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5750B1 -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 - Google Patents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5750B1
KR101325750B1 KR1020120029121A KR20120029121A KR101325750B1 KR 101325750 B1 KR101325750 B1 KR 101325750B1 KR 1020120029121 A KR1020120029121 A KR 1020120029121A KR 20120029121 A KR20120029121 A KR 20120029121A KR 101325750 B1 KR101325750 B1 KR 101325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upply
unit
combustion chambe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7399A (ko
Inventor
윤학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Priority to KR1020120029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75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6Mechanically-operated devices, e.g. clinker pus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 F23H11/18Details
    • F23H11/24Removal of ashes; Removal of clink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2Apparatus for 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ash-pits, e.g. by employing trucks or conveyors, by employing su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5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5/00Cleaning arrangements for grates; Moving fuel along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10Intercepting solids by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공급부와 배기부와 배출부를 형성한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공급부에 설치되어 연소실 내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 상기 배기부의 하측에 구성되어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상측에 구성되어 필터부에 걸러진 분진을 하측에 형성된 배출부로 털어내는 공기분사부로 구성된 분진탈리장치; 상기 연료공급장치의 하측에 설치되는 구동화격자; 상기 구동화격자의 하측에 설치되어 완전연소된 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재처리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이용하면,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부산물을 연료로 사용함에 따라 연료생성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 발생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단으로 형성된 구동화격자를 통해 연료의 충분한 교반과 체류시간을 갖도록 하여 연료의 완전연소를 촉진함과 동시에 목분의 분진폭발을 통해 연료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재처리와 미연분의 자동처리를 안전하게 하여 보일러의 연속사용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The bio boiler with the facility which removes the dust to the automatic}
본 발명은 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부산물을 연료로 사용함에 따라 연료생성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 발생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단으로 형성된 구동화격자를 통해 연료의 충분한 교반과 체류시간을 갖도록 하여 연료의 완전연소를 촉진함과 동시에 목분의 분진폭발을 통해 연료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재처리와 미연분의 자동처리를 안전하게 하여 보일러의 연속사용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룰 수 있는 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본체의 구조, 노의 위치, 물의 순환방식,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는데, 이 중에서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 보일러를 구분하면, 중유나 경유를 연료로 하는 기름보일러,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보일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름보일러와 가스보일러는 연료의 공급이 원활한 장점으로 인하여 도심지에 거주하는 일반 가정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는데, 기름보일러의 경우에는 열효율이 좋고 안전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으나, 연료가 비싸기 때문에 유지비에 따른 부담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도시가스(LNG)를 사용하는 가스보일러의 경우에는, 기름보일러에 비해 유지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도시가스가 도심지에만 국한되어 설치되어 있어 인가가 적은 외딴 지역에서의 사용이 어려운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농어촌에서는 연료비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기름 대체용인 연탄이나 장작과 같은 나무 등을 이용하기도 하고, 버려지는 폐목 등을 펠릿화하여 연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펠릿 보일러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펠릿 보일러는 직화방식으로 화재에 대하여 위험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 완료 후 잔존하는 연소 잔존물을 처리가 불가하여 연소 잔존물을 별도로 수거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연속운전에 제약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펠릿 연소 장치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공급된 펠릿이 