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918B1 - 철도 궤도회로장치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 구조체 - Google Patents

철도 궤도회로장치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918B1
KR100898918B1 KR1020080049480A KR20080049480A KR100898918B1 KR 100898918 B1 KR100898918 B1 KR 100898918B1 KR 1020080049480 A KR1020080049480 A KR 1020080049480A KR 20080049480 A KR20080049480 A KR 20080049480A KR 100898918 B1 KR100898918 B1 KR 100898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device
track circuit
device housing
mounting spac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인기술
Priority to KR102008004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18Railway track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02Electric devices associated with track, e.g. rail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train
    • B61L1/18Railway track circuits
    • B61L1/181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궤도회로장치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궤도회로장치를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함에 있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외부충격은 물론 햇볕, 눈, 비 등의 외부 환경의 악영향으로 부터 궤도회로장치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의 콘크리트 도상(1)에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을 고정설치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도상(1)에 고정 설치되어지는 가운데, 상기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이 취부가능하도록 취부공간(S)을 형성하는 보호함 본체(20); 상기 취부공간(S)의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해 보호함 본체(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구성된 덮개(23); 상기 취부공간(S)에 취부되어진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함 본체(20)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탈방지바(4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철도, 궤도회로장치, 콘크리트, 보호함, 덮개, 충격, 해체, 설치

