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078B1 - 램리서치 티시피/레인보우 장치의 정전 척 디척킹 장치 - Google Patents

램리서치 티시피/레인보우 장치의 정전 척 디척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078B1
KR100899078B1 KR1020080075859A KR20080075859A KR100899078B1 KR 100899078 B1 KR100899078 B1 KR 100899078B1 KR 1020080075859 A KR1020080075859 A KR 1020080075859A KR 20080075859 A KR20080075859 A KR 20080075859A KR 100899078 B1 KR100899078 B1 KR 100899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hucking
wafer
electrostatic chuck
electrostatic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규
Original Assignee
김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규 filed Critical 김준규
Priority to KR1020080075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electrostatic chu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electrostatic chucks
    • H01L21/6833Details of electrostatic chu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장비인 LAM Research社 TCP/Rainbow Series 장치의 정전 척(Electro Static Chuck:정전기의 힘을 사용해 기판을 하부 전극에 고정해 주는 핵심부품)에 붙어있는 웨이퍼(Wafer)를 완전하게 디척킹(Dechucking:정전 척 등의 기판고정 장치에 정전기력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기판을 정전 척으로부터 떼어내는 행위) 시키는 디척킹 장치(Dechucking Kit)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치에는 웨이퍼(Wafer)를 디척킹(Dechucking) 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어 공정(Process)이 종료된 웨이퍼(Wafer)가 처리실(Chamber)에서 반출될 때 디척킹(Dechucking)이 완전하게 되지 않았을 경우 정전 척(E.S.C)과 웨이퍼(Wafer) 사이에 잔류 정전기력이 남아있어 웨이퍼(Wafer)가 정전 척(E.S.C)에 달라붙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지지대(Lifter) 상승 시 그 힘에 의해 웨이퍼(Wafer)가 깨지거나 위로 튀어 올라 위치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로 인해 반도체 생산 작업의 생산성 저하 및 장치 가동률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처리실(Chamber)에서 공정진행(Process)이 완료되면 정전 척(E.S.C)에 남아있던 잔류 정전기력을 디척킹 장치(Dechucking Kit)를 사용하여 접지를 통해 완전히 제거 시켜줌으로써 완전한 디척킹(Dechucking)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정전 척(E.S.C)에 붙어있던 웨이퍼(Wafer)는 정전 척(E.S.C)에서 완전히 떨어지게 되고 디척킹(Dechcuking) 불량으로 지지대(Lifter) 상승 시 발생되던 문제점(웨이퍼 깨짐 및 튀어 오름에 위한 위치 이탈)들을 완벽하게 해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LAM Research社 TCP/Rainbow Series 장치를 사용하는 반도체 공정의 생산성 및 가동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순수 국내기술을 이용한 국산화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국내 반도체 산업 기술 향상에도 커다란 효과가 있다.
정전 척(E.S.C), 디척킹(Dechucking), 정전기력, 웨이퍼(Wafer), 처리실(Chamber), 디척킹 장치(Dechucking Kit), 지지대(Lifter)

Description

램리서치 티시피/레인보우 장치의 정전 척 디척킹 장치{Lam Research TCP/Rainbow Series Electro Static chuck dechucking Kit}
본 발명은 반도체 장비인 LAM Research社 TCP/Rainbow Series 장치의 정전 척(Electro Static Chuck:정전기의 힘을 사용해 기판을 하부 전극에 고정해 주는 핵심 부품)에 붙어있는 웨이퍼(Wafer)를 완전하게 디척킹(Dechucking:정전 척 등의 기판고정 장치에 정전기력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기판을 정전 척으로부터 떼어내는 행위) 시키는 디척킹 장치(Dechucking Ki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am Research社 TCP/Rainbow Series 장치의 공정(Process) 진행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에서와 같이 로드 카세트(Load Cassette)(1)에 들어있는 웨이퍼(Wafer)를 대기 반송 로봇(Robot)(2)이 입구 대기실(Entrance LoadLock, 이하 "ELL")로 옮기면 ELL 로봇(Robot)(3)이 웨이퍼(Wafer)를 처리실(Chamber)안으로 가지고 들어간다. 이때 처리실 안의 모습은 [도 2] 의 (가)와 같다.
