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829B1 - 출입문용 러버 - Google Patents

출입문용 러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829B1
KR100899829B1 KR1020070045872A KR20070045872A KR100899829B1 KR 100899829 B1 KR100899829 B1 KR 100899829B1 KR 1020070045872 A KR1020070045872 A KR 1020070045872A KR 20070045872 A KR20070045872 A KR 20070045872A KR 100899829 B1 KR100899829 B1 KR 100899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door
lip
cente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949A (ko
Inventor
심영석
신호성
윤권순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5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829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문용 러버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동차의 양문형 전기식 플러그 인 도어 시스템의 누수 방지를 위하여, 상부러버와 센터러버의 구조를 개선하여 출입문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객실 내부로 스며드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출입문용 러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차의 양문형 전기식 플러그 인 도어 시스템의 누수방지를 위한 출입문용 러버에 있어서, 상기 도어 상부에 부착되어 소정 높이를 가지는 제 1 립과, 상기 제 1 립과 소정 간격을 두며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제 2 립을 가지는 상부러버와, 상기 도어의 중앙에 부착되며, 내부는 복수의 드레인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측 단부는 상기 상부러버를 지지하는 가드부를 가지는 센터러버와, 상기 가드부는 상기 상부러버와 교차하며, 제 2 립의 배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라운딩된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출입문용 러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입문, 상부러버, 센터러버, 누수