한곳에만 쌓이는 경향이 있어 열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보일러는 시간, 온도, 교반의 조건을 해결하여 에너지의 종류의 관계없이 완전연소를 빠른시간 안에 해결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최대 관건인데, 기존의 펠릿 보일러는 시간과 교반 및 재처리에 있어서 큰 제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일러의 연소효율이 떨어지고, 연속적인 사용에 제한이 많이 있었으며, 펠릿의 인위적인 가공에 따라 발생하는 건조 등의 추가공정에 의해 연료 생성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추가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연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는 공급부와 배기부와 배출부를 형성한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공급부에 설치되어 연소실 내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 상기 배기부의 하측에 구성되어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상측에 구성되어 필터부에 걸러진 분진을 하측에 형성된 배출부로 털어내는 공기분사부로 구성된 분진탈리장치; 상기 연료공급장치의 하측에 설치되는 구동화격자; 상기 구동화격자의 하측에 설치되어 완전연소된 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재처리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급부는 연소실의 하측에 구성되는 제1, 2공급부와, 연소실의 상측에 구성되는 제3공급부로 구성되며, 연료공급장치는 제1공급부에 설치되어 고체연료를 공급하는 제1연료공급기와, 제2공급부에 설치되어 톱밥을 공급하는 제2연료공급기와, 제3공급부에 설치되어 목분을 공급하는 제3연료공급기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소실에는 격벽이 설치되어 공급부와 배기부 사이 공간에는 연소가스의 이동속도가 빨라지는 유속증가구간을 형성하고, 필터부가 설치된 배기부와 배출부 사이 공간에는 연소가스의 이동속도가 느려지는 유속감소구간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화격자는, 층을 형성하여 다단으로 구성되되, 각각의 구동화격자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1통풍구가 형성된 제1고정단과, 상기 제1고정단의 양측에 설치되며 측면을 관통하는 제2통풍구가 형성된 제2고정단과, 상기 제1, 2고정단에 슬라이드결합되어 구동장치에 의해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단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재처리부는, 경사부를 형성하여 일측에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구성하고, 타측에는 배출홀을 형성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는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부산물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연료생성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발생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연료가 다단으로 형성된 구동화격자를 단계적으로 거치는 것으로 인해 구동화격자에 쌓인 연료의 교반은 물론, 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체류시간을 갖도록 할 수 있고, 각각의 구동화격자의 측부와 하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로 인해 연료의 완전연소가 촉진시킬 수 있으며, 온도대가 높은 연소실의 상측 부분으로 공급된 목분의 분진폭발에 의해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완전연소된 재는 수밀형 재처리부를 통하여 냉각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연소시 발생하는 분진을 필터부로 여과하는 것을 통해 화재에 대한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으며, 필터부를 통해 여과된 분진은 공기분사부를 이용하여 배출부로 자동배출할 수 있어 보일러의 연속사용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화격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화격자에 구성된 이동단이 후진 배치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화격자에 구성된 이동단이 전진 배치된 상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100)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10)과, 연료공급장치(20)와, 분진탈리장치(30)와, 구동화격자(40)와, 재처리부(50)로 이루어진다.
첫째, 연소실(10)은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일측으로 연료가 공급되는 공급부(11)를 형성하고 있으며, 타측으로는 배기부(13)와 배출부(1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11)가 형성된 연소실(10)의 벽면에는 초기발화를 위한 버너(미도시)가 설치구성되고, 연료의 연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연소실(1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통상의 통풍홀(12)이 송풍기(미도시)와 연결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배기부(13)는 공급부(11)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어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구성으로 열원을 사용처(미도시)로 공급하기 위한 통상의 팬(13a)이 설치된 배기관(13)으로 형성되고, 배출부(15)는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배기부(13)의 하측에 형성되며, 배출부(15)의 하측에는 분진을 수거하기 위한 통상의 제1수납함(16)이 구성될 수 있다.