이후 [도 2] (나)에서와 같이 웨이퍼(Wafter) 지지대(Lifer)(6)가 상승하여 ELL 로봇 암(Robot Arm)(7) 위에 놓여있는 웨이퍼(Wafer)(8)가 위로 들어 올려지고 [도 2] (다)와 같이 ELL 로봇 암(Robot Arm)(7)이 처리실(Chamber)에서 빠져 나가게 된다. 이후 [도 2] (라)와 같이 웨이퍼(Wafer) 지지대(Lifter)(6)는 하강하여 웨이퍼(Wafer)(8)를 정전 척(9) 위에 올려놓게 된다.
이렇게 정전 척(9) 위에 놓인 웨이퍼(Wafer)는 공정(Process) 진행이 시작되면 [도 3] 에서와 같이 시스템에서 공급된 DC24V가 고전압 발생기(High Voltage Module, 이하 "H.V.M")(10)에 전달되어 H.V.M은 정전 척(9)에 DC760V를 가하게 되고, 정전 척(9)과 웨이퍼(Wafer) 사이에는 강한 정전기력이 발생되어 웨이퍼(Wafer)가 정전 척(9)에 단단히 붙게 된다.
공정(Process) 진행이 완료되면 시스템에서 공급되던 DC24V는 차단되고 이로 인해 정전 척(9)에 공급되던 H.V.M(10)의 DC760V도 차단되어 0V가 되게 된다. 정전 척(9)에 가해지던 전압이 사라지면 정전 척(9)에 작용하던 정전기력이 사라져 웨이퍼(Wafer)는 더 이상 정전 척(9)에 붙어있지 않게 되고 반출을 위하여 [도 4] 의 (가)와 같이 웨이퍼(Wafer) 지지대(Lifter)(12)가 상승하여 웨이퍼(Wafer)는 위로 들어 올려진다.
이후 [도 4] (나)와 같이 출구 대기실(Exit LoadLock, 이하 "XLL") 로봇 암(Robot Arm)(11)이 처리실(Chamber)로 들어오고 [도 4] (다)와 같이 웨이퍼(Wafer) 지지대(Lifter)(12)가 하강하여 웨이퍼(Wafer)는 XLL 로봇 암(Robot Arm)(11) 위에 놓여진다. XLL 로봇 암(Robot Arm)(11)은 [도 4] 의 (라)와 같이 처리실(Chamber)에서 빠져 나간 후 [도 1] 에서와 같이 XLL 로봇 암(Robot Arm)(4)에 의해 원 로드 카세트(Unload Cassette)(5)로 반출되어 공정(Process) 진행을 모두 마치게 된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공정(Process) 진행 순서 중 처리실(Chamber)에서의 진행과정을 살펴보면 [도 3] 에서와 같이 공정(Process) 진행과 함께 H.V.M(10)에 의해서 가해진 DC760V가 정전 척(9)에 정전기력을 발생시켜 웨이퍼(Wafer)(8)를 정전 척(9)에 붙게 만들고 공정(Process) 진행이 완료 될 때 까지 그 상태를 유지하며 H.V.M(10)에서 가해지던 DC760V가 차단되면 이론상 정전 척(9)에 작용하던 정전기력이 완전히 사라져 웨이퍼(Wafer)가 정전 척(9)에서 완전히 떨어져야 하지만 일부 정전기력들이 정전 척(9)과 웨이퍼(Wafer)(8) 사이에 잔류하여 웨이퍼(Wafer)가 정전 척(9)에 달라 붙어 있는 현상이 발생 된다. 이로 인해 처리실(Chamber)에서 공정(Process) 진행을 마치고 웨이퍼(Wafer)의 반출을 위하여 [도 4] 의 (가)와 같이 웨이퍼(Wafer) 지지대(Lifter)(12)가 상승하게 되면 [도 5] (가)에서와 같이 잔류 정전기력의 힘과 지지대(Lifter)의 반대되는 힘에 의해 웨이퍼(Wafer)가 깨지거나, [도 5] 의 (나)와 같이 웨이퍼(Wafer)가 깨지지는 않지만 위로 튀어 올라 위치가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웨이퍼(Wafer)는 정상적인 자기 위치를 벗어나 XLL 로봇 암(Robot Arm) 진입 시 웨이퍼(Wafer)와 로봇 암(Robot Arm)이 서로 충돌하여 웨이퍼(Wafer) 깨짐, 웨이퍼(Wafer) 칩(Chip) 스크래치(Scratch) 발생은 물론 로봇(Robot) 에러(Error)들을 유발시켜 생산 활동 및 