Description

출입문용 러버{RUBBER FOR SIDE ENTRANCE DOOR}
도 1 은 본 발명의 출입문용 러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 는 도 1 의 상부러버의 종단면도이고, 도 2b 는 도 1 의 센터러버의 횡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출입문용 러버에 있어서, 도어의 닫힘상태시 상부러버와 센터러버의 요부를 객실 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출입문용 러버에 있어서, 상부러버와 센터러버의 교차부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출입문용 러버에 있어서, 도어의 닫힘상태시 센터러버 끼리가 밀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a 는 종래의 출입문용 러버에 있어서, 상부러버와 센터러버의 교차부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b 는 종래의 센터러버의 횡단면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출입문용 러버 2, 3 : 도어
10 : 상부러버 11 : 끼움부
12 : 제 1 립 13 : 제 2 립
14, 15 : 선단부 16 : 유로
17 : 보조립 18 : 배면
20 : 센터러버 21, 22, 23 : 드레인홀
24 : 돌출부 25 : 제 3 립
26 : 굽힘부 27 : 지지돌기
28 : 가드부 29 : 라운드부
30 : 하부러버
본 발명은 출입문용 러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동차의 양문형 전기식 플러그 인 도어 시스템의 누수 방지를 위하여 출입문 둘레에 부착되는 출입문용 러버에 관한 것이다.
전동차의 측면에 형성된 양문형 출입문의 가장자리에는 개폐시의 충격흡수와 외부 공기의 차단, 소음차단 및 우천시 누수방지 등의 목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러버가 부착되어 있다.
도 6a 와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출입문용 러버 (101) 는 도어 (도시생략) 의 상측에 부착되어 차체의 도어프레임 (도시생략) 과 도어와의 틈새를 방지하는 상부러버 (110) 와, 양측 도어가 닫힘상태시 중앙에 위치하여 상호 접촉하는 센터러버 (120) 및, 도어의 하측에 부착되는 하부러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러버 (110) 는 도어의 상측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으로, 소정 높이의 제 1 립 (111) 과, 상기 제 1 립 (111) 과는 소정 간격을 두고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제 2 립 (112) 으로 이루어져 있다.
센터러버 (120) 는 도어의 닫힘상태에서 상호 가압 접촉되어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6b 와 같이 2개가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인 동일 형상이며, 돌출부 (121) 와 이를 수용하는 오목부 (122) 및 추가로 틈새를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돌기부 (123) 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부러버는 단순히 외부와 차단하는 기능만을 가지면 되므로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예컨대, 판형상과 같은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출입문용 러버 (101) 는, 우천시 주행중에 도어의 틈새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상부러버 (110) 의 립 (111, 112) 과 해당 도어 상부의 도어프레임과의 밀착력이 약하여 틈새가 발생되고, 이 틈새로 물이 스며들어 센터러버 (120) 의 드레인홀 (124) 의 용량을 초과하면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센터러버 (120) 에 있어서도 좌우 센터러버 (120) 의 밀착력 약화로 인하여 틈새가 발생하여 객실 내부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부러버와 센터러버의 구조를 개선하여 출입문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객실 내부 스며드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출입문용 러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차의 양문형 전기식 플러그 인 도어 시스템의 누수방지를 위한 출입문용 러버에 있어서, 상기 도어 상부에 부착되어 소정 높이를 가지는 제 1 립과, 상기 제 1 립과 소정 간격을 두며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제 2 립을 가지는 상부러버와, 상기 도어의 중앙에 부착되며, 내부는 복수의 드레인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측 단부는 상기 상부러버를 지지하는 가드부를 가지는 센터러버와, 상기 가드부는 상기 상부러버와 교차하며, 제 2 립의 배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라운딩된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출입문용 러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라운드부의 곡률반경은 제 2 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드부의 높이는 제 2 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러버의 단부에는 제 2 립의 측면에 부착되고 제 1 립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제 1 립과 제 2 립의 틈새로 유입된 물을 건너편 센터러버의 드레인홀로 유도하는 박판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센터러버는 도어의 닫힘상태시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인 타측의 센터러버와 서로 밀착되어 밀폐가 용이하도록, 맞닿는 면의 일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측은 상대적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 지며, 상기 돌출부의 내측 저부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제 3 립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립의 중간부는 후방으로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출입문용 러버를 나타내는 도, 도 2a 는 도 1 의 상부러버의 종단면도이고, 도 2b 는 도 1 의 센터러버의 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출입문용 러버에 있어서, 도어의 닫힘상태시 상부러버와 센터러버의 요부를 객실 내측에서 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출입문용 러버에 있어서, 상부러버와 센터러버의 교차부위를 나타내는 도, 도 5 는 본 발명의 출입문용 러버에 있어서, 도어의 닫힘상태시 센터러버 끼리가 밀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출입문용 러버 (1) 는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2, 3) 의 상부에 부착되어 차체의 도어프레임 (도시생략) 과 도어 (2, 3) 와의 틈새를 방지하는 상부러버 (10) 와, 양측 도어 (2, 3) 의 닫힘상태시 대략 중앙에 위치하여 상호 접촉하는 센터러버 (20) 및, 도어 (2, 3) 의 하측에 부착되어 단순히 외부와 차단하는 기능만을 가지는 하부러버 (30)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러버 (10) 는 도 2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2, 3) 상부에 부착되는 것으로, 하측에는 끼움부 (11) 가 형성되고, 그 상측으로는 두갈 래로 분기되는 립 (12, 13) 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립 (12, 13) 은 도어 (2, 3) 의 외측에 위치하며 소정 높이를 가지는 제 1 립 (12) 과, 상기 제 1 립 (12) 과는 내측으로 소정 간격을 두며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제 2 립 (13) 으로 이루어지고, 단부로 향함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며, 선단부 (14, 15) 는 둥글게 뭉쳐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립 (13) 의 선단부 (15) 는 제 1 립 (12) 의 선단부 (14) 의 바로 상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제 2 립 (13) 이 소정 곡률반경으로 굽혀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3 과 같이, 상기 제 1 립 (12) 과 제 2 립 (13) 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 (소정간격) 는 상기 립 (12, 13) 과 도어프레임 사이로 유입된 물을 흐르게 하는 유로 (16) 이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센터러버 (20) 를 향하는 상기 유로 (16) 의 단부 부근에는 제 2 립 (13) 의 측면에 부착되고 제 1 립 (12) 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끼워져 유입된 물을 건너편 센터러버 (20) 의 드레인홀 (21, 22, 23) 로 유도하는 박판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립 (17) 이 구비되어 있다.
센터러버 (20) 는 도어 (2, 3) 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상하로 길게 부착되며, 도 2b 와 도 3 과 같이 폭방향의 단면 내부는 상부러버 (10) 의 유로 (16) 의 물을 도어 (2, 3) 의 하측으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3개 드레인홀 (21, 22, 23) 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드레인홀 (21, 22) 은 동일 형상이며, 다른 하나의 드레인홀 (23) 은 상기 2개의 드레인홀 (21, 22) 보다 일측의 전방에 위치하고, 이를 에워싸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24) 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24) 의 내측 저부로부터 대략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3 립 (25)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립 (25) 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는 굽힘부 (26) 는 동일형상이며 대각선 방향으로 상호 대칭인 타측의 센터러버 (20) 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에 접히거나 꺾이는 일 없도록 후방으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 립 (25) 이 가압되어 후방으로 후퇴할 때, 이를 지지하는 지지돌기 (27) 가 후퇴되는 제 3 립 (25) 의 면과 면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센터러버 (20) 의 상측 단부에는 상기 상부러버 (10) 를 지지하는 가드부 (28) 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드부 (28) 는 상기 상부러버 (10) 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부분이며, 제 2 립 (13) 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 2 립 (13) 의 구부러진 배면 (18) 을 따라 밀착되도록 상기 제 2 립 (13) 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둥글게 라운딩된 라운드부 (29) 가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라운드부 (29) 는 폭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상기 제 2 립 (13) 을 지지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 2 립 (13) 의 배면 (18) 과 접착되어 지지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용 러버 (1) 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부러버 (10) 의 제 1 및 제 2 립 (12, 13) 의 높이를 종래의 것보다 높이고, 센터러버 (20) 의 가드부 (28) 내측에 라운드부 (29) 를 형성하여 제 2 립 (13) 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 2 립 (13) 이 도어프레임과 더욱 격밀하게 밀착될 수 있어, 도어 (2, 3) 상측으로부터의 센터러버 (20) 의 드레인홀 (21, 22, 23) 을 통하여 유출되는 물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으므로, 드레인홀 (21, 22, 23) 의 용량을 초과하면서 발생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러버 (10) 의 단부에는 보조립 (17)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로 (16) 로 물이 유입된 경우에도 객실 내부로 스며들지 않고 센터러버 (20) 의 드레인홀 (21, 22, 23) 측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확실하게 객실 내부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각선 대칭으로 마주하는 좌우의 센터러버 (20) 에는 돌출부 (24) 와 제 3 립 (25) 및 지지돌기 (27) 가 형성되어 있어 도어의 닫힘상태시 매우 양호한 밀착력이 유지되어 도어 (2, 3) 의 중앙부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러버와 센터러버의 구조를 개선하여 출입문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객실 내부로 스며드는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전동차의 양문형 출입 도어용 러버에 있어서,
    상기 도어 상부에 부착되어 소정 높이를 가지는 제 1 립과, 상기 제 1 립과 소정 간격을 두며, 상기 제 1 립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제 2 립을 가지는 상부러버와,
    상기 양문형 도어가 맞닿는 도어의 중앙부분에 부착되며, 내부는 복수의 드레인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측 단부는 상기 상부러버를 지지하는 가드부를 가지는 센터러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드부는 상기 상부러버와 교차하며, 제 2 립의 배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라운딩된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러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부의 곡률반경은 제 2 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러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부의 높이는 제 2 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러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러버의 단부에는 제 2 립의 측면에 부착되고 제 1 립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제 1 립과 제 2 립의 틈새로 유입된 물을 건너편 센터러버의 드레인홀로 유도하는 박판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러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러버는 도어의 닫힘상태시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인 타측의 센터러버와 서로 밀착되어 밀폐가 용이하도록, 맞닿는 면의 일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측은 상대적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의 내측 저부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제 3 립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립의 중간부는 후방으로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러버.
KR1020070045872A 2007-05-11 2007-05-11 출입문용 러버 KR100899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872A KR100899829B1 (ko) 2007-05-11 2007-05-11 출입문용 러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872A KR100899829B1 (ko) 2007-05-11 2007-05-11 출입문용 러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949A KR20080099949A (ko) 2008-11-14
KR100899829B1 true KR100899829B1 (ko) 2009-05-27