둘째, 연료공급장치(20)는 상기 연소실(10)의 공급부(11)에 설치되어 연료를 연소실(10) 내부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펠릿만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바이오 에너지(Bio Energy) 즉, 수피, 제재부산물, 펠릿, 우드칩, 톱밥, 목분, 왕겨 등과 같이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부산물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1, 2, 3연료공급기(21, 23, 25)로 구분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료공급장치(20)를 제1, 2, 3연료공급기(21, 23, 25)로 구분하여 구성할 때에는 제1, 2, 3연료공급기(21, 23, 25)로 구분되어 구성된 각각의 연료공급장치(20)의 연결설치를 위하여 상기 연소실(10)에 형성된 공급부(11)를 제1, 2, 3공급부(11a, 11b, 11c)로 분리하여 구성해야 할 것이며, 공급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제1, 2, 3공급부(11a, 11b, 11c)의 위치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제1연료공급기(21)는 우드칩, 펠릿, 수피, 왕겨와 같은 고체연료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연소실(10)의 하측 부분에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제1공급부(11a)를 형성하여 상기 제1공급부(11a)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장조(21a)에 저장된 고체연료를 통상의 모터(M)로 구동되는 스크류(21b)를 통해 이송시켜 연소실 내부로 정량 공급하는 통상의 구성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연료공급기(23)는 전술한 고체연료보다 작은 덩어리 즉, 톱밥과 같은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소실(10)의 하측 부분에 노즐로 이루어진 제2공급부(11b)를 형성하여 상기 제2공급부(11b)에 연결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장된 톱밥을 톱밥이송관(23a)으로 정량 공급하는 톱밥공급장치(23b)와, 상기 톱밥이송관(23a)의 끝단 부분에 설치되어 톱밥이송관(23a)으로 공급된 톱밥을 제2공급부(11b)를 통해 연소실(10)의 내부 하측으로 강제공급하는 톱밥공급블로워(23c)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3연료공급기(25)는 목분과 같은 가루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연소실(10)의 상측 부분에 노즐로 이루어진 제3공급부(11c)를 형성하여 상기 제3공급부(11c)에 연결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장된 목분을 목분이송관(25a)으로 정량 공급하는 목분정량공급장치(25b)와, 상기 목분이송관(25a)의 끝단 부분에 설치되어 목분이송관(25a)으로 공급된 목분을 제3공급부(11c)를 통해 연소실(10)의 내부 상측으로 공급하는 목분공급블로워(25c)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연료공급기(25)를 통해 목분을 연소실(10)의 상측 부분에 공급하는 것은, 연소실(10)의 하측 부분보다 온도대가 높은 연소실(10)의 상측 부분으로 목분을 공급함으로써, 목분의 분진폭발을 유도하여 연소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함이며, 상기 톱밥공급장치(23b)와 목분정량공급장치(25b)는 제1연료공급기(21)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모터를 통해 구동되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저장된 연료를 톱밥이송관(23a)과 목분이송관(25a)으로 각각 정량공급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분진탈리장치(30)는 상기 연소실(10) 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배기부(13)의 하측에 구성되어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부(31)와, 상기 필터부(31)의 상측에 구성되어 필터부(31)에 걸리진 분진을 하측에 형성된 배출부(15)로 털어내는 공기분사부(33)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분진탈리장치(30)에 의하면,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이 배기부(13)를 통해 사용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미연분에 의한 화재의 위험이 배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31)는 분진을 걸러내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세라믹필터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실(10)에는 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가스의 이송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이 필터부(31)에 의해 용이하게 걸러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연소실(10)에 격벽(17)을 구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소실(10)에 구성된 공급부(11)와 배기부(13) 사이에 한 쌍의 격벽(17) 즉, 상측이 연소실과 이격 형성된 제1격벽(17a)과 하측 연소실과 이격 형성된 제2격벽(17b)을 구성하는 것을 통해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제1, 2격벽(17a, 17b)의 사이 공간을 공급부(11)가 형성된 공간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하는 것을 통해 상기 공급부(11)와 배기부(13) 사이 공간에 연소가스의 이동속도가 빨라지는 유속증가구간(18)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필터부(31)가 설치된 배기부(13)와 배출부(15) 사이 공간 즉, 제2격벽(17b)과 배기부 측 연소실(10)의 내벽 사이 공간은 상기 유속증가구간(18)보다 큰 폭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필터부(31)가 설치된 배기부(13)와 배출부(15) 사이의 공간에 연소가스의 이동속도가 느려지는 유속감소구간(19)을 형성할 수 있으며, 유속증가구간(18)의 폭과 유속감소구간(19)의 폭은 빠른 유속으로 이동되던 연속가스의 유동속도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도록 1 : 2 ~ 3 정도의 차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유속증가구간(18)과 유속감소구간(19)에 의하면, 연료의 연소에 따라 발생하는 연소가스가 유속증가구간(18)을 통해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된 직 후, 유속감소구간(19)을 통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유속감소구간(19)을 통과하는 연소가스는 유속감소구간(19)의 넓은 폭에 의해 확산 유속이 느려지게 되어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이 세라믹필터로 형성된 필터부(31)에 용이하게 걸러져 완전연소가 이루어진 연소가스만이 배기부(13)를 통해 사용처로 유입되게 된다.
더불어, 필터부(31)에 걸러진 분진이 공기분사부(33)를 통해 배출부(15)로 탈리될 때에도, 분진의 탈리작업이 연소가스의 이동속도가 느린 유속감소구간(19)에서 이루어지므로, 탈리된 분진이 배기구(13)로 재유입되지 않고 배출구(15)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게 된다.
