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153B1 - 사이로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153B1
KR100932153B1 KR1020070110478A KR20070110478A KR100932153B1 KR 100932153 B1 KR100932153 B1 KR 100932153B1 KR 1020070110478 A KR1020070110478 A KR 1020070110478A KR 20070110478 A KR20070110478 A KR 20070110478A KR 100932153 B1 KR100932153 B1 KR 100932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st
mixed cement
storage transfer
upp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4392A (ko
Inventor
최덕근
전재철
Original Assignee
한일시멘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시멘트 (주) filed Critical 한일시멘트 (주)
Priority to KR1020070110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1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44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와 시멘트의 혼합물을 사이로동체에 저장할 때 생기는 분진을 필터링하는 필터백을 자동으로 탈진할 수 있는 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사이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이로장치{SILO APPARATUS}
본 발명은 모래와 시멘트의 혼합물을 사이로동체에 저장할 때 생기는 분진을 필터링하는 필터백을 자동으로 탈진할 수 있는 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사이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혼합시멘트공급용 사이로장치는 건설현장에 일시적으로 설비되어, 시멘트와 모래를 사전에 섞어서 상품화한 혼합시멘트를 일시적으로 수용하였다가, 상기 사이로장치의 배출구에 결합되는 믹서기측으로 정량씩 공급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사이로장치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을 받은 한국등록특허 제10-0668066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사이로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사이로장치는, 사이로동체(100)와, 조절부(200)와, 저장이송부(300)와, 혼합부(400)와, 물공급부(600),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로동체(100)는 혼합시멘트(모래와 시멘트)를 수용하기 위한 저장실로서, 상부에는 집진기(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는 깔때기 형상을 취하고 있다.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상부 측면에는 혼합시멘트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110)이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혼합시멘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집진기(140)는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혼합시멘트로부터 생긴 분진을 집진하여 처리하는 장치이다.
집진기(140)는 크게 집진유닛(140A)과 수동탈진유닛(140B)으로 구성하여 있다.
집진유닛(140A)은 원통형의 필터백, 이 필터백의 상하단을 지지하는 튜브 시트와 상단 브라켓, 튜브 시트와 상단 브라켓을 지지하면서 사이로동체(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바디 케이싱으로 구성하여 있다.
이러한 집진유닛(140A)은 튜브 시트를 통해 필터백 내부를 통과하면서 먼지는 집진하고 나머지 공기는 필터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필터백의 내주면에 많은 분진이 부착될 경우 과다 압력이 걸려 필터백이 팽창하여 터지거나, 심한 경우 사이로동체(100)가 팽창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수동탈진유닛(140B)이 설치되어 있다.
수동탈진유닛(140B)는 레버(141B), 레버(141B)의 일단에 연결되는 와이어(143B), 레버(141B)의 타단과 상단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대(145B), 레버(141B)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설치되는 선회지지대(147B)로 구성하여 있다.
이러한 수동탈진유닛(140B)의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와이어(143B)를 잡고 당기면, 레버(141B)의 타단이 위로 당겨진다. 그러면 연결대(145B)는 상단 브라켓을 약간 위로 당기는 예컨대 둔탁한 틱 소리 정도로 흔들어 주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단속적이거나 연속적으로 와이어(143B)를 잡아당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제대로 탈진을 행하지 않을 우려가 매우 크다.
또한, 탈진 작업을 행하더라도, 상단 브라켓이 바디 케이싱에 고정되어 있어 진동폭이 매우 미세하기 때문에 탈진효율이 매우 낮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와이어(143B)를 잡아당길 생각을 더욱더 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필터백의 교환주기가 더 빨라져서, 부품 교체에 따른 비용 증가와 교체 중 작업 정지 등 경제성과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특히, 교환주기를 놓치는 경우에는 사이로동체가 팽창하여 장비 전체에 이상이 생기는 심각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에 의존한 탈진 방식을 탈피한 자동 탈진 방식뿐 아니라 탈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취하여 필터백의 교환주기를 최대한 늘려 경제성과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사이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집진기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사이로동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집진기에 있어서,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혼합시멘트로부터 생긴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유닛과, 상기 집진유닛에 집진된 분진을 자동으로 탈진하는 자동탈진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동탈진유닛으로 분진을 주기적으로 자동 탈진하기 때문에 작업자에 의존한 탈진 방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된 집진기는,
상기 자동탈진유닛은 진동유닛과 이 진동유닛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제어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집진기는,
상기 집진유닛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의 하측에 설치되며 관통공을 갖는 튜브 시트; 상단 브라켓; 상기 튜브 시트와 상단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백으로 구성되고,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상단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제어유닛과 접속되는 바이브레이터; 상기 케이싱의 상측에 놓이는 상판; 상기 상판과 상기 상단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바이브레이터의 구성이 소형이고 간편하여 취급 및 효율이 우수하다.
