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808B1 - 사이로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808B1
KR100898808B1 KR1020070110479A KR20070110479A KR100898808B1 KR 100898808 B1 KR100898808 B1 KR 100898808B1 KR 1020070110479 A KR1020070110479 A KR 1020070110479A KR 20070110479 A KR20070110479 A KR 20070110479A KR 100898808 B1 KR100898808 B1 KR 10089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transfer
mixed cement
amount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4393A (ko
Inventor
정인식
최덕근
전재철
Original Assignee
한일시멘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시멘트 (주) filed Critical 한일시멘트 (주)
Priority to KR102007011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8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2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ixing
    • B28C7/022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ixing by measuring the consistency or composition of the mixture, e.g. with supply of a missing component
    • B28C7/026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ixing by measuring the consistency or composition of the mixture, e.g. with supply of a missing component by measuring data of the driving system, e.g. rotational speed, torque, consumed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53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이송부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제품(레미탈)의 토출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표시부를 갖는 사이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이로장치{SILO APPARATUS}
본 발명은 저장이송부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제품(레미탈)의 토출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표시부를 갖는 사이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는 건설현장에 일시적으로 설비되어, 시멘트와 모래를 사전에 섞어서 상품화한 혼합시멘트를 일시적으로 수용하였다가, 상기 사이로장치의 배출구에 결합되는 믹서기측으로 정량씩 공급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사이로장치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을 받은 한국등록특허 제10-0668066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사이로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a는 도 1의 주요부분을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사이로장치는, 사이로동체(100)와, 조절부(200)와, 저장이송부(300)와, 혼합부(400)와, 물공급부(600), 제어부(미도 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로동체(100)는 혼합시멘트(모래와 시멘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실로서, 상부에는 집진기(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는 호퍼 형상을 취하고 있다.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상부 측면에는 혼합시멘트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110)이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혼합시멘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부(200)는 혼합시멘트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로터리 피더(200)로서,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하부에 상기 배출구(120)와 연통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저장이송부(300)는 상기 조절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혼합시멘트를 저장하여 이송시킨다.
혼합부(400)는 상기 저장이송부(300)로부터 이송되는 혼합시멘트를 물과 혼합하여 외부로 토출시킨다.
그런데, 혼합부(400)에서 토출되는 레미탈은 타설되는데, 그 토출량을 계량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 특히 육안 확인이 어려운 지하 타설인 경우에는 토출량 파악이 매우 힘들다.
이처럼, 레미탈의 토출량이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사이로동체(100) 내부의 재고 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고, 또한 공급하고자 하는 토출양의 제어도 어려워 작업자의 육안이나 감각에 맡길 수밖에 없다.
한편, 상기 조절부(2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의 블레이 드(220)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220)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2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센서(310)의 측정값에 따라 제1모터(240) 회전력을 가변하여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혼합시멘트가 일정한 높이로 축적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센서(310)에 의해 저장이송부(300)에 일정량의 혼합시멘트가 축적되면 상기 조절부(200)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사이로동체(100)에 저장되어 있는 혼합시멘트의 무게가 무겁다 하더라도 상기 조절부(20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저장이송부(3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항상 일정한 량의 혼합시멘트가 저장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사이로동체(100)의 혼합시멘트는 물성이 다른 제품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사이로동체(100)에는 바닥용 혼합시멘트(모래+시멘트+슬라그+혼분)가 저장되거나, 기포용 혼합시멘트(시멘트와 혼분)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물성이 다른 혼합시멘트는 거출(흐름도)되는 양이 다르기 때문에 조절부(200)로부터 저장이송부(300)로의 거출되는 양이 제어되어야 혼합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조절부(200)의 제1모터(240)는 오프 및 온으로 작동되고, 온으로 작동할 시에는 정속도(등속도)로 운전하여, 블레이드는 회전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물성이 다른 제품별로의 거출되는 양을 제어할 수 없다.