넷째, 구동화격자(4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공급장치(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공급장치(20)를 통해 공급되어 적층된 연료를 연소시키는 부분으로써, 연료의 교반을 통한 효율적인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층을 형성하여 다단으로 구성되며, 다단으로 배치 구성된 각각의 구동화격자(40)는 고정단과 이동단으로 각각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화격자(40)는 계단과 같은 층을 형성하여 다단으로 배치 구성되는 것으로, 연료의 교반은 물론 연소에 필요한 충분한 체류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5 ~ 7 정도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단으로 배치된 각각의 구동화격자(40)는 고정된 받침을 형성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에 슬라이드결합되어 통상의 공,유압을 이용한 구동장치(45)에 의해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단(46)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고정단은 하부틀을 형성하는 제1고정단(42)과, 상기 제1고정단(4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연소실(10)의 내벽에 밀착설치되는 제2고정단(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고정단(42)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1통풍구(41)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단(44)에는 측면을 관통하는 제2통풍구(43)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2통풍구(41, 43)는 연소실(1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통상의 송풍기(P)와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통풍구(43)는 연소실(10)에 상기 제2통풍구(43)와 대응되는 통풍홀(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으로 송풍기(P)를 통한 공기의 공급을 이룰 수 있다.
더불어, 이동단(46)은 제1, 2고정단(42, 44)에 슬라이드결합되어 구동장치(45)에 의해 전후로 왕복 운동하는 구성으로, 초기 연소시에는 후진 되어 있다가 시간 및 온도 등의 설정조건의 만족 즉, 연료의 일정량 연소가 이루어지면, 한차례 전후 왕복운동 하여 어느 정도 연소가 이루어진 연료를 다음 층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며, 이를 통하여 연료의 교반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동단(46)의 전후 왕복운동은 5 ~ 7층으로 다단으로 구성된 각각의 층에서 각각 이루어지고, 설정조건에 따라서 일정하게 이루어지므로, 교반된 연료가 연소실(10) 내에서 충분한 체류시간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연료의 완전연소가 효율적으로 일어난다.
다섯째, 재처리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화격자(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완전연소된 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구동화격자(40)의 작동에 따라 하측으로 배출된 재를 임시저장하는 케이스(54)와, 상기 케이스(54)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55)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4)는 중단에 경사부(51)를 형성하여 일측에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52)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측에는 컨베이어(55)를 통해 이동된 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홀(53)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구동화격자(40)의 작동에 의해 연소완료된 재가 재처리부(40)로 떨어지면 재가 케이스(54)의 저장부(52)에 저장된 물에 의해 냉각됨과 동시에, 냉각이 이루어진 재가 컨베이어(55)를 통해 이송되어 배출홀(53)을 통해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배출홀(53)의 하측으로는 재를 수거하는 통상의 제2수납함(56)을 구성할 수 있어 외부로 배출된 재의 처리를 손쉽게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분진탈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100)의 구동은 구동화격자(40)에 구성된 이동단(46)이 후진 배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제1, 2, 3연료공급기(21, 23, 25)를 통해 각각의 연료가 연소실(10)의 내부로 일정하게 공급됨과 동시에 버너(미도시)가 작동하여 발화를 위한 연료의 초기점화가 이루어지며, 송풍기(P)를 통해 상기 연소실(10)의 벽면에 형성된 통풍홀(12) 및 구동화격자(40)의 제1, 2고정단(42, 44)에 형성된 제1, 2통풍구(41, 43)에서 연소용 공기가 유입되는 작동이 일어난다.