장치사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정전 척(Electro Static Chuck:정전기의 힘을 사용해 기판을 하부 전극에 고정해 주는 핵심 부품)을 사용하는 Lam Research社 TCP/Rainbow Series 장치의 공정(Process) 진행 중 처리실(Chamber)내에서 발생되는 웨이퍼(Wafer) 깨짐 및 튀어 오름에 위한 위치 이탈 현상의 주요 원인인 웨이퍼(Wafer)와 정전 척(E.S.C) 사이에 남아있는 잔류정전기력을 전기전자소자(전자 접점기, 전자 타이머, 릴레이등) 및 전기회로로 구성된 디척킹 장치(Dechucking Kit)를 사용하여 완전하게 제거시켜줌으로써 잔류 정전기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웨이퍼(Wafer) 깨짐 및 튀어 오름 현상을 사전에 완벽하게 제거하여 장치의 생산성 및 가동률 향상을 가져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처리실(Chamber)에서 공정(Process) 진행이 완료된 후 웨이퍼(Wafer)와 정전 척(E.S.C)을 완전하게 디척킹(Dechucking) 시켜주는 정전 척 디척킹 장치(Electro Static chuck dechucking Kit)에 관한 것으로 공정(Process)이 시작되면 시스템에서 DC24V를 공급 받아 공정(Process) 진행 중에는 고전압 발생기(H.V.M)의 DC760V가 정전 척(E.S.C)에 완전하게 가해지도록 디척킹 장치(Dechucking Kit)의 동작을 차단하는 동작 지시부, 공정(Process) 진행이 완료되어 DC24V가 차단되면 동작 지시부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접점을 유지하는 타이머, 타이머의 설정된 시간만큼 정전 척(E.S.C)에 남아 있는 잔류 정전기력을 접지를 통해 방전시키는 전자 접점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장치별 처리실(Chamber) 조건에 맞게 타이머의 설정시간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어떤 조건에서도 완벽한 디척킹(Dechucking)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정전 척(Electro Static Chuck:정전기의 힘을 사용해 기판을 하부 전극에 고정해 주는 핵심 부품)을 사용하는 Lam Research社 TCP/Rainbow Series 장치의 공정(Process) 진행 후 디척킹(Dechucking) 불량으로 잔류 정전기력에 의해 웨이퍼(Wafer)가 정전 척(E.S.C)에서 완전히 떨어지지 않아 웨이퍼(Wafer) 깨짐 및 튀어 오름에 위한 위치 이탈 현상에 의한 2차적인 문제(칩에 발생되는 스크레치 및 로봇 반송 에러 등)들을 해결할 수 있어 상기 모델의 장치를 사용하는 반도체 생산라인의 생산성 향상 및 장치의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순수 국내기술을 이용한 국산화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국내 반도체 산업 기술 향상에도 커다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과 같이 처리실(Chamber)에 웨이퍼(Wafer)(16)가 옮겨져 놓이게 되면 시스템은 공정(Process) 진행을 위하여 DC24V를 고전압 발생기(High Voltage Module, 이하 "H.V.M")(13)에 공급하고 H.V.M은 DC760V를 생산하여 정전 척(15)에 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웨이퍼(Wafer)(16)와 정전 척(15) 사이에는 정전기력(17)이 형성되어 웨이퍼(Wafer)(16)는 정전 척(15)에 붙어있게 된다.