청구항4에 기재된 사이로장치는,
혼합시멘트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사이로동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혼합시멘트를 저장하여 이송시키는 저장이송부; 상기 저장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혼합시멘트를 물과 혼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혼합부; 상기 사이로동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집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집진기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혼합시멘트로부터 생긴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유닛과, 상기 집진유닛에 집진된 분진을 자동으로 탈진하는 자동탈진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에 기재된 사이로장치는,
상기 자동탈진유닛은 진동유닛과 이 진동유닛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제어유닛으로 구성되되, 상기 집진유닛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의 하측에 설치되며 관통공을 갖는 튜브 시트; 상단 브라켓; 상기 튜브 시트와 상단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백으로 구성되고,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상단 브라켓에 설치되는 바이브레 이터; 상기 케이싱의 상측에 놓이는 상판; 상기 상판과 상기 상단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제어유닛은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주기적으로 작동시키는 타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집진장치에 의하면, 자동탈진방식으로 분진을 탈진하기 때문에, 작업자에 의존한 방식에서 탈피하여 탈진효율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방식으로 자동 탈진하기 때문에, 바이브레이터와 같은 소형 기계를 설치하면 충분하고, 이로 인해 점유공간도 거의 차지하지 않는다.
또한, 상단 브라켓을 스프링에 의해 자유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단 브라켓의 상하 진동폭이 커서 탈진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로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주요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주요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하우징의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블레이드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판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이송부와 혼합부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부의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이로장치는, 사이로동체(100)와, 조절부(200)와, 저장이송부(300)와, 혼합부(400)와, 물공급부(600),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로동체(100)는 혼합시멘트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상을 취하고 있고, 상부에는 집진기(1400)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는 호퍼 형상을 취하고 있다.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상부 측면에는 혼합시멘트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관(110)이 접속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혼합시멘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집진기(14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유닛(1400A)과 자동탈진유닛(1400B)으로 구성하여 있다.
집진유닛(1400A)은 케이싱(1410A), 상기 케이싱(1410A) 내의 하측 및 상측에 설치되는 튜브 시트(1420A) 및 상단 브라켓(1430A), 상기 튜브 시트(1420A)와 상단 브라켓(1430A)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백(1440A)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백의 형태는 원통형, 포켓형, 카트리지형이 있으며, 소재에 의한 분류로는 부직포형, SPUN-BONDED형, 소결형 등이 있다. 본 실시예의 필터백(1440A)은 부직포를 원통형으로 말아, 튜브 시트(1420A)와 상단 브라켓(1430A)에 클립 등으로 고정한 구성이다.
시트 튜브(1420A)에는 사이로동체(110)의 내부와 연통하는 관통공(1421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관통공(1421A)이 2줄로 배치된 총 8개로 구성하여 있다.
이 관통공(1421A)의 상면에는 굴뚝형태의 관(1423A)이 돌출되어 있다. 이 관(1423A)의 외주면에 필터백(1440A)의 하단 내주면을 끼운 후, 필터백(1440A)의 외주면을 띠 형태의 클립으로 고정한다.
상단 브라켓(1430A)에도 튜브 시트(1420A)와 마찬가지로 하면에 돌출된 관(1433A)의 외주면에 필터백(1440A)의 상단 내주면을 끼운 후, 필터백(1440A)의 외주면을 띠 형태의 클립으로 고정한다. 다만, 상단 브라켓(1430A)의 관(1433A)에는 관통공이 없이 막힌 구성이다.
한편, 튜브 시트(1420A)의 측면에는 사이로동체(110)의 상면에 걸려 체결되는 체결편(1425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튜브 시트(1420A)가 별도의 베이스에 고정되고, 이 베이스에 체결편(1425A)이 설치되어도 좋다.