한편, 저장이송부(300)의 케이싱(301) 상부에는 벤트부(500)가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벤트부(5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케 이스(510)와, 상기 케이스(510)의 상부를 덮고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530)와, 상기 커버(530)에 형성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 배출돌기(540)와, 상기 배출돌기(540)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배출돌기(540)의 상부에 이격되어 덮는 캡(550)와, 상기 케이스(510) 내부에 장착되는 격자 형상의 보호망(5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510)의 측면에는 상기 커버(53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511)에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수단(511)은 힌지 볼트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벤트부(500)는, 상기 혼합시멘트가 상기 조절부(200)를 통해 저장이송부(300)에 낙하할 때 발생하는 비산 분진을 완충하는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조절부(200)를 통해 저장이송부(300)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저장이송부(300)에서 발생된 분진 및 공기는 케이스(510)와 배출돌기(540)를 통해 위로 올라가고, 상기 배출돌기(540)는 덮고 있는 상기 캡(550)에 의해 분진은 다시 상기 저장이송부(300)로 낙하하고, 공기만 캡(5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분진은 필터링 되지 않기 때문에 캡(550)에 부딪쳐 다시 내려오는 것도 있지만 분진을 포함한 공기가 그대로 캡(5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ㅁ문제가 있다.
다른 한편, 집진기(140)는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혼합시멘트로부터 생긴 분진을 집진하여 처리하는 장치로서, 크게 집진유닛(140A)과 수동탈진유닛(140B)으로 구성하여 있다.
집진유닛(140A)은 원통형의 필터백, 이 필터백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튜브 시트와 상단 브라켓, 튜브 시트와 상단 브라켓을 지지하면서 사이로동체(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바디 케이싱으로 구성하여 있다.
수동탈진유닛(140B)는 레버(141B), 레버(141B)의 일단에 연결되는 와이어(143B), 레버(141B)의 타단과 상단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대(145B), 레버(141B)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선회지지대(147B)로 구성하여 있다.
이러한 수동탈진유닛(140B)의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와이어(143B)를 잡고 당기면, 레버(141B)의 타단이 위로 당겨진다. 그러면 연결대(145B)는 상단 브라켓을 약간 위로 당기는 예컨대 둔탁한 틱 소리 정도로 흔들어 주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단속적이거나 연속적으로 와이어(143B)를 잡아당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제대로 탈진을 행하지 않을 우려가 매우 크다. 또한, 탈진 작업을 행하더라도, 상단 브라켓이 바디 케이싱에 고정되어 있어 진동폭이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탈진효율이 매우 낮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와이어(143B)를 잡아당길 생각을 더욱더 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필터백의 교환주기가 더 빨라져서, 부품 교체에 따른 비용 증가와 교체 중 작업 정지 등 경제성과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특히, 교환주기를 놓치는 경우에는 사이로동체가 팽창하여 장비 전체에 이상이 생기는 심각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혼합부의 토출양을 표시하여 사이로동체의 재고 판단과 정확한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는 사이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사이로장치는,
혼합시멘트를 저장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사이로동체와; 상기 사이로동체의 하부에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장착되어 혼합시멘트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를 통해 배출되는 혼합시멘트를 저장하여 이송시키는 저장이송부와; 상기 저장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혼합시멘트를 물과 혼합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의 토출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혼합부의 토출양을 표시하여 사이로동체의 재고 판단과 정확한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된 사이로장치는,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저장이송부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이 센서부에서 감지한 회전속도를 입력받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유량을 표시하는 지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사이로장치는,
상기 콘트롤러에는 상기 혼합시멘트의 용도에 따른 제품선택스위치가 더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품별로 비중이 달라 거출되는 양이 다르기 때문에, 이 거출되는 양이 다른 용도별로 세팅하여 정확한 양을 표시할 수 있다.