Description

철도 궤도회로장치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 구조체{A PROTECT BRACKET STRUCTURE FOR CONCRETE ROAD TRACK CIRCUIT EQUIPMENT}
본 발명은 철도 궤도회로장치 보호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의 콘크리트 도상에 고정 설치되는 궤도회로장치 하우징을 외부충격으로 부터 보호하는 가운데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보호함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의 신호보안설비는 열차의 진로를 안전하게 구성하여 주고 열차 승무원에게 운전조건을 제시하여 주는 설비로서 크게 다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철길이 있는 현장에 위치하여 직접 열차 안전운행을 지원하는 현장신호보안장치와, 전동차를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한 자동열차제어장치와, 모든 열차의 움직임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열차운행종합제어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신호보안장치는, 열차의 진출 여부를 색으로 표시하는 신호기장치와, 열차가 가고자 하는 진로에 안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없는지를 확인하고 개통시켜 원활한 열차운전을 지원하는 연동장치와, 일정한 방호 구역 내에는 1대의 열차만을 운행시키기 위한 폐색장치와, 운행중인 열차에 필요한 운전지령을 송신하고 현재 그 열차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검지하는 궤도회로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궤도회로장치는 자갈 도상 및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될 수 있는데, 그중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할 경우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드 및 실리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도상에 궤도회로장치(100)를 고정시킨 후, 목재 재질의 보호대(101)를 양측면에 배치시키고, 고정앙카(102)로 고정시킴으로서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콘크리트 도상에 궤도회로장치를 설치하는 방식은 궤도회로장치(100)가 외부에 노출되어지기 때문에 햇볕, 눈, 비 등의 영향으로 인해 쉽게 부패되고, 열차 운행시 진동에 의하여 이탈될 우려가 있어 이러한 자연풍화와 진동 등에 의한 위험으로 부터 안정적인 보호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궤도회로장치 보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하며, 진동 및 외부충격은 물론 햇볕, 풍우 등으로 부터 궤도회로장치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구조체를 제공하여 보다 안정적인 취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은, 철도의 콘크리트 도상에 궤도회로장치 하우징을 고정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궤도회로장치 하우징이 취부가능하도록 취부공간을 형성하는 보호함 본체; 상기 취부공간의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해 보호함 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구성된 덮개; 상기 취부공간에 취부되어진 궤도회로장치 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함 본체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탈방지바;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함 본체는 취부공간을 이루기 위해 쌍을 이루며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격벽체와, 상기 격벽체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판이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보호함 구조체는, 궤도회로장치를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하기 용이하며, 외부충격은 물론 햇볕, 눈, 비 등의 외부 환경의 악영향으로 부터 궤 도회로장치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궤도회로장치의 슬라이딩 방식 취부에 따른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열차 운행중에도 철도 선로구간에 짧은 시간에 시공이 가능하게 됨으로, 설치작업 시에도 열차 운행의 안전성 및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궤도회로장치 보호함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보호함 본체(20)는 받침판(22) 상부에 2개가 쌍을 이루는 격벽체(21)가 일정 간격(d)의 취부공간(S)을 형성하는 일체형 구조를 이루고 있어, 상기 취부공간(S)으로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이 슬라이딩 취부가 가능한 구성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일측 격벽체(21)의 상부에는 덮개(23)가 경첩(2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져 있으며, 덮개(23)에는 탄성고무(24)가 부착 구비되어져 있어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 상면과 접촉되어질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고, 상면 일단부에는 걸림고리(29)가 구성되어져 있어 타측 격벽체(21) 상부에 장착된 장금장치(26)와 선택적인 걸림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22)에는 각 모서리부에 콘크리트 도상(1)에 고정을 위한 고정앙카(28)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앙카홀(27)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하부에 는 방진고무(30)를 구성하여 콘크리트 도상(1)을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취부공간(S)의 양측벽 즉, 양측 격벽체(21)의 상호 대응되는 측벽 하부에는 슬라이딩 홈(20a)을 형성하였으며, 이와 대응되는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의 양측벽 하부에는 슬라이딩 돌부(10a)를 형성함으로서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의 취부시 상호 슬라이딩 가이드되어짐과 함께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이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도록 하였다.
그리고, 격벽체(21)의 선단과 후단에는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바(40)가 착탈가능한 구조를 이루는데, 이탈방지 바(40)에는 체결볼트(42)의 관통 삽입을 위한 체결공(41)을 형성시키며, 이와 대응되는 격벽체(21) 측에는 체결홈(20b)을 형성하였다.
상기 보호함 본체(20)는 합성수지재 또는 강화유리섬유재로 제작되어짐이 바람직 하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 바(40)는 양측에 설치되는 2개중 하나를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에 일체로 고정된 구성을 이루도록 함으로서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의 유동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격벽체(21)의 길이가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 보다 길 경우 내부에서 유격간격이 발생하게 되면서 유동되어질 수 있으나, 격벽체(21)에 고정 되어지는 이탈방지 바(40)에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이 일체로 고정되어지게 되면 이러한 유격간격이 발생하더라도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이 유동 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궤도회로장치 보호함 구조체에 궤도회로장치 하우징을 취부 설치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선로가 설치되어진 콘크리트 도상(1)에 본 발명의 보호함 본체(20)를 고정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고정앙카(28)를 받침판(22)의 4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앙카홀(27)에 삽입한 후 풀림방지 너트(미도시)로 콘크리트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보호함 본체(20)의 고정설치가 완료되면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을 일측에서 취부공간(S)으로 밀어넣어 줌으로서 신속한 취부 설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을 격벽체(21) 사이의 취부공간(S)에 취부하게 되면 양측의 슬라이딩 돌부(10a)가 슬라이딩 홈(20a)을 따라 안내되어지면서 신속한 슬라이딩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후 선단과 후단부에 각각 이탈방지 바(40)를 위치시킨 후 체결볼트(42)를 체결공(41) 및 체결홈(20b)에 연통 삽입시켜서 이탈방지 바(40)를 고정 설치함으로서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의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덮개(23)를 경첩(25)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닫아준 후 잠금장치(26)를 걸림고리(29)에 걸어서 잠궈줌으로서 덮개(23)의 설치가 완료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함이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와 같 은 간단한 설치동작으로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의 고정 장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설치가 완료된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은 격벽체(21) 사이에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유지되어지는 가운데 상부가 덮개(23)에 의해 보호되어짐으로 햇볕이나 눈, 비에 의한 악영향이 최소화 되어질 수 있으며, 하부의 방진고무(30) 구성으로 인해 열차 운행시 콘크리트 도상(1)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차단되어짐과 함께, 덮개(23)와의 접촉면에 구비된 탄성고무(24)에 의해 외부 충격력이 완충되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의 보수를 위한 해체작업 역시 일측의 이탈방지 바(40) 만을 분리시키기만 하면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의 분리 및 취부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보호함 구조체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잠금장치(26)에 대한 특정 형태가 도면을 통해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잠금장치(26)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 설계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궤도회로장치 보호 구조체 설치 상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함의 궤도회로장치 장착전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보호함의 궤도회로장치 장착 후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궤도회로장치 보호함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궤도회로장치 보호함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7은 철도 콘크리트 도상에 본 발명 보호함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B-B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궤도회로장치 하우징 10a: 슬라이딩 돌부
20 : 보호함 본체 20a: 슬라이딩 홈
20b: 체결홈 21 : 격벽체
22 : 받침판 23 : 덮개
24 : 탄성고무 25 : 경첩
26 : 장금장치 27 : 앙카홀
28 : 고정앙카 29 : 걸림고리
30 : 방진고무 40 : 이탈방지 바
41 : 체결공 42 : 체결볼트
S : 취부공간

Claims (6)