따라서, 튜브 시트(1420A)를 사이로동체(110)의 관통공(111)에 삽입하면, 체결편(1425A)이 관통공(111) 주위에 걸릴 때까지 삽입되고 난 후 체결하여 고정한다.
케이싱(1410A)은 튜브 시트(1420A)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한 중공의 외벽 구조가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자동탈진유닛(1400B)은 진동유닛(1410B)과 이 진동유닛(1410B)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제어유닛(미도시)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유닛(1410B)은 상단 브라켓(1430A)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1411B), 상기 케이싱(1410A)의 상측에 놓이는 상판(1413B), 상기 상판(1413B)과 상기 상단 브라켓(1430A)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415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410A)의 위쪽에는 캡(1450)이 덮어져 있다. 이 캡(1450)은 비 또는 눈 등이 케이싱(1410A)로 들어가지 않는 날씨용 덮개로 사용된다.
또한, 캡(1450)이 케이싱(1410A)의 최상단과 갭을 갖도록 하여, 필터링 된 공기가 외부로 원활히 빠져나가게 하는 것이 좋다.
즉, 스프링(1415B)의 상단을 잡아주는 브라켓(1451)은 케이싱(1410A)의 최상단에 놓이는 상판(1413B)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판(1413B)의 상면에는 돌기(1453)를 두어, 캡(1450)이 돌기(1453)에 놓이면 갭(G)이 형성되게 된다. 물론, 측면에도 갭(g)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제어유닛(미도시)은 상기 바이브레이터(1411B)를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작동시키는 운전형태가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타이머(미도시)가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타이머로 시간을 설정하면, 예컨대 10초 작동, 5초 정지의 시간을 설정하면, 작업자는 혼합시멘트를 사이로동체(110)에 주입할 때 타이머 작동버튼(1490)을 누르면 위와 같은 시간에 따라 바이브레이터(1411B)를 주기적으로 운전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브레이터(1411B)가 주기적으로 작동하면, 필터백(1440B)의 내면 에 부착된 분진은 떨어져 낙하하기 때문에, 탈진효율이 매우 우수하여, 필터백(1440B)의 교환주기를 길게 할 수 있다.
케이싱(1410A)에는 맨홀(1470)이 설치되어 있다.
맨홀(1470)은 필터백(1440B)의 교체나 다른 부품의 수리나 점검을 위한 통로이다.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하부측 내부에는 진동부(130)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사이로동체(100) 내부에 수용되는 혼합시멘트가 브리지를 형성하지 않고 즉 뭉쳐지지 않고 상기 배출구(120)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이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10653호에 기재된 가교 방지 장치와 유사한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조절부(200)는,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하부에 상기 배출구(120)와 연통되도록 장착되어 혼합시멘트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부(200)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다수의 블레이드(220)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220)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240)로 이루어진다.
도 8에서 (a)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하우징상판(211)의 평면도이고, (b)는 하우징(210)과 제1모터(24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c)는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우징하판(212)이고, (d)는 (b)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상기 하우징상판(211)과 하우징하판(212)에는 각각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와 하부가 연통되어 개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상판(211)은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배출구(120)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하판(212)은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상부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상기 블레이드(220)가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220)는 중심축(23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장착되어 원통형을 그리며 회전하게 되고, 상기 중심축(230)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기 제1모터(24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를 통해 유입되는 혼합시멘트는 상기 블레이드(2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블레이드(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블레이드(220)의 양측 끝단에는 교체 가능한 마모편(225)이 장착되어 있는데, 이것은 상기 마모편(225)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와 접하면서 마모될 경우, 상기 블레이드(220) 전부를 교체함이 없이 상기 마모편(225)만을 교체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상기 조절부(200)에 의해, 상기 사이로동체(100)에 수용되는 혼합시멘트가 상기 저장이송부(300)로 임의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사이로동체(100)에 수용되어 있는 혼합시멘트의 양이 적든 많든 즉 그 무게가 가볍 든 무겁든 상관없이 상기 블레이드(220)가 회전되면서 혼합시멘트를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공급하기 때문에 일정량의 혼합시멘트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배출구(120)와 상기 조절부(200)의 상부 사이에는 슬라이딩되는 개폐판(150)이 장착되어 있는데, 이는 사이로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 등에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배출구(120)를 폐쇄시키고, 사용할 경우에는 개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0에는 상기 개폐판(150)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개폐판의 일측에는 개방구(151)가 형성되고 있고, 양측에는 슬롯(15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개방구(151)는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혼합시멘트를 상기 조절부의 하우징(210) 내부로 유입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배출구(120)를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개방구(151)가 상기 배출구(120)와 하우징상판(121)에 형성된 구멍을 연통하도록 상기 개폐판(150)을 이동시키고, 상기 사이로동체(100)의 배출구(120)를 폐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개방구(151)가 상기 배출구(120)와 하우징상판(121)에 형성된 구멍을 연통시키지 않도록 상기 개폐판(150)을 이동시킨다.