시스템에서 공급된 DC24V는 디척킹 장치(Dechucking Kit)의 동작 지시부 RL1의 코일(14)을 구동시켜 상시 닫힘 접점(Normal Close, "이하 N.C")(18)이 열리게 되고 타이머와 전자 접점부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전자 접점부 상시 열림 접점(Normal Open, 이하"N.O")(19)이 열리게 된다. 이로 인해 정전 척(15)에는 계속해서 H.V.M의 전압이 인가되게 되고 공정(Process)이 진행되는 동안 웨이퍼(Wafer)(16)는 정전 척(15)에 붙어있게 된다. 공정(Process)이 완료되면 시스템은 DC24V의 공급을 차단하고 이로 인해 정전 척(15)에 가해지던 H.V.M(13)의 DC760V도 멈추게 된다. 이때 웨이퍼(Wafer)(16)와 정전 척(15) 사이에는 잔류 정전기력이 남게 된다. DC24V 차단으로 인해 동작 지시부의 RL1 코일(14)은 꺼지고 N.C 접점(18)이 닫히게 되어 타이머의 코일(20)이 구동되며 타이머의 N.O 접점(21)이 설정된 시간만큼 닫혀있게 된다.
삭제
타이머 N.O접점(21)의 닫힘으로 인해 전자 접점부 코일(22)이 구동되어 전자접점(19)이 닫히게 되면 웨이퍼(16)와 정전 척(15) 사이에 남아있던 잔류 정전기력은 저항 R1, R2(23) 및 R3(24)를 통해 접지로 빠져나가 모두 소멸되어 완전한 디척킹(Dechucking)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타이머의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타이머 접점(21)은 열리게 되며, 전자 접점부 코일(22)에 전원이 차단되어 전자접점(19)은 다시 열리게 된다. 이로 인해 장치의 회로구성은 초기로 돌아가 다음 공정(Process) 진행을 위한 준비상태가 된다.
삭제
도 1은 Lam Research社 TCP/Rainbow Series의 공정 진행 순서도.
도 2는 웨이퍼(Wafer)가 입구 대기실(ELL)에서 처리실(Chamber)로 들어와 정전 척(E.S.C) 위에 놓이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정전 척(E.S.C)에 고전압(DC760V)이 가해져 웨이퍼(Wafer)와 정전 척(E.S.C) 사이에 정전기력이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정전 척(E.S.C)에 놓여있던 웨이퍼(Wafer)가 출구 대기실(XLL)로 나가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디척킹(Dechucking) 불량에 의해 발생되는 현상을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디척킹 장치(Dechucking Kit)의 회로구성 및 동작을 보여주는 전기 회로도.

Claims (3)

  1. 정전 척(Electro Static Chuck)을 사용하는 Lam Research社 TCP/Rainbow Series 장치의 완전한 디척킹(Dechucking:정전 척 등의 기판고정 장치에 정전기력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기판을 정전 척으로부터 떼어내는 행위)을 구현하는 디척킹 장치(Dechucking Kit)에 있어서,
    시스템의 DC24V에 의해 타이머와 전자 접점부를 동작시키는 동작 지시부 DC24V 전자 릴레이(Relay) RL1과;
    동작 지시부 전자 릴레이 RL1에 연결되어 설정된 시간동안 접점 닫힘 상태를 유지하여 전자 접점부를 동작시켜 주는 타이머(Delay off Timer: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접점이 자동으로 끊어지는 타이머) TM1과;
    타이머 TM1에 연결되어 전자 접점을 계폐하고 정전 척(E.S.C)에 남아있는 잔류 정전기력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자 접점부 MC1과;
    전자 접점부 MC1 동작 시 정전 척(E.S.C)에 남아있는 잔류 정전기력의 이동경로가 되며 과전압으로부터 전자 접점을 보호하는 저항체 R1, R2와;
    전자 접점부 MC1의 전자 접점과 연결되고 잔류 정전기력을 접지와 연결하는 저항체 R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척(E.S.C) 디척킹 장치(Dechucking Kit).
  2. 제1항에 있어서,
    잔류 정전기력의 이동시 발생되는 과전압과 과전압으로 인한 고열발생으로부터 전자 접점 및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200Ω 100W의 열선 저항체 R1, R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척(E.S.C) 디척킹 장치(Dechucking Kit).
  3. 제1항에 있어서,
    전자 접점부의 전자 접점과 연결되어 잔류 정전기력을 대기와 직접 접지시켜주는 500mA 500Ω 규격의 열선 저항체 R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척(E.S.C) 디척킹 장치(Dechucking Kit).