  1. 철도의 콘크리트 도상(1)에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을 고정설치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도상(1)에 고정 설치되어지는 가운데, 상기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이 취부가능하도록 취부공간(S)을 형성하는 보호함 본체(20);
    상기 취부공간(S)의 상부를 개폐시키기 위해 보호함 본체(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구성된 덮개(23);
    상기 취부공간(S)에 취부되어진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함 본체(20)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탈방지바(40);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장치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함 본체(20)는 취부공간(S)을 이루기 위해 쌍을 이루며 상호 일정 간격(d)을 유지하는 격벽체(21)와, 상기 격벽체(21)를 하부에서 받쳐주기 위한 받침판(22)이 일체형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장치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 구조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의 양측벽 하부에는 슬라이딩 돌부(10a)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보호함 본체(20)의 취부공간(S) 측벽에는 슬라이딩홈(20a)이 형성되어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이 상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장치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23)는 경첩(25)에 의해 보호함 본체(20)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 구성되고,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의 상면을 탄성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고무(24)가 저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장치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함 본체(20) 저면에는 방진고무(30)가 부착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장치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측 이탈방지바(40)중 하나는 궤도회로장치 하우징(10)에 일체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궤도회로장치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 구조체.
KR1020080049480A 2008-05-28 2008-05-28 철도 궤도회로장치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 구조체 KR100898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480A KR100898918B1 (ko) 2008-05-28 2008-05-28 철도 궤도회로장치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480A KR100898918B1 (ko) 2008-05-28 2008-05-28 철도 궤도회로장치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918B1 true KR100898918B1 (ko) 2009-05-21

Family

ID=4086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480A KR100898918B1 (ko) 2008-05-28 2008-05-28 철도 궤도회로장치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9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904Y1 (ko) 2011-07-21 2011-10-04 합자회사 거광산업 궤도회로용 보호대
KR102735449B1 (ko) * 2023-08-24 2024-11-28 주식회사 뉴플랫폼 일체형 발리스 취부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8784A (ja) 1997-04-11 1998-10-20 Toyo Electric Mfg Co Ltd 鉄道車両用制御箱
KR0133946Y1 (ko) * 1994-12-28 1999-02-18 김주용 박스의 덮개 잠금장치
KR200298569Y1 (ko) 2002-09-18 2002-12-18 씨큐아이씨이 주식회사 철도용 궤도회로장치의 임피던스 본드
KR200403406Y1 (ko) 2005-09-09 2005-12-09 합자회사 국제엔지니어링 철도용 궤도회로 장치의 수납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946Y1 (ko) * 1994-12-28 1999-02-18 김주용 박스의 덮개 잠금장치
JPH10278784A (ja) 1997-04-11 1998-10-20 Toyo Electric Mfg Co Ltd 鉄道車両用制御箱
KR200298569Y1 (ko) 2002-09-18 2002-12-18 씨큐아이씨이 주식회사 철도용 궤도회로장치의 임피던스 본드
KR200403406Y1 (ko) 2005-09-09 2005-12-09 합자회사 국제엔지니어링 철도용 궤도회로 장치의 수납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904Y1 (ko) 2011-07-21 2011-10-04 합자회사 거광산업 궤도회로용 보호대
KR102735449B1 (ko) * 2023-08-24 2024-11-28 주식회사 뉴플랫폼 일체형 발리스 취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918B1 (ko) 철도 궤도회로장치의 콘크리트 도상용 보호함 구조체
KR101347045B1 (ko) 방음터널용 투명판 고정금구
KR101001032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터널
BR112019015845B1 (pt) Montagem de barreira de proteção para absorção de colisão
KR101293913B1 (ko) 차량용 과속 방지턱
KR100619545B1 (ko)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완충장치
KR101174355B1 (ko) 완충스프링을 이용해 외장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 외장재 체결용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 시공방법
CN203460882U (zh) 应答器的防护装置
KR100819450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0929498B1 (ko) 교량용 케이블 트로프
CN210944376U (zh) 一种电梯轿厢顶部护栏的安装结构
KR100483189B1 (ko) 도로용 엘형측구
KR101182345B1 (ko) 충격흡수형 강재 난간레일
KR200453935Y1 (ko) 스크린도어용 광고프레임 고정장치
KR100623462B1 (ko) 도로용 가드레일
KR200293171Y1 (ko) 레일감속장치를 이용한 충격흡수형 도로 안전시설물
KR101946984B1 (ko) 경량형 개폐덮개가 구비된 터널 공동구
KR100493400B1 (ko) 철도레일용 소음방지블록
KR100493116B1 (ko) 교량의 가이드레일 장치 및 시공방법
KR20140132083A (ko) 풀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난간
KR100483174B1 (ko) 충격흡수형 도로 경계블록
KR200441277Y1 (ko) 가로등의 단자함 커버 설치구조
KR200332489Y1 (ko) 교통신호제어기 보호장치
KR100385131B1 (ko) 차수판(遮水板) 고정장치
KR100549164B1 (ko) 도로의 내리막길 설치용 충격흡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