청구항4에 기재된 사이로장치는,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저장이송부의 스크류의 회전과 연동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는 자기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에 기재된 사이로장치는,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저장이송부의 스크류의 회전과 연동하는 금속과, 상기 금속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는 근접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사이로장치에 의하면, 혼합부의 토출양을 표시 확인하여 사이로동체의 재고 판단과 정확한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에 제품선택스위치가 더 접속되기 때문에, 제품별로 비중이 달라 거출되는 양이 다르고, 이 다른 거출량을 용도별로 세팅하여 정확한 양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사이로동체(100)에는 시공에 따라 레미탈 제품 중 바닥용(모래+시멘트+슬라그+혼분 등의 혼합시멘트), 기포용(시멘트와 혼분 혼합시멘트), SL30, SL70(Self Level, 자동수평조절용) 및 기타 다양한 혼합시멘트가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로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주요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주요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하우징의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블레이드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판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이송부와 혼합부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부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이로장치는, 사이로동체(100)와, 조절부(1200)와, 저장이송부(300)와, 혼합부(400)와, 물공급부(600), 표시부(700) 및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로동체(1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시멘트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상을 취하고 있고, 상부에는 집진기(1400)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는 호퍼 형상을 취하고 있다.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상부 측면에는 혼합시멘트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110)이 접속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혼합시멘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하부측 내부에는 진동부(130)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사이로동체(100) 내부에 수용되는 혼합시멘트가 브리지를 형성하지 않고 즉 뭉쳐지지 않고 상기 배출구(120)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이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10653호에 기재된 가교 방지 장치와 유사한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조절부(1200)는,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하부에 상기 배출구(120)와 연통되도록 장착되어 혼합시멘트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부(1200)는 로터리 피더(1200)로서,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의 블레이드(220)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220)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124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로터리 피더(1200)에는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회전속도제어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즉, 회전속도제어기(미도시)로는 제1모터(1240)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주파수 변환 전력장치인 인버터(미도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버터(미도시)는 전기적으로 DC를 AC로 변환하는 역변환 장치를 의미하며,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자체 내에서 전압과 주파수를 가변하여 전동기로 공급함으로써 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일련의 장치입니다.
현재 일반 바닥용 제품을 거출할 때는 Water 게이지는 8-9 사이, 로터리 피더(1200)는 정속도, 혼합 속도(Mixer speed)는 최대로 가동하여 운전되고 있으며, 기포용 제품을 거출할 때는 Water 게이지 10, 로터리 피더(1200)는 정속도, 혼합 속도는 2-3단계로 운전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기포용 제품을 거출할 때 위와 같이 바닥용과 달리 운전되는 이유는 혼합효율 때문이다.
그런데 로터리 피더(1200)의 속도를 조정하여 양을 적게 거출하면, 물 공급량을 줄이고, 혼합 속도를 올려 토출하는 양 및 혼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기포용 제품이 바닥용 제품보다 무게가 가벼워서 로터리 피더(1200)가 정속도일 때 더 많은 양이 배출구(120)로부터 저장이송부(300)로 내려오기 때문입니다.
바닥용은 제품이 모래+시멘트+슬라그+혼분 등이 혼합되어 만들어지고, 기포용은 시멘트와 혼분만이 혼합되어 만들어지기 때문에 바닥용은 제품에 모래가 혼합되어 단위면적당 중량이 더 무거운 것이다.
참고로 제품별로 비중(겉보기 비중 : 1㎥ 용기에 채웠을 때 들어가는 단위 중량)은 기포용 약 1.2T/㎥, 바닥용 약 1.75T/㎥ 이다. SL용 약 1.0-1.7T/㎥ 이다.
이와 같이, 사이로동체(100) 내부의 제품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즉 어떤 물 성을 갖는 제품) 거출되는 양이 다르기 때문에, 로터리 피더(1200) 정확하게는 제1모터(1240)의 회전속도를 인버터를 통해 제어하여, 제품별로 거출되는 양을 제어함으로써 혼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인버터에 제어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제어 키, 속도를 표시할 수 있는 미터 및 인디케이터 등을 더 구현할 수 있다.