상기 슬롯(15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의 하우징(210) 자세하게는 상기 하우징상판(211)과 상기 배출구(120)의 플랜지 사이에서 볼트(160)에 의해 함께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판(150)은 상기 슬롯(152)이 상기 볼트(160)에 의해 안내 되어 슬라이딩되게 된다.
상기 저장이송부(300)는 상기 조절부(2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절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혼합시멘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이를 상기 혼합부(40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내부에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32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320)는 제2모터(330)에 의해 회전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모터(330)와 상기 스크류(350)의 끝단에는 풀리(350)(370)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상기 풀리(350)(370)는 타이밍벨트(36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350)는 베어링(34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320)에는 다수개의 플랫바(325)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저장되는 혼합시멘트가 신속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이송부(300)에는 센서(310)가 장착되는데, 상기 센서(310)는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내부에 저장되는 혼합시멘트의 축적량을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상부에는 벤트부(500)가 장착되는데, 상기 벤트부(500)는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내부에서 생긴 분진을 필터링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벤트부(500)는,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케이스(510)와, 상기 케이스(510)의 상부를 덮고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부(530)와, 상기 커버부(530)에 형성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 배출돌기(540)와, 상기 배출돌기(540)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배출돌기(540)의 상부에 이격되어 덮는 캡부(550)와, 상기 케이스(510) 내부에 장착되는 격자 형상의 보호망(520)으로 이루어진다.
도 12에서 (a)는 상기 케이스(510)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케이스(510)의 정면도이고, (c)는 상기 케이스(510)의 측면도이며, (d)는 상기 케이스(510)의 저면도이다.
위와 같이, 상기 케이스(5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도 12에서 (e)는 상기 배출돌기(540)가 형성된 커버부(530)의 측면도이고, (f)는 상기 커버부(530)의 평면도이며, (g)는 상기 캡부(550)의 측면도이고, (h)는 상기 캡부(550)의 평면도이며, (i)는 상기 보호망(520)의 평면도이다.
상기 케이스(510)의 측면에는 상기 커버부(53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수단(511)에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수단(511)은 힌지 볼트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벤트부(500)는, 상기 혼합시멘트가 상기 조절부(200)를 통해 저장이송부(300)에 낙하할 때 발생하는 비산 분진을 완충하는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조절부(200)를 통해 저장이송부(300)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저장이송부(300)에서 발생된 분진 및 공기는 상기 케이스(510)와 배출돌기(540)를 통해 위로 올라가고, 상기 배출돌기(540)를 덮고 있는 상기 캡부(550)에 의해 분진은 다시 상기 저장이송부(300)로 낙하하고, 공기만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캡부(550)에 의해 상기 배출돌기(540)에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망(520)은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530)를 개방하였을 때, 사용자의 손이나 기타 물건이 상기 케이스(510)를 통해 상기 저장이송부(300)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혼합부(400)는 상기 저장이송부(300)의 일단에 연장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물공급부(60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유입되기 위한 급수구(4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혼합부(400)의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320)에 연장 결합된 혼합돌기(4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이송부(300)를 통해 혼합부(400)로 유입된 혼합시멘트는 상기 혼합돌기(420)에 의해 물과 혼합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물공급부(6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부(400)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써, 펌프(610)와, 상기 펌프(610)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유량계(620)와, 상기 펌프(610)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유동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630)와, 상기 개폐밸브(630)와 상기 혼합부(40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64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개폐밸브(630)는 사용자가 수동을 작동하여 물의 개폐를 조절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0)는 상기 개폐밸브(630)의 개방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 기 혼합부(400)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물공급부(600)와 상기 혼합부(400)의 급수구(410)는 호스(650) 등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600)에는 별도의 바이패스유로를 장착하여 작업 완료 후 바이패스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청소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부(200)의 배출량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센서(310)에 의해 상기 저장이송부(300) 내부에 축적된 혼합시멘트의 양이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조절부(200)의 블레이드(220)를 회전시켜, 상기 사이로동체(1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혼합시멘트를 상기 조절부(200)를 통해 저장이송부(300)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저장이송부(300) 내부에 축적된 혼합시멘트의 양이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조절부(200)를 정지시켜 상기 사이로동체(1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혼합시멘트가 상기 조절부(200)를 통해 