따라서, 제1, 2연료공급기(21, 23)를 통해 공급된 연료는 연료실(10)의 하측으로 공급되어 다단으로 층을 형성한 구동화격자(40) 중 최상단에 위치한 구동화격자(40)의 제1고정단(42)에 집중되어 적층되며, 이와 같이 최상단의 제1고정단(42)에 적층된 연료는 버너의 발화와 연소용 공기를 통해 초기점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료의 초기점화가 이루어진 후에는, 버너의 발화작동은 멈추며, 발화된 연료 및 통풍홀(12)과 제1, 2통풍구(41, 43)에서 유입되는 연소용 공기로써 연료의 연소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료의 연소가 일정량 일어나면, 자동제어를 통해 공,유압으로 작동하는 구동장치(45)가 구동되어 이동단(46)이 한차례 전후 왕복운동하여 일정량 연소된 연료를 다음 층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며,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연료의 교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발화하는 연료는 5 ~ 7층의 다단으로 이루어진 구동화격자(40)를 거치는 도중 충분한 교반과 체류시간을 가지게 되어 완전연소가 용이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구동화격자(40)를 모두 거침으로써 완전연소되어 배출되는 재는 재처리부(50)를 통해 외부에 설치된 제2수납함(56)으로 수거되는데, 제2수납함(56)으로 수거되는 재는 재처리부(50)에 저장된 물에 의해 냉각된 상태로 컨베이어(55)를 통해 이동되어 안전하게 배출되므로 재처리에 따른 운전의 정지나 화재의 위험 없이 본 발명의 연속사용을 안전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연료의 연소에 따라 연소실의(10) 내부온도는 연소실(10)의 하측보다 상측이 높다. 따라서, 제3연료공급기(25)를 통해 온도대가 높은 연소실(10)의 상측 부분으로 목분이 공급되면, 목분의 분진폭발이 유도되어 연소효율이 더욱 증대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연료가 연소 될 때에는 연소가스가 발생하는데, 발생된 연소가스는 격벽(17)에 의해 형성된 유속증가구간(18)과 유속감소구간(19)을 순차적으로 거쳐 공부(11)의 타측에 형성된 배기부(13)를 통해 사용처(미도시)로 공급되는 작동이 이루어지며, 이때 유속증가구간(18)을 통해 빠르게 유입되던 연소가스는 유속감소구간(19)에 들어서는 순간 유속의 확산 속도가 현저히 저감되어 연소가스가 배기부(13)를 통해 사용처로 천천히 공급된다.
따라서, 연소가스에 포함된 미연분과 같은 분진은 배기부(13)의 하측에 구성된 필터부(31)에 의해 모두 걸려지게 되어 사용처로는 완전연소가 이루어진 연소가스만 공급되며, 이로 인해 화재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된다.
그리고, 필터부(31)에 걸러진 분진은 필터부(31)와 배기부(13) 사이에 구성된 공기분사부(33)를 통해 용이하게 탈리시켜 배출부(15)를 통해 외부에 설치된 제1수납함(16)으로 수납할 수 있으므로, 필터부(31)의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이나 연소작업의 지연 없이 본 발명을 연속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부(31)에 걸러진 분진의 탈리작업이 연소가스의 이동속도가 느린 유속감소구간(19)에서 이루어지므로, 탈리된 분진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를 이용하면, 모든 부산물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의 충분한 교반 및 체류시간을 통해 연료의 효율적인 완전연소를 촉진할 수 있어 연소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미연분과 재의 자동처리를 통하여 화재의 위험성 없이 보일러의 연속사용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M: 모터 P : 송풍기
11 : 공급부 11a, 11b, 11c : 제1, 2, 3공급부
12 : 통풍홀 13 : 배기부
13a : 팬 15 : 배출부
16: 제1수납함 17 : 격벽
17a, 17b : 제1, 2격벽 18 : 유속증가구간
19 : 유속감소구간 20 : 연료공급장치
21, 23, 25 : 제1, 2, 3연료공급기 21a : 저장조
21b : 스크류 23a : 톱밥이송관
23b : 톱밥공급장치 23c : 톱밥공급블로워
25a : 목분이송관 25b : 목분정량공급장치
25c : 목분공급블로워 30 : 분진탈리장치
31 : 필터부 33 : 공기분사부
40 : 구동화격자 41, 43 : 제1, 2통풍구
42, 44 : 제1, 2고정단 45 : 구동장치
46 : 이동단 50 : 재처리부
51 : 경사부 52 : 저장부
53 : 배출홀 54 : 케이스
55 : 컨베이어 56 : 제2수납함
100 :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

Claims (5)

  1. 공급부(11)와 배기부(13)와 배출부(15)를 형성한 연소실(10);
    상기 연소실(10)의 공급부(11)에 설치되어 연소실(10) 내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20);
    상기 배기부(13)의 하측에 구성되어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부(31)와, 상기 필터부(31)의 상측에 구성되어 필터부(31)에 걸러진 분진을 하측에 형성된 배출부(15)로 털어내는 공기분사부(33)로 구성된 분진탈리장치(30);
    상기 연료공급장치(20)의 하측에 설치되는 구동화격자(40);
    상기 구동화격자(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완전연소된 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재처리부(5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1)는 연소실(10)의 하측에 구성되는 제1, 2공급부(11a, 11b)와, 연소실(10)의 상측에 구성되는 제3공급부(11c)로 구성되며,