도 8에서 (a)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하우징상판(211)의 평면도이고, (b)는 하우징(210)과 제1모터(24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c)는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우징하판(212)이고, (d)는 (b)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상기 하우징상판(211)과 하우징하판(212)에는 각각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와 하부가 연통되어 개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상판(211)은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배출구(120)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하판(212)은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상부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상기 블레이드(220)가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220)는 중심축(23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장착되어 원통형을 그리며 회전하게 되고, 상기 중심축(230)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기 제1모터(124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혼합시멘트는 상기 블레 이드(2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블레이드(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블레이드(220)의 양측 끝단에는 교체 가능한 마모편(225)이 장착되어 있는데, 이것은 상기 마모편(225)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와 접하면서 마모될 경우, 상기 블레이드(220) 전부를 교체함이 없이 상기 마모편(225)만을 교체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상기 조절부(1200)에 의해, 상기 사이로동체(100)에 수용되는 혼합시멘트가 상기 저장이송부(300)로 임의적으로 배출(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사이로동체(100)에 수용되어 있는 혼합시멘트의 양이 적든 많든 즉 그 무게가 가볍든 무겁든 상관없이 상기 블레이드(220)가 회전되면서 혼합시멘트를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공급하기 때문에 일정량의 혼합시멘트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미도시)로 제1모터(1240)의 속도를 제어하여 제품별로 배출구(120)에서 저장이송부(300)으로의 거출되는 양을 제어하여, 혼합부(400)에서의 혼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배출구(120)와 상기 조절부(1200)의 상부 사이에는 슬라이딩되는 개폐판(150)이 장착되어 있는데, 이는 사이로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배출구(120)를 폐쇄시키고, 사용할 경우에는 개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0에는 상기 개폐판(150)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개폐판의 일측에는 개 방구(151)가 형성되고 있고, 양측에는 슬롯(15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개방구(151)는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혼합시멘트를 상기 조절부(1200)의 하우징(210) 내부로 유입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배출구(120)를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개방구(151)가 상기 배출구(120)와 하우징상판(121)에 형성된 구멍을 연통하도록 상기 개폐판(150)을 이동시키고,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배출구(120)를 폐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개방구(151)가 상기 배출구(120)와 하우징상판(121)에 형성된 구멍을 연통시키지 않도록 상기 개폐판(150)을 이동시킨다.
상기 슬롯(15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1200)의 하우징(210) 자세하게는 상기 하우징상판(211)과 상기 배출구(120)의 플랜지 사이에서 볼트(160)에 의해 함께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판(150)은 상기 슬롯(152)이 상기 볼트(160)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되게 된다.
상기 저장이송부(300)는 상기 조절부(12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절부(1200)를 통해 배출되는 혼합시멘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이를 상기 혼합부(40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내부에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32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320)는 제2모터(330)에 의해 회전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모터(330)와 상기 스크류(350)의 끝단에 는 풀리(350)(370)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상기 풀리(350)(370)는 타이밍벨트(36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350)는 베어링(34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320)에는 다수개의 플랫바(325)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저장되는 혼합시멘트가 신속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이송부(300)에는 센서(310)가 장착되는데, 상기 센서(310)는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내부에 저장되는 혼합시멘트의 축적량을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케이싱(301) 상부에는 벤트부(1500)가 장착되는데, 상기 벤트부(1500)는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내부에서 생긴 분진을 필터링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벤트부(15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케이싱(301)에 장착되는 케이스(1510)과, 상기 케이스(1510) 내에 탑재되는 필터백(1570)과, 상기 케이스(15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커버부(1530)와, 상기 커버부(1530)에 설치되는 에어벤트부(1560)로 구성하여 있다.
상기 케이스(1510)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어, 상기 케이싱(301)과 에어벤트부(1560)를 연통시킨다. 또한, 케이스(1510)의 높이는 용량과 관련되기 때문에 높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1510)의 측면에는 상기 커버부(153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1511)에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수단(1511)은 힌지 볼트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백(1570)은 부직포로서 분진을 차단하며, 케이스(1510)의 내부 상단 가 까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벤트부(1560)는 상기 커버부(1530)에 형성되는 배출돌기(1540)와, 상기 배출돌기(1540)의 상단에 공기 배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캡부(1550)로 구성되어 있다.
캡부(1550)에는 소켓(1551)이 있어, 이 소켓(1551)을 통해 배출돌기(1540)와 연결된다. 또한, 소켓(1551)에는 후술된 바이패스관(1581)이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한 벤트부(1500)는 저장이송부(300)로 떨어지는 혼합시멘트에서 발생하는 분진은 케이스(1510) 내부로 들어오고, 필터백(1570)을 통과하면서 분진은 걸러지고 나머지 공기는 배출돌기(1570)를 거쳐 캡부(1550)에서 외부로 빠져나간다.
따라서, 필터백(1570)에서 분진이 필터링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줄이고 작업자의 작업환경도 개선한다.
한편, 필터백(1570)의 분진을 제거하는 탈진부(158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터백(1570)에 분진이 많이 쌓여 있으면 제대로 필터링 작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탈진해 주는 것이 좋다.
상기 탈진부(1580)는 타격체(1582)와, 타격체(1582)가 상기 필터백(1570)를 타격하는 조작부로 구성하여 있다.