저장이송부(30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센서(31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모터(240) 회전력을 가변하여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혼합시멘트가 일정한 높이로 축적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센서(310)에 의해 저장이송부(300)에 일정량의 혼합시멘트가 축적되면 상기 조절부(200)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사이로동체(100)에 수용되어 있는 혼합시멘트의 무게가 무겁다 하더라도 상기 조절부(20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저장이송부(3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바,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항상 일정한 량의 혼합시멘트가 저장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계(620)가 일정한 값을 갖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64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혼합부(400)에 유입되는 물의 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혼합부(400)에 유입되는 혼합시멘트의 양과 물의 양을 자동으로 일정한 비율을 유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이로장치의 작동방법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단계(S100)와, 배출조절단계(S200)와, 이송단계(S300)와, 혼합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로장치의 작동방법을 간략하게 표시한 플로 챠트이다.
상기 측정단계(S100)는, 상기 사이로동체(100)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축적되어 있는 혼합시멘트의 량을 상기 센서(310)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배출조절단계(S200)는, 상기 사이로동체(100)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축적되어 있는 혼합시멘트의 측정량이 기준치 이하이면 기준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조절부(200)를 제어하여 상기 사이로동체(100)로부터 혼합시멘트를 배출시키고, 기준치 이상이면 조절부(200)를 정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이송단계(S300)는, 상기 사이로동체(100)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축적된 혼합시멘트를 상기 스크류(320)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부(400) 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단계(S400)는, 상기 저장이송부(300)로부터 이송된 혼합시멘트를 상기 물공급부(600)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혼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측정단계(S100), 배출조절단계(S200), 이송단계(S300) 및 혼합단계(S400)는, 한 단계 종료 후 다음 단계가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여러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와 같은 작동방법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사이로동체(100)에 수용된 혼합시멘트가 항상 일정한 양으로 상기 저장이송부(300)에 축적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혼합부(400)에서 상기 혼합시멘트와 물이 항상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균일하게 몰탈화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혼합시멘트의 유입 이외에 곡물 등의 유입에 따른 분진을 집진하고 처리하는 물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사이로장치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로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주요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주요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하우징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의 블레이드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판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이송부와 혼합부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부의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로장치의 작동방법을 간략하게 표시한 플로 차트.
도 14는 튜브 시트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이로동체, 110 : 유입관, 120 : 배출구,
130 : 진동부, 140 : 집진기, 150 : 개폐판,
151 : 개방구, 152 : 슬롯홀, 160 : 볼트,
200 : 조절부, 210 : 하우징, 211 : 하우징상판,
212 : 하우징하판, 220 : 블레이드, 225 : 마모편,
230 : 중심축, 240 : 제1모터, 300 : 저장이송부,
310 : 센서, 320 : 스크류, 330 : 제2모터,
340 : 베어링, 350, 370 : 풀리, 360 : 타이밍벨트,
400 : 혼합부, 410 : 급수구, 420 : 혼합돌기,
500 : 벤트부, 510 : 케이스, 520 : 보호망,
530 : 커버부, 540 : 배출돌기, 550 : 캡부,
600 : 물공급부, 610 : 펌프, 620 : 유량계,
630 : 개폐밸브, 640 : 솔레노이드밸브, 650 : 호스,
1400 : 집진기 1400A : 집진유닛 1400B : 자동탈진유닛
1410A : 케이싱 1420A : 튜브 시트 1430A : 상단 브라켓
1440A : 필터백 1425A : 체결편 1410B : 진동유닛
1411B : 바이브레이터 1413B : 상판 1415B : 스프링
1450 : 캡 1470 : 맨홀
S100 : 측정단계, S200 : 배출조절단계, S300 : 이송단계,
S400 : 혼합단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혼합시멘트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사이로동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혼합시멘트를 저장하여 이송시키는 저장이송부; 상기 저장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혼합시멘트를 물과 혼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혼합부; 상기 사이로동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집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집진기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혼합시멘트로부터 생긴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유닛과,
    상기 집진유닛에 집진된 분진을 자동으로 탈진하는 자동탈진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탈진유닛은 진동유닛과 이 진동유닛을 구동 제어하는 구동제어유닛으로 구성되되,
    상기 집진유닛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의 하측에 설치되며 관통공을 갖는 튜브 시트; 상단 브라켓; 상기 튜브 시트와 상단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백으로 구성되고,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상단 브라켓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 상기 케이싱의 상측에 놓이는 상판; 상기 상판과 상기 상단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로장치.