    상기 연료공급장치(20)는 제1공급부(11a)에 설치되어 고체연료를 공급하는 제1연료공급기(21)와, 제2공급부(11b)에 설치되어 톱밥을 공급하는 제2연료공급기(23)와, 제3공급부(11c)에 설치되어 목분을 공급하는 제3연료공급기(25)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화격자(40)는, 층을 형성하여 다단으로 구성되되,
    각각의 구동화격자(40)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1통풍구(41)가 형성된 제1고정단(42)과, 상기 제1고정단(42)의 양측에 설치되며 측면을 관통하는 제2통풍구(43)가 형성된 제2고정단(44)과, 상기 제1, 2고정단(42, 44)에 슬라이드결합되어 구동장치(45)에 의해 전후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단(46)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처리부(50)는, 경사부(51)를 형성하여 일측에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52)를 구성하고, 타측에는 배출홀(53)을 형성한 케이스(54);
    상기 케이스(54) 내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55);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
KR1020120029121A 2012-03-22 2012-03-22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 KR101325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121A KR101325750B1 (ko) 2012-03-22 2012-03-22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121A KR101325750B1 (ko) 2012-03-22 2012-03-22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399A KR20130107399A (ko) 2013-10-02
KR101325750B1 true KR101325750B1 (ko) 2013-11-08

Family

ID=4963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121A KR101325750B1 (ko) 2012-03-22 2012-03-22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7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5914A (zh) * 2015-01-14 2015-05-06 湖州织里荣兴达铝业有限公司 一种炉灰自动传送清理装置
CN105222141A (zh) * 2015-10-15 2016-01-06 新昌县丰泽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生物质燃烧炉的灰尘自动收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7838B2 (ja) * 2018-10-31 2022-09-15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燃焼装置及び燃焼装置の着火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782A (ko) * 2006-10-26 2006-11-15 코리아에너지 주식회사 고형연료용 보일러의 연소장치
KR20090044392A (ko) * 2007-10-31 2009-05-07 한일시멘트 (주) 사이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6782A (ko) * 2006-10-26 2006-11-15 코리아에너지 주식회사 고형연료용 보일러의 연소장치
KR20090044392A (ko) * 2007-10-31 2009-05-07 한일시멘트 (주) 사이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5914A (zh) * 2015-01-14 2015-05-06 湖州织里荣兴达铝业有限公司 一种炉灰自动传送清理装置
CN105222141A (zh) * 2015-10-15 2016-01-06 新昌县丰泽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生物质燃烧炉的灰尘自动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399A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0723B1 (ja) 乾留焼却炉およびそれを備えた乾留式焼却システム
JP4082617B2 (ja) 木質ペレット燃焼装置
CN102425776A (zh) 一种以生物质颗粒为燃料的蒸汽锅炉
KR101325750B1 (ko) 자동분진탈진설비 일체형 바이오보일러
KR20120110938A (ko) 보일러 시스템
US20130276721A1 (en) Boiler
CN202532448U (zh) 固体燃料锅炉
RU2455567C1 (ru)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утилизации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JP2006242539A (ja) バイオマス燃料燃焼装置
CN103672909A (zh) 一种组合式垃圾多层高温燃烧无害化能源装置
JP2007132588A (ja) 木質系材料の燃焼室構造
KR101080552B1 (ko) 톱밥 펠렛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CN101581447A (zh) 一种燃料笼及具有该燃料笼的燃烧器
CA2816293C (en) Burner with unidirectional secondary air
KR101269663B1 (ko) 우드펠렛 연소장치
CN210961582U (zh) 一种户外无烟木炭自动化烧烤炉
CN113654084A (zh) 兰炭取暖炉
CN203586224U (zh) 一种组合式垃圾多层高温燃烧无害化能源装置
CN101900326B (zh) 炉前煤粉回收式循环流化床锅炉
JP2018200158A (ja) 燃焼装置及び燃焼方法
KR200447036Y1 (ko) 톱밥 보일러 이송장치
CN216203517U (zh) 兰炭取暖炉
KR20110086324A (ko) 숯 제조 기능을 갖는 온풍 발생장치
KR20110092427A (ko) 목재 펠릿보일러용 버너
KR102198134B1 (ko) 수소 소각로의 연소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