타격체(1582)로는 해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조작부는 상기 벤트부(15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추(1584), 상기 캡부(1550)에 형성되는 바이패스관(1581)과, 상기 타격체(1582)와 상기 추(1584)를 상기 바이 패스관(1581)을 통해 연결하는 케이블(1586)로 구성되어 있다.
추(1584)는 타격체(1582)가 필터백(1570)을 향해 내려가지 않을 정도의 무게를 가지면 좋다.
따라서, 추(1584)를 들어주면 타격체(1582)는 아래로 내려가서 필터백(1570)를 타격하여 분진을 털어내고, 추(1584)를 놓으면 타격체(1582)는 위로 올라간다.
또한, 추(1582) 대신에 케이블(1586)을 잡아주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케이블(1586)을 고정물에 묶어두고 필요할 때 풀어서 타격하는 방식이 있다(이것은 천정에 매달린 종을 칠 때 줄을 잡아당기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이때, 필터백(1570)은 메쉬(1520)에 지지되는 것이, 타격체(1582)의 타격에 의한 찢힘이나 늘어남 등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백(1570)은 케이스(1510)의 상단 가까이에 배치하는 것이 용량 측면에서 바람직한데, 타격체(1582)에 의해 제한을 받을 수 있다.
이 제한을 최대한 해소하기 위해, 메쉬(152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 형태로 구부려 필터백(1570)을 지지하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벤트부(1500)는, 상기 혼합시멘트가 상기 조절부(1200)를 통해 저장이송부(300)에 낙하할 때 발생하는 비산 분진을 완충하는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조절부(1200)를 통해 저장이송부(300)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혼합부(400)는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일단에 연장형성되어 있고, 타 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물공급부(60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유입되기 위한 급수구(4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혼합부(400)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320)에 연장 결합된 혼합돌기(4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이송부(300)를 통해 혼합부(400)로 유입된 혼합시멘트는 상기 혼합돌기(420)에 의해 물과 혼합되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혼합부(400)의 토출량을 표시하는 표시부(7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표시부(700)에 표시되는 토출량(유량)을 확인하여, 일별 또는 시간별로 토출되는 양의 확인이 가능하여, 사이로동체(100) 내의 재고 판단 및 공급할 정확한 양의 제어가 가능하다.
표시부(7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710)와, 이 센서부(710)에서 감지한 회전속도를 입력받는 컨트롤러(730)와, 상기 컨트롤러(730)를 통해 유량을 표시하는 지시부(7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710)는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스크류(320)의 회전과 연동하는 금속(711)과, 상기 금속(711)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730)에 입력하는 근접스위치(71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근접스위치(713)는 금속(711)이 회전하면서 통과하는 횟수를 감지한다.
감지된 통과횟수는 컨트롤러(730)에서 연산 및 제어되어 지시부(750)에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표시한다.
표시 기능은 가동시간(금일가동시간/누적가동시간/현재시간)과 측정유량(현재유량/금일유량/적산유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730)는 인쇄회로기판(PCB)으로 구현된다.
한편, 컨트롤러(730)에는 상기 혼합시멘트의 용도에 따른 제품선택스위치(77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제품별로 혼합 스크류(320)에서 1회전당 거출되는 양이 다르기 때문(제품별로 비중이 다르기 때문)에 선택스위치(770)를 설치하여 제품별로 구분 후 데이터를 입력하면 각 제품별로 정확한 양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730)에는 키패드(79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패드(790)는 제품별 파라미터의 입력, 설정, 등록, 수정, 삭제, 조회 등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710)는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스크류(320)의 회전과 연동하는 영구자석(미도시)과, 상기 영구자석(미도시)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730)에 입력하는 자기센서(미도시)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자기센서(미도시)는 홀(hall) 센서방식으로 영구자석(미도시)의 회전량을 검출한다. 자기센서(미도시)에서 검출한 회전량은 PCB(730) 상에서 적산하여 지시부(750) 상에 유량을 표시한다.