KR1020080075859A 2008-07-31 2008-07-31 램리서치 티시피/레인보우 장치의 정전 척 디척킹 장치 KR100899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859A KR100899078B1 (ko) 2008-07-31 2008-07-31 램리서치 티시피/레인보우 장치의 정전 척 디척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859A KR100899078B1 (ko) 2008-07-31 2008-07-31 램리서치 티시피/레인보우 장치의 정전 척 디척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078B1 true KR100899078B1 (ko) 2009-05-25

Family

ID=40862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859A KR100899078B1 (ko) 2008-07-31 2008-07-31 램리서치 티시피/레인보우 장치의 정전 척 디척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0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2360A (zh) * 2010-12-15 2011-08-03 夏耀民 加快半导体加工硅晶片消除静电吸附作用的方法
CN102866267A (zh) * 2012-09-13 2013-01-09 江苏省电力公司苏州供电公司 电力系统中试验仪器强制接地装置
JP2018113344A (ja) * 2017-01-12 2018-07-19 株式会社アルバック 基板搬送方法及び基板搬送装置
KR102251891B1 (ko) 2020-12-08 2021-05-13 주식회사 기가레인 기판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반출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4270A (ja) * 1993-02-19 1994-09-02 Ulvac Japan Ltd 静電吸着装置
JPH0883832A (ja) * 1994-07-13 1996-03-26 Shinko Electric Co Ltd 電力供給装置
KR20070066390A (ko) * 2005-12-22 2007-06-27 주식회사 래디언테크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70072571A (ko) * 2004-11-04 2007-07-04 가부시키가이샤 알박 정전 척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4270A (ja) * 1993-02-19 1994-09-02 Ulvac Japan Ltd 静電吸着装置
JPH0883832A (ja) * 1994-07-13 1996-03-26 Shinko Electric Co Ltd 電力供給装置
KR20070072571A (ko) * 2004-11-04 2007-07-04 가부시키가이샤 알박 정전 척 장치
KR20070066390A (ko) * 2005-12-22 2007-06-27 주식회사 래디언테크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42360A (zh) * 2010-12-15 2011-08-03 夏耀民 加快半导体加工硅晶片消除静电吸附作用的方法
CN102866267A (zh) * 2012-09-13 2013-01-09 江苏省电力公司苏州供电公司 电力系统中试验仪器强制接地装置
JP2018113344A (ja) * 2017-01-12 2018-07-19 株式会社アルバック 基板搬送方法及び基板搬送装置
KR102251891B1 (ko) 2020-12-08 2021-05-13 주식회사 기가레인 기판 지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반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3692B2 (en) In-situ removable electrostatic chuck
US8845810B2 (en) Substrate damag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CN101278385B (zh) 静电吸盘装置
KR100899078B1 (ko) 램리서치 티시피/레인보우 장치의 정전 척 디척킹 장치
JPH05136218A (ja) 検査装置
KR980012817A (ko) 정전 척으로부터 제품을 인출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449382B2 (ja) 触覚ウェハ昇降装置とその操作方法
KR102444698B1 (ko) 웨이퍼의 반출 방법
KR101372805B1 (ko) 웨이퍼 식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 식각 공정
US6238160B1 (en) Method for transporting and electrostatically chucking a semiconductor wafer or the like
JPH077072A (ja) 静電チャック装置における基板の脱着方法および脱着機構
JP5708055B2 (ja) 基板処理方法
JP6814560B2 (ja) 基板処理装置
JP2009164620A (ja) スパッタリング装置
KR101233757B1 (ko) 기판 디척킹 방법
KR100631424B1 (ko) 기판 디척킹 방법
KR20090071953A (ko) 반도체 웨이퍼의 정전척 및 이를 이용한 웨이퍼 고정방법
JP3371888B2 (ja) 静電チャック及び静電チャックにおける被吸着物離脱方法
JP2920239B2 (ja) 静電チャック強制離脱方法
JP2001267094A (ja) 静電気除去装置及び静電気除去方法
US7139641B2 (en) Wafer protection system
KR20030055660A (ko) 웨이퍼의 스티킹 방지장치
KR100637602B1 (ko) 기판의 디척킹이 신속한 플라즈마 처리장치 및 기판 디척킹방법
TWI669514B (zh) Mechanism for testing semiconductor products using electrostatic carriers
JP2006135081A (ja) 基板処理方法及び基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