랜지스터형 디램.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은 상기 제 1 및 제 2 워드라인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활성영역과 중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트랜지스터형 디램.
KR1020070104561A 2007-10-17 2007-10-17 1-트랜지스터형 디램 KR100900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561A KR100900136B1 (ko) 2007-10-17 2007-10-17 1-트랜지스터형 디램
US12/164,153 US20090101981A1 (en) 2007-10-17 2008-06-30 One-transistor type d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561A KR100900136B1 (ko) 2007-10-17 2007-10-17 1-트랜지스터형 디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110A KR20090039110A (ko) 2009-04-22
KR100900136B1 true KR100900136B1 (ko) 2009-06-01

Family

ID=4056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561A KR100900136B1 (ko) 2007-10-17 2007-10-17 1-트랜지스터형 디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101981A1 (ko)
KR (1) KR1009001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203A (ko) * 2001-06-30 2003-01-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디램 셀
KR20060001489A (ko) * 2004-06-30 2006-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KR20060016312A (ko) * 2004-08-17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699890B1 (ko) 2006-01-10 200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426B2 (ja) * 1994-12-21 2000-07-2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H10144886A (ja) * 1996-09-11 1998-05-29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230392B (en) * 2001-06-18 2005-04-01 Innovative Silicon Sa Semiconductor device
EP1684352B1 (en) * 2005-01-21 2008-09-17 STMicroelectronics S.r.l. Phase-change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4469744B2 (ja) * 2005-03-18 2010-05-26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半導体記憶装置の駆動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203A (ko) * 2001-06-30 2003-01-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디램 셀
KR20060001489A (ko) * 2004-06-30 2006-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
KR20060016312A (ko) * 2004-08-17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699890B1 (ko) 2006-01-10 2007-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110A (ko) 2009-04-22
US20090101981A1 (en)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79941B (zh) 半导体存储装置
US7139184B2 (en) Memory cell array
US7902598B2 (en) Two-sided surround access transistor for a 4.5F2 DRAM cell
US11557677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614915B2 (ja)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データ処理システム
TWI766448B (zh) 記憶體裝置及記憶體裝置之製造方法
US20080017904A1 (en) Semiconductor device
JPH05218348A (ja) 折返し型ビツトライン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83295B1 (ko) 수직형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메모리 셀의 레이아웃 및 배선 설계
US1010310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71183B1 (ko) 오프 세트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 기억소자 및 그제조방법
US6882556B2 (en) Semiconductor memory having a configuration of memory cells
US6911687B1 (en) Buried bit line-field isolation defined active semiconductor areas
KR100900136B1 (ko) 1-트랜지스터형 디램
JP2011029258A (ja) 半導体記憶装置
US6849893B2 (en) Semiconductor circuit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emiconductor circuit structure
US20240260251A1 (en) Memory Circuitry And Methods Used In Forming Memory Circuitry
US20240015955A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WO2024036877A1 (zh) 半导体结构及其形成方法
CN114171079A (zh) 集成电路装置
KR20040040691A (ko) 계단형 수직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 기억소자 및 그제조방법
KR20120033510A (ko) 반도체 집적 회로
KR20100007480A (ko) 고집적 반도체 기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