물론, 표시부는,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스크류(320)의 회전량을 바로 읽을 수 있는 미터기를 설치하여 유량을 표시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물공급부(6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부(400)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써, 펌프(610)와, 상기 펌프(610)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유량계(620)와, 상기 펌프(610)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유동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630)와, 상기 개폐밸브(630)와 상기 혼합부(4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64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개폐밸브(630)는 사용자가 수동을 작동하여 물의 개폐를 조절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0)는 상기 개폐밸브(630)의 개방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혼합부(400)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물공급부(600)와 상기 혼합부(400)의 급수구(410)는 호스(650) 등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600)에는 별도의 바이패스유로를 장착하여 작업 완료 후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청소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조절부(1200)의 거출량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센서(310)에 의해 상기 저장이송부(300) 내부에 축적된 혼합시멘트의 양이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조절부(1200)의 블레이드(220)를 회전시켜, 상기 사이로동체(1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혼합시멘트를 상기 조절부(1200)를 통해 저장 이송부(300)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저장이송부(300) 내부에 축적된 혼합시멘트의 양이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조절부(1200)를 정지시켜 상기 사이로동체(1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혼합시멘트가 상기 조절부(1200)를 통해 저장이송부(30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센서(31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모터(1240) 회전력을 가변하여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혼합시멘트가 일정한 높이로 축적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센서(310)에 의해 저장이송부(300)에 일정량의 혼합시멘트가 축적되면 상기 조절부(1200)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사이로동체(100)에 수용되어 있는 혼합시멘트의 무게가 무겁다 하더라도 상기 조절부(120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저장이송부(3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항상 일정한 량의 혼합시멘트가 저장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의 구성을 통해 로터리 피더(1200)의 회전속도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조절부(1200)를 통해 저장이송부(300)로의 거출(공급)량은 제품별로 제어함으로써 혼합 효율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계(620)가 일정한 값을 갖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혼합부(400)에 유입되는 물의 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혼합부(400)에 유입되는 혼합시멘트의 양과 물의 양을 자동으로 일정한 비율을 유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이로장치의 작동방법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단계(S100)와, 배출조절단계(S200)와, 이송단계(S300)와, 혼 합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로장치의 작동방법을 간략하게 표시한 플로 챠트이다.
상기 측정단계(S100)는, 상기 사이로동체(100)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축적되어 있는 혼합시멘트의 량을 상기 센서(310)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배출조절단계(S200)는, 상기 사이로동체(100)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축적되어 있는 혼합시멘트의 측정량이 기준치 이하이면 기준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조절부(200)를 제어하여 상기 사이로동체(100)로부터 혼합시멘트를 배출시키고, 기준치 이상이면 조절부(200)를 정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이송단계(S300)는, 상기 사이로동체(100)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축적된 혼합시멘트를 상기 스크류(320)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부(400)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단계(S400)는, 상기 저장이송부(300)로부터 이송된 혼합시멘트를 상기 물공급부(600)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혼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측정단계(S100), 배출조절단계(S200), 이송단계(S300) 및 혼합단계(S400)는, 한 단계 종료 후 다음 단계가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여러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와 같은 작동방법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사이로동체(100)에 수용된 혼합 시멘트가 항상 일정한 양으로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축적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혼합부(400)에서 상기 혼합시멘트와 물이 항상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균일하게 몰탈화되도록 할 수 있다.
집진기(14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유닛(1400A)과 자동탈진유닛(1400B)으로 구성하여 있다.
집진유닛(1400A)은 케이싱(1410A), 상기 케이싱(1410A) 내의 하측 및 상측에 설치되는 튜브 시트(1420A) 및 상단 브라켓(1430A), 상기 튜브 시트(1420A)와 상단 브라켓(1430A)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백(1440A)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백의 형태는 원통형, 포켓형, 카트리지형이 있으며, 소재에 의한 분류로는 부직포형, SPUN-BONDED형, 소결형 등이 있다. 본 실시예의 필터백(1440A)은 부직포를 원통형으로 말아, 튜브 시트(1420A)와 상단 브라켓(1430A)에 클립 등으로 고정한 구성이다.
시트 튜브(1420A)에는 사이로동체(110)의 내부와 연통하는 관통공(1421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관통공(1421A)이 2줄로 배치된 총 8개로 구성하여 있다.
이 관통공(1421A)의 상면에는 굴뚝형태의 관(1423A)이 돌출되어 있다. 이 관(1423A)의 외주면에 필터백(1440A)의 하단 내주면을 끼운 후, 필터백(1440A)의 외주면을 띠 형태의 클립으로 고정한다.