KR1020070110478A 2007-10-31 2007-10-31 사이로장치 KR100932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478A KR100932153B1 (ko) 2007-10-31 2007-10-31 사이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478A KR100932153B1 (ko) 2007-10-31 2007-10-31 사이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392A KR20090044392A (ko) 2009-05-07
KR100932153B1 true KR100932153B1 (ko) 2009-12-16

Family

ID=4085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478A KR100932153B1 (ko) 2007-10-31 2007-10-31 사이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714B1 (ko) 2020-08-10 2021-01-21 아세아시멘트(주) 절첩기능을 갖는 사이로장치용 핸드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사이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750B1 (ko) * 2012-03-22 2013-11-08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
KR102261404B1 (ko) * 2019-07-26 2021-06-07 한일시멘트 주식회사 시멘트계 바닥 시공용 고강도 모르타르 조성물.
CN110339640B (zh) * 2019-08-16 2021-11-09 重庆市赛特刚玉有限公司 一种倾倒炉自焙电极挥发分除尘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672A (ko) * 2001-12-22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미분포집장치의 펄스장치를 이용한 차압제어 장치
KR100668066B1 (ko) * 2006-08-25 2007-01-11 한일시멘트 (주) 사이로장치 및 그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672A (ko) * 2001-12-22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미분포집장치의 펄스장치를 이용한 차압제어 장치
KR100668066B1 (ko) * 2006-08-25 2007-01-11 한일시멘트 (주) 사이로장치 및 그 작동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714B1 (ko) 2020-08-10 2021-01-21 아세아시멘트(주) 절첩기능을 갖는 사이로장치용 핸드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사이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392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0255B (zh) 用于集尘器的减压阀和软管设备、集尘器及用于操作集尘器的方法
KR100932153B1 (ko) 사이로장치
US6846421B2 (en) Filtering method and filter chamber sealing arrangement
KR20080086633A (ko) 집진장치
US6805618B1 (en) Water jet abrasive recycl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668066B1 (ko) 사이로장치 및 그 작동방법
CN107983025A (zh) 一种烟气处理设备
CN213355818U (zh) 用于斗式提升机的除尘装置和斗式提升机
CN114940314A (zh) 一种具有防止物料板结功能的钢板仓
KR100920718B1 (ko) 시멘트 혼합기
KR101416563B1 (ko) 공기정화장치
KR101883974B1 (ko) 백필터 탈진형 집진기
KR102379790B1 (ko) 구운소금 제조장치
KR100898808B1 (ko) 사이로장치
WO2000053382A2 (en) Water jet abrasive recycl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761318B1 (ko) 원통형 여과포를 이용한 집진장치
KR100898809B1 (ko) 사이로장치
CN2904614Y (zh) 多功能一体化种子包衣机
KR102549582B1 (ko) 톤백 세척장치
JP2020093235A (ja) 籾摺選別機
JPH09206050A (ja) コーヒー豆焙煎器
KR20040083565A (ko) 고효율 집진을 위한 재비산 및 재부착 방지 백필터 여과집진장치
KR200153191Y1 (ko) 건, 습식 겸용 집진장치
JP2010158744A (ja) クーラント装置
KR100544977B1 (ko) 유동성 폐기물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