Family

ID=4028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872A KR100899829B1 (ko) 2007-05-11 2007-05-11 출입문용 러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3791A (zh) * 2010-07-28 2012-02-08 株式会社dUANI 客车门用防水橡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084B1 (ko) * 2013-02-27 2014-09-26 주식회사 에스앤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기밀성 향상 구조가 결합된 미닫이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201U (ko) * 1993-12-30 1995-07-24 이홍기 도어용 패카(fascia)
KR19990015938U (ko) * 1997-10-22 1999-05-15 추호석 철도차량의 승강구 자동문 방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201U (ko) * 1993-12-30 1995-07-24 이홍기 도어용 패카(fascia)
KR19990015938U (ko) * 1997-10-22 1999-05-15 추호석 철도차량의 승강구 자동문 방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3791A (zh) * 2010-07-28 2012-02-08 株式会社dUANI 客车门用防水橡胶
KR101206772B1 (ko) 2010-07-28 2012-11-29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객차 도어용 방수러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949A (ko) 200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8853B2 (en) Door trim for vehicle
CN107089122B (zh) 用于车辆的开放式车顶构造
US10023036B2 (en) Vehicle door seal apparatus and method of use
GB2440101A (en) Vehicle body structure
EP1852287B1 (en) Parting seal for vehicle door
JP2010012886A (ja) 車両の側部構造
KR20180095822A (ko) 자동차용 웨더 스트립
KR100899829B1 (ko) 출입문용 러버
US9254795B2 (en) Water drain plug
JP4024871B2 (ja) スライディングキャンバスサンルーフとその前方に配置されたスポイラーを備えた車両
CN107599999B (zh) 车辆后部构造
JP7232717B2 (ja) シャッター付きトラック荷台のシール構造
JP2006315561A (ja) 車体のドア構造
JP3867139B2 (ja) 自動車用リヤ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3967342B2 (ja) 窓組立体
WO2010113967A1 (ja) 車両の風切音防止構造
JP2008543635A (ja) スライディングルーフ用ウインドデフレクター
EP4155108B1 (en) Fuel inlet structure of vehicle
CN105751874B (zh) 一种车门密封胶塞
JP7259510B2 (ja) 車両用リアバンパ
CN216866434U (zh) 斜展式车门及履带式双节水陆两栖全地形车
CN217705447U (zh) 尾门结构及车辆
JP4128409B2 (ja) 自動車のリヤ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7154703B2 (ja) バックドア構造
JP3692852B2 (ja) フェンダ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