상단 브라켓(1430A)에도 튜브 시트(1420A)와 마찬가지로 하면에 돌출된 관(1433A)의 외주면에 필터백(1440A)의 상단 내주면을 끼운 후, 필터백(1440A)의 외주면을 띠 형태의 클립으로 고정한다. 다만, 상단 브라켓(1430A)의 관(1433A)에는 관통공이 없이 막힌 구성이다.
한편, 튜브 시트(1420A)의 측면에는 사이로동체(110)의 상면에 걸려 체결되는 체결편(1425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튜브 시트(1420A)가 별도의 베이스에 고정되고, 이 베이스에 체결편(1425A)이 설치되어도 좋다.
따라서, 튜브 시트(1420A)를 사이로동체(110)의 관통공(111)에 삽입하면, 체결편(1425A)이 관통공(111) 주위에 걸릴 때까지 삽입되고 난 후 체결하여 고정한다.
케이싱(1410A)은 튜브 시트(1420A)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한 중공의 외벽 구조가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자동탈진유닛(1400B)은 진동유닛(1410B)과 이 진동유닛(1410B)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제어유닛(미도시)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유닛(1410B)은 상단 브라켓(1430A)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1411B), 상기 케이싱(1410A)의 상측에 놓이는 상판(1413B), 상기 상판(1413B)과 상기 상단 브라켓(1430A)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415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410A)의 위쪽에는 캡(1450)이 덮어져 있다. 이 캡(1450)은 비 또는 눈 등이 케이싱(1410A)로 들어가지 않는 날씨용 덮개로 사용된다.
또한, 캡(1450)이 케이싱(1410A)의 최상단과 갭을 갖도록 하여, 필터링 된 공기가 외부로 원활히 빠져나가게 하는 것이 좋다.
즉, 스프링(1415B)의 상단을 잡아주는 브라켓(1451)은 케이싱(1410A)의 최상 단에 놓이는 상판(1413B)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판(1413B)의 상면에는 돌기(1453)를 두어, 캡(1450)이 돌기(1453)에 놓이면 갭(G)이 형성되게 된다. 물론, 측면에도 갭(g)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제어유닛(미도시)은 상기 바이브레이터(1411B)를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작동시키는 운전형태가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타이머(미도시)가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타이머로 시간을 설정하면, 예컨대 10초 작동, 5초 정지의 시간을 설정하면, 작업자는 혼합시멘트를 사이로동체(110)에 주입할 때 타이머 작동버튼(1490)을 누르면 위와 같은 시간에 따라 바이브레이터(1411B)를 주기적으로 운전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브레이터(1411B)가 주기적으로 작동하면, 필터백(1440B)의 내면에 부착된 분진은 떨어져 낙하하기 때문에, 탈진효율이 매우 우수하여, 필터백(1440B)의 교환주기를 길게 할 수 있다.
케이싱(1410A)에는 맨홀(1470)이 설치되어 있다.
맨홀(1470)은 필터백(1440B)의 교체나 다른 부품의 수리나 점검을 위한 통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레미탈의 토출량 표시 이외에 곡물 등의 토출량을 표시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사이로장치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a는 도 1의 주요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로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주요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주요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하우징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블레이드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판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이송부와 혼합부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부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로장치의 작동방법을 간략하게 표시한 플로 차트.
도 14는 튜브 시트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이로동체 110 : 유입관 120 : 배출구
130 : 진동부 140 : 집진기 150 : 개폐판
151 : 개방구 152 : 슬롯홀 160 : 볼트
200,1200 : 조절부 210 : 하우징 211 : 하우징상판
212 : 하우징하판 220 : 블레이드 225 : 마모편
230 : 중심축 240,1240 : 제1모터 300 : 저장이송부
310 : 센서 320 : 스크류 330 : 제2모터
340 : 베어링 350, 370 : 풀리 360 : 타이밍벨트
400 : 혼합부 410 : 급수구 420 : 혼합돌기
500,1500 : 벤트부 510,1540 : 케이스 520,1520 : 메쉬(보호망)
530,1530 : 커버 540,1540 : 배출돌기 550,1550 : 캡
600 : 물공급부 610 : 펌프 620 : 유량계
630 : 개폐밸브 640 : 솔레노이드밸브 650 : 호스
700 : 표시부 710 : 센서부 730 : 콘트롤러
750 : 지시부 770 : 제품선택스위치 790 : 키패드
1400 : 집진기 1400A : 집진유닛 1400B : 자동탈진유닛
1410A : 케이싱 1420A : 튜브 시트 1430A : 상단 브라켓
1440A : 필터백 1425A : 체결편 1410B : 진동유닛
1411B : 바이브레이터 1413B : 상판 1415B : 스프링
1450 : 캡 1470 : 맨홀 1560 : 에어벤트부
1570 : 필터백 1580 : 탈진부 1581 : 바이패스관
1582 : 타격체 1584 : 추 1586 : 케이블
S100 : 측정단계, S200 : 배출조절단계, S300 : 이송단계,
S400 : 혼합단계.

Claims (5)

  1. 삭제
  2. 혼합시멘트를 저장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사이로동체와;
    상기 사이로동체의 하부에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장착되어 혼합시멘트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를 통해 배출되는 혼합시멘트를 저장하여 이송시키는 저장이송부와;
    상기 저장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혼합시멘트를 물과 혼합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의 토출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저장이송부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이 센서부에서 감지한 회전속도를 입력받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해 유량을 표시하는 지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에는 상기 혼합시멘트의 용도에 따른 제품선택스위치가 더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로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저장이송부의 스크류의 회전과 연동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는 자기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로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저장이송부의 스크류의 회전과 연동하는 금속과, 상기 금속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하는 근접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로장치.
KR1020070110479A 2007-10-31 2007-10-31 사이로장치 KR10089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479A KR100898808B1 (ko) 2007-10-31 2007-10-31 사이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479A KR100898808B1 (ko) 2007-10-31 2007-10-31 사이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393A KR20090044393A (ko) 2009-05-07
KR100898808B1 true KR100898808B1 (ko) 2009-05-22

Family

ID=4085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479A KR100898808B1 (ko) 2007-10-31 2007-10-31 사이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8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8787A (zh) * 2018-06-21 2018-11-23 江苏高略建筑技术有限公司 一种石膏砂浆制配用流量控制方法
KR102621622B1 (ko) * 2022-11-24 2024-01-05 한일시멘트 주식회사 Co2 주입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사일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4784A (en) * 1977-05-11 1982-06-15 Draiswerke Gmbh Method for processin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plastics
KR0134555Y1 (ko) * 1996-03-27 1999-01-15 임정수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
KR200159139Y1 (ko) * 1997-11-27 1999-10-15 유기형 아스콘용 섬유첨가제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4784A (en) * 1977-05-11 1982-06-15 Draiswerke Gmbh Method for processin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plastics
KR0134555Y1 (ko) * 1996-03-27 1999-01-15 임정수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
KR200159139Y1 (ko) * 1997-11-27 1999-10-15 유기형 아스콘용 섬유첨가제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393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7233T3 (es) Cámara de secado, unidad de secado, secador de abrasivo reciclado y método para secar el abrasivo húmedo reciclado
KR100920718B1 (ko) 시멘트 혼합기
JP6156370B2 (ja) 色彩選別機
KR100898808B1 (ko) 사이로장치
KR100932153B1 (ko) 사이로장치
KR100898809B1 (ko) 사이로장치
KR100668066B1 (ko) 사이로장치 및 그 작동방법
CN206535764U (zh) 一种非金属矿双分选柱脉动气流分选机
JP2005152684A (ja) 穀物調製設備の制御機構
JP2002224578A (ja) 粒体気流搬送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自動洗米装置
JP3579315B2 (ja) 貯米装置
JP3768341B2 (ja) 米穀用の計量袋詰め機
CN221190400U (zh) 一种石料地仓输送系统
JP4626195B2 (ja) 石抜装置
CN104627680B (zh) 物料收集设备和物料收运设备
JP2006095434A (ja) 籾摺選別機の仕上米吸塵装置
EP0856730A2 (en) Compact feed pellet durability tester
KR101621768B1 (ko) 방사형 물입자와 비산먼지 사이의 물마찰튀김효과를 통한 스마트 비산먼지 제거 장치
CN217797255U (zh) 一种渣砂振动筛的筛网破损的监测装置
JP3153674B2 (ja) 籾あるいは麦の自主検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165702B1 (ko) 개질 아스팔트 첨가제 투입장치
JP6881235B2 (ja) 穀物乾燥機
JP2981843B2 (ja) 小米選別機
JP4302797B2 (ja) 籾摺計量装置
KR20100006565U (ko